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561Y1 -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561Y1
KR200489561Y1 KR2020180004093U KR20180004093U KR200489561Y1 KR 200489561 Y1 KR200489561 Y1 KR 200489561Y1 KR 2020180004093 U KR2020180004093 U KR 2020180004093U KR 20180004093 U KR20180004093 U KR 20180004093U KR 200489561 Y1 KR200489561 Y1 KR 2004895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vehicle
rotating body
suppor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0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세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반도산업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반도산업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반도산업기계
Priority to KR2020180004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5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5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5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B66C5/04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with runways or tracks supported for movements relative to bridge or gan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송수단이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서, 운송수단에서 레일과 동일선상의 하측 단부에 장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몸체부 및 상기 회전몸체부의 단부로부터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레일의 양측면에 각각 선택적으로 접하는 레일접촉부로 이루어진 클램핑부; 상기 고정부에 상기 회전몸체부의 상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핀부재; 및 상기 회전몸체부에서 레일의 상부보다 높은 위치에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클램핑부를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운송수단의 이동을 제한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RAIL CLAMP DEVICE}
본 고안은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송수단이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및 발전소 등의 부두에 설치되어 중량물 또는 원료를 지정된 장소로 운반하기 위해, 크레인과 이동 대차 등과 같은 운송수단을 주로 사용한다.
즉, 상기 운송수단은 작업 현장에 설치된 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작업을 실시한다.
상기 운송수단에는 이동을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되며 작업을 하지않거나 작업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운송수단이 원하는 곳까지 이동될 수 있다.
작업위치로 이동된 운송수단은 일정위치에 정지된 후 화물의 선적 및 하역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운송수단은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기에는 용이하나, 지정된 위치에 고정 및 정지시킬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형성되지 않아 외부충격 또는 강풍으로 쉽게 움직이면서 주변설비와 충돌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특히, 일단 움직인 운송수단은 가속도가 붙어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운송수단이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는, 운송수단에서 레일과 동일선상의 하측 단부에 장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몸체부 및 상기 회전몸체부의 단부로부터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레일의 양측면에 각각 선택적으로 접하는 레일접촉부로 이루어진 클램핑부; 상기 고정부에 상기 회전몸체부의 상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핀부재; 및 상기 회전몸체부에서 레일의 상부보다 높은 위치에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클램핑부를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운송수단의 이동을 제한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일면이 운송수단에 결합되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몸체부에는, 상기 핀부재가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은 장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운송수단과 레일간의 거리가 멀면 상기 핀부재가 상기 체결홀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운송수단과 레일간의 거리가 짧으면 상기 핀부재가 상기 체결홀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레일접촉부로부터 이격되고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레일의 상면을 지지하는 레일상면지지부가 더 형성된다.
상기 레일상면지지부의 돌출된 길이는, 상기 레일접촉부의 돌출된 길이보다 길다.
본 고안에 따른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는 체결부재가 클램핑부의 레일접촉부를 레일의 복부에 접하도록 하여 레일의 복부를 가압함으로써, 고정부에 고정된 운송수단이 정지된 상태로 레일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레일상면지지부가 레일의 상면, 즉 레일의 두부의 상면을 지지함으로써, 회전몸체부가 레일에 체결될 때, 클램핑부가 레일로부터 과도하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운송수단에 장착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클램프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핑부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핑부에 장착된 고정부 높이의 가변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핑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7은 운송수단의 이동 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핑부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운송수단에 장착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클램프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레일(R)을 따라 이동하는 운송수단(50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는 고정부(100)와 핀부재(200)와 클램핑부(300) 및 체결부재(400)를 포함한다.
고정부(100)는 운송수단(500)의 하측 단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운송수단(500)에서 레일(R)과 동일선상에 고정된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할 레일(R)은 지면에 고정되는 저부와 운송수단(500)과 접하는 두부 및 저부와 두부를 상호 연결하는 복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가 고정되는 운송수단(500)은 레일(R)을 따라 이동하면서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작업을 실시하고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가 레일(R)에 체결 가능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이동 수단이라면, 예컨대 이동대차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만 등에서 컨테이너와 같은 화물을 선적 또는 하역하는데 사용되는 겐트리 크레인(GANTRY CRANE) 등 모든 이동 수단일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00)는 받침부재(110) 및 지지부재(120)를 포함한다.
받침부재(110)는 일면이 상기 운송수단(500)의 하측 단부에서 평평한 면 상에 직접 접하여 운송수단(500)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판재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판재형상으로 이루어진 받침부재(110)는 운송수단(500)의 하측 단부와 면대면으로 접함으로써, 운송수단(50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도면에서 받침부재(110)는 운송수단(500)의 하측 단부에 볼트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받침부재(110)가 운송수단(500)의 하측 단부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면, 용접결합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됨도 가능하다.
