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321B1 - 선박용 육상전원공급설비 - Google Patents

선박용 육상전원공급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321B1
KR102293321B1 KR1020210010245A KR20210010245A KR102293321B1 KR 102293321 B1 KR102293321 B1 KR 102293321B1 KR 1020210010245 A KR1020210010245 A KR 1020210010245A KR 20210010245 A KR20210010245 A KR 20210010245A KR 102293321 B1 KR102293321 B1 KR 102293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reel
ship
connection cable
land
mai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릴
Priority to KR1020210010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B63J2003/043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using shore connectors for electric power supply from shore-borne mains, or other electric energy sources external to the vessel, e.g. for docked, or moored vess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구에 정박중인 선박에 육지의 전원케이블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육상전원공급 장치이며, 조석, 파도, 선박에 적재된 화물의 무게 등에 의한 선박의 높낮이 변화에 따라 선박에 연결된 전원케이블의 장력을 자동 조절하면서 전원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고, 특히 육상케이블과 선박케이블을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되게 하여 케이블 연결의 편의성을 향상되게 하며, 선박 연결용 붐대의 충돌방지 기능, 다수의 케이블에 대한 작동감시 기능을 갖도록 하는 선박용 육상전원공급설비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케이블 릴 부재(200) 및 붐대(300)를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본체 부재(100)와; 상기 본체 부재(100)에 설치되는데, 육상전원연결을 위한 육상연결케이블릴(210) 및 선박전원연결을 위한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을 이용해 선박에 대한 육상전원공급을 수행하며,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과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은 제1구동부(232) 및 제2구동부(234)를 통해 각각 개별적 회전작동하고, 상기 제1구동부(232)와 제2구동부(234) 사이로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과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이 각각 개별적 회전작동하면서 상호 전기접속되게 하는 로터리커넥터(230)가 마련된 케이블 릴 부재(200)와; 상기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이 감기거나 풀리는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의 제2커넥터(222)를 목적한 위치로 이동시켜 지지되게 하는 붐대(300)와; 상기 케이블 릴 부재(200)의 육상전원공급을 제어하는데, 상기 제1구동부(232) 및 제2구동부(234)를 각각 개별적 작동시키면서 정박중인 선박의 부유 높이에 따라 상기 선박에 연결된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의 장력 조절을 수행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Description

선박용 육상전원공급설비 {alternative maritime power device for ship}
본 발명은 항구에 정박중인 선박에 육지의 육상전원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육상전원공급 장치이며, 조석, 파도, 선박에 적재된 화물의 무게 등에 의한 선박의 높낮이 변화에 따라 선박에 연결된 선박연결케이블의 장력을 자동 조절하면서 선박연결케이블 등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고, 특히 육상연결케이블과 선박연결케이블을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되게 하여 케이블 연결의 편의성을 향상되게 하며, 선박 연결용 붐대의 충돌방지 기능, 다수의 케이블에 대한 작동감시 기능을 갖도록 하는 선박용 육상전원공급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상선, 군함, 어선 및 특수 목적선 등으로 매우 다양화되어 일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통상 선박은 정상운용에 필요한 각종 전기설비들을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함으로 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발전설비가 마련되어 엔진 작동에 의해 발전을 수행하는 구조로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선박은 항구의 부두에 정박중인 상황에서 각종 전기설비를 작동시키기 위해 발전설비를 가동하는데 상기 발전설비의 가동을 위해 정박중인 선박에서 엔진이 공회전하고 있으며,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의 공회전에 의해 항구 주변에는 미세먼지와 같은 대기오염 물질이 내륙에 비해 많이 발생하여 항구에 정박중인 선박의 대기오염 물질을 줄이기 위해 선박 엔진의 공회전 없이 발전설비를 작동되게 하는 육상전원공급설비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 국내실용신안공보 제20-0430864호를 살펴보면, 수평 프레임 상측으로 다수개의 케이블 유입부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풀리를 형성한 회전축을 가지는 케이블 릴과; 상기의 케이블 릴의 풀리에는, 회전축을 구동하는 풀리와 연결되는 풀리를 가지는 동력 모터와; 상기 동력 모터에 형성된 