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556Y1 - Grill - Google Patents

Gri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556Y1
KR200489556Y1 KR2020190001681U KR20190001681U KR200489556Y1 KR 200489556 Y1 KR200489556 Y1 KR 200489556Y1 KR 2020190001681 U KR2020190001681 U KR 2020190001681U KR 20190001681 U KR20190001681 U KR 20190001681U KR 200489556 Y1 KR200489556 Y1 KR 2004895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unit
plate
additional
alarm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68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광제
Original Assignee
우광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광제 filed Critical 우광제
Priority to KR20201900016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55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5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55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88Broilers with vertically disposed heat sources and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Abstract

본 고안은 그릴에 관한 것으로, 육류, 어류, 채소류 등 다양한 종류의 구이물을 간접열 전달방식으로 구워 구이물이 불에 그을리거나 타지 않고 전체가 고루게 구워지도록 할 수 있고, 구이물을 익히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기름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온기능을 제공하여 구이물이 식는 시간을 최대한 늦출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그릴은, 수납실 및 상기 수납실과 연결되는 구이실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실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석쇠가 안착되는 테이블, 상기 석쇠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거나 가릴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림부, 상기 구이실에 배치되어 상기 구이물에 간접열을 제공하는 가열부, 상기 수납실에 배치되어 상기 구이물에서 낙하되는 기름을 수집하는 수집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ll, in which various types of grilled foods such as meat, fish, vegetables, etc. are baked by an indirect heat transfer method, so that the grilled water can be roasted without burning or burn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il from splashing to the user and to provide a warming function so as to delay the cooling time of the grilled water to the utmost.
The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ll includes a table on which a grill is seated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room and a storage room and a grill room connected to the storage room are formed, And a collecting unit disposed in the compartment and collecting oil falling from the compartment. The collecting unit collects the oil falling from the compartment.

Description

그릴{GRILL}Grill {GRILL}

본 고안은 그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류, 어류, 채소류 등 다양한 종류의 구이물을 간접열 전달방식으로 구워 구이물이 불에 그을리거나 타지 않고 전체가 고루게 구워지도록 할 수 있는 그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ill which can burn various types of grilled meat such as meat, fish, vegetables, etc. in an indirect heat transfer manner so that the grilled water can be roasted without burning or burning .

종래의 그릴은 육류, 어류 등의 구이물을 구울 때 사람이 직접 숯불, 연탄불, 부르스타 등의 화염 위에 구이물을 올려놓고 하나씩 구워 섭취한다.Conventional grills, when grilling meat, fish and other roasted water, grill the grilled water directly on the flames of charcoal, briquette, or bustard and bake them one by one.

따라서,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양의 구이물을 구울 수 없을 뿐 아니라, 구이물의 모든 부분이 골고루 구워지도록 하면서도 불에 그을려 타지 않도록 수작업으로 일일이 구이물을 뒤집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not only can not a large amount of roasted water be burned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all parts of the roasted water must be roasted evenly, and the roasted water must be turned over manually to avoid burning the roast have.

그리고, 불에 그을린 구이물에는 발암물질이 발생되어 섭취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urned roasted water generates cancer-causing substances and harms the health of the consumers.

등록특허공보 제10-1594705호(2016.02.05.)Patent Registration No. 10-1594705 (Feb.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육류, 어류, 채소류 등 다양한 종류의 구이물을 간접열 전달방식으로 구워 구이물이 불에 그을리거나 타지 않고 전체가 고루게 구워지도록 할 수 있고, 구이물을 익히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기름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온기능을 제공하여 구이물이 식는 시간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그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has been proposed to burn various kinds of roasted foods such as meat, fish, vegetables, etc. in an indirect heat transfer manner to roast the roasted water without burn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ill which can prevent the user from splashing oil in the process of grilling the grilled water, and can provide a warming function to delay the cooling time of the grilled water to the utmost.

본 고안에 따른 그릴은, 수납실 및 상기 수납실과 연결되는 구이실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실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석쇠가 안착되는 테이블, 상기 석쇠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거나 가릴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림부, 상기 구이실에 배치되어 상기 구이물에 간접열을 제공하는 가열부, 상기 수납실에 배치되어 상기 구이물에서 낙하되는 기름을 수집하는 수집부를 포함한다.The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ll includes a table on which a grill is seated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room and a storage room and a grill room connected to the storage room are formed, And a collecting unit disposed in the compartment and collecting oil falling from the compartment. The collecting unit collects the oil falling from the compartment.

그리고, 상기 가림부는,Further,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힌지결합되는 메인수직부재, 상기 메인수직부재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석쇠의 상부에 위치되는 메인수평부재를 포함하는 메인가림부재, 상기 메인수평부재의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석쇠의 상부에 위치되는 서브수평부재, 상기 서브수평부재의 끝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석쇠의 상면에 안착 또는 이격되는 서브수직부재를 포함하는 서브가림부재를 포함한다.A main vertical member hing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table, a main horizontal member extending horizont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main vertical member and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grill, A sub-horizontal member positioned above the grill, and a sub-vertical member extending vertically from an end of the sub-horizontal member and being mounted on or spac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또한, 상기 구이실의 상부에 배치되어 테이블의 상부로 노출되며, 상기 가열부에 의해 발열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한다.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upport unit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asting chamber and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able, and heated by the heating unit.

그리고, 상기 수납실에 배치되며, 상기 가열부에서 방출되는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부,A sensing unit disposed in the storage chamber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상기 감지부가 상기 가열부의 온도를 기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감지 시 작동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고,And an alarm unit operable when the sensing unit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at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상기 경보부는,The alarm unit,

내부가 비어 있어 공명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함체부, 상기 함체부의 내부와 연결되는 내부통로를 갖는 연결로드, 상기 연결로드의 내부통로와 연결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탄발지지부, 상기 탄발지지부의 상부에 적층되는 다수개의 경보음발생부, 상기 연결로드의 내부통로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경보음발생부를 함체부의 내부공간으로 발사시키는 발사부, 상기 함체부의 내부에 기립되게 배치되고, 상기 경보음발생부가 충돌 시 소음을 발생시키는 충돌판을 포함한다.A receiving portion having a receiving space connected to an inner passage of the connecting rod, a receiving portion having a receiving portion connected to the inner passage of the connecting rod, A plurality of alarm sound generating units stacked on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support member, a launching unit for injecting compressed air into the inner passage of the connecting rod to fire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unit, And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generates noise at the time of the collision.

