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296Y1 -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 - Google Patents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296Y1
KR200489296Y1 KR2020190001923U KR20190001923U KR200489296Y1 KR 200489296 Y1 KR200489296 Y1 KR 200489296Y1 KR 2020190001923 U KR2020190001923 U KR 2020190001923U KR 20190001923 U KR20190001923 U KR 20190001923U KR 200489296 Y1 KR200489296 Y1 KR 200489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able
bracket
dispenser
ship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호
Original Assignee
이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호 filed Critical 이강호
Priority to KR2020190001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2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2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B63J2003/043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using shore connectors for electric power supply from shore-borne mains, or other electric energy sources external to the vessel, e.g. for docked, or moored vessels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육상에서 항구에 장박된 선박에 인가되는 전원케이블의 유동방향에 따라 해당 전원케이블을 풀거나 감아 오토텐션(Auto Tension)을 갖도록 하는 것은 물론, 디스펜서를 회전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는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이 정지된 상태로 항구에 정박(碇泊)된 선박에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케이블 박스에 롤(ROLL) 형태로 구비된 전원케이블의 공급길이를 제어할 수 있게 육상에 설치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판 형상을 갖되 상기 디스펜서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전원케이블이 관통하는 제1관통공이 천공형성된 설치브라켓과, 판 형상을 갖되 상기 설치브라켓 상부에 상기 전원케이블의 유동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관통공과 대향되게 상기 전원케이블이 관통하는 제2관통공이 천공형성된 이동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설치브라켓에 고정되되 타단은 상기 이동브라켓에 고정되어 탄성력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진 상기 이동브라켓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체 및 상기 설치브라켓이나 상기 이동브라켓에 복수의 구성으로 설치되며, 상기 전원케이블의 이동방향에 대한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여 상기 전원케이블의 공급길이가 제어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유동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Power cable detection sensor module for dispenser}
본 고안은 육상에서 항구에 장박된 선박에 인가되는 전원케이블의 유동방향에 따라 해당 전원케이블을 풀거나 감아 오토텐션(Auto Tension)을 갖도록 하는 것은 물론, 디스펜서를 회전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는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C/S:cargo ship)은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상선, 군함, 어선 및 특수 작업선 등으로 구분되고, 그 용적에 따라 대형, 중형, 소형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선박에는 각종 전기 설비들이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이에 필요한 전원케이블의 설치 및 포설작업이 수반된다.
또한, 선박의 경우 활동영역이 유선상으로는 외부에서 직접적인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기 때문에 그 내부에 설치된 발전기를 이용하여 선박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실정이다. 이때, 선박에 설치된 발전기는 선박의 동력수단에 사용되는 연료를 소비하면서 선박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한다.
그러나, 발전기를 통한 연료 소비 과정에서 대기오염 및 수질오염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항구에 정박한 선박의 경우 육상에서 외부 전원을 연결하여 선박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를 통상 '디스펜서'라 칭하고 있다.
이러한 디스펜서(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상 전원과 선박(C-S)에서 사용하는 전원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상호 간의 원활한 전원공급을 위해 전원을 강압하는 변압기가 회전가능한 지주(13)에 구비되며, 부가적으로 해당 변압기는 물론, 롤(ROOL) 형태로 권출이나 권취가 가능한 전원케이블(P/W)이 구비되는 케이블 박스(17)와, 해당 지주(13)를 회전시키는 감속모터(16)가 구비된 다수의 기어(15)들이 결합한 회전수단(14)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가 관리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한편, 육상에서 해상의 선박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으로는, 육상의 전원공급장치에 전원공급케이블을 연결하고, 선박에 설비된 전원공급 제어부에 육상의 전원케이블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상기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의 대표적인 일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7591호로 선등록된 "전선케이블 보호장치"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등록특허 제10-0817591호는 제1바지선(10)에 설치되는 제1수직포스트(11)와; 제2바지선(200)에 설치되는 제2수직포스트(210)와: 상기 제1수직포스트(11)와 제2수직포스트(210) 사이에 설치되는 와이어로프(500)와; 상기 와이어로프(500)에 행거(600)에 지지되는 전선케이블(4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수직포스트(210)는 그 상측에 와이어로프(500)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2고정구(240)가 구비되고, 일측벽에는 전선케이블(400)을 지지고정하는 제2브라켓(212)이 고정설치된 구성의 전선케이블 보호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파수나 조수간만의 차이 등으로 인해 바지선들이 움직이더라도 그와 같은 바지선들 사이에 설치되는 전선케이블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전선케이블 