동력축에는, 풀리에 벨트로 연결되어 케이블의 장력에 따라 동력 모터를 구동하는 장력 컨트롤 장치와; 상기 케이블 릴 전면으로는 유압실린더의 유압봉과 연겨된 작동판이 가이드 롤러에 고정되어 가이드 롤러와 작동판을 수평 프레임에 고정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유압 실린더의 동작으로 가이드 롤러가 회전하는 선박용 전원공급 케이블 릴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선박의 육상전원공급설비가 선박 또는 육상에 단일 케이블 릴 장치를 설치하여 일방향 연결을 수행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육상 전원공급 위치와 선박의 정박 위치가 케이블 릴 장치의 길이보다 길어지면 케이블의 연결을 수행할 수 없어 보조 케이블 릴 장치가 필요하거나, 선박의 정박 위치를 조정하는 등 육상전원연결의 편의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케이블 연결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육상전원공급설비에서 선박의 정박위치까지 케이블을 지지하여 연결시키는 붐대 구조물을 주로 사용하는데, 붐대가 선박의 위치로 전진되거나, 붐대를 이용해 케이블을 연결한 상황에서 선박의 움직임에 의해 붐대와 선박이 서로 충돌할 수 있고, 붐대와 선박의 충돌을 감지하여 경보를 울릴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충돌에 의한 심각한 파손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육상전원공급설비의 케이블 릴 장치가 전원공급, 통신 등의 용도로 다수의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다수의 케이블 중 사용하지 않는 케이블의 동작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케이블의 잘못된 사용으로 안전사고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실용신안공보 제20-0430864호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박의 육상전원공급설비의 육상연결케이블릴과 선박연결케이블릴을 서로 개별적으로 각각 작동되게 구성하고,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과 선박연결케이블릴을 로터리 커넥터를 이용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여 선박의 정박위치 및 육상전원부의 위치에 상관없이 육상전원연결을 육상연결케이블릴 및 선박연결케이블릴을 이용해 각각 간편하게 수행하면서 케이블 연결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육상전원공급설비의 선박연결케이블릴을 연결되게 하는 붐대에 충돌감지 구조를 적용시켜 붐대가 선박의 위치로 전진되거나 선박이 제자리에서 움직이는 상황에서 붐대에 근접한 대상을 감지한 후 경보를 울려 충돌 전에 알림 기능을 충돌에 의한 심각한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육상전원공급설비의 케이블 릴 장치가 다수의 케이블을 각각 권취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다수이 케이블 중 사용하지 않는 케이블의 비정상적인 작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 수단을 적용시켜 사용하지 않는 케이블의 잘못된 사용에 의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케이블 릴 부재 및 붐대를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에 설치되는데, 육상전원연결을 위한 육상연결케이블릴 및 선박전원연결을 위한 선박연결케이블릴을 이용해 선박에 대한 육상전원공급을 수행하며,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과 선박연결케이블릴은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를 통해 각각 개별적 회전작동하고, 상기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 사이로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과 선박연결케이블릴이 각각 개별적 회전작동하면서 상호 전기접속되게 하는 로터리커넥터가 마련된 케이블 릴 부재와;
상기 선박연결케이블릴이 감기거나 풀리는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선박연결케이블릴의 제2커넥터를 목적한 위치로 이동시켜 지지되게 하는 붐대와;
상기 케이블 릴 부재의 육상전원공급을 제어하는데, 상기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를 각각 개별적 작동시키면서 정박중인 선박의 부유 높이에 따라 상기 선박에 연결된 선박연결케이블릴의 장력 조절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육상전원공급설비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육상연결케이블릴과 선박연결케이블릴이 각각 개별적 작동하면서 로터리 커넥터에 의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됨에 따라 선박의 정박위치 및 육상전원부의 위치에 상관없이 육상전원연결을 간편하게 수행하여 케이블 연결작업에 대한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박케이블의 붐대가 선박의 위치로 전진되거나 선박이 제자리에서 움직이는 상황에서 붐대에 근접한 대상을 감지하여 경보를 울려 충돌전 알림을 수행함에 따라 충돌에 의한 심각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블 릴 장치의 다수의 케이블 중 사용하지 않는 케이블의 비정상적인 작동을 감지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 케이블의 잘못된 사용에 의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육상전원공급설비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육상전원공급설비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로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육상전원공급설비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육상전원공급설비의 사시도, 도 2는 육상전원공급설비의 측면도, 도 3은 육상전원공급설비 중 붐대의 요부 확대도(전면, 측면), 도 4는 육상전원공급설비 중 케이블 릴 부재의 도면이다.
