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130B1 -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130B1
KR101173130B1 KR1020110142456A KR20110142456A KR101173130B1 KR 101173130 B1 KR101173130 B1 KR 101173130B1 KR 1020110142456 A KR1020110142456 A KR 1020110142456A KR 20110142456 A KR20110142456 A KR 20110142456A KR 101173130 B1 KR101173130 B1 KR 101173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tie
anchor
rail
dow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영
배태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트로
배태한
정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트로, 배태한, 정대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트로
Priority to KR1020110142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1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66C23/92Snubbers or dashpots for preventing backwards swinging of jibs, e.g. in the event of cable or tackle br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은 상기 크레인 포탈레그 프레임(5)의 하부에 위치하는 주행부에 스톰앵커(100),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200),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300)를 설치하여, 크레인의 주행부가 폭풍이나 급작스런 충격에 의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크레인 주행부 구조는 돌풍 및 강풍 등의 기상불량으로 발생되는 주행 밀림현상을 제어가능하게 도와줄 뿐만 아니라 밀림형상에 따른 레일클램프의 조기마모와 이에 따른 수리시간 및 비용들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크레인의 전도를 방지 할 뿐만 아니라 크레인을 주행방향 및 주행직각방향으로도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안전성 있는 작업과, 크레인의 밀림현상 및 전도현상으로 인해 발생 되어질 수 있는 사고의 위험에 따른 인적, 물적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고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증가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크레인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됨으로, 파도에 의한 상하좌우 요동이 심한 해상에서도 부력이 있는 구조체를 배치하고, 상기 구조체 내부에 크레인 작업 대상물을 안치한 후 크레인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 {crane accident preventing method}
본 발명은 레일 위에서 작동되는 크레인의 주행부 사고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돌풍 및 강풍에 크레인의 밀림현상을 고정하는 크레인 스톰앵커와, 크레인의 레일이탈과 전도를 방지하는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와, 돌풍 및 강풍에 의한 크레인의 전도를 방지하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를 설치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레일 위에서 작동되는 크레인의 주행부 사고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돌풍 및 강풍에 크레인의 밀림현상을 고정하는 크레인 스톰앵커와, 크레인의 레일이탈과 전도를 방지하는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와, 돌풍 및 강풍에 의한 크레인의 전도를 방지하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를 설치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톰앵커와, 크레인 전도방지장치와, 크레인 타이다운장치를 포함하는 크레인 주행부 구조는 크레인이 풍압 등의 외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여 크레인 주행 및 작업 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안전장치에 해당된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평행하게 이격된 레일을 따라 작업위치로 이동되어 일정위치에 정지된 후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해안지역의 특성상 심한 바람이 부는 경우에는 상기 크레인의 브레이크가 제동되어 있어도 브레이크 제동력보다 큰 돌풍 및 강풍에 의해 크레인의 주행부는 움직이게 되고 한번 움직인 크레인은 가속도가 붙어 위험한 상황을 초래 할 수도 있다.
종래기술로써 ‘크레인’(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53291)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선박건조용 도크나 야적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지브크레인은 베이스의 기능을 하는 포탈프레임과, 이 포탈프레임의 상부에 지지수단을 통해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테이팅프레임과, 이 로테이팅프레임에 장착되어 와이어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된 윈치기구와, 기단이 로테이팅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윈치기구에 의해 상하로 회동되거나 신축되는 지브와, 윈치기구의 와이어에 연결되어 지브의 하측으로 늘어지도록 설치되는 걸이기구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포탈프레임은 지면에 설치된 레일에 올려져,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로울러를 개재하여 구성된 선회베어링을 이용하며, 이 선회베어링의 하판과 상판이 포탈프레임과 로테이팅프레임에 각각 결합되어, 로테이팅프레임을 선회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때, 이 선회베어링은 로테이팅프레임의 회전중심을 설정하는 기능과, 로테이팅프레임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그리고, 상기 포탈프레임 또는 로테이팅프레임에는 구동장치가 연결되어, 로테이팅프레임을 선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이기구에 옮길 물품을 걸어놓은 상태에서, 윈치기구로 걸이기구를 승강시키거나 지브의 길이나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구동장치로 로테이팅프레임을 선회시켜 원하는 위치로 물품을 옮길수 있는 크레인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청구항1에는 베이스의 기능을 하는 포탈프레임과; 이 포탈프레임의 상부에 지지수단을 통해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테이팅프레임과; 상기 로테이팅프레임을 선회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로테이팅프레임에 장착되어 와이어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된 윈치기구와; 상기 로테이팅프레임에 설치되는 지브와; 이동시킬 물품을 걸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윈치기구에서 연장된 와이어에 연결되어 지브의 하측으로 늘어지게 설치되는 걸이기구가 구비된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포탈프레임과 로테이팅프레임에 결합되어 로테이팅프레임이 위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킹핀과; 원형의 궤적을 갖도록 구성되며 각각 포탈프레임의 상면과 로테이팅프레임의 하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설치되는 하부가이드레일및 상부가이드레일과, 회전축이 킹핀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하부가이드레일과 상부가이드레일의 사이 원형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로울러와, 로울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로울러를 지지하는 케이지유닛이 구비되어, 로테이팅프레임이 안정적으로 선회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지유닛은 길이가 긴 금속판을 원형으로 만곡하여 구성된 내부 로울러케이지와, 이 내부 로울러케이지에 비해 직경이 큰 원형으로 구성되어 내부 로울러케이지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된 외부 로울러케이지와, 이 내, 외부 로울러케이지의 사이에 결합되어 내, 외부 로울러케이지의 간격을 고정하는 리테이너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 외부 로울러케이지는 일단에연결브라켓이 구비된 지지패널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로써, ‘언로더 밀림 방지용 고임목 체결 장치’(공개 특허 공보 공개번호: 10-2003-0053787) 에 따르면 상부에 가이드 쉬이브가 설치되어 있는 