KR200354538Y1 - 보행구조물 - Google Patents

보행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538Y1
KR200354538Y1 KR20-2004-0010033U KR20040010033U KR200354538Y1 KR 200354538 Y1 KR200354538 Y1 KR 200354538Y1 KR 20040010033 U KR20040010033 U KR 20040010033U KR 200354538 Y1 KR200354538 Y1 KR 2003545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lking
posture
frame portion
spa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정주
Original Assignee
고려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0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5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5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04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83Foldable ladders in which the longitudinal members are brought together on fo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Ladders having platforms; Ladders changeable into platform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행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 공사장 등에서 다양한 보행 경사도에 대응하여 셋팅된 자세가 변화되면서 보행을 위한 통로 영역을 제공함은 물론이거니와 특히 통로 확보를 위한 자세 변화 및 셋팅이 용이하고, 더욱 향상된 내구성을 얻을 수 있는 보행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보행구조물은, 서로 마주하는 자세로 수평하게 배치되는 2개의 프레임부와, 이 2개의 프레임부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자세로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부들이 수평한 자세로 인접 또는 이격될 때에 링크절 운동에 의해 자세가 변화되면서 보행을 위한 통로 영역을 제공하는 복수의 발판들과, 상기 프레임부들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면서 상기 발판의 각도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2개의 프레임부의 이격된 구간을 고정단과 자유단 형태로 연결하는 조절플레이트와, 이 조절플레이트의 고정단을 상기 일측 프레임부에 고정하는 고정구와, 상기 조절플레이트의 자유단을 상기 고정구에 대응하는 타측 프레임부에 위치 변화가 가능하게 고정하는 슬라이드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행구조물{walking structure for working ground}
본 고안은 보행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 공사장 등에서 다양한 보행 경사도에 대응하여 셋팅된 자세가 변화되면서 보행을 위한 통로 영역을 제공함은 물론이거니와 특히 통로 확보를 위한 자세 변화 및 셋팅이 용이하고, 더욱 향상된 내구성을 얻을 수 있는 보행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공사장 등에는 보행을 위한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발판이나 사다리 등과 같은 보행구조물이 사용되는데, 상기 발판은 평면의 형태를 갖는 금속판이나 합판 등이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어 예를들면, 이격된 바닥슬라브와 바닥슬라브 사이를 수평한 자세로 연결하여 지면과 동일한 수평 보행로를 확보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상기 사다리는 2개의 프레임 사이에 여러개의 발판이 결합된 통상의 구조로 제작되어 예를들면, 바닥슬라브와 벽체 사이를 경사진 자세로 연결하여 지면에서 일정한 경사도를 갖는 경사 보행로를 확보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한 발판과 사다리는 그 구조상 특정 각도에 한정된 통로 영역을 제공하는 구조이므로 예를들면, 공사 현장의 환경이나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한 경사도를 갖는 보행 영역을 확보하기에는 구조적으로 한계가 있으므로 만족할 만한 작업 호환성 및 기능성을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발판이나 사다리와 같은 보행구조물의 단점을 보완한 보행구조물로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2003년 1월17일자로 출원되어 2003년 5월15일자로 등록된 실용실안등록 제20-314564호가 있다. 