보호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높은 설치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전선케이블 보호장치는 전선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는 기능이 미약하여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즉, 종래 전선케이블 보호장치는 전선케이블의 자중에 의해 처지도록 함으로써, 여유 전선케이블을 확보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전선케이블 보호장치는 기상변화로 강한 바람이 발생시 길게 늘어진 여유 전선케이블이 와이어로프에 감기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전선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 전선케이블 보호장치는 선박 간의 위치 변화가 발생시 전선케이블이 제1 수직포스트에서 쉽게 이탈되어 절손 및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전선케이블 보호장치의 전선케이블은 상기 제1 수직포스트의 상단에서 도르레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구성되나, 이러한 도르레는 그 구조 특성상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이에 연결된 케이블이 쉽게 이탈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조수 간만의 차이로 원치 않은 바지선의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바지선에 연결된 전선케이블을 용이하게 자동으로 원활하게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은 엔진이 정지된 상태로 항구에 정박(碇泊)된 선박에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케이블 박스에 롤(ROLL) 형태로 구비된 전원케이블의 공급길이를 제어할 수 있게 육상에 설치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판 형상을 갖되 상기 디스펜서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전원케이블이 관통하는 제1관통공이 천공형성된 설치브라켓과, 판 형상을 갖되 상기 설치브라켓 상부에 상기 전원케이블의 유동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관통공과 대향되게 상기 전원케이블이 관통하는 제2관통공이 천공형성된 이동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설치브라켓에 고정되되 타단은 상기 이동브라켓에 고정되어 탄성력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진 상기 이동브라켓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체 및 상기 설치브라켓이나 상기 이동브라켓에 복수의 구성으로 설치되며, 상기 전원케이블의 이동방향에 대한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여 상기 전원케이블의 공급길이가 제어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유동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감지센서는 상기 제2관통공을 중심으로 상기 이동브라켓 상면에 종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감지부를 포함하되, 한 쌍의 상기 제1감지부 중 어느 하나는 선박과 연결된 상기 전원케이블의 풀림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박과 연결된 상기 전원케이블의 공급길이가 늘어날 수 있도록 하며, 다른 하나는 선박과 연결된 상기 전원케이블의 감김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박과 연결된 상기 전원케이블의 공급길이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상기 제1감지부는 양측에 돌출형성된 회전축에 의해 상기 이동브라켓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전원케이블과 접촉하여 상기 전원케이블의 진행 방향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회전롤러, 일단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타단은 유동하는 상기 전원케이블과 직접 접촉하거나 이동하는 상기 이동브라켓과 직접 접촉하여 상기 전원케이블의 풀림이나 감김을 감지하는 제1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시 유동감지센서는 상기 제2관통공을 중심으로 상기 이동브라켓 상면에 횡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2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한 쌍의 상기 제2감지부 중 어느 하나는 선박과 연결된 상기 전원케이블의 좌측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박과 연결된 상기 디스펜서가 좌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다른 하나는 선박과 연결된 상기 전원케이블의 우측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박과 연결된 상기 디스펜서가 우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상기 제2감지부는 양측에 돌출형성된 회전축에 의해 상기 이동브라켓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전원케이블과 접촉하여 상기 전원케이블의 진행 방향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회전롤러, 일단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타단은 유동하는 상기 전원케이블과 직접 접촉하거나 이동하는 상기 이동브라켓과 직접 접촉하여 상기 전원케이블의 좌/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치브라켓은 복수의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스토퍼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되 그 내부로 상기 이동브라켓이 일정거리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브라켓 상면에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전원케이블의 개수나 관리자의 존재 여부와 상관 없이 간편한 구조로 항구에 정박된 선박의 유동에 따라 덕트관 내부에 상기 전원케이블이 횡방향이나 종방향으로 유동이 발생시에 이를 유동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전원케이블을 풀거나 감아 오토텐션(Auto Tension)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물론, 디스펜서를 회전시킬 수 있어 안전하게 해당 선박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디스펜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이 탑재된 디스펜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에 대한 설치브라켓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대한 스토퍼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에 대한 설치브라켓에 이동브라켓과 탄성체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의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에 대한 유동감지센서의 다른 실시예.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에 대한 유동감지센서의 또 다른 실시예.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에 대한 설치브라켓과 이동브라켓의 다른 실시예.