레일 클램프와, 상기 가이드 쉬이브를 수용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 홈이 형성되고 지지대에 의해 언로더 주행부의 하부에 고정된 유동케이스로 구성된 클램프부와; 휠과 휠 사이에 위치하며 언로더 주행부의 하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하부에 쉬이브가 장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직사각형 홈이 형성되고 그 측단부에 쉬이브가 장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사각형 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 쉬이브가 장착된 고임목과, 상기 고임목과 지지대 사이에 부착되는 스프링으로 고성된 지지부와; 상기 레일 클램프의 가이드 쉬이브와 상기 고임목의 가이드 쉬이브 사이를 각각의 쉬이브를 통하여 연결된 와이어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 밀림 방지용 고임목 체결장치라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써,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83925) 에 의하면, 하역기에 있어서, 하역기 하측에 장착되는 클램프 하우징 내측에 제1실린더가 고정되어 그 하측에 링크로서 클램프로드가 연결되며, 상기 클램프로드의 하측에 내측으로 향한 경사면을 갖는 죠가 결합되고, 상기 클램프하우징에 고정되는 크램프 고정판에 스프링을 개재하여제1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제1실린더의 하단부 역시 링크의 하측에 스프링이삽입토록 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대향설치되어 클램프하우징의 내측에서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로드에 고정되는 가이드바가 스프링을 개재하여 클램프로드에 이동가능토록 삽입되고, 상기 클램프로드의 하단에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면을 갖는 죠가 결합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라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써 ‘하역장비용 자동 레일 스톱퍼’(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561521)에 의하면,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주행차륜과 레일의 사이에 삽입되어 하역장비를 고정하기 위한 공지의 하역장비용 자동 레일 스톱퍼에 있어서, 상기 하역장비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부에 형성하되 일측에는 나선공이 수평방향으로 천공된 몸체와, 상기 나선공과 나선결합을 하기 위한 나선부가 외주연에 형성되어 나선회전을 통해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간격조절구와, 상기 간격조절구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측에 형성하되 하부에는 일정거리를 갖도록 이탈 방지턱을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하되 전방에는 상기 주행차륜의 외주연과 밀착되도록 만곡형상의 밀착부를 구비한 받침부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장비용 자동 레일 스톱퍼라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써, ‘갠트리 크레인 장치’(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092799)에 의하면 벽면레일수단은, 벽면에 고정되는 벽면레일지지단과; 상기 벽면레일지지단의 일측에 설치되는 벽면레일과; 상기 벽면레일의 일측에 구비되어, 벽면레일을 따라 유동하는 벽면레일바퀴와; 상기 벽면레일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벽면레일이 벽면레일지지단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벽면레일고정수단과; 상기 벽면레일지지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대의 전도(顚倒)를 방지하는 벽면전도방지수단과; 상기 가로지지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벽면레일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벽면바퀴지지단과; 상기 벽면바퀴지지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벽면레일바퀴가 상기 벽면레일을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이탈방지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갠트리 크레인 장치라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써 ‘크레인 고정용 클램프 장치’(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486363)에 의하면, 레일을 따라 움직이면서 화물을 선적 혹은 하역하는 크레인의 하부에 설치되는 클램프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을 가압하여 작업 중에는 크레인의 유동이 없도록 하는 크레인 고정용 클램프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좌우로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되며 하부면에는 패드가 부착되고 상기 패드의 상측 중심부에 수평방향으로 구속되어 회전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롤러가 구비되는 죠와; 상기 클램프하우징의 좌우측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웨지프레임의 내측 중심부에 부착되며 쇄기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롤러와 맞닿게되며 상면 수평부에는 롤러의 진행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부착되는 쇄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고정용 클램프장치라고 기재되어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크레인의 장기간 운행 시 고정 장치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 감소와 고임목의 끼임 등의 잔고장이 잦다는 문제점과 복잡한 시스템으로 인한 잔고장과 하역기의 밀림현상에 의해 롤러와 레일클램프가 접촉하는 접촉면에 변형과 크랙의 발생되어 잦은 부품교체가 불가피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크레인 주행부는 돌풍 및 강풍 등의 기상불량으로 발생되는 주행 밀림현상을 제어가능하게 도와줄 뿐만 아니라 밀림형상에 따른 레일클램프의 조기마모와 이에 따른 수리시간 및 비용들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크레인의 주행성 및 안정성을 향상하며, 급작스런 외력에 의한 크레인 전도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크레인을 주행방향 뿐만 아니라 주행직각방향으로도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안전성 있는 작업과 크레인의 밀림현상 및 전도현상으로 인해 발생 되어질 수 있는 사고의 위험에 따른 인적, 물적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고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증가시키는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은 상기 크레인 포탈레그 프레임(5)의 하부에 위치하는 주행부에 스톰앵커(100),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200),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300)를 설치하여, 크레인의 주행부가 폭풍이나 급작스런 충격에 의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은 돌풍 및 강풍 등의 기상불량으로 발생되는 주행 밀림현상을 제어가능하게 도와줄 뿐만 아니라 밀림형상에 따른 레일클램프의 조기마모와 이에 따른 수리시간 및 비용들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크레인의 주행성 및 안정성을 향상하며, 급작스런 외력에 의한 크레인 전도를 미연에 방지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크레인을 주행방향 뿐만 아니라 주행직각방향으로도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안전성 있는 작업과 크레인의 밀림현상 및 전도현상으로 인해 발생 되어질 수 있는 사고의 위험에 따른 인적, 물적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고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증가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1은 크레인의 측면도
도2는 크레인의 주행부의 정면도
도3은 크레인 스톰앵커의 정면도
도4는 크레인 스톰앵커의 측면도
도5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의 정면도
도6은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의 측면도
도7은 상부링크의 정면도
도8은 이음로드와 풀림 방지용 나사의 정면도
도9은 하부링크의 정면도
도10은 홀더의 정면도
도11은 홀딩피트에 설치된 홀더의 측면도
도12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의 사시도
도13는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확대 정면도