또한, 상기 함체부의 내부로 발사된 경보음발생부를 튕겨서 함체부의 내면 또는 충돌판에 다시 충돌시키는 튕김부를 더 포함하고,Furthe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jumping portion for jumping the alarm sound generating portion fired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portion to collid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or the impact plate again,

상기 튕김부는,The hopper includes:

상기 함체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충돌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승강판, 상기 함체부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기 승강판을 탄발지지하는 코일스프링, 상기 승강판의 상면을 반복적으로 타격하여 승강판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타격부를 포함한다.A coil spring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part and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mpeller; a coil spring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art and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impeller; a coil spring elastically supporting the lifting plate; And a hitting portion for generating vibration.

그리고, And,

상기 함체부의 내부와 연결되는 내부통로를 갖는 부가 연결로드, 상기 부가 연결로드의 내부통로와 연결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부가 수용부, 상기 부가 수용부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부가 탄발지지부, 상기 부가 탄발지지부의 상부에 적층되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부가 경보음발생부, 상기 함체부의 내부에 기립되게 배치되고, 부가 연결로드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부가 경보음발생부를 터트리는 다수개의 바늘이 형성된 부가 충돌판, 상기 부가 연결로드의 내부통로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부가 경보음발생부를 함체부의 내부공간으로 발사시키는 부가 발사부를 포함하는 부가 경보부를 더 포함한다.An additional connecting rod having an inner passag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portion, an additional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connected to an inner passage of the additional connecting rod, an additional elastical support portion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additional accommoda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needles provided on the surface facing the additional connecting rod to form the additional alarm sound generating unit, wherein the additional alarm sound generating unit includes: And an additional alarm unit for injecting compressed air into the internal passage of the additional connecting rod to fire the additional alarm sound generating unit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ing.

본 고안에 따른 그릴은, 육류, 어류, 채소류 등 다양한 종류의 구이물을 간접열 전달방식으로 구워 구이물이 불에 그을리거나 타지 않고 전체가 고루게 구워지도록 할 수 있고, 구이물을 익히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기름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온기능을 제공하여 구이물이 식는 시간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urn various kinds of roasted foods such as meat, fish, vegetables, etc. in an indirect heat transfer manner, so that the roasted water can be roasted without burning or burning, and in the process of grilling roasted wa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oil from splashing to the user, and it is possible to delay the cooling time of the roast to the utmost by providing a warming function.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릴을 도시한 사시도.
도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릴에 적용된 가림부의 작동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릴의 내부 상태를 도시한 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릴에 적용된 구성들 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블럭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릴에 적용된 경보부, 튕김부, 부가 경보부를 도시한 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릴에 적용된 경보부, 튕김부의 작동을 도시한 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릴에 적용된 부가 경보부의 작동을 도시한 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nd FIG. 3 are enlarge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closure applied to the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state of the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nfigurations applied to the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alarm part, a jumping part, and an alarm part applied to the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larm part and the jumping part applied to the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dditional alarm section applied to the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o the person having the invention, and this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그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gri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릴에 적용된 가림부의 작동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릴의 내부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릴에 적용된 구성들 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enlarg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a closure applied to the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nd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nfigurations applied to the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그릴은 육류, 어류, 채소류 등 다양한 종류의 구이물을 간접열 전달방식으로 구워 구이물이 불에 그을리거나 타지 않고 전체가 고루게 구워지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이물을 익히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기름이 튀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보온기능을 제공하여 구워진 구이물이 식는 시간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제품이다.The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rills various types of roasted meat such as meat, fish, vegetables, etc. in an indirect heat transfer manner, so that the roasted water can be roasted without burning or burning, Can minimize oil splashing to user and it can keep the cooling time of the roasted water as much as possible by providing the warming function.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그릴(1)은 테이블(10), 가림부(20), 가열부(60), 수집부(80)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gril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able 10, a covering portion 20, a heating portion 60, and a collecting portion 80.

테이블(10)은 다각형 판 또는 곡선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판부(11), 상판부(11)의 저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판부(11)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다리부(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able 10 includes an upper plate 11 formed in the form of a polygonal plate or a curved plate and a leg 12 formed at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eparate the upper plate 11 from the ground .

따라서, 사용자가 의자에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테이블(10)에 구이물을 올려 놓고 구워먹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sit on the table 10 comfortably and put the roasted water on the table 10 to bake it.

상판부(11)에는 일정 면적을 갖는 관통홀(11a)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판부(11)의 하측에는 가열부(60), 수집부(80)가 수납되는 수납부(13)가 배치된다.A through hole 11a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s formed in the upper plate 1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receiving portion 13 in which the heating portion 60 and the collecting portion 80 are accommodated is disposed below the upper plate 11 .

이때, 수납부(13)는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ccommodating portion 13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an empty space formed therein.

그리고, 수납부(13)의 상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상판부(11)의 상면에 고정되는 플랜지(P)가 형성된다.A flange P, which is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1,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13.

수납부(13)의 내부에는 가열부(60)와 수집부(80)가 각각 배치되는 수납실(13a) 및 구이실(13b)이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A storage chamber 13a and a roasting chamber 13b in which the heating section 60 and the collecting section 80 are respectively disposed are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storage section 13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이때, 수납부(13)의 내부 중앙이 구이실(13b)로 사용되고, 수납부(13)의 양측이 각각 수납실(13a)로 사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ner center of the storage part 13 is used as the roasting chamber 13b, and both sides of the storage part 13 can be used as the storage room 13a.

가림부(20)는 석쇠(110)에 안착된 구이물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거나 가리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vering portion 20 selectively exposes or obscures the grill seated on the grill 110.

가림부(20)는 수납실(13a)과 동일한 개수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가림부(20)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총 2개가 적용된다.The shielding portion 20 can be applied in the same number as the storage chamber 13a. Therefore, two covering portions 20 are applied as illustrated in Fig.

이러한 가림부(20)는 메인가림부재(21), 서브가림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This blocking portion 20 may include a main shielding member 21, a sub-shielding member 22, and the like.