이에 따른 선박용 육상전원공급설비(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본체 부재(100); 육상연결케이블릴(210) 및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을 이용해 육상전원공급을 수행하는 케이블 릴 부재(200);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의 제2커넥터(222)를 목적한 위치로 이동시켜 지지되게 하는 붐대(300); 선박의 부유 높이에 따라 상기 선박에 연결된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의 장력 조절을 수행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선박용 육상전원공급설비(1)의 세부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본체 부재(100)는;
케이블 릴 부재(200) 및 붐대(300)를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 부재(100)는, 차륜 굴림을 이용해 목적한 위치로 장롭게 이동이 가능한 차량부(110a); 및
차량의 견인력을 통해 목적한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견인부(110b);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차량부(110a)는, 차륜이 마련되고, 케이블 릴 부재(200), 붐대(300), 제어부(400)을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으로 제작되며, 상기 차량부(110a)는 견인부(110b)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차륜을 굴리기 위한 원동기의 동력원으로 내연기관, 전동기관 중에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고, 상기 동력원이 내연기관, 전동기관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차량부(110a)를 목적한 방향으로 운전하여 이동하기 위한 운전석이 마련됨이 바람직하며, 상황에 따라 운전석 대신 원격조종, 자율주행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견인부(110b)는, 내연기관, 전동기관으로 이루어진 원동기의 동력을 갖는 별도의 차량에 상기 차량부(110a)를 연결되게 하면서 상기 별도 차량의 동력에 의한 견인력을 이용해 상기 차량부(110a)의 차륜을 굴려 목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이때, 상기 견인부(110b)는 차량에 탈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견인 고리이며, 차량에 마련된 견인 고리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적용시킬 수 있고, 상기 차량부(110a)를 자체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이 없거나 견인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 견인부(110b)를 선택적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릴 부재(200)는;
상기 본체 부재(100)에 설치되는데, 육상전원연결을 위한 육상연결케이블릴(210) 및 선박전원연결을 위한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을 이용해 선박에 대한 육상전원공급을 수행하며,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과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은 제1구동부(232) 및 제2구동부(234)를 통해 각각 개별적 회전작동하고, 상기 제1구동부(232)와 제2구동부(234) 사이로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과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이 각각 개별적 회전작동하면서 상호 전기접속되게 하는 로터리커넥터(230)가 마련되며,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과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의 전기접속 및 이들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케이블 릴 부재(200)는, 육상의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육상 전원을 공급되게 하는 육상연결케이블릴(210); 및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에 로터리커넥터(230)를 통해 전기접속되어 육상 전원이 공급되는데, 선박의 전원부에 연결되어 육상 전원을 선박에 공급되게 하는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은, 본체 부재(100)의 상부 일측에 제1구동부(232)를 통해 개별적으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마련되는데,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은 육상의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되게 하는 제1케이블(211)이 감기는 공간을 제공하는 원통체로 제작되며,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의 원통체 외주에는 하나 이상이 제1케이블(211)이 감길 수 있는 공간이 각각 구획되어 마련되면서 다수의 제1케이블(211)을 각각 통신선, 전원선 등의 용도로 사용되게 하고, 상기 제1케이블(211)이 감기는 끝단에는 육상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는 제1커넥터(212)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은 제1구동부(232)의 