도14은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1의 정면도
도15는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1의 측면도
도16는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1의 전개도
도17는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2의 정면도
도18은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2의 측면도
도19은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2의 전개도
도20은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1의 사시도
도21은 도20의 조립도
도22는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2의 사시도
도23은 도22의 조립도
도24는 지브 크레인(jib crane)의 설치 예
도25는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의 설치 예
도26은 트레벨링 타워 크레인의(traveling tower crane) 설치 예
도27은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고정된 경우의 리미트스위치 상세도
도28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해제된 경우의 리미트스위치 상세도
도29은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고정된 경우의 고정플레이트의 상세도
도30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해제된 경우의 고정플레이트의 상세도
도31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해체된 경우의 정면도
도32은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고정된 경우의 정면도
본발명은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은 상기 크레인 포탈레그 프레임(5)의 하부에 위치하는 주행부에 스톰앵커(100),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200),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300)를 설치하여, 크레인의 주행부가 폭풍이나 급작스런 충격에 의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레인 스톰앵커(100)를 설치하는 방법은 바(bar)형상의 앵커레바(113) 끝단에 락킹로드(114)를 설치하고, 상기 락킹로드(114)의 하부는 체결 피트(pit)(130)에 체결되게 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200)를 설치하는 방법은 주행부 상부에 설치된 힌지프레임(511)의 일단에 힌지로 상부 링크 (201)를 체결시키고, 상기 상부 링크(201)에 이음로드(203)를 연결하고, 상기 이음로드(203)에는 하부링크(205)를 연결하며, 또한 상기 하부링크(205)에는 홀더(206)가 연결되며, 상기 홀더(206)에는 바닥에 형성된 홀딩피트(221)내의 체결판(222)이 힌지연결되게 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300)를 설치하는 방법은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300) 본체(301)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구(303) 하면에 형성된 걸림홈(320)이 지상에 설치된 레일(302)을 감싸듯이 설치하는 방법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크레인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됨으로, 파도에 의한 상하좌우 요동이 심한 해상에서도 부력이 있는 구조체를 배치하고, 상기 구조체 내부에 크레인 작업 대상물을 안치한 후 크레인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크레인은 지브 크레인(jib crane),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 및 트레벨링 타워 크레인(traveling tower cran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크레인의 측면도, 도2는 크레인의 주행부의 정면도, 도3은 크레인 스톰앵커의 정면도, 도4는 크레인 스톰앵커의 측면도, 도5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의 정면도, 도6은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의 측면도, 도7은 상부링크의 정면도, 도8은 이음로드와 풀림 방지용 나사의 정면도, 도9은 하부링크의 정면도, 도10은 홀더의 정면도, 도11은 홀딩피트에 설치된 홀더의 측면도, 도12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의 사시도, 도13는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확대 정면도, 도14은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1의 정면도, 도15는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1의 측면도, 도16는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1의 전개도, 도17는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2의 정면도, 도18은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2의 측면도, 도19은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2의 전개도, 도20은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1의 사시도, 도21은 도20의 조립도, 도22는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2의 사시도, 도23은 도22의 조립도, 도24는 지브 크레인(jib crane)의 설치 예, 도25는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의 설치 예, 도26은 트레벨링 타워 크레인의(traveling tower crane) 설치 예, 도27은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고정된 경우의 리미트스위치 상세도, 도28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해제된 경우의 리미트스위치 상세도, 도29은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고정된 경우의 고정플레이트의 상세도, 도30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해제된 경우의 고정플레이트의 상세도, 도31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해체된 경우의 정면도, 도32은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고정된 경우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크레인 주행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6)는 포탈레그 프레임(5)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주행부는 포탈레그 프레임(5)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스톰앵커(100)와, 상기 스톰앵커(100)의 양측에 설치되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200)와, 상기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200)의 양측에 설치되되, 각 바퀴 사이에 위치하는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300)와, 복수개의 바퀴와, 상기 스톰앵커(100)와, 타이다운장치(200)와, 크레인 전도방지장치(300) 및 바퀴를 연결하는 라지로카(512), 스몰로카(513), 보기(514)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몰로카(513)는 하부에 보기(514)가 설치되어, 상기 보기(514)에 바퀴가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크레인 스톰앵커(100)는 바(bar)형상의 앵커레바(113)와, 상기 앵커레바(113)의 끝단에 설치된 락킹로드(114)와, 바닥의 일부구간에 설치되며 상기 락킹로드(114)의 하부가 위치하며 체결되는 체결 피트(pit)(130)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200)는 주행부 상부에 설치된 힌지프레임(511)에 라지로카핀(223)으로 체결되어 있는 상부 링크 (201)와, 상기 상부 링크(201)에 연결되는 이음로드(203)와, 상기 이음로드(203)와 연결되는 하부링크(205)와, 상기 하부링크(205)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바닥에 형성된 홀딩피트(221)내의 체결판(222)에 힌지연결 되어있는 홀더(206)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300)는 크레인의 주행부(6)와 연결되는 본체(301)와, 상기 본체(301) 하부에 존재하며 걸림홈(320)이 하면에 형성된 연결구(303)와, 상기 연결구(303)의 걸림홈(320)이 기초면(지상)에 설치된 레일(302)을 감싼 듯이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육상 및 해양에서 사용되는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중량물을 들어 올려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를 칭하며 기능 및 형태에 따라 트레벨링(주행식) 타워크레인, 갠트리크레인, 지브 크레인 등으로 분류된다.