메인가림부재(21)는 상판부(11)의 상면 또는 수납부(13)의 플랜지(P) 상면에 힌지(H1)를 통해 결합되는 메인수직부재(211), 메인수직부재(211)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석쇠(110)의 상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는 메인수평부재(212)를 포함한다.The main shielding member 21 includes a main vertical member 211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1 or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3 through a hinge H1, And a main horizontal member 21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separat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grill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따라서, 메인가림부재(21)는 대략 "ㄱ"자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힌지(H1)를 기준으로 메인수직부재(211)와 메인수평부재(212)가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main shielding member 21 can be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a"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main vertical member 211 and the main horizontal member 212 can be simultaneously moved upward an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inge H1 Can be pivoted.

서브가림부재(22)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메인수평부재(212)의 양측에 배치된다.The sub-screening members 22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ain horizontal member 212 in a pair.

구체적으로, 서브가림부재(22)는 메인수평부재(21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힌지(H2)를 통해 결합되며, 메인수평부재(212)와 수평을 이뤄 석쇠(110)의 상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는 서브수평부재(221), 서브수평부재(221)의 끝단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수직부재(222)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sub-screening member 22 is coupl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horizontal member 212 via a hinge H2, and is horizontally aligned with the main horizontal member 212, A sub horizontal member 221 spaced apart, and a sub vertical member 22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sub horizontal member 221.

따라서, 서브가림부재(22)는 대략 "ㄱ"자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가림부재(21)의 양측에서 힌지(H2)를 기준으로 서브수평부재(221)와 서브수직부재(222)가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Therefore, the sub-screening member 22 can be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a"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sub-horizontal member 221 and the sub- 222 can be simultaneously rotat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가열부(60)는 석쇠(110)의 상면에 안착된 구이물을 익히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이실(13b)에 배치되고, 석쇠(110)와 이격된 상태에서 간접열로 구이물을 익힌다.The heating unit 60 is configured to grill the grill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110 and is disposed in the grill chamber 13b as described above and is grilled with indirect heat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grill 110 .

가열부(60)는 숯, 연탄, 장작과 같은 고체 연료, 램프히터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heating unit 60 may be formed of a solid fuel such as charcoal, briquettes, firewood, a lamp heater, or the like.

먼저, 가열부(60)를 고체 연료로 형성하는 경우, 구이실(13b)에 배치되고 고체 연료가 수납되는 수납통(61) 및 수납통(61)의 외면 또는 구이실(13b)에 설치되어 고체연료에 불꽃을 가해 연소시킬 수 있는 가스토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First, when the heating unit 60 is formed of solid fuel, it is install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cylinder 61 and the outer chamber of the receiving cylinder 61 or the roasting chamber 13b disposed in the roasting chamber 13b to receive the solid fuel And a gas torch (not shown) capable of igniting and burning the solid fuel.

이때, 가스토치는 소형부탄가스나 대형부탄가스와 연결되어 고체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gas torch may be connected to a small butane gas or a large butane gas to burn the solid fuel.

즉, 수납통(61) 내에 충진된 고체 연료를 가스토치로 연소시킨 다음, 구이실(13b)에 수납통(61)을 배치한 후, 석쇠(110)의 상부에 구이물을 올려 놓으면, 가열부(60)의 열기를 통해 구이물을 용이하게 가열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olid fuel filled in the receiving cylinder 61 is burned with the gas torch, and then the receiving cylinder 61 is disposed in the bull chamber 13b and then the roasted water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grill 110, It is possible to easily heat the roasted water through the heat of the heat exchanger (60).

이때, 수납통(61)의 측벽에는 고체 연료가 연소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연기를 배출하고, 수납통(61) 내에 공기가 원활하게 통하도록 하여 연소효율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다수개의 통기홀(61a)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side wall of the receiving cylinder 61, a plurality of air holes 61a (61a) for discharging the smoke generated by burning the solid fuel and for improving the combustion efficiency by allowing the air to flow smoothly through the receiving cylinder 61 May be formed.

그리고, 가열부(60)가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 수납부(13)의 측벽에는 가열부(60)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배출시키는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heating unit 60 uses solid fuel, a drain hole for discharging the smoke generated in the heating unit 60 may be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storage unit 13.

이와 같은 형태로 가열부(60)를 배치하면 구이물을 간접 열 전달방식으로 익힐 수 있어, 구이물이 불에 그을리거나 타지 않고 전체가 골고루 익혀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인체에 유해한 발암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구이물의 육질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When the heating unit 60 is arranged in this manner, the roasted water can be cooked by the indirect heat transfer method, so that the roasted water can be burned uniformly without burning or burning, and harmful carcinogenic substances are generated Can be prevented, and the meat quality of the grilled water can be softened.

한편, 램프 히터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가열되어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다량의 복사열을 방출하는 것으로, 할로겐램프, 카본 램프, 세라믹히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lamp heater radiates a large amount of radiant heat when heated by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reaches a certain temperature, and a halogen lamp, a carbon lamp, a ceramic heater, or the like can be used.

부가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그릴(1)은 가열부(60)의 간접열을 이용하여 부가적인 대상물을 굽거나 보온하기 위한 받침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l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90 for bending or inserting additional objects by using the indirect heat of the heating portion 60.

받침부(90)는 구이실(13b)의 상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받침부(90)는 대략 "ㄷ"자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양측 저면이 수용부의 플랜지(P)에 용접결합되거나 또는 테이블(10)의 상판부(11)에 볼팅결합 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9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asting chamber 13b. Specifically, the receiving portion 90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C" cross-sectional shape so that both side bottom surfaces can be welded to the flange P of the receiving portion or bolted to the top plate portion 11 of the table 10.

받침부(90)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열부(60)의 상부에 주전자, 컵 등을 올려 가열부(60)에서 발산되는 열기로 물, 음료 등을 데우거나 보온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9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n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Therefore, a kettle, a cup, or the like may b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heating part 60 to heat or warm the water, beverage, etc. with the heat emitted from the heating part 60.

물론, 받침부(90)의 상부에 냄비를 올려 국을 끓이거나 프라이팬을 올려 대하와 같은 별도의 구이물을 익히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raise a pot at the top of the pedestal 90 to boil the soup or to raise a frying pan to grind a separate grilled water such as a sack.