지지부재(120)는 클램핑부(300)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받침부재(110)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러한 지지부재(120)의 두께는 레일(R)의 폭보다 얇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부재(120)는 상기 핀부재(200)가 관통되는 지지홀(1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홀(121)은 핀부재(200)가 관통되고, 핀부재(200)를 매개로 하여 클램핑부(300)가 고정부(100)의 지지부재(120)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핀부재(200)는 고정부(100)에 회전몸체부(310)의 상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러한 핀부재(200)의 일단 및 타단은 그 직경이 클램핑부(300)에서 핀부재가 관통되는 체결홀(31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를 레일(R)에 체결시키는 과정에서 클램핑부(300)가 고정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클램핑부(3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지지부재(120)를 사이에 두고 지지부재(120)의 양측면에 일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클램핑부(300)는 회전몸체부(310)와 레일접촉부(320) 및 레일상면지지부(330)를 포함한다.
회전몸체부(310)는 클램핑부(30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고정부(100)에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몸체부(310)에는 체결홀(311) 및 관통홀(312)이 형성된다.
체결홀(311)은 핀부재(200)가 관통되고, 핀부재(200)를 매개로 하여 클램핑부(300)가 고정부(100)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회전몸체부(310)에는 체결홀(311)이 형성되고, 지지부재(120)에는 지지홀(121)이 체결홀(3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핀부재(200)는 지지부재(120)의 일면에 배치된 회전몸체부(310)의 체결홀(311)을 관통한 후, 지지부재(120)의 지지홀(121)을 관통하고, 지지부재(120)의 타면에 배치된 회전몸체부(310)의 체결홀(311)을 관통한다.
이러한 회전몸체부(310)는 일단이 지지부재(120)를 사이에 두고 체결홀(31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체결홀(311)을 중심으로 지지부재(120)로부터 회전하여 레일(R)의 복부, 즉 레일(R)의 폭 중 가장 얇은 폭으로 이루어진 영역에 위치한다.
한편, 체결홀(311)은 장공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운송수단(500)과 레일(R)간의 거리가 멀면 핀부재(200)가 체결홀(311)의 상부에 위치하고, 운송수단(500)과 레일(R)간의 거리가 짧으면 핀부재(200)가 체결홀(311)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장공형상으로 형성된 체결홀(311)은 레일(R)로부터 운송수단(500)의 하측 단부에 고정된 고정부(100)까지의 높이에 구애 받지 않고, 고정부(100)에 고정된 클램핑부(300)가 레일(R)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관통홀(312)은 레일접촉부(320)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서, 체결부재(400)가 관통된다.
이러한 관통홀(312)은 체결부재(400)가 관통되어 체결부재(400)에 의해 레일접촉부(320)가 레일(R)의 복부를 가압하도록 한다.
레일접촉부(3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회전몸체부(310)의 타단부로부터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체결부재(400)에 의해 클램핑부(300)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레일(R)의 복부 양측면에 접촉된다.
레일상면지지부(330)는 상기 레일접촉부(320)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이격된 것으로서, 회전몸체부(310)로부터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레일상면지지부(330)는 레일(R)의 상면, 즉 레일(R)의 두부 상면을 지지한다.
이로 인해 레일상면지지부(330)는 회전몸체부(310)가 레일(R)에 체결될 때, 클램핑부(300)가 레일(R)로부터 과도하게 미끄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레일상면지지부(330)는 회전몸체부(310)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레일접촉부의 돌출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레일(R)의 두부 상면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클램핑부(300)가 레일(R)로부터 과도하게 미끄러지는 것을 더욱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체결부재(400)는 한 쌍의 클램핑부(300)를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회전몸체부(310)에서 레일(R)의 상부보다 높은 위치에 관통되어 한 쌍의 회전몸체부(310)를 상호 결합시킨다.
따라서, 체결부재(400)는 한 쌍의 클램핑부(300)를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레일접촉부(320)가 레일(R)의 복부 양측면을 고정하도록 하여 운송수단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러한 체결부재(400)는 가압볼트(410)와 고정너트(420)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가압볼트(410)가 관통홀(312)을 관통하여 가압볼트(410)의 머리부가 회전몸체부(310)의 일면에 접하고, 고정너트(420)가 가압볼트(410)에 체결되면, 한 쌍의 회전몸체부(310)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체결부재(400)는, 클램핑부(300)의 레일접촉부(320)가 레일(R)의 복부에 접하도록 하여 레일(R)의 복부를 가압한다.