트레벨링 타워 크레인의 본체는 레일 위를 주행 하며, 붐은 좌우로 360°회전운동이 가능하다. 붐에는 트롤리가 설치되어있으며, 상기트롤리는 전후운동을 하며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후크의 상하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갠트리 크레인은 서로 마주보는 ‘
Figure 112011103433853-pat00001
’자 형상으로 본체는 레일위를 주행하며, 본체상부에 위치한 트롤리는 횡방향 운동을 한다. 또한 상기 트롤리로부터 후크를 내려서 중량물을 이동시킨다. 대개 300톤 이상의 중량물 처리 능력을 가진 크레인을 골리앗 크레인이라 지칭하며, 주로 대형 조선소에서 선박의 일부분 혹은 대형블록전체를 리프팅 하는데 사용한다.
지브 크레인은 갠트리 크레인과 같이 레일 위에 설치하여 주로 안벽을 따라 이동하면서 중량물을 취급하는 장비이다. 돌출된 붐에는 메인후크(스프레더)와 보조후크가 존재하며 상기 붐에 중량물을 매달아 상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붐은 좌우로는 360°회전이 가능하고 상하 작동각도는 보통 30°~80°이며 다양한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조선소에서 선체지원용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크레인의 종류 중 하나이다.
상기 크레인 상부구조는 작업환경 등 필요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지브 크레인을 예로 든다.
상기 지브 크레인은 크게 중량물을 이동시키도록 유동되는 붐과, 붐의 유동을 조정하는 기계실과, 기계실의 하부에 설치되어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기계실을 지지하는 포탈부와, 크레인 자체의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주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탈부는 기계실의 하부에 설치되는 타워형상의 포탈타워와, 포탈타워의 하부에 설치되는 포탈거더와, 상기 포탈거더의 하부에 설치되는 포탈레그로 구성되며, 상기 포탈레그 하부에는 주행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행부는 포탈레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주행부는 포탈레그 프레임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스톰앵커와, 상기 스톰앵커의 양측에 설치되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와, 상기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의 양측에 설치되되, 각 한 쌍식의 바퀴 사이에 위치하는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와, 복수개의 바퀴와, 상기 구성들을 연결하는 로카 등을 포함한다.
상기 포탈레그 프레임의 중간부에는 스톰앵커기둥이 포탈레그 프레임 하부부터 레일바닥까지 설치되어 있으며, 포탈레그 프레임 하부의 양측에는 힌지프레임이 설치되어있다. 상기 힌지프레임은 사다리꼴의 동일 형상을 한 플레이트가 공간을 두고 전, 후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 라지로카의 상부가 삽입되어 라지로카핀으로 상호를 결합하게 된다.
타이다운은 라지로카핀의 일단의 연장부에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타이다운은 라지로카핀에서 바닥에 형성된 홀딩피트 내의 체결판까지 이어져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지로카의 정면 형상은 삼각형상의 상부와, 사각형상의 하부로 형성되되, 상기 하부의 양측 끝단부는 둥근형상으로 되어있으며, 전체적인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1103433853-pat00002
’형상으로 되어있다.
또한 상기 라지로카는 동일한 형상의 플레이트가 공간을 두고 전, 후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 양측 끝단부의 둥근 형상에는 스몰로카의 상부가 삽입되어 힌지로 상호 결합되되, 상기 스몰로카의 형상은 라지로카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라지로카는 스톰앵커기둥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 되고, 상기 라지로카의 양측 하부에는 스몰로카가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스몰로카의 중간부에는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스몰로카의 양측하부에는 보기가 장착되며, 상기 보기는 한 쌍의 바퀴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보기의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1103433853-pat00003
’형상으로 되어있다.
상기 크레인의 주행부는 4개의 세트로 구성되어있다.
각 세트는 통상적으로 라지로카, 미들로카, 스몰로카, 보기로 구성되되, 상기 라지로카 1개는 미들로카 2개를 구성하며, 상기 미들로카 1개는 스몰로카 2개를 구성하며, 상기 스몰로카 1개는 보기 2개를 구성하며, 상기 보기 1개는 바퀴 2개를 구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한 세트는 라지로카 1개와, 미들로카 2개와, 스몰로카 4개와, 보기 8개와, 바퀴 16개로 구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주행부의 한 세트는 라지로카 1개와, 미들로카 2개와, 스몰로카 4개와, 보기 8개와, 바퀴 16개로 구성되기 때문에, 4개의 세트로 구성된 1대의 크레인에는 라지로카 4개와, 미들로카 8개와, 스몰로카 16개와, 보기 32개와, 바퀴 64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도2에는 미들로카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바퀴의 개수를 조절할 경우 제2의 미들로카 및 제 3의 미들로카를 추가할 수 있으며,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특수한 경우 미들로카 1개에 제2 미들로카 1개와 스몰로카 1개로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톰앵커와,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와,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를 순차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상기 스톰앵커는 크레인 주행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바(bar)형상의 앵커레바와, 상기 앵커레바의 일단에 형성된 웨이트와, 상기 앵커레바의 타단에 설치된 락킹로드와, 바닥의 일부구간에 설치되며 상기 락킹로드의 하부에 위치하며 체결되는 체결 피트(pit)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앵커레바의 중간부는 힌지에 의해 지지대에 힌지고정되며, 또한 고정핀에 의해 고정대에 고정 되거나 분리된다.