수집부(80)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고 수납실(13a)에 각각 수납되어 상판의 하부에 위치된다.The collecting portions 80 are composed of two pairs and are housed in the storage chambers 13a, respectively, and are positioned below the upper plate.

수집부(80)는 석쇠(110)와 마주하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collecting unit 80 is formed in a box shape having an upper surface facing the grill 110 and an empty space formed therein.

따라서, 구이물이 가열부(60)의 간접열로 인해 익혀질 때 발생되는 기름은 석쇠(110)의 통공을 통해 낙하되어 수집부(80)의 내부에 수집된다.Accordingly, the oil generated when the roasted water is cooked by the indirect heat of the heating unit 60 fall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grill 110 and is collected inside the collecting unit 80.

이때, 수집부(80)의 내부에는 기름이 열에 의해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이 채워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collecting unit 80 may be filled with water to prevent oil from burning due to heat.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그릴의 작동 및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nique effects appearing in the process will be described.

육류와 같은 구이물을 굽고자 할 경우에는 가림부(20) 전체를 상 방향으로 회동시켜 석쇠(110)를 노출시킨 다음, 석쇠(110)의 상면에 적정량의 구이물을 올린 후, 다시 메인가림부재(21)를 하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가림부(20)에 의해 구이물을 가린다.When grilling water such as meat is to be baked, the whole of the covering portion 20 is turned upward to expose the grill 110, and then an appropriate amount of grilled water is pu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110, By rotating the member 21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shielding portion 20 shields the grilled water.

이때, 메인가림부재(21)를 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서브수직부재(222)의 하단이 석쇠(110)의 상면에 접촉된다. 아울러 메인수평부재(212)의 끝단 저면이 받침부(90)의 끝단 상면에 안착되거나 또는 메인스평부재의 끝단이 받침부(90)에 접촉된다. 따라서, 가림부(20)의 받침부(90)의 조합으로 구이물을 완벽하게 가릴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main closure member 21 is rotated downward, the lower end of the sub vertical member 22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110. The bottom end of the main horizontal member 212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90 or the end of the main spur memb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ceiving portion 90. Therefore, the combination of the catching portions 90 of the covering portion 20 can perfectly cover the roasted water.

이와 같은 경우, 구이물은 가림부(20)의 내부에서 가열부(60)의 간접열에 의해 구워지게 되며, 구이물이 구워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이나 고체 연료의 불꽃이 사용자에게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실외에는 먼지나 벌레 등이 구이물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oasted product is baked by the indirect heat of the heating unit 60 in the inside of the covering unit 20, and the oil or the spark of the solid fuel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aking the roasted product is prevented from splashing to the user .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dust or insects from contacting the roasted water.

계속해서, 구이물의 익힘 정도를 확인하고 싶을 경우 서브가림부재(22)를 상 방향으로 회동시켜 형성된 공간을 통해 집게를 넣어, 구이물의 밑면 상태를 확인하면 될 것이다.Subsequently, when it is desired to check the degree of grinding of the roasted product, the stat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oasted product may be confirmed by inserting the forceps through the space formed by rotating the subclosure member 22 upward.

구이물의 밑면이 적당한 상태로 익었을 경우에는 메인가림부재(21) 또는 서브가림부재(22)를 상 방향으로 회동시켜 석쇠(110) 위에 올려놓았던 구이물을 반대로 뒤집은 다음, 다시 메인가림부재(21) 또는 서브가림부재(22)를 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구이물을 가리면 된다.When the bottom of the grilled product is properly cooked, the main shielding member 21 or the sub-shielding member 22 is rotated upward to reverse the grilled water placed on the grill 110, and then the main shielding member 21 Or the sub-screening member 22 is rot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so as to cover the grilled water.

물론, 구이물을 구우면서 먹기 좋은 크기로 자르고자 할 경우에도 메인가림부재(21) 또는 서브가림부재(22)를 상 방향으로 회동시켜 구이물을 자르면 된다.Of course, even in the case of cutting the grilled water to a size that can be eaten while bending the grilled water, the main shielding member 21 or the sub-shielding member 22 may be rotated upward to cut the grilled water.

그리고, 서브가림부재(22)를 상 방향으로 회동시켜 먼저 익은 구이물부터 꺼내 접시에 담아 먹으면 된다.Then, the sub-screening member 22 is rotated upward to take out the ripe juice first, and then put it on a plate and eat it.

이때, 접시를 금속재질로 사용하면, 접시를 받침부(90)의 상면에 올려 구이물이 금방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구이물이 덜 익혀진 경우, 마저 익히는 것이 가능하다.At this time, if the dish is made of a metal material, it is possible to raise the dis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90 to prevent the grilled water from immediately cooling down, and to grind even if the grilled water is less cooked.

물론, 메인가림부재(21)를 상 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석쇠(110) 위에서 구이물을 완벽히 익혀 바로 먹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completely grill the grill on the grill 110 after the main closure member 21 is rotated in the upward direction.

나아가, 가열부(60)가 전소되거나 전소전 상태에서는 구워진 구이물을 석쇠(110) 위에 다시 올린 후, 가림부(20)를 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구이실(13b)과 수납실(13a)에 잔존하는 가열부(60)의 열기로 구이물을 보온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after the heating unit 60 is burned or in the pre-burning state, the grilled water is raised on the grill 110, and then the covering unit 20 is rot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grill chamber 13b and the storage chamber 13a It is also possible to heat the roasted water with the heat of the remaining heating unit 60. [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그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Fig.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릴에 적용된 경보부, 튕김부, 부가 경보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릴에 적용된 경보부, 튕김부의 작동을 도시한 도이며,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릴에 적용된 부가 경보부의 작동을 도시한 도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n alarm part, a jumping part, and an alarm part applied to the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larm part and the jumping part applied to the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dditional alarm unit applied to the gri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구성들 및 가열부(60)의 전소 여부를 감지 및 알리기 위한 감지부(100), 케이스(C)의 내부에 수용되는 경보부(30), 튕김부(40), 부가 경보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nsing unit 100 for sensing and inform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and whether the heating unit 60 is turned on or off, the alarm unit 30 received in the case C, the jumping unit 40, (50).

감지부(100)는 제1온도감지센서(101), 제2온도감지센서(102), 제1,2온도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103)로 구성된다.The sensing unit 100 includes a first temperature sensor 101, a second temperature sensor 102, and a controller 103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sensors.