도 13 내지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에 대한 작용관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이하, 간략하게 '센서모듈'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디스펜서(10)는 상술한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의 디스펜서에 대한 기술적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고 있음에 하기에는 상기 디스펜서(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센서모듈(1)은 크게, 설치브라켓(100), 이동브라켓(200), 탄성체(300) 및 유동감지센서(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디스펜서(10)의 덕트관(12) 내부 출구 측에 전원케이블(P/W)이 관통할 수 있도록 고정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설치브라켓(10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그 외면은 디스펜서(10)의 구성 중 관 형상을 갖는 덕트관(12)의 출구 측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이동브라켓(200)은 물론, 탄성체(300) 및 유동감지센서(400)가 모두 설치되어 할구에 정박(碇泊)되어 있는 선박에 인가되는 전원케이블(P/W)이 안정적으로 인가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구성으로 제1관통공(110) 및 스토퍼(12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의 설치브라켓(100)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덕트관(12)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그 외면에는 롤(ROLL) 형태로 풀림과 감김이 제어부(11)의 제어신호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전원케이블(P/W)이 관통 삽입되는 소정지름의 제1관통공(110)이 천공형성된다.
제1관통공(110)의 지름은 전원케이블(P/W)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선박의 유동에 의해 상기 전원케이블(P/W)의 유동이 발생시에 외부 파손 없이 안전하게 상기 제1관통공(110) 내에서 유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스토퍼(120)는 설치브라켓(100) 상면에 제1관통공(110)을 중심으로 방사상(도면상으로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총 4개가 설치되며, 그 내부로 후술하는 이동브라켓(200)이 횡방향과 종방향은 불론, 사선방향으로도 왕복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예컨대 각각의 스토퍼(120)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되어 설치브라켓(100) 상면에 다수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스토퍼(120) 내부로 이동브라켓(200)이 일정거리 이상으로는 이동이 제한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복수의 스토퍼(120) 내부의 이동면적(A2)은 이동브라켓(200)의 전체면적(A1)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상기 이동브라켓(200)이 이동할 수 있는 간격(D1)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전원케이블(P/W)의 유동이 발생된다고 하여 바로 후술하는 유동감지센서(400)를 통해 상기 전원케이블(P/W)의 유동이 감지되지 않고, 복수의 상기 스토퍼(120) 내부의 이동면적 이상으로 상기 전원케이블(P/W)의 유동방향이 진행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만 제어부(11)에 의해 상기 전원케이블(P/W)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도 7 참조)
그리고, 상기 이동브라켓(20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다수의 유동감지센서(400)가 설치되되 전원케이블(P/W)이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전원케이블(P/W)의 진행방향에 따라 플렉시블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관통공(210) 및 돌출편(220)을 포함한다.
이동브라켓(20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되 상술한 복수의 스토퍼(120) 내의 이동면적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이동브라켓(200) 상부에는 복수의 탄성체(300) 일단과 연결되어 제2관통공(210)에 삽입된 전원케이블(P/W)의 진행방향에 따라 이동이 실행된 이후에 상기 탄성체(30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브라켓(200)의 면적 중앙부에 소정지름을 갖도록 천공형성된 제2관통공(210)은 상술한 제1관통공(110)과 수직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천공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공(210)의 지름은 상기 제1관통공(110)의 지름보다 좀 더 작게(이동브라켓이 복수의 스토퍼 내에서 이동할 수 있을 정도)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돌출편(220)은 이동브라켓(200) 상부에 상방으로 다수 돌출 형성되어 후술하는 유동감지센서(4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바람직한 상기 돌출편(220)의 형성위치는 이동브라켓(200)이 복수의 스토퍼(120) 내에서 이동시에 상기 돌출편(220)과 상기 스토퍼(120)간에 서로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돌출편(22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는 제1 및 제2회전롤러(421)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된 회전축과 축 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그 