힌지를 기준으로 볼 때, 앵커레바의 일측에는 웨이트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락킹로드가 설치된다. 웨이트는 앵커레바의 일측에 형성되어 작은 힘으로 편리하게 스톰앵커의 착탈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앵커레바에는 앵커레바 타단의 수직하방향으로 소정하중을 가지는 락킹로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락킹로드는 지지대의 힌지를 기준으로 볼 때 락킹로드의 무게와 힌지에서부터 락킹로드까지의 길이를 곱한 수치가 웨이트의 무게에 힌지에서부터 웨이트까지의 무게를 곱한 것보다 큰 수치가 되게 설계된다. 안전을 위하여 보통 락킹로드의 자체무게가 웨이트보다 더 큰 하중을 가지게 설계한다.
곧, 상기 스톰앵커의 운동은 앵커레바 중간부의 힌지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웨이트가 부착되고 타측에는 락킹로드가 부착된 시소운동에 빗대어 표현 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의 고정 작업 시, 락킹로드의 하부는 바닥으로 하강하게 되는데, 이 때 락킹로드는 바닥의 일부구간에 설치된 체결피트 내부에 특별한 체결수단 없이 락킹로드의 자체 무게만으로 안정적으로 안착되어진다.
한편, 크레인의 구동 전, 작업자는 앵커레바 일단부측 또는 웨이트 자체를 눌려서 웨이트를 하강시킨 후에 고정핀으로 앵커레바를 고정대에 고정시킴으로써 스톰앵커는 바닥 체결피트에 고정되기 전의 초기상태로 복귀되어 진다.
또한, 락킹로드 상부 일측에 락킹로드의 체결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스톰앵커의 체결유무를 감지하여 제어반(기계실)에 전달함으로써, 락킹로드가 체결된 상태에서는 크레인의 주행부를 구동하는 전기동력원을 차단하여 크레인의 주행을 불가능하게 함으로 크레인 등의 파손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 의하여 전기동력원을 온, 오프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제어 기술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관용 기술이며, 또한 리미트 스위치 자체도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을 사용하면 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스톰앵커는 돌풍 및 강풍 등의 기상불량으로 발생되는 주행 밀림현상을 제어가능하게 도와줄 뿐만 아니라 크레인의 밀림현상으로 인해 발생 되어질 수 있는 사고의 위험에 따른 인적, 물적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고 제품에 대한 신뢰성 증가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는 크레인을 바닥에 형성된 홀딩피트 내의 체결판에 고정 체결시켜 돌풍이나 강풍 및 지진 등에 저항할 수 있게 하는 안전장치이다.
상기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는 긴 바(bar) 형상으로 설치되며, 두 개 이상의 부재가 모여 결합 고정되는 장치이다.
상기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는 주행부 상부에 설치된 라지로카핀의 일단에 힌지고정되어 있는 상부링크와, 상부링크와 하부링크 사이에서 길이를 조절 할 수 있는 이음로드와, 이음로드와 상부 링크 및 하부링크가 체결된 후 이음로드의 풀림을 방지하는 상,하 풀림 방지용 나사와, 하부링크와, 바닥에 형성된 소정깊이의 홀딩피트와, 홀딩피트의 바닥에 고정되어있는 체결판과, 체결판에 힌지고정 되어 하부링크와 연결핀으로 체결되는 홀더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기 크레인의 고정 시, 주행부 상부에 설치된 라지로카핀에 힌지 고정되어 있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는 바닥하부까지 수직으로 이어지며, 상기 주행부 상부의 측면에는 상부 링크과, 상부 풀림 방지용 나사와, 이음로드와, 하부 풀림 방지용 나사와, 하부링크와, 홀더가 서로 체결되어 수직 형상을 이룬다.
상기 상부 링크의 상부는 ‘
Figure 112011103433853-pat00004
’형상으로 상부에 홀(hole)이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상부링크의 상부는 라지로카핀의 측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링크의 하부는 ‘바(bar)’형상으로, 이음로드와 체결 되는 부분의 외경은 나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음로드의 지름은 상부 링크와 하부링크의 지름보다 크고,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경에는 나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부 링크와 하부링크는 이음로드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진다. 곧 이음로드의 상부는 상부링크 하부의 나사면과 체결되고, 이음로드의 하부는 하부링크 상부의 나사면과 체결되며,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 사이에 체결 되는 이음로드와의 나사면 체결길이로 타이다운 장치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체결이 이루어진 이음로드의 상, 하부에는 풀림방지용 나사를 조여 더욱 안정성 있게 이음로드를 고정 시킨다.