제1온도감지센서(101)는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함체(미도시)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수납실(13a)에 배치되어 가열부(60)에서 방출되는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어부(103)에 전송한다.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01 is disposed in the housing chamber 13a in a state of being housed in a housing (not shown)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60 in real time, (103).

이때, 함체의 재질은 상용화된 재질로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terial of the housing can be applied as a commercialized material.

그리고, 함체에는 제어부(103), 제1온도감지센서(101), 제2온도감지센서(102), 경보부(30), 튕김부(40), 부가 경보부(50)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온(ON)/오프(OFF)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The enclosure is supplied with power to or from the control unit 103,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01,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02, the alarm unit 30, the jumping unit 40 and the additional alarm unit 50 ON " / OFF " button for " ON "

제2온도감지센서(102)는 상판부(11) 또는 경보부를 구성하는 함체부(31)에 설치되어 수납실(13a) 외부의 온도나 실외 기온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어부(103)에 전송한다.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sensor 102 is installed in the upper plate 11 or the housing unit 31 constituting the alarm unit and detects the temperature or the outdoor temperature outside the storage room 13a in real tim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03.

따라서, 식사를 마치고 실내로 들어가거나 다른 장소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온 버튼을 눌러 제어부(103), 제1온도감지센서(101), 제2온도감지센서(102), 경보부(30), 튕김부(40), 부가 경보부(50)를 작동시킨다.Accordingly, when the user intends to enter the room or move to another place after finishing the meal, the user presses the ON button so that the controller 103,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01,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02, the alarm unit 30, (40) and the additional alarm unit (50).

이로 인해, 제어부(103)는 제1온도감지센서(101)와 제2온도감지센서(102)에서 전송된 온도를 비교하는데, 예를 들어 제2온도감지센서(102)에서 전송 받은 온도보다 제1온도감지센서(101)에서 전송 받은 온도가 높고, 이와 같은 상황이 20분 내지 50분간 유지될 경우, 가열부(60)가 완전히 전소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경보부를 작동시킨다.The control unit 103 compares the temperature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01 with the temperatur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02.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received from the 1 temperature sensor 101 is high and the situation is maintained for 20 minutes to 50 minutes, the heating unit 60 is regarded as not being completely burned and operates the alarm unit.

경보부(30)는 사용자에게 가열부(60)가 전소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려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함체부(31), 연결로드(32), 수용부(33), 탄발지지부(34), 경보음발생부(35), 발사부(36), 충돌판(37)을 포함할 수 있다.The alarm unit 30 informs the user of the fact that the heating unit 60 has not been turned on to prevent a fire from occurring. The alarm unit 30 includes a hermetic unit 31, a connecting rod 32, a receiving unit 33, A supporting portion 34, an alarm sound generating portion 35, a launching portion 36, and an impingement plate 37.

이때, 경보부(30)는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테이블(10), 그릴(1)의 주변, 사용자가 머무는 실내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테이블(10)에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다.The alarm unit 30 generates audible alarm sounds to the user and may be installed at various places such as the table 10, the periphery of the grill 1, the room where the user stays, etc. In the drawing, As shown in Fig.

함체부(31)는 내부가 빈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명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hollow portion 31 may be formed in an empty box shape to generate a resonance sound.

함체부(31)는 연결로드(32)와 부가 연결로드(51)가 연결될 수 있도록 양측면에 연결홀이 형성된다.The hermetically-sealed parts 31 are formed with connection holes on both sides so that the connecting rod 32 and the additional connecting rod 51 can be connected.

함체부(31)는 내부에 충돌판(37), 튕김부(4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hermetically-sealed portion 31 is opened so that the impingement plate 37 and the repulsive portion 40 can be installed therein.

그리고, 함체부(31)의 개방된 부분에는 충돌판(37), 튕김부(40)를 가리는 덮개(311)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A lid 311 for covering the collision plate 37 and the repulsive portion 4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open portion of the hermetically sealed portion 31. [

연결로드(32)는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기 및 경보음발생부(35)가 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된다.The connection rod 32 is opened at both sides, and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and the alarm sound generating part 35 is moved is formed therein.

연결로드(32)는 함체부(31)의 우측면에 형성된 연결홀에 관통설치된다.The connection rod 32 is installed through a connection hole formed on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31.

따라서, 함체부(31)의 내부와 연결로드(32)의 내부통로는 연결된다.Therefore, the inside of the housing portion 31 and the internal passage of the connecting rod 32 are connected.

수용부(33)는 연결로드(32)의 하부에 연결된다.The receiving portion 33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32.

구체적으로, 수용부(33)는 내부에 경보음발생부(35)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은 연결로드(32)의 내부통로와 연결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Specifically, the receiving portion 33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alarm sound generating portion 35 is accommodated, and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opened to be connected to the internal passage of the connecting rod 32.

이러한 수용부(33)는 새로운 경보음발생부(35)를 장전 가능하도록 연결로드(3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33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rod 32 so that the new alarm sound generating portion 35 can be loaded.

탄발지지부(34)는 경보음발생부(35)를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수용부(33)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341), 코일스프링(341)의 상면에 고정되며 경보음발생부(35)가 안착되는 안착판(342)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support 34 elastically supports the alarm sound generator 35 and includes a coil spring 341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33 and a coil spring 341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il spring 341, And a seat plate 342 on which the generating portion 35 is seated.

경보음발생부(35)는 다수개를 이루어 탄발지지부(34)의 상부에 적층된다.The plurality of alarm sound generators 35 are stacked on top of the elastic support 34.

최상단에 위치된 경보음발생부(35)는 연결로드(32)의 내부통로에 위치되며, 후술되는 발사부(36)에 의해 함체부(31)의 내부공간으로 발사된다.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35 positioned at the uppermost position is located in the inner passage of the connection rod 32 and is fir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unit 31 by the launching unit 36 described later.

발사부(36)는 공지의 에어컴프레셔로 형성될 수 있다.The launch portion 36 may be formed of a known air compressor.

발사부(36)는 연결로드(32)의 내부통로와 연결되는 분사관(361)을 구비하여, 내부통로에 지속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The launching unit 36 is provided with a spray pipe 361 connected to the inner passage of the connecting rod 32 to continuously inject compressed air into the inner passage.