제1주축(232a)에 축 결합되면서 상기 제1구동부(232)의 동력으로 개별적 회전작동하고, 이를 통해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이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의 작동에 상관없이 제1케이블(211)을 풀거나 감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은,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의 대향 측으로 상부에 제2구동부(234)를 통해 개별적으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마련되는데, 상기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은 선박에 연결되어 육상의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전기를 공급시키기 위한 제2케이블(221)이 감기는 공간을 제공하는 원통체로 제작되며, 상기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의 원통체 외주에는 하나 이상의 제2케이블(221)이 감길 수 있는 공간이 각각 구획되어 마련되면서 다수의 제2케이블(221)을 각각 통신선, 전원선 등의 용도로 사용되게 하고, 상기 제2케이블(221)이 감기는 끝단에는 선박의 전원 공급 측에 연결되는 제2커넥터(222)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은 제2구동부(234)의 제2주축(234a)에 축 결합되면서 상기 제2구동부(234)의 동력으로 개별적 회전작동하고, 이를 통해 상기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이 육상연결케이블릴(210)의 작동에 상관없이 제2케이블(221)을 풀거나 감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 릴 부재(200)는, 상기 제1구동부(232)와 제2구동부(234) 사이로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 및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의 회전작동 중 꼬임을 방지하면서 상호 전기접속되게 하는 로터리커넥터(230);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로터리커넥터(230)는 본체 부재(100)의 상부로 육상연결케이블릴(210)과 선박연결케이블릴(2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 및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을 각각 축 결합시켜 개별적 회전작동되게 하면서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과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을 상호 전기접속시켜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과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이 각각 개별 회전 중에 케이블의 꼬임 없이 전기공급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로터리커넥터(230)는, 제1구동부(232)의 제1주축(232a) 및 제2구동부(234)의 제2주축(234a)이 관통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제1구동부(232) 및 제2구동부(234)를 개별 회전되게 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케이싱(231);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을 제1주축(232a)을 이용해 제1베어링하우징(232c)에 축 결합시켜 개별적 회전작동되게 하는데, 상기 제1주축(232a)의 내부에는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의 제1케이블(211)이 회전작동에 간섭이 없도록 삽입되게 하는 제1통홀(232b)이 형성된 제1구동부(232);
상기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을 제2주축(234a)을 이용해 제2베어링하우징(234c)에 축 결합시켜 개별적 회전작동되게 하는데, 상기 제2주축(234a)의 내부에는 상기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의 제2케이블(221)이 회전작동에 간섭이 없도록 삽입되게 하는 제2통홀(234b)이 형성된 제2구동부(234);
상기 제1주축(232a)을 통해 삽입된 제1케이블(211)이 전기접속되는 고정자(235); 및
상기 제2주축(234a)을 통해 삽입된 제2케이블(221)이 전기접속되는데, 상기 제2주축(234a)에 연결되면서 상기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의 회전에 대응하여 동일 회전을 수행하고, 상기 회전하는 둘레면으로 상기 고정자(235)가 전기가 통하게 면 접촉되면서 상기 제1케이블(211)과 제2케이블(221)을 상호 전기 접속되게 하는 회전자(236);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케이싱(231)은, 육상연결케이블릴(210)과 선박연결케이블릴(220) 사이에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함체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케이싱(231)은 본체 부재(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싱(231)의 양측에는 육상연결케이블릴(210)과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이 제1구동부(232) 및 제2구동부(234)를 통해 축 결합되도록 축 연결 부분이 마련되는데, 상기 제1구동부(232)의 제1주축(232a) 및 제2구동부(234)의 제2주축(234a) 일부가 상기 케이싱(231)의 내부로 관통삽입되어 지지된다.