상기 풀림방지용 나사는 ‘
Figure 112011103433853-pat00005
’형상으로 내경에는 나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경에는 나사를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부링크 하부와 하부링크 상부의 바(bar) 외경에 상기 풀림방지용 나사 내경의 나사면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이음로드는 더욱 안정성 있게 고정 된다. 곧, 상부링크 바(bar)외경의 나사면과 상부풀림용나사 내경의 나사면이 체결되고, 하부링크 바(bar)외경의 나사면과 하부풀림용나사 내경의 나사면이 체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부링크 하부가 왼나사이면, 상부 풀림방지용나사는 왼나사이고, 이음로드의 상부는 왼나사이고, 이음로드의 하부는 오른나사이고, 하부 풀림방지용나사는 오른나사이며, 또한 하부링크 상부는 오른나사가 된다.
그러므로 상부링크와, 하부링크 사이 간격을 이음로드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발명은 크레인의 고정 작업 시, 크레인 주행부에 설치된 상부 링크와, 상부 풀림 방지용 나사와, 이음로드와, 하부 풀림 방지용 나사와, 하부링크가 서로 체결되어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바닥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깊이를 가지는 홀딩피트(holding pit)가 존재한다. 상기 홀딩피트에는 체결판이 고정되어있고, 상기 체결판에 홀더의 일단이 체결핀에 의해 힌지 고정되고, 홀더의 타단이 체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하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는 두 개의 플레이트가 공간을 두고 전, 후로 이격되고, 상기 공간에 하나의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일부 겹쳐 용접함으로써 완성된 결합체이다. 곧, 상기홀더의 일단에는 체결판이 체결핀으로 힌지 고정되고, 타단에는 하부링크의 하부단부가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고정될 때, 체결판과 홀더는 동일 직선상에 있고, 크레인 타이다운장치가 해제될 때는 서로 직각을 이루는 상태가 된다. 곧 크레인 타이다운장치가 해제될 때는 홀더가 홀딩피트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누운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홀더가 누운 상태에 있을 때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홀딩피트를 평탄한 덮개로 덮는다.
곧, 상기 크레인의 고정 시에는 하부링크와 홀더가 체결되되, 상기 하부링크의 하부와, 홀더의 상부에는 홀(hole)이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홀(hole)들을 겹쳐 연결핀을 삽입함으로써 하부링크와 홀더가 체결된다. 또한, 크레인의 주행 시에는 하부링크와 홀더를 연결하는 연결핀을 뽑음으로써,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를 해제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의 체결유무를 감지하여 제어반(운전실)에 전달함으로써 안전성을 도모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곧, 하부링크와 홀더가 체결된 상태에서는 크레인의 주행부를 구동하는 전기동력원을 차단하여 크레인의 주행을 불가능하게 함으로 크레인 등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링크에는 중앙에 고정구멍이 천공된 고정플레이트가 용접부착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 표면에는 고정엔드플레이트가 부착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상기 타이다운 장치를 해제할 경우, 타이다운 장치가 최상부의 라지로카핀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고정구멍을 통하여 고정핀을 삽입하게 되면 상기 고정핀의 전단부는 타이다운 장치의 상부링크에 형성된 고정구멍에 삽입됨으로써, 타이다운 장치가 해제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하지 않고 그대로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핀의 후단부에는 손잡이가 직각으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켜 고정플레이트와 고정엔드플레이트 사이에 고정시킨다.
한편, 타이다운 장치를 해제상태에서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고정핀을 상부링크와 고정플레이트의 고정구멍들에서 이탈시킴으로써 타이다운 장치의 상부링크가 자유롭게 움직이게 되어 결과적으로 타이다운 장치를 홀딩피트의 체결판에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곧, 상부링크의 상단에는 리미트스위치용 감지레바를 용접하여 부착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용 감지레바는 타이다운이 고정 및 해제에 따라 상부링크의 상단이 정지상태에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되는 상부링크의 상단에 부착된 리미트스위치용 감지레바가 상기 리미트스위치에 힘을 가하여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되어, 상기 리미트스위치에서 감지신호를 제어반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 자체는 일반적으로 제어 기술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관용 수단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는 두 개 이상의 부재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고정 함으로써 로드가 밴딩 되거나 급격한 편마모 현상의 발생을 예방하며, 상기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는 횡방향 동요운동 등에 의한 크레인의 전도를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는 크레인을 주행방향 뿐만 아니라 주행직각방향으로도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안전성 있는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는 크레인의 주행부와 연결되는 본체와, 본체 하부에 존재하며 걸림홈이 하면에 형성된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걸림홈에 결합되는 레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는 각 한쌍식의 바퀴 사이에 위치한다. 즉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를 가운데 두고 좌우로 한 쌍식의 바퀴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는 좌, 우측 연결구가 특정형상을 가지며 서로 맞물려서 하나의 완전한 연결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좌, 우측 연결구의 하단부에는 걸림고리가 형성되어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구의 하단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은 레일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걸림홈은 레일을 감싼 듯이 형성된다. 곧 레일과 걸림홈은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와 본체가 체결홀에 원기둥 형상을 한 연결핀이 삽입됨으로써 고정되어지며, 상기 연결핀의 양쪽상단에 존재하는 플랜지 걸림홈에는 본체를 양쪽에서 고정지지하는 엔드 플레이트가 각각 걸리고, 볼트 및 너트로 최종 고정결합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체결홀과 연결핀 사이에는 부시(BUSH)가 형성되어 연결구와 연결핀의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부시는 크레인의 정상적인 크레인 주행 시에 레일의 측면과 연결구의 걸림고리가 접촉하여 마모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연결핀을 중심으로 연결구가 미끄럼 운동을 하므로 연결구의 폭보다 연결핀의 폭이 더 넓다.