즉, 감지부(100)(10)가 가열부(60)의 온도를 기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감지 시, 제어부(103)는 가열부(60)가 완전히 전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발사부(36)를 작동시켜 경보음발생부(35)를 함체부(31)의 내부공간으로 발사시키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sensing units 100 and 10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60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unit 103 determines that the heating unit 60 is not completely burned, So that the alarm sound generator 35 is fir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hermetically-sealed portion 31. [

그리고, 탄발지지부(34)는 수용부(33)의 내부에 위치된 경보음발생부(35)를 내부통로로 상승시켜 함체부(31)의 내부공간에 순차적으로 발사될 수 있도록 한다.The resilient supporting portion 34 raises the alarm sound generating portion 35 loc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33 in the internal passage so that the alarm can be sequentially emitte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receiving portion 31. [

충돌판(37)은 함체부(31)의 내부에 기립되게 배치되며, 후술되는 승강판(41)의 상면에 고정된다.The impingement plate 37 is disposed in an upright position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portion 31 a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41 to be described later.

충돌판(37)은 함체부(31)의 연결홀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발사부(36)에 의해 발사된 경보음발생부(35)들이 충돌판(37)에 충돌되어 경보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가열부(60)가 완전히 전소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린다.The impingement plate 37 is arranged to face the connection hole of the housing portion 31 so that the alarm sound generating portions 35 emitted by the launching portion 36 collide with the impingement plate 37 to generate an alarm sound , The user is informed that the heating unit 60 has not been completely burned.

그리고, 경보음발생부(35)는 충돌판(37)에 충돌되어 1차적으로 경보음을 발생시킨 후 승강판(41)으로 낙하되어 2차적으로 경보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가열부(60)의 미 전소 사실을 보다 확실하게 인지시킬 수 있다.The alarm sound generating section 35 collides with the collision plate 37 to generate a first alarm sound and then drops into the lift plate 41 to generate a second alarm sound so that the user can be informed by the heating section 60 ) Can be more reliably recognized.

이때, 경보음발생부(35)와 함체부(31) 및 충돌판(37)은 상호 충돌에 의해 시끄러운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금속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larm sound generator 35, the housing unit 31, and the impingement plate 37 may be formed of metal or similar material so as to generate a loud noise by mutual collision.

부가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그릴(1)은 승강판(41)으로 낙하된 경보음발생부(35)를 튕겨서 함체부(31)의 내면, 충돌판(37), 승강판(41)에 다시 충돌시키는 튕김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l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pels the alarm sound generating portion 35 dropped by the lift plate 41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impeller portion 31, the impingement plate 37, the lift plate 41 And may further include a jumping unit (40) for colliding again.

튕김부(40)는 승강판(41), 코일스프링(42), 타격부(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jumping portion 40 may include a lifting plate 41, a coil spring 42, and a striking portion 43.

승강판(41)은 함체부(31)의 내부공간에 수평배치되며, 그 상면에 충돌판(37)이 결합된다.The steel plate 41 is horizontall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part 31, and the impact plate 37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41.

승강판(41)은 가장자리면이 함체부(31)의 내벽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승강될 수 있다.The lifting plate (41) can be lifted and lowered in a state where the edge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part (31).

코일스프링(42)은 하단이 함체부(31)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단은 승강판(41)의 저면에 고정된다.The lower end of the coil spring 42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part 31 and the upper end thereof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41.

타격부(43)는 함체부(31)의 내부공간에 수평 설치되고 승강판(41)의 상측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고정대(70)의 상면 또는 저면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모터(431), 모터(431)의 모터축에 편심 결합되며 모터(431)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그 하단이 승강판(41)을 반복적으로 타격하는 타격봉(4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riking part 43 includes a motor 431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part 31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bottom central part of the fixing table 70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lifting plate 4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striking rod 432 eccen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431 and rotatably rotated by the motor 431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triking rod 432 strikes the lifting plate 41 repeatedly.

모터(431)의 구동에 의해 타격봉(432)이 제자리 회전되면서 승강판(41)을 반복적으로 타격하면, 코일스프링(42)이 반복적으로 신축되어 승강판(41)이 승강되고, 이로 인해 승강판(41)에 낙하되어 있던 경보음발생부(35)들이 반복적으로 튕겨지면서 함체부(31)의 내면, 충돌판(37), 승강판(41)에 충돌되어 경보음을 발생시키게 된다.When the motor 431 is driven to rotate the striking bar 432 in place to repeatedly strike the lifting plate 41, the coil spring 42 is repeatedly expanded and contracted to cause the lifting plate 41 to move up and down, The alarm sound generating portions 35 falling on the steel plate 41 are repetitively bounced and collide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31, the collision plate 37 and the lifting plate 41 to generate an alarm sound.

한편, 부가 경보부(50)는 부가 연결로드(51), 부가 탄발지지부(53), 부가 경보음발생부(54), 부가 충돌판(55), 부가 발사부(56)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ditional alarm unit 50 may include an additional connection rod 51, an additional elasticity support unit 53, an additional alarm sound generator 54, an additional collision plate 55, and an additional launch unit 56.

이때, 부가 경보부(50)는 튕김부(40)에 선행 또는 후행 작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dditional alarm unit 50 may be operated to the skip unit 40 in advance or afterward.

부가 연결로드(51)는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기 및 부가 경보음발생부(54)가 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된다.The additional connecting rod 51 is opened on both sides and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and the additional alarm sound generating part 54 is moved is formed therein.

부가 연결로드(51)는 함체부(31)의 좌측면에 형성된 연결홀에 관통설치된다.The additional connecting rod 51 is inserted through a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31. [

따라서, 함체부(31)의 내부와 부가 연결로드(51)의 내부통로는 연결된다.Therefore, the inside of the housing portion 31 and the internal passage of the additional connecting rod 51 are connected.

부가 수용부(52)는 부가 연결로드(51)의 하부에 연결된다.The additional accommodating portion 52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dditional connecting rod 51.

구체적으로, 부가 수용부(52)는 내부에 부가 경보음발생부(54)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은 부가 연결로드(51)의 내부통로와 연결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Specifically, the additional accommodating portion 52 is formed therein with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additional alarm sound generating portion 54 therein, and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opened to be connected to the internal passage of the additional connection rod 51.