이 보행구조물은 고정된 자세가 변화되면서 수평보행로는 물론이거니와 수직보행로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제작된 것으로서, 이러한 보행구조물의 구조를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보행구조물은, 제1프레임부(100)와, 이 제1프레임부(100)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배치되는 제2프레임부(110)와, 상기 제1프레임부(100)와 제2프레임부(110) 사이에서 이 프레임부(100,110)들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평행하게 이동되면서 인접되거나 이격될 때에 링크절운동되면서 항상 수평한 자세로 각도가 변환되게 연결되는 복수의 발판(120)들과, 이 발판(120)들이 보행경사도에 대응하는 각도를 가지며 고정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부(100)와 제2프레임부(110)의 자세를 변환시킴과 동시에 그 상태를 유지시키는 조절부(130)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보행구조물은 상기 2개의 프레임부(100,110)가 상기 조절부(130)에 의해 이격된 거리가 조절됨과 아울러 상기 프레임부(100,110)들에 양측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발판(120)들의 자세가 변화되면서 수직 또는 수평형태의 보행로를 제공하는 구조이며, 상기 조절부(130)는 상기 2개의 프레임부(100,110)의 이격된 간격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리드각을 갖는 2개의 나사구간이 형성된 나사부 즉, 오른나사(S1)와 왼나사(S2)가 단일의 조절로드(140)에 분활 형성되어 상기 로드(140)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100,110)들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보행구조물은 상기 조절부 즉, 서로 다른 리드각을 갖는 2개의 나사구간이 일정한 길이로 분할 형성된 단일의 로드에 의해 프레임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조이므로 예를들면, 수평 또는 수직 보행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의 간격을 조절하려면 이 프레임들이 분할 형성된 2개의 나사구간의 길이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로드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조작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상기 보행구조물의 셋팅시 상기와 같이 조절부의 로드를 반복해서 회전시키면 나사부 등이 쉽게 마모되므로 잦은 유지보수를 행하여야할 뿐만 아니라 만족할 만한 내구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상기 로드의 나사부가 마모되면 상기 프레임들의 지지력이 저하되어 대형의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보행 경사도에 대응하는 통로 영역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특히 통로 확보를 위한 셋팅이 간편하고, 더욱 향상된 내구성 및 지지력을 얻을 수 있는 보행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서로 마주하는 자세로 수평하게 배치되는 2개의 프레임부와, 이 2개의 프레임부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자세로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부들이 수평한 자세로 인접 또는 이격될 때에 링크절 운동에 의해 자세가 변화되면서 보행을 위한 통로 영역을 제공하는 복수의 발판들과, 상기 프레임부들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면서 상기 발판의 각도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2개의 프레임부의 이격된 구간을 고정단과 자유단 형태로 연결하는 조절플레이트와, 이 조절플레이트의 고정단을 상기 일측 프레임부에고정하는 고정구와, 상기 조절플레이트의 자유단을 상기 고정구에 대응하는 타측 프레임부에 위치 변화가 가능하게 고정하는 슬라이드구를 포함하는 보행구조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행구조물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행구조물의 일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행구조물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행구조물의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걸림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보행구조물의 보행 통로 확보를 위한 프레임부와 발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일측면도.
도 8은 도 1의 조절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사시도.
도 9는 도 8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종래기술에 의한 보행구조물의 일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요부확대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보행구조물은, 제1프레임부(2)와, 이 제1프레임부(2)와 수평한 자세로 이격 배치되는 제2프레임부(4)와, 상기 제1프레임부(2)와 제2프레임부(4)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자세로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부(2,4)들이 수평한 자세로 인접 또는 이격될 때에 링크절 운동에 의해 자세가 변화되면서 보행을 위한 통로 영역을 제공하는 복수의 발판(6)들과,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부(2,4)들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면서 상기 발판(6)의 각도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조절부(8)를 포함한다.