상기 부시(BUSH)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DU BUSH (DUCOL STEEL BUSH)소재를 사용한다. 상기 DU BUSH는 베어링의 일종으로 고하중과 충격하중에 잘 견디고, 탁월한 내마모성을 지녀 수명이 길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는 좁은 공간에서 장치를 결합하기 위해 부품을 여러 개로 나눔으로써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여 유지관리 및 보수의 편리성을 확보하였으며, 상기 크레인 전도방지 장치는 연결핀의 결합방향에 따라 2가지의 다른 형상의 실시례로 적용될 수 있다.
실시례 1인 도 14, 15, 16, 20, 21을 참조하면,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의 결합방식 경우1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결구는 좌, 우측 연결구가 결합하여, 하나의 완전한 연결구를 이룬다. 좌측 연결구는 중앙에 수평구멍이 천공된 직사각형 플레이트 두 개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게 설치되고, 두 개의 플레이트 하면에는 걸림고리가 결합된 것이고, 상기 우측 연결구는 중앙에 수평구멍이 천공된 직사각형 플레이트 한 개만이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 하면에 걸림고리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좌, 우 걸림고리가 결합되어 연결구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의 걸림홈은 홈을 아랫방향으로 하여 본체의 하단부에 결합 되고, 연결구와 본체에 형성된 체결홀에 원기둥 형상을 한 연결핀이 삽입됨으로써 고정되어진다. (도14를 참고하면, 상기 체결홀은 연결구의 전 후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핀의 양쪽상단에 존재하는 플랜지 걸림홈에는 본체를 양쪽에서 고정지지하는 엔드 플레이트가 각각 걸리고, 볼트 및 너트로 최종 고정결합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실시례1의 결합방법은 연결핀이 전도방지장치에 크레인의 주행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크레인의 주행 시 전도방지장치의 횡방향 요동운동(도 14를 기준으로 할때 좌,우측 운동)의 운동 각도 범위 한계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레일에 대한 전도방지 장치가 경직되지 않고 유연성이 뛰어남으로써 크레인의 안정감을 향상시킨다. (도2를 참조했을 때 크레인은 좌, 우측으로 주행하고, 도14를 참조했을 때 크레인은 전, 후방으로 주행한다. )
실시례2는 도 17, 18, 19, 22, 23를 참조하면,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의 결합방식 경우2는 좌, 우측 연결구가 결합하여, 하나의 완전한 연결구를 이룬다. 좌측 연결구는 중앙에 수평구멍이 천공되고, 일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이고, 하부에 좌측 걸림고리가 형성된 것이고, 우측 연결구의 중앙에 수평구멍이 천공되고, 일면에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이고, 하부에 우측 걸림고리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좌, 우측 연결구의 걸림고리는 결합하여 걸림홈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이 홈을 아랫방향으로 하여 본체의 하단부에 안착 하고 연결구와 본체에 형상된 체결홀에 원기둥 형상을 한 연결핀이 연결구에 삽입됨으로써 힌지 고정되어진다. (도17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홀은 연결구의 좌, 우측으로 형성되어있다.) 또한 연결핀의 양쪽상단에 존재하는 플랜지 걸림홈에는 본체를 양쪽에서 고정지지하는 엔드 플레이트가 각각 걸리고, 볼트 및 너트로 엔드플레이트와 연결핀은 최종 고정결합 된다.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를 상기 방법으로 고정결합 시켰을 때는 작업자가 연결핀이 체결되는 방향으로 많은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즉, 결함이 생겼을 때 바퀴를 해체 하지 않고서도 연결부위에 대한 검사 및 수리가 가능함을 뜻한다. (도2를 참조했을 때 크레인은 좌, 우측으로 주행하고, 도 17을 참조했을 때 크레인은 전, 후방으로 주행한다. )
따라서 본 발명의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는 크레인 주행부에 설치되어 주행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급작스런 외력에 의한 크레인 전도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의 주행부에 설치된 장치들은 주행방향 뿐만 아니라 주행직각방향으로도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안전성 있는 작업과 크레인의 밀림현상 및 전도현상으로 인해 발생 되어질 수 있는 사고의 위험에 따른 인적, 물적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고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증가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발명은 주로 지상에서 작업을 하는 크레인을 해상에서도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곧 본발명에서와 같은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에 의하여 지브 크레인(jib crane),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 및 트레벨링 타워 크레인(traveling tower crane) 등을 파도에 의한 상하좌우 요동이 심한 해상에서도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24는 지브 크레인(jib crane)의 설치 예이고, 도25는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의 설치 예이며, 도26은 트레벨링 타워 크레인의(traveling tower crane) 설치 예이다.