나머지는 제1 및 제2센서(423)가 고정 설치되어 제2관통공(210)에 삽입된 전원케이블(P/W)이 유동시에 상기 전원케이블(P/W)과 접촉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돌출편(220)의 형성 개수는 후술하는 유동감지센서(400)의 구성인 제1 및 제2감지부(420)의 설치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300)는 전원케이블(P/W)의 유동에 의해 이동이 실행된 이동브라켓(200)이 탄성 복원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자동 복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고안에서의 탄성체(300)는 예컨대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은 설치브라켓(100)에 고정되되 타단은 이동브라켓(200)에 고정될 수 있게 제1 또는 제2관통공(210)을 중심으로 방사상(바람직하게는 총 4개)의 형태로 다수 형성되어 복수의 스토퍼(120) 내에서 이동이 이루어진 상기 이동브라켓(200)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유동감지센서(4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가 되되 제1 및 제2관통공(210)에 관통 삽입된 전원케이블(P/W)의 유동방향에 따라 선박에 연결된 상기 전원케이블(P/W)을 제어신호에 의해 풀거나 감아 해당 전원케이블의 오토텐션(Auto Tension)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나아가서는 상기 전원케이블(P/W)의 유동방향을 감지하여 디스펜서(10)를 제어신호에 의해 좌/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전원케이블(P/W)을 풀거나 감기 위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1감지부(410)와 상기 디스펜서(1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감지부(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에서의 제1 및 제2감지부(420)는 그 설치위치가 서로 상이할 뿐, 동일 형상을 갖도록 이동브라켓(200)에 설치되기에 상기 제1감지부(410)의 구조설명을 통해 제2감지부(420)의 구조설명을 대신하도록 하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하나의 이동브라켓(200)에 제1감지부(410) 또는 제2감지부(420)가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나 본 고안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제1 및 제2감지부(420)가 하나의 이동브라켓(200)에 모두 설치되어 있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의 제1감지부(410)는 예컨대 제1회전롤러(411)와 제1센서(4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브라켓(200) 상부에 횡(도면상으로 세로방향)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이 설치된다.
아울러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감지부(410) 사이에는 전원케이블(P/W)이 관통할 수 있는 삽입공간부(430)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삽입공간부(430)는 상기 제1감지부(410)와 함께 제2감지부(420)가 하나의 이동브라켓(200)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제1회전롤러(411)는 그 양측의 회전축이 서로 이웃하게 이동브라켓(200) 상부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돌출편(22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유동되는 전원케이블(P/W) 외면과 접촉하여 상기 전원케이블(P/W)의 유동방향에 따라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제2감지부(420)의 구성인 제2회전롤러(421) 역시, 상술한 제1회전롤러(411)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되 다만, 상기 제2회전롤러(421)는 이동브라켓(200)의 제2관통공(210)을 중심으로 하여 종(도면상으로 가로방향)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어 전원케이블(P/W)의 좌/우측 방향으로의 유동에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센서(413)는 선단에서 후단까지의 길이를 갖는 제1회전롤러(411)의 길이 중앙부에 감지되는 일측이 위치하도록 돌출편(220)에 고정설치되며, 그 타측은 제어부(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케이블(P/W) 외면과 일측이 접촉시에 그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부(11)에 전송하여 상기 전원케이블(P/W)의 유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센서(413)의 일측 끝단이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관통공(210) 방향으로 제1회전롤러(411) 외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게 이격거리(D2)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관통공(210)에 관통 삽입된 상기 전원케이블(P/W)의 유동범위가 일정범위 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만 제1센서(413)에 의해 그 유동을 감지하여 제어부(11)에 전송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센서(413)는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상술한 제1회전롤러(411) 상부가 아닌, 스토퍼(120)에 고정설치되어 돌출편(220)과 접촉하여 전원케이블(P/W)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11 참조)