이러한 부가 수용부(52)는 새로운 부가 경보음발생부(54)를 장전 가능하도록 부가 연결로드(5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additional receiving portion 52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additional connecting rod 51 so that the new additional alarm generating portion 54 can be installed.

부가 탄발지지부(53)는 부가 경보음발생부(54)를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수용부(33)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531), 코일스프링(531)의 상면에 고정되며 부가 경보음발생부(54)가 안착되는 안착판(5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ditional spring support portion 53 elastically supports the additional alarm sound generating portion 54 a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il spring 531 and the coil spring 531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33 And a seating plate 532 on which the additional alarm sound generating section 54 is seated.

부가 탄발지지부(53)는 부가 경보음발생부(54)가 발사부(36)에 의해 발사될 때 마다 부가 수용부(52)의 내부에 위치된 부가 경보음발생부(54)를 부가 연결로드(51)의 내부통로로 상승시켜 함체부(31)의 내부공간에 순차적으로 발사될 수 있도록 한다.Each time the additional alarm sound generating section 54 is fired by the launching section 36, the additional alarm sound generating section 54, which is located inside the additional storing section 52, (51) so as to be sequentially emit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body (31).

부가 경보음발생부(54)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며, 볼 형태를 이룬다.The additional alarm sound generator 54 is filled with air and forms a ball.

부가 경보음발생부(54)는 다수개를 이루어 부가 탄발지지부(53)의 상부에 적층된다.A plurality of additional alarm sound generating portions 54 are stack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dditional elasticity supporting portion 53.

최상단에 위치된 부가 경보음발생부(54)는 부가 연결로드(51)의 내부통로에 위치되며, 후술되는 부가 발사부(36)에 의해 함체부(31)의 내부공간으로 발사된다.The additional alarm sound generating unit 54 positioned at the uppermost position is located in the internal passage of the additional connection rod 51 and is fir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unit 31 by the additional firing unit 36 to be described later.

부가 경보음발생부(54)는 충격이 가해질 경우 쉽게 터질 수 있도록 고무나 튜브 재질로 형성된다.The additional alarm sound generator 54 is formed of rubber or a tube material so that it can be easily released when an impact is applied.

부가 충돌판(55)은 함체부(31)의 내부에 기립되게 배치되며, 승강판(41)의 상면에 고정된다.The additional collision plate 55 is disposed in an upright position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portion 31 a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41.

부가 충돌판(55)은 함체부(31)의 연결홀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그 마주하는 면에는 부가 경보음발생부(54)를 터트리는 다수개의 바늘이 형성된다.The additional collision plate 55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connection hole of the hermetically-sealed portion 31, and a plurality of needles are formed on the facing surface of the additional collision plate 55 to break the additional alarm sound generating portion 54.

부가 발사부(36)는 공지의 에어컴프레셔로 형성될 수 있다.The additional firing portion 36 may be formed of a known air compressor.

부가 발사부(36)는 부가 연결로드(51)의 내부통로와 연결되는 분사관(561)을 구비하여, 부가 연결로드(51)의 내부통로에 지속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한다.The additional firing portion 36 includes a spray tube 561 connected to the inner passage of the additional connecting rod 51 to continuously inject compressed air into the inner passage of the additional connecting rod 51.

부가 연결로드(51)의 내부통로에 압축공기가 분사되면, 부가 연결로드(51)의 내부통로에 위치된 부가 경보음발생부(54)가 함체부(31)의 내부공간에 발사되어, 충돌판(37) 또는 바늘에 충돌되어 터지면서 소음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가열부(60)의 미 전소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to the inner passage of the additional connecting rod 51, the additional warning sound generating portion 54 located in the inner passage of the additional connecting rod 51 is fir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portion 31, So that the plate 37 or the needle collides with the needle 37 to generate noise,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unburned state of the heating unit 60.

즉, 부가 경보부(50)는 경보부(30)와는 전혀 다른 형태의 경보음을 발생시킴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경각심을 갖도록 유도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additional alarm unit 50 generates an alarm sound of a totally different form from the alarm unit 30, thereby prompting the user to be more alert and promptly coping with the alarm.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 : 그릴 10 : 테이블
11 : 상판부 11a : 관통홀
12 : 다리부 13 : 수납부
13a : 수납실 13b : 구이실
20 : 가림부 21 : 메인가림부재
211 : 메인수직부재 212 : 메인수평부재
22 : 서브가림부재 221 : 서브수평부재
222 : 서브수직부재 30 : 경보부
31 : 함체부 311 : 덮개
32 : 연결로드 33 : 수용부
34 : 탄발지지부 341,42,531 : 코일스프링
342,532 : 안착판 35 : 경보음발생부
36 : 발사부 361,561 : 분사관
37 : 충돌판 40 : 튕김부
41 : 승강판 43 : 타격부
431 : 모터 50 : 부가 경보부
51 : 부가 연결로드 52 : 부가 수용부
53 : 부가 탄발지지부 54 : 부가 경보음발생부
55 : 부가 충돌판 60 : 가열부
61 : 수납통 61a : 통기홀
70 : 고정대 80 : 수집부
90 : 받침부 100 : 감지부
101 : 제1온도감지센서 102 : 제2온도감지센서
103 : 제어부 110 : 석쇠
1: Grill 10: Table
11: upper plate 11a: through hole
12: leg portion 13:
13a: storage chamber 13b: roasting chamber
20: shielding portion 21: main shielding member
211: main vertical member 212: main horizontal member
22: Sub-shielding member 221: Sub-horizontal member
222: Sub-vertical member 30: Alarm unit
31: Container 311: Cover
32: connecting rod 33: receiving portion
34: Elastic supports 341, 42, 531:
342,532: seat plate 35: alarm sound generator
36: launch part 361,561:
37: Collision plate 40:
41: lifting plate 43:
431: motor 50: additional alarm section
51: additional connection rod 52:
53: additional elastic support portion 54: additional alarm sound generating portion
55: additional collision plate 60: heating part
61: receiving tube 61a: vent hole
70: fixed base 80:
90: receiving part 100: sensing part
101: first temperature sensor 102: second temperature sensor
103: control unit 110: grill

Claims (5)