이때, 상기 케이싱(231)의 내부로 제1주축(232a) 및 제2주축(234a)이 관통 삽입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제1주축(232a) 및 제2주축(234a)이 제자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232)는, 육상연결케이블릴(210)이 축 결합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을 제자리 회전시키기 위한 제1주축(232a)이 마련되고, 상기 제1주축(232a)은 내부에 관통구멍인 제1통홀(232b)이 형성된 원통 축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제1주축(232a)의 일단은 육상연결케이블릴(210)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케이싱(231)의 측방향으로 일부 관통삽입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제1통홀(232b)을 통해 제1케이블(211)이 상기 케이싱(231)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자(235)와 전기연결을 수행되게 한다.
상기 제1주축(232a)의 하부에는 상기 제1주축(232a)을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1베어링하우징(232c)이 마련되는데, 상기 제1베어링하우징(232c)은 상기 제1주축(232a)이 관통삽입되면서 지지된 부분에 복수의 베어링이 마련된 프레임으로 제작되며, 상기 제1베어링하우징(232c)을 통해 상기 제1구동부(232)가 본체 부재(100)에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어링하우징(232c)의 하부에는 상기 제1주축(232a)에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모터(232d)가 결합되고, 상기 제1모터(232d)는 상기 제1주축(232a)에 벨트, 체인 방식으로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1모터(232d)는 제어부(400)의 제어기반에서 상기 제1주축(232a)에 회전동력을 전달시켜 상기 제1주축(232a)에 의해 개별적 회전작동하는 육상연결케이블릴(210)을 효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제1모터(232d)의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1주축(232a)에는 벨트, 체인을 연결하기 위한 풀리, 스프로킷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234)는,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이 축 결합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을 제자리 회전시키기 위한 제2주축(234a)이 마련되고, 상기 제2주축(234a)은 내부에 관통구멍인 제2통홀(234b)이 형성된 원통 축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제2주축(234a)의 일단을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케이싱(231)의 측방향으로 일부 관통삽입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제2통홀(234b)을 통해 제2케이블(221)이 상기 케이싱(231)의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자(236)와 전기연결을 수행되게 하고, 상기 제2주축(234a)이 케이싱(231)에 삽입된 부분으로 상기 회전자(236)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자(236)를 제2주축(234a)의 회전에 대응하여 동일 회전을 수행되게 한다.
상기 제2주축(234a)의 하부에는 상기 제2주축(234a)을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2베어링하우징(234c)이 마련되는데, 상기 제2베어링하우징(234c)은 상기 제2주축(234a)이 관통삽입되면서 지지된 부분에 복수의 베어링이 마련된 프레임으로 제작되며, 상기 제2베어링하우징(234c)을 통해 상기 제2구동부(234)가 본체 부재(100)에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어링하우징(234c)의 하부에는 상기 제2주축(234a)에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모터(234d)가 결합되고, 상기 제2모터(234d)는 상기 제2주축(234a)에 벨트, 체인 방식으로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2모터(234d)는 제어부(400)의 제어기반에서 상기 제2주축(234a)에 회전동력을 전달시켜 상기 제2주축(234a)에 의해 개별적 회전작동하는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을 선박의 높이에 따라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모터(234d)의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2주축(234a)에는 벨트, 체인을 연결하기 위한 풀리, 스프로킷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자(235)는, 상기 케이싱(231)의 내부에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자(235)는 회전자(236)의 둘레면에 면 접촉되어 전기 통하게 하는 제1단자(235a)가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에서 사용되는 제1케이블(211)의 수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제1단자(235a)의 하부로 상기 제1케이블(211)이 전기접속되며, 상기 다수의 제1단자(235a)는 서로 임의 간격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회전자(236)는, 상기 고정자(235)의 제1단자(235a)가 위치된 측에 대응하여 제2단자(236a)가 하나 이상 마련되는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단자(236a)는 서로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에 의해 임의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자(236)의 측단으로 상기 제2주축(234a)이 축 결합되면서 상기 제2주축(234a)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2단자(236a)가 동일한 회전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단자(236a)에는 상기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의 제2케이블(221)이 전기접속되고, 상기 제2단자(236a)의 둘레면에는 상기 고정자(235)가 전기가 통하도록 면 접촉되어 상기 제2주축(234a)의 회전에 의해 회전자(236)가 회전작동하는 중에 상기 제1케이블(211)과 제2케이블(221)이 상호 전기접속되면서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을 통해 선박연결케이블릴(220)로 육상 전원 공급부의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특징적으로 상기 제1구동부(232) 및 제2구동부(234)를 통해 육상연결케이블릴(210)과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이 서로 개별적으로 각각 작동되고,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과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이 로터리커넥터(230)를 이용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선박의 정박위치 및 육상전원부이 위치에 상관없이 육상전원연결을 간편하게 수행하고, 케이블의 연결작업에 대한 편의성이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붐대(300)는;