한편, 제2감지부(420)의 구성인 제2센서(423) 역시, 상술한 제1센서(413)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되 다만, 상기 제2센서(423)는 각각의 제2회전롤러(421) 상부에 그 일측이 위치하도록 돌출편(220)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전원케이블(P/W)이 좌/우측 방향으로 유동시에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1)에 그 감지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고안에서의 센서모듈(1)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하나의 덕트관(12) 내부로 복수의 전원케이블(P/W)이 인입시에 하나의 설치브라켓(100)과 이동브라켓(200)에 복수의 상기 전원케이블(P/W)이 인입되어 유동감지센서(400)를 통해 유동이 감지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센서모듈(1)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C-S)이 조수 간만의 차이 등으로 육상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져 해당 선박(C-S)과 연결된 전원케이블(P/W)에 유동이 발생하는 경우, 한 쌍의 제1감지부(410)를 통해 그 유동을 감지한 감지정보를 제어부(11)에 전송하여 상기 전원케이블(P/W)이 감겨진 케이블박스(17)를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하여 풀거나 감는 동작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선박(C-S)에 원활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C-S)이 조수 간만의 차이 등으로 해상에서 이동(예를 들어 좌/우측으로의 이동)이 발생하여 해당 선박(C-S)과 연결된 전원케이블(P/W)에 유동이 발생하는 경우, 한 쌍의 제2감지부(420)를 통해 그 유동을 감지한 감지정보를 제어부(11)에 전송하여 디스펜서(10)의 덕트관(12)을 회전시킬 수 있는 감속모터(16)를 제어신호에 제어함으로써, 선박(C-S)에 원활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선박(C-S)의 유동이 해상에서 회전이나 사선 형태의 유동에도 제1 및 제2감지부(420)에 의해 전원케이블(P/W)의 유동을 용이하게 감지하여 대응할 수 있음은 본 고안에 대한 통상의 지식인이라면 누구나 예상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센서모듈(1)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전원케이블(P/W)의 개수나 관리자의 존재 여부와 상관 없이 간편한 구조로 항구에 정박된 선박의 유동에 따라 덕트관(12) 내부에 상기 전원케이블(P/W)이 횡방향이나 종방향으로 유동이 발생시에 이를 유동감지센서(400)가 감지하여 제어부(11)를 통해 상기 전원케이블(P/W)을 풀거나 감아 오토텐션(Auto Tension)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물론, 디스펜서(10)를 회전시킬 수 있어 안전하게 해당 선박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
100: 설치브라켓 110: 제1관통공
120: 스토퍼 200: 이동브라켓
210: 제2관통공 220: 돌출편
300: 탄성체 400: 유동감지센서
410: 제1감지부 411: 제1회전롤러
413: 제1센서 420: 제2감지부
421: 제2회전롤러 423: 제2센서
430: 삽입공간부
10: 디스펜서
11: 제어부 12: 덕트관
13: 지주 14: 회전수단
15: 기어 16: 감속모터
17: 케이블박스
C-S: 선박
P/W: 전원케이블

Claims (4)

  1. 엔진이 정지된 상태로 항구에 정박(碇泊)된 선박(C-S)에 제어부(11)의 제어신호에 따라 케이블 박스(17)에 롤(ROLL) 형태로 구비된 전원케이블(P/W)의 공급길이를 제어할 수 있게 육상에 설치되는 디스펜서(10)에 있어서,
    판 형상을 갖되 상기 디스펜서(10)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전원케이블(P/W)이 관통하는 제1관통공(110)이 천공형성된 설치브라켓(100);
    판 형상을 갖되 상기 설치브라켓(100) 상부에 상기 전원케이블(P/W)의 유동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관통공(110)과 대향되게 상기 전원케이블(P/W)이 관통하는 제2관통공(210)이 천공형성된 이동브라켓(200);
    일단이 상기 설치브라켓(100)에 고정되되 타단은 상기 이동브라켓(200)에 고정되어 탄성력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진 상기 이동브라켓(200)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체(300); 및
    상기 설치브라켓(100)이나 상기 이동브라켓(200)에 복수의 구성으로 설치되며, 상기 전원케이블(P/W)의 이동방향에 대한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부(11)에 전송하여 상기 전원케이블(P/W)의 공급길이가 제어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유동감지센서(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감지센서(400)는 상기 제2관통공(210)을 중심으로 상기 이동브라켓(200) 상면에 종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감지부(410);를 포함하되,
    한 쌍의 상기 제1감지부(410) 중 어느 하나는 선박과 연결된 상기 전원케이블(P/W)의 풀림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박과 연결된 상기 전원케이블(P/W)의 공급길이가 늘어날 수 있도록 하며,
    다른 하나는 선박과 연결된 상기 전원케이블(P/W)의 감김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박과 연결된 상기 전원케이블(P/W)의 공급길이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상기 제1감지부(410)는 양측에 돌출형성된 회전축에 의해 상기 이동브라켓(20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전원케이블(P/W)과 접촉하여 상기 전원케이블(P/W)의 진행 방향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회전롤러(411), 일단이 상기 제어부(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타단은 유동하는 상기 전원케이블(P/W)과 직접 접촉하거나 이동하는 상기 이동브라켓(200)과 직접 접촉하여 상기 전원케이블(P/W)의 풀림이나 감김을 감지하는 제1센서(4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시 유동감지센서(400)는 상기 제2관통공(210)을 중심으로 상기 이동브라켓(200) 상면에 횡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2감지부(420);를 더 포함하되,