상기 제1프레임부(2)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2개의 프레임(F1)이 1조로 이루어지며, 이 프레임(F1)들은 외력이나 전단 하중 등에도 일정한 내구성이 유지됨과 아울러 도 3에서와 같이 후술하는 발판(6)들과 조절부(8)가 설치되기 위한 홈(H1,H2)들이 도면에서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된 금속 프로파일(profile)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프레임부(2) 즉, 2개의 프레임(F1)이 일정한 단면구조를 갖는 프로파일이 사용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예를들면, 원형 또는 다각형태의 단면구조를 갖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와 같이 발판(6)들과 조절부(8)의 설치가 가능한 홈부가 형성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프레임부(4)는 상기 제1프레임부(2)와 동일한 구조 즉, 도 3에서와 같이 후술하는 발판(6)과 조절부(8)가 설치되기 위한 홈(H1,H2)들이 형성된 2개의 프레임(F2)이 1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프레임부(4)는 상기 제1프레임부(2)에 대응하여 도 1에서와 같이 평행한 자세로 위치하면서 상기 발판(6)에 의해 보행영역을 제공할 때에 항상 상기 제1프레임부(2)의 하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발판(6)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상기 제2프레임부(4)의 프레임(F2)들에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은 걸림구(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걸림구(10)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부(2,4)가 보행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자세로 셋팅된 후 물리적인 접촉에 의해 예를들면, 슬라브나 벽체의 표면이나 난간 등에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면에서와 같은 평면 또는 후크 모양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프레임부(2)에는 도 2에서와 같은 가드(G)가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프레임(F1)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드(G)가 설치되면 보행자가 통로 영역을 통과할 때에 더욱 향상된 보행 안전성을 얻을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상기한 제1프레임부(2)와 제2프레임부(4) 사이에는 이들 프레임부(2,4)를 연결하는 자세로 갖으며 보행을 위한 영역을 제공하는 발판(6)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모양을 갖는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부(2,4)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도면에서와 같이 5개가 1조로 설치되는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발판(6)의 재질은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몰드 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발판(6)들은 상기 제1프레임부(2)와 제2프레임부(4) 사이에서 이들 프레임부(2,4)에 양측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프레임부(2) 및 제2프레임부(4)측의 이격된 2개의 프레임(F1,F2)에 형성된 홈(H1)에 도면에서와 같은 브라켓트(12)가 볼트(B) 및 너트(N)와 같은 체결부재로 각각 고정되고, 이에 대응하는 발판(6)의 양측단에는 회전축(14)이 관통함과 아울러 상기 2개의 브라켓트(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상기 제1프레임부(2)측과 제2프레임부(4)측에 설치되는 발판(6)은 상기 프레임부(2,4)들이 예를들면,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수평한 자세를 갖으며 인접 또는 이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함과 아울러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2개의 프레임(2,4)들이 서로 인접 또는 이격될 때에 링크절 운동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2,4)들에 대응하여 평행한 자세 또는 가로지르는 자세로 변화되면서 다양한 보행 경사도에 대응하는 보행 영역을 제공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발판(6)들이 상기 제1프레임부(2)와 제2프레임부(4)에 의해 도 7에서와 같은 자세로 수평 보행영역을 제공할 때에는 인접한 발판(6)들이 서로 겹쳐지지 않고 등분된 평면의 보행 영역이 제공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이와 같은 셋팅은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부(2,4)에 상기 발판(6)을 고정하는 브라켓트(12)들이 상기 프레임(F1,F2)들의 홈(H1)에서 체결부재 즉 볼트(B) 및 너트(N)에 의해 위치 변화가 가능하게 고정된 구조이므로 상기 브라켓트(12)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상기와 같이 평면의 보행영역이 제공될 수 있도록 셋팅하면 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부(2,4)에는 이 2개의 프레임부(2,4)에 대응하여 자유단과 고정단을 갖는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부(2,4)들의 이격된 위치를 조절함과 아울러 조절된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조절부(8)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조절부(8)의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조절부(8)는,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부(2,4)의 이격된 구간을 연결하는 자세로 위치하는 