그리고, 레일접촉부(320)가 레일(R)의 복부에 접하게 되면 고정부(100)에 고정된 운송수단(500)이 정지된 상태로 레일(R)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체결부재(400)는 한 쌍의 회전몸체부(310)를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운송수단(500)이 외부충격 또는 강풍으로부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주변설비와 충돌하는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레일(R) 클램프장치의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핑부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핑부에 장착된 고정부 높이의 가변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핑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고, 도 7은 운송수단의 이동 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핑부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먼저,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는 이동대차 또는 크레인과 같이 레일(R)을 따라 이동하는 운송수단(500)의 하측 단부에서 고정되는 것으로서, 레일(R)과 동일선상에 고정된다.
이러한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는 운송수단(500)이 지정된 위치에 정차 되면, 도 4를 참조하면, 클램핑부(300)가 고정부(100)로부터 지지홀(121) 및 체결홀(31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클램핑부(300)의 레일접촉부(320)가 레일(R)의 복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한편, 회전몸체부(310)의 체결홀(311)은 장공형상으로 이루진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수단(500)과 레일(R)간의 거리가 멀면 핀부재(200)가 체결홀(311)의 상부에 위치하고, 운송수단(500)과 레일(R)간의 거리가 짧으면 핀부재(200)가 체결홀(311)의 하부에 위치함으로써, 레일(R)로부터 운송수단(500)의 하측 단부에 고정된 고정부(100)까지의 높이에 구애 받지 않고, 고정부(100)에 고정된 클램핑부(300)가 레일(R)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클램핑부(300)의 회전에 의해 레일접촉부(320)가 레일(R)의 복부에 위치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볼트(410)을 클램핑부(300)에 관통시켜 가압볼트(410)의 머리부가 회전몸체부(310)의 일면에 접하도록 하고, 고정너트(420)를 가압볼트(410)에 체결하여 한 쌍의 회전몸체부(310)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400)는, 클램핑부(300)의 레일접촉부(320)가 레일(R)의 복부에 접하도록 하여 레일(R)의 복부를 가압한다.
따라서, 회전몸체부(310)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만큼 레일접촉부(320)도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한 쌍의 레일접촉부(320)가 레일(R)의 복부 양측면에 각각 접하게 된다.
이로 인해, 본 고안의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는 한 쌍의 회전몸체부(310)를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운송수단(500)이 외부충격 또는 강풍으로부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주변설비와 충돌하는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일(R)에 고정된 운송수단(500)을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400)의 체결상태를 해제하여 한 쌍의 클램핑부(300)를 레일(R)의 복부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을 제거 한 후, 회전몸체부(310)를 받침부재(110)의 상부에 걸친 상태에서 운송수단(500)을 이동시킨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는 체결부재(400)가 클램핑부(300)의 레일접촉부(320)를 레일(R)의 복부에 접하도록 하여 레일(R)의 복부를 가압함으로써, 고정부(100)에 고정된 운송수단(500)이 정지된 상태로 레일(R)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일상면지지부(330)가 레일(R)의 상면, 즉 레일(R)의 두부의 상면을 지지함으로써, 회전몸체부(310)가 레일(R)에 체결될 때, 클램핑부(300)가 레일(R)로부터 과도하게 미끄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고정부 110: 받침부재
120: 지지부재 121: 지지홀
200: 핀부재 300: 클램핑부
310: 회전몸체부 311: 체결홀
312: 관통홀 320: 레일접촉부
330: 레일상면지지부 400: 체결부재
410: 가압볼트 420: 고정너트
500: 운송수단 R: 레일

Claims (5)

  1. 두부 및 복부로 이루어진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운송수단에 있어서,
    운송수단(500)에서 레일(R)과 동일선상의 하측 단부의 수직면에 장착되는 받침부재(110)와, 이 받침부재(110)로부터 상기 레일과 동일선상으로 돌출되며 레일에 대해 횡방향으로 지지홀(121)이 형성된 하나의 지지부재(120)를 포함하는 고정부(100);
    상기 고정부(100)의 지지부재(120)의 지지홀(121)에 삽입되는 핀부재(200);
    상기 핀부재(200)에 의해 상기 고정부(100)의 지지부재(120)의 지지홀(1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레일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몸체부(310)와, 이들 한 쌍의 회전몸체부(310)를 레일 쪽으로 양측에서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레일에 접촉시킴으로써 운송수단의 이동을 제한하는 체결부재(400)를 포함하는 클램핑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핑부(300)의 상기 한 쌍의 회전몸체부(310)는, 상기 고정부(100)의 지지부재(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지지홀(121)에 대응하는 위치에 레일에 대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핀부재(200)가 삽입되는 상하로 긴 장공 형상의 체결홀(311)과, 상기 각 회전몸체부(310)로부터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기 레일의 복부의 양측면을 향해 돌출된 레일접촉부(320)와, 상기 각 회전몸체부(310)로부터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기 레일의 두부의 상면 위를 접촉하면서 지나가도록 돌출된 레일상면지지부(330)를 포함하여,