    한 쌍의 상기 제2감지부(420) 중 어느 하나는 선박과 연결된 상기 전원케이블(P/W)의 좌측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박과 연결된 상기 디스펜서(10)가 좌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다른 하나는 선박과 연결된 상기 전원케이블(P/W)의 우측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박과 연결된 상기 디스펜서(10)가 우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상기 제2감지부(420)는 양측에 돌출형성된 회전축에 의해 상기 이동브라켓(20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전원케이블(P/W)과 접촉하여 상기 전원케이블(P/W)의 진행 방향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회전롤러(421), 일단이 상기 제어부(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타단은 유동하는 상기 전원케이블(P/W)과 직접 접촉하거나 이동하는 상기 이동브라켓(200)과 직접 접촉하여 상기 전원케이블(P/W)의 좌/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2센서(4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브라켓(100)은 복수의 스토퍼(120);를 더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스토퍼(120)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되 그 내부로 상기 이동브라켓(200)이 일정거리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브라켓(100) 상면에 서로 대칭되게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
KR2020190001923U 2019-05-10 2019-05-10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 KR2004892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923U KR200489296Y1 (ko) 2019-05-10 2019-05-10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923U KR200489296Y1 (ko) 2019-05-10 2019-05-10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296Y1 true KR200489296Y1 (ko) 2019-05-29

Family

ID=66651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923U KR200489296Y1 (ko) 2019-05-10 2019-05-10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29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591B1 (ko) * 2006-09-15 2008-03-31 인천항만공사 바지선의 전선케이블 보호장치
KR101246180B1 (ko) * 2011-11-11 2013-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448291B1 (ko) * 2013-04-03 2014-10-13 주식회사 코릴 항공기 전원공급용 케이블 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591B1 (ko) * 2006-09-15 2008-03-31 인천항만공사 바지선의 전선케이블 보호장치
KR101246180B1 (ko) * 2011-11-11 2013-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448291B1 (ko) * 2013-04-03 2014-10-13 주식회사 코릴 항공기 전원공급용 케이블 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260B2 (en) Cable fleet angle sensor
KR200489296Y1 (ko)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감지센서모듈
CN210175084U (zh) 一种基于恒张力控制的悬垂锚缆精确定位浮标装置
CN206156648U (zh) 绞车排缆乱绳自动检测装置
KR101702516B1 (ko) 앵커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
CN110053717A (zh) 一种长距离锚泊曲折型定位绞车系统
US20230098192A1 (en) Cable feeding unit of cable management system
KR20100107736A (ko)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
JP4340758B2 (ja) ケーブルドラム装置
KR102293321B1 (ko) 선박용 육상전원공급설비
JP2002003178A (ja) 洋上補給用ウインチ
KR20200002532U (ko) 디스펜서용 스위치모듈
KR102466590B1 (ko) 톱니형 부두
JP7125137B2 (ja) 水中探査装置、船舶、および水中探査方法
JP2001001980A (ja) 浮体係留装置
CN103661831A (zh) 艏部具有双锚绞机的全回转拖船
JP2017144851A (ja) 係留索拘束機構および係留構造体
KR20210050340A (ko) 부유식 구조물의 펜더 이동 장치
KR101702515B1 (ko) 계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
US10703444B2 (en) Unmanned marine sailing vessel
KR20150057683A (ko) 선박의 안벽계류 보조장치, 이를 포함하는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CN111960196B (zh) 一种浮动式船岸连接电缆协同控制系统及方法
KR20190056564A (ko) 해상발전용 선박
KR102524499B1 (ko) 잠수함용 윈치시스템의 전향장치 고착방지 시스템
KR100516140B1 (ko) 선박 예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