상기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이 감기거나 풀리는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의 제2커넥터(222)를 목적한 위치로 이동시켜 지지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붐대(300)는, 다수의 빔(311)이 순차적으로 중첩되어 삽입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빔(311)이 순차적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목적한 방향으로 제2커넥터(222)를 위치시키는 붐(3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붐(310)은 다수의 빔(311)이 순차적으로 중첩되어 삽입된 형태로 본체 부재(100)의 상부로 선박연결케이블릴(22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붐(310)은 상기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의 제2케이블(221)이 지지되면서 상기 다수의 빔(311)을 이용해 상기 제2케이블(221)의 선단에 마련된 제2커넥터(222)를 선박의 위치로 이동시켜 지지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다수의 빔(311)의 늘어나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제2케이블(221)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붐(310)은 수평방향의 회전작동 및 상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다수의 빔(311)을 늘리거나 줄이기 위해 전동모터가 마련되며, 상기 붐(310)의 상하 각도 조절은 실린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붐대(300)는, 붐(310)의 앞부분에 마련되는데, 상기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의 제2커넥터(222)가 지지되며, 상기 붐(310)의 앞부분에 근접하는 대상을 감지하고, 특정 거리까지 근접하면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제1감지부(321)가 마련된 헤드부(3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320)는 상기 제2커넥터(222)와 제2케이블(221)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의 프레임으로 제작되는데, 상기 헤드부(320)는 상기 붐(310)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빔(311)을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작동에 대응하여 선박에 근접할 수 있고, 상기 헤드부(320)의 전면부 일측에 근접 대상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321)가 마련되면서 상기 붐이 선박에 특정 거리까지 근접하면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00)에 제공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400)에 제공된 제1감지부(321)의 감지신호를 이용해 붐대(300)의 충돌전 경보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이때, 상기 제1감지부(321)는 감지 기능의 제1센서(321a), 상기 제1센서(321a)를 지지하는 브래킷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센서(321a)를 이용해 근접 대상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면서 특정 거리의 거리값을 제공할 수도 있고, 상기 제1센서(321a)는 포토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특징적으로 상기 헤드부(320)를 통해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의 제2커넥터(222)를 선박에 연결시키기 위해 붐대(300)가 이동하는 상황에서 선박 등의 의도치 않은 움직임에 의해 상기 헤드부(320)에 선박의 구조물 등이 특정 거리까지 헤드부(320)에 근접하면 즉시 상기 제1감지부(321)가 감지한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00)에 제공하면서 경보를 수행함에 따라 상기 붐대(300)가 충돌 전에 미리 알릴 수 있어 붐대(300)의 충돌에 의한 선박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붐대(300)는, 제2감지부(340)의 감지핀(341)에 연결되는 링크핀(331)이 마련되고,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의 제2커넥터(222)가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마개(333)를 갖는데, 상기 고정마개(333)는 상기 링크핀(331)에 카라비너(332)를 이용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커넥터(222)를 상기 링크핀(331)에 지지되게 하는 지지부(330); 및
상기 지지부(330)가 연결되는 감지핀(341)이 마련되는데, 상기 감지핀(341)은 상하 이동가능하며 스프링(342)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 이동된 상태로 지지되고, 상기 제2커넥터(222)가 당겨지는 힘에 의해 상기 감지핀(341)이 하강하면, 상기 하강된 감지핀(341)을 제2센서(343)가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공하는 제2감지부(340);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지지부(330)는, 제2감지부(340)의 감지핀(341)이 나선결합으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핀(331)이 구비되고, 상기 링크핀(331)은 헤드부(320)에 결합된 제2감지부(340)의 감지핀(341)에 연결되면서 상기 헤드부(320)의 하부에 지지부(330)를 결합되게 하며, 상기 링크핀(331)의 하부에는 카라비너(332)를 연결시키기 위한 링이 마련된다.