    상기 체결부재(400)를 체결하여 상기 한 쌍의 회전몸체부(310)를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레일접촉부(320)는 레일의 복부를 상호 밀어서 클램핑하고 상기 레일상면지지부(330)는 레일의 상면에 접촉하여 레일 상면이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체결부재(400)의 체결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한 쌍의 회전몸체부(310)가 레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상기 핀부재(20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고정부(100)의 지지부재(120)의 상부에 걸쳐질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체결부재(400)는 상기 한 쌍의 회전몸체부(310)의 각 레일상면지지부(330)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312)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몸체부(310)를 레일 쪽으로 양측에서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운송수단(500)과 레일(R)간의 거리가 멀면 상기 핀부재(200)가 상기 장공 형상의 체결홀(311)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운송수단(500)과 레일(R)간의 거리가 짧으면 상기 핀부재(200)가 상기 장공 형상의 체결홀(31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클램핑부(300)의 상기 회전몸체부(310)의 상기 레일상면지지부(330)의 돌출된 길이는, 상기 레일접촉부(320)의 돌출된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
KR2020180004093U 2018-09-03 2018-09-03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 KR2004895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093U KR200489561Y1 (ko) 2018-09-03 2018-09-03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093U KR200489561Y1 (ko) 2018-09-03 2018-09-03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561Y1 true KR200489561Y1 (ko) 2019-10-17

Family

ID=6838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093U KR200489561Y1 (ko) 2018-09-03 2018-09-03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5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809Y1 (ko) * 2021-01-15 2022-01-04 대한민국 대차 이동용 조정 공구
KR20220079781A (ko) * 2020-12-05 2022-06-14 지엠에스아이 주식회사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389U (ja) * 1992-05-22 1993-12-07 株式会社明電舎 クレーン用サドル装置
JPH0750390A (ja) * 1993-08-04 1995-02-21 Nec Ic Microcomput Syst Ltd 半導体装置
CN201825667U (zh) * 2010-10-22 2011-05-11 江苏沃得起重机有限公司 室外起重机防倾翻安全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389U (ja) * 1992-05-22 1993-12-07 株式会社明電舎 クレーン用サドル装置
JPH0750390A (ja) * 1993-08-04 1995-02-21 Nec Ic Microcomput Syst Ltd 半導体装置
CN201825667U (zh) * 2010-10-22 2011-05-11 江苏沃得起重机有限公司 室外起重机防倾翻安全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9781A (ko) * 2020-12-05 2022-06-14 지엠에스아이 주식회사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
KR102457895B1 (ko) * 2020-12-05 2022-10-24 지엠에스아이 주식회사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
KR200494809Y1 (ko) * 2021-01-15 2022-01-04 대한민국 대차 이동용 조정 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561Y1 (ko)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
KR101434147B1 (ko) 작업용 이동대차
CN109760729B (zh) 一种工件转运车
CN110562855B (zh) 一种安全制动双梁起重机
KR102188659B1 (ko) 핸드 파렛트 트럭용 전도방지장치
KR20120121960A (ko) 철도차량의 차체 용접용 회전장치
CA2810126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oeuvring and support of panels
KR200429036Y1 (ko) 슬라이드 적재프레임 구조
KR200380856Y1 (ko) 트레일러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적재프레임의 구조
US10093217B2 (en) Movable frame including gantry
KR100790321B1 (ko) 슬라이드 적재프레임 구조
US11629036B2 (en) Outrigger pad hoist apparatus
US3536204A (en) Anchoring device for gantry cranes
AU2013289865B2 (en) Tyre transporter
KR101173130B1 (ko)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
CN210618196U (zh) 一种球状挡车石搬运设备用的夹紧装置
CN220150924U (zh) 可实现大型钢结构梁垫片快速安装装置
CN105000082B (zh) 一种翻转装置及底盘装配系统
CN211642985U (zh) 一种成型金属门移动式托架
CN2934016Y (zh) 集装箱运输半挂车整车机构
CA2932199A1 (en) Movable frame including gantry
CN219806752U (zh) 铝料盘带固定装置
CN210162102U (zh) 动车救援装置
CN218616777U (zh) 一种保护式钢梁运输机
CN214422126U (zh) 一种门机专用防爬防护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