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지뿐 아니라 해상에서도 크레인 작업이 가능한 것으로, 해상에 부력이 있는 구조체를 배치하고, 상기 구조체 내부에 크레인 작업 대상물인 선박을 안치한 후 크레인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1: 붐 2: 기계실
3: 포탈타워 4: 포탈거더
5: 포탈레그(포탈레그 프레임) 6: 주행부
100: 크레인 스톰앵커 110: 웨이트
111: 고정핀 113: 앵커레바
114: 락킹로드 122: 고정대
123: 지지대 130: 체결피트
200: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 201: 상부링크
202: 상부 풀림 방지용 나사 203: 이음로드
204: 하부 풀림 방지용 나사 205: 하부링크
206: 홀더 207: 연결핀
208: 체결핀 221: 홀딩피트
222: 체결판 223:라지로카핀
230: 리미트 스위치 231: 리미트 스위치 감지레바
240: 고정플레이트 241: 고정구멍
242: 고정 엔드(end) 플레이트 243: 고정핀
300: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
301: 본체 302: 레일
303: 연결구 304: 결합홈
305: 결합돌기 306: 엔드(END) 플레이트
307: 우측 연결구 308: 좌측 연결구
310: 체결홀 311: 연결핀
312: 플랜지걸림홈 320: 걸림홈
321: 걸림고리
501: 스톰앵커기둥 511: 힌지프레임
512: 라지로카(large locker) 513: 스몰로카(small locker)
514: 보기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은 상기 크레인의 포탈레그 프레임(5)의 하부에 위치하는 주행부에 스톰앵커(100),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200),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300)를 설치하여, 크레인의 주행부가 폭풍이나 급작스런 충격에 의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되,
    상기 크레인 스톰앵커(100)를 설치하는 방법은 바(bar)형상의 앵커레바(113) 끝단에 락킹로드(114)를 설치하고, 상기 락킹로드(114)의 하부는 체결 피트(pit)(130)에 체결되게 하는 방법이며,
    또한, 상기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200)를 설치하는 방법은 주행부 상부에 설치된 힌지프레임(511)의 일단에 힌지로 상부 링크 (201)를 체결하고, 상기 상부 링크(201)에 이음로드(203)를 연결하고, 상기 이음로드(203)에는 하부링크(205)를 연결하며, 또한 상기 하부링크(205)에는 홀더(206)가 연결되며, 상기 홀더(206)에는 바닥에 형성된 홀딩피트(221)내의 체결판(222)이 힌지연결되게 하는 방법이며,
    상기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300)를 설치하는 방법은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300) 본체(301)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구(303) 하면에 형성된 걸림홈(320)이 지상에 설치된 레일(302)을 감싸듯이 설치하는 방법임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의 포탈레그 프레임(5)의 하부에 위치하는 주행부에 스톰앵커(100),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200),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300)를 설치하여, 크레인의 주행부가 폭풍이나 급작스런 충격에 의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됨으로써, 파도에 의한 상하좌우 요동이 심한 해상에서 부력이 있는 구조체를 배치하고, 상기 구조체 내부에 크레인 작업대상물을 안치한 후 크레인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지브 크레인(jib crane),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 및 트레벨링 타워 크레인(traveling tower cran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
KR1020110142456A 2011-12-26 2011-12-26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 KR101173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456A KR101173130B1 (ko) 2011-12-26 2011-12-26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456A KR101173130B1 (ko) 2011-12-26 2011-12-26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3130B1 true KR101173130B1 (ko) 2012-08-14

Family

ID=4688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456A KR101173130B1 (ko) 2011-12-26 2011-12-26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1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10196A (zh) * 2015-09-11 2015-12-02 天津起重设备有限公司 一种桥式起重机抗震护钩装置
KR20180077943A (ko) 2016-12-29 2018-07-0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갠트리 크레인의 비상 정지 장치
KR102543210B1 (ko) * 2022-04-14 2023-06-14 안아영 데릭 크레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665A (ja) * 2000-08-30 2002-03-08 Mitsubishi Heavy Ind Ltd 免震型逸走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665A (ja) * 2000-08-30 2002-03-08 Mitsubishi Heavy Ind Ltd 免震型逸走防止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10196A (zh) * 2015-09-11 2015-12-02 天津起重设备有限公司 一种桥式起重机抗震护钩装置
KR20180077943A (ko) 2016-12-29 2018-07-0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갠트리 크레인의 비상 정지 장치
KR102543210B1 (ko) * 2022-04-14 2023-06-14 안아영 데릭 크레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5693B2 (en) Device for establishing admittance and transport of cargo to and from a wind turbine construction above ground level
CN201024053Y (zh) 桁架结构模块式超大型桅杆式起重机
US20110154642A1 (en) Crane hook block
US4257491A (en) Scaffold apparatus
US4597497A (en) Hoist with redundant safety features
US20130068713A1 (en) Lifting frame device
KR101173130B1 (ko) 크레인 사고 방지방법
KR102626438B1 (ko) 옥외 크레인용 태풍대비 자동화 안전 유압식 고박시스템
CN103410540A (zh) 煤矿综采工作面液压支架装车机
WO2016058266A1 (zh) 一种可防暴风并可利用机构设计倾倒转移的港口移动吊机
KR101184598B1 (ko) 크레인 스톰앵커
EP1084984A1 (de) Hafenkran, insbesondere Hafenmobilkran für Normal- und Schwerlastbetrieb
KR101173143B1 (ko) 크레인 주행부 구조
RU2307783C1 (ru) Башенный кран
CN203845679U (zh) 一种防脱吊钩
JPH09278374A (ja) ウエイト台車付クレーンの傾斜角補正装置
KR101173149B1 (ko)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
US3502228A (en) Safety device for crane boom
KR101184600B1 (ko)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
CN210214578U (zh) 一种安装于起重机端梁上的安全钩及起重机
US10793399B2 (en) Girder beam installation and removal system and method
CN111547625A (zh) 一种轨道吊运输转向台车
RU2305639C1 (ru) Манипулятор
CN217200971U (zh) 一种升降装船机
CN211621222U (zh) 一种适用于桥梁检测和维修的轻型挂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