조절플레이트(16)와, 이 조절플레이트(16)의 고정단을 제2프레임부(4)에 고정하는 고정구(18)와, 상기 조절프레이트(16)의 자유단을 상기 제1프레임부(2)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게 고정하는 슬라이드구(20)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자세로 위치하는 제1프레임부(2)와 제2프레임부(4)의 양측면에 도면에서와 같은 자세로 2개가 1조로 셋팅된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조절플레이트(16)는 일정한 두께를 갖으며 도 8에서와 같은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재질은 내구성 및 내마모성 등이 우수한 금속이거나 합성수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18)는 상기 조절플레이트(16)의 고정단을 물리적인 조임력으로 상기 제2프레임부(4)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구(18)가 도 3에서와 같은 1쌍의 볼트(B1)와 너트(N1)로 이루어지고,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너트(N1)가 상기 제2프레임부(4) 즉, 프레임(F2)의 홈(H2)에 끼워지고, 상기 볼트(B1)가 상기 조절플레이트(16)의 고정단 영역을 관통하면서 상기 너트(N1)에 체결되어 이들의 체결 조임력으로 고정하는 구조를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상기 고정구(18)는 상기 조절플레이트(16)의 고정단이 상기 제2프레임부(4)에 고정된 후 고정된 지점에서 후술하는 슬라이드구(20)에 의한 조절 작용이 가능하도록 예를들면, 상기 볼트(B1)의 나사부가 도 9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직경 크기로 이루어진 2개의 구간 즉, 상기 너트(N1)와 체결되기 위한 나사구간과 상기 조절플레이트(16)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구간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나사구간이 상기 너트(N1)에 체결된 후 상기 가이드구간에 의해 상기 조절프레이트(16)를 상기 제2프레임부(4)측에 도면에서와 같은 자세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구(20)는 상기 고정구(18)에 의해 제2프레임부(4)측에 고정된 조절플레이트(16)의 고정단에 대응하는 자유단측을 상기 제1프레임부(2)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은 볼트(B2)와 너트(N2)가 1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트(B2)의 헤드부가 상기 제1프레임부(2) 즉, 프레임(F1)에 형성된 홈(H2)에 도면에서와 같이 끼워지고 나사부가 상기 조절플레이트(16)의 자유단측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N2)에 체결되는 구조를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상기 너트(N)는 별도의 도구 없이 상기 볼트(B2)의 나사부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도 3에서와 같은 나비너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너트(N2)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절플레이트(16)의 자유단을 상기 홈(H2)을 따라서 상기 제1프레임부(2)의 길이방향으로 위치 변화가 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조이다.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조절부(8)는 상기 제1프레임부(2)와 제2프레임부(4)의 이격된 상태에 따라 상기 발판(6)들의 자세가 링크절 운동에 의해 변화되면서 도 2 및 도 7에서와 같은 보행영역을 제공할 때에 상기 조절플레이트(16)의 자유단측이 상기 슬라이드구(20)에 의해 고정단측의 고정구(18)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프레임부(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체결 지점이 변화됨과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부(2,4)의 간격 셋팅이 완료되면 상기 슬라이드구(20)의 체결 조임력에 의해 상기 조절플레이트(16)의 자유단측을 상기 제1프레임부(2)에 고정하여 2개의 프레임부(2,4)를 도면에서와 같은 셋팅 자세로 견고하게 고정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조절부(8)에 의해 자세가 고정된 발판(6)들에 하중이 전달되어도 이 발판(6)의 링크절 구간과 상기 조절플레이트(16) 즉, 고정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자유단의 링크절 구간이 서로 다른 축심 및 회전 반경을 가지므로 상기 조절부(8)의 록킹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부(2)와 제2프레임부(4)의 셋팅 간격이 변화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조절부(8)의 구조는 상기 프레임부(2,4)들의 셋팅시에 상기 슬라이드구(20)의 너트(N2)를 체결 또는 분리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므로 더욱 향상된 조작성 및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보행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행구조물은 상기 조절부의 조작에의해 상기 2개의 프레임부 간격을 조절하면서 다양한 경사도를 갖는 보행로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조절부는 상기 2개의 프레임부에 대응하여 고정단과 자유단을 갖으며 연결되는 조절플레이트의 자유단측에 대응하여 나사의 측방향 체결 조임력에 의해 프레임부의 간격을 조절 및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조작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보행 경사도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각도를 갖도록 발판의 자세를 단시간내에 셋팅할 수 있으므로 더욱 향상된 조작성 및 사용편의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서로 마주하는 자세로 수평하게 배치되는 