상기 링크핀(331)의 하부에는 고정마개(333)를 갖는 카라비너(332)가 상기 링크핀(331)의 하부 링에 탈착되게 연결되는데, 상기 카라비너(332)는 링 형태로 필요에 따라 링의 일부를 개방시켜 상기 링크핀(331)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상기 카라비너(332)에는 고정마개(333)가 연결된다.
상기 고정마개(333)는 제2케이블(221)의 제2커넥터(222) 끝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케이블(221)을 지지부(330)에 지지되게 하며, 상기 고정마개(333)는 상기 제2커넥터(222)에 탈착 가능하게 일면이 개구된 마개로 제작되고, 상기 고정마개(333)에서 제2커넥터(222)를 분리하면 상기 제2커넥터(222)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감지부(340)는, 헤드부(320)의 하부 내측에 상기 지지부(330)가 지지돌 수 있게 결합되는데, 상기 제2감지부(340)는 상기 헤드부(320)의 하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브래킷을 통해 결합되는 감지핀(341)이 구비되고, 상기 감지핀(341)은 상부에 머리를 갖는 볼트 형의 핀으로 제작되어 상기 링크핀(331)이 나선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하고, 상기 감지핀(341)과 헤드부(320)의 하부 브래킷 사이로 스프링(342)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감지핀(341)이 상향 이동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감지핀(341)의 하부에 링크핀(331)이 연결됨으로 사용하지 않는 제2케이블(221)의 제2커넥터(222)가 의도치 않게 당겨지면 상기 감지핀(341)이 제2커넥터(222)의 당겨지는 힘에 의해 링크핀(331)을 따라 하강할 수 있고, 상기 링크핀(331)의 하강 위치로 이를 감지하기 위한 제2센서(343)가 구비된다.
상기 제2센서(343)는 상기 감지핀(341)이 하강되는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브래킷을 통해 결합되며, 상기 제2센서(343)는 바람직하게 감지핀(341)의 머리 부분을 감지하는데, 상기 감지핀(341)이 제2커넥터(222)의 당겨지는 힘에 하강하면 상기 감지핀(341)의 머리 부분이 근접하면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00)에 제공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센서(343)는 근접센서를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센서(343)를 통해 감지핀(341)이 하강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감지신호는 제어부(400)에 제공되면서 경고등, 소리 등으로 경보표시하고. 다수의 제2케이블(221) 중 사용하지 않는 제2케이블(221)의 의도치 않은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특징적으로 상기 제2감지부(340)를 통해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의 다수의 제2케이블(221) 중에 예를 들어 전기공급만 수행하거나, 통신회선만 사용하는 경우 사용하지 않는 제2케이블(221)은 상기 지지부(330)의 고정마개(333)를 통해 고정시켜 지지하는데, 의도치 않게 사용하지 않는 제2케이블(221)을 당길 경우 상기 제2감지부(340)의 제2센서(343)가 이를 감지하여 비정상적인 작동을 제어부(400)에서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케이블(221)의 잘못된 사용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케이블 릴 부재(200)의 육상전원공급을 제어하는데, 상기 제1구동부(232) 및 제2구동부(234)를 각각 개별적 작동시키면서 정박중인 선박의 부유 높이에 따라 상기 선박에 연결된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의 장력 조절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0)는; PLC 유닛,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등의 제어환경에서 육상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반이며, 상기 제어부(400)에는 입출력장치, 저장장치가 마련될 수 있고, 입력장치를 통해 육상전원공급에 대한 각종 설정값을 입력 저장시켜 저장된 설정값과 제공되는 신호들을 비교 판단하여 선박의 육상전원공급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처리하록 하며, 출력장치를 통해 각종 경보 육상전원공급 상황을 표시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제1구동부(232), 