수납실 및 상기 수납실과 연결되는 구이실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실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석쇠가 안착되는 테이블,
상기 석쇠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거나 가릴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림부,
상기 구이실에 배치되어 구이물에 간접열을 제공하는 가열부,
상기 수납실에 배치되어 상기 구이물에서 낙하되는 기름을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납실에 배치되며, 상기 가열부에서 방출되는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상기 가열부의 온도를 기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감지 시 작동되는 경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부는,
내부가 비어 있어 공명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함체부,
상기 함체부의 내부와 연결되는 내부통로를 갖는 연결로드,
상기 연결로드의 내부통로와 연결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탄발지지부,
상기 탄발지지부의 상부에 적층되는 다수개의 경보음발생부,
상기 연결로드의 내부통로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경보음발생부를 함체부의 내부공간으로 발사시키는 발사부,
상기 함체부의 내부에 기립되게 배치되고, 상기 경보음발생부가 충돌 시 소음을 발생시키는 충돌판을 포함하는 그릴.
A table in which a grill is seated so as to be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room,
A cover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able so as to selectively expose or cover the grill,
A heating unit disposed in the grill room to provide indirect heat to the grilled water,
A collecting unit disposed in the compartment for collecting oil falling from the grilled water,
A sensing unit disposed in the storage room for sensing a temperature emitted from the heating unit,
And an alarm unit operable when the sensing unit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at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alarm unit,
A hollow portion in which an inner space is empty to generate a resonance sound,
A connecting rod having an inner passag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section,
A receiving portion having a receiving space connected to an internal passage of the connecting rod,
A elastic support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 plurality of alarm sound generators stacked on top of the elastic support,
A launching part for injecting compressed air into the internal passage of the connecting rod to fire the alarm sound generating part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part,
And a collision plate that is disposed to stand up inside the enclosure and generates a noise when the alarm sound generator colli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는,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힌지결합되는 메인수직부재, 상기 메인수직부재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석쇠의 상부에 위치되는 메인수평부재를 포함하는 메인가림부재,
상기 메인수평부재의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석쇠의 상부에 위치되는 서브수평부재, 상기 서브수평부재의 끝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석쇠의 상면에 안착 또는 이격되는 서브수직부재를 포함하는 서브가림부재를 포함하는 그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main vertical member hing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table, a main horizontal member extending horizont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main vertical member and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grill,
A sub-horizontal member hinged to both sides of the main horizontal member to be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grill, a sub-vertical member extending vertically at an end of the sub- The grill inclu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실의 상부에 배치되어 테이블의 상부로 노출되며, 상기 가열부에 의해 발열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그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edestal portion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roasting chamber and expos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table, the pedestal portion being heated by the heating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의 내부로 발사된 경보음발생부를 튕겨서 함체부의 내면 또는 충돌판에 다시 충돌시키는 튕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튕김부는,
상기 함체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충돌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승강판,
상기 함체부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기 승강판을 탄발지지하는 코일스프링,
상기 승강판의 상면을 반복적으로 타격하여 승강판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타격부를 포함하는 그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jumping portion for jumping the alarm sound generating portion fired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portion to collid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or the impact plate again,
The hopper includes:
A steel plat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ortion and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impingement plate,
A coil spring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ifting plate,
And a striking portion that strikes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e repeatedly to generate vibration in the elevating plate.
KR2020190001681U 2019-04-23 2019-04-23 Grill KR20048955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681U KR200489556Y1 (en) 2019-04-23 2019-04-23 Gri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681U KR200489556Y1 (en) 2019-04-23 2019-04-23 Gri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556Y1 true KR200489556Y1 (en) 2019-07-04

Family

ID=67224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681U KR200489556Y1 (en) 2019-04-23 2019-04-23 Gri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556Y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765B1 (en) * 1996-12-13 1999-09-01 박천복 Meat roast
KR200260531Y1 (en) * 2001-10-18 2002-01-10 임흥규 A roaster
KR20070074079A (en) * 2006-01-06 2007-07-12 최영섭 Rotary roaster for a table
US20150013662A1 (en) * 2013-07-10 2015-01-15 Bnr Technology Development, Llc Outdoor Barbeque Grill and Oven
KR101594705B1 (en) 2014-12-03 2016-02-16 강성탁 Roster with Purification of Combustion Gas
JP2017140162A (en) * 2016-02-09 2017-08-17 倖生工業株式会社 Broiled cooking machin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765B1 (en) * 1996-12-13 1999-09-01 박천복 Meat roast
KR200260531Y1 (en) * 2001-10-18 2002-01-10 임흥규 A roaster
KR20070074079A (en) * 2006-01-06 2007-07-12 최영섭 Rotary roaster for a table
US20150013662A1 (en) * 2013-07-10 2015-01-15 Bnr Technology Development, Llc Outdoor Barbeque Grill and Oven
US9357880B2 (en) * 2013-07-10 2016-06-07 Bnr Technology Development, Llc Outdoor barbeque grill and oven
KR101594705B1 (en) 2014-12-03 2016-02-16 강성탁 Roster with Purification of Combustion Gas
JP2017140162A (en) * 2016-02-09 2017-08-17 倖生工業株式会社 Broiled cook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629B1 (en) Multi-heating type roaster
US20030234014A1 (en) Food cooker
US20130112186A1 (en) Solid fuel cook system
US20120024171A1 (en) Kettle grill accessory
KR101710701B1 (en) A barbecue grill
US3517602A (en) Barbecue cooker
US6706301B2 (en) Tandoori cook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562498B1 (en) Baking oven
KR200489556Y1 (en) Grill
KR101163871B1 (en) Charcoal fire roasting apparatus
KR101300863B1 (en) charcoal fire roast machine
KR102064698B1 (en) Roaster that does not burn
KR101236868B1 (en) Meat roasting device using charcoal fire
KR101055065B1 (en) Indirect heating portable barbecue equipment
KR200486112Y1 (en) Barbecue grill
KR20180016806A (en) A grill for roasted meat
KR101495738B1 (en) Roast device
KR102447372B1 (en) Prefab jar type barbecue device
KR101677596B1 (en) Device for meat roast
KR200493461Y1 (en) Multifunctional brazier
KR101671629B1 (en) Fire box for roasting with chacoal
KR200380144Y1 (en) A charcoal fire roaster
AU2018220066B2 (en) Improvements in or in relation to food preparation
JP2023524966A (en) portable griller
KR200412774Y1 (en) Electronic roast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