2개의 프레임부와, 이 2개의 프레임부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자세로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부들이 수평한 자세로 인접 또는 이격될 때에 링크절 운동에 의해 자세가 변화되면서 보행을 위한 통로 영역을 제공하는 복수의 발판들과, 상기 프레임부들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면서 상기 발판의 각도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2개의 프레임부의 이격된 구간을 고정단과 자유단 형태로 연결하는 조절플레이트와, 이 조절플레이트의 고정단을 상기 일측 프레임부에 고정하는 고정구와, 상기 조절플레이트의 자유단을 상기 고정구에 대응하는 타측 프레임부에 위치 변화가 가능하게 고정하는 슬라이드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플레이트는 상기 2개의 프레임부가 이격 또는 인접될 때에 고정단을 중심으로 자유단의 위치가 변화되면서 상기 2개의 프레임 간격에 대응하여 이격된 구간을 연결 및 지지 가능한 자세로 전환되는 보행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프레임부는 상기 발판들에 양측단에 대응하여 이 발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2개의 프레임이 각각 1조로 이루어지는 보행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2개의 프레임들이 서로 인접 또는 이격될 때에 링크절 운동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에 대응하여 평행한 자세 또는 가로지르는 자세로 전환되도록 셋팅되는 보행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으로 2개 또는 그 이상이 이격 설치되어 등분된 보행 영역을 제공하는 보행구조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나사의 체결 조임력에 의해 상기 조절플레이트의 고정단측을 상기 일측 프레임부의 단일의 지점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보행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구는 상기 조절플레이트의 자유단을 상기 고정단측의 프레임부와 마주하는 프레임부측에 나사의 체결 조임력에 의해 위치 변화가 가능하게 고정하는 보행구조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행구조물은 걸림구를 더 포함하고, 이 걸림구는 상기 프레임부의 지지구간 일측에서 피지지면에 대응하여 물리적인 접촉 또는 걸림 동작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가 보행을 위한 자세로 고정되도록 하는 보행구조물.
KR20-2004-0010033U 2004-04-12 2004-04-12 보행구조물 KR2003545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033U KR200354538Y1 (ko) 2004-04-12 2004-04-12 보행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033U KR200354538Y1 (ko) 2004-04-12 2004-04-12 보행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538Y1 true KR200354538Y1 (ko) 2004-06-30

Family

ID=4934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033U KR200354538Y1 (ko) 2004-04-12 2004-04-12 보행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53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060U (ko) * 2017-06-28 2019-01-07 유수원 건축 구조물에서의 층간 설치용 가설 경사 계단
WO2023178433A1 (en) * 2022-03-22 2023-09-28 Gilles Grenier A construction site staircase assembly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060U (ko) * 2017-06-28 2019-01-07 유수원 건축 구조물에서의 층간 설치용 가설 경사 계단
KR200489572Y1 (ko) * 2017-06-28 2019-07-05 유수원 건축 구조물에서의 층간 설치용 가설 경사 계단
WO2023178433A1 (en) * 2022-03-22 2023-09-28 Gilles Grenier A construction site staircase assembly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774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동바리장치
KR20000068157A (ko)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GB2442419A (en) Ramp
WO1990006894A1 (en) A screw lift
JP2006526717A (ja) モジュール式床
KR200354538Y1 (ko) 보행구조물
KR20100036415A (ko) 난간지주의 안전유리 설치각도 조절장치
CZ16197A3 (en) Controllable staircase
KR100674664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계단
KR102221195B1 (ko) 작업현장 간이 설치형 페리 스탠드폼의 안전난간대
KR200314564Y1 (ko) 보행구조물
WO2004015219A1 (en) Post and rail assembly
KR100508292B1 (ko) 보행구조물
KR200300595Y1 (ko) 안전발판장치
KR101036707B1 (ko) 난간포스트 어셈블리
KR101823039B1 (ko) 건축용 난간대 고정장치
JP2011202430A (ja) ユニット式スロープ
DE20021827U1 (de) Geländervorrichtung für gegen Absturz zu sichernde Konstruktionen und Geländerpfosteneinrichtung hierfür
CN217759994U (zh) 一种用于塔柱施工的无拉杆爬模系统
JP3732846B2 (ja) オープン階段ユニット
KR101099637B1 (ko) 핸드레일 서포트어셈블리
JPH0740592Y2 (ja) 自在作業台
CN216921076U (zh) 一种装配式建筑的整体楼梯结构
CN217232645U (zh) 一种装配式折叠挂笼
KR200367391Y1 (ko) 발코니의 가설용 조립식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