제2구동부(234), 제1감지부(321), 제2감지부(340), 붐대(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2구동부(234)의 제2주축(234a)의 회전 상태, 회전 토크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410)가 상기 제2구동부(234) 측으로 마련되며, 상기 감지기(410)는 상기 제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기(410)를 통해 감지한 제2주축(234a)의 회전수에 대한 감지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감지기(410)를 통해 상기 제2주축(234a)의 회전상태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제어부(400)에서 육상전원공급을 위한 제2케이블(221)이 감기거나 풀린 길이를 감지하면서 육상전원공급을 원활하게 수행되게 하고, 상기 감지기(410)를 통해 상기 제2주축(234a)의 회전 토크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제어부(400)에서 제2케이블(221)의 장력 정도를 감지하여 선박의 움직임 등에 의해 상기 제2케이블(221)의 장력이 변하면 상기 제2구동부(234)를 자동 작동시켜 설정값의 장력으로 자동 유지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육상전원공급설비 100; 본체 부재
110a,110b; 차량부, 견인부 200; 케이블 릴 부재
210; 육상연결케이블릴 220; 선박연결케이블릴
230; 로터리커넥터 300; 붐대
310; 붐 320; 헤드부
330; 지지부 340; 제2감지부

Claims (5)

  1. 케이블 릴 부재(200) 및 붐대(300)를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본체 부재(100)와;
    상기 본체 부재(100)에 설치되는데, 육상전원연결을 위한 육상연결케이블릴(210) 및 선박전원연결을 위한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을 이용해 선박에 대한 육상전원공급을 수행하며,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과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은 제1구동부(232) 및 제2구동부(234)를 통해 각각 개별적 회전작동하고, 상기 제1구동부(232)와 제2구동부(234) 사이로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과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이 각각 개별적 회전작동하면서 상호 전기접속되게 하는 로터리커넥터(230)가 마련된 케이블 릴 부재(200)와;
    상기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이 감기거나 풀리는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의 제2커넥터(222)를 목적한 위치로 이동시켜 지지되게 하는 붐대(300)와;
    상기 케이블 릴 부재(200)의 육상전원공급을 제어하는데, 상기 제1구동부(232) 및 제2구동부(234)를 각각 개별적 작동시키면서 정박중인 선박의 부유 높이에 따라 상기 선박에 연결된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의 장력 조절을 수행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블 릴 부재(200)는 상기 제1구동부(232)와 제2구동부(234) 사이로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 및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의 회전작동 중 꼬임을 방지하면서 상호 전기접속되게 하는 로터리커넥터(2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터리커넥터(230)는 제1구동부(232)의 제1주축(232a) 및 제2구동부(234)의 제2주축(234a)이 관통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제1구동부(232) 및 제2구동부(234)를 개별 회전되게 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케이싱(231);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을 제1주축(232a)을 이용해 제1베어링하우징(232c)에 축 결합시켜 개별적 회전작동되게 하는데, 상기 제1주축(232a)의 내부에는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의 제1케이블(211)이 회전작동에 간섭이 없도록 삽입되게 하는 제1통홀(232b)이 형성된 제1구동부(232);
    상기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을 제2주축(234a)을 이용해 제2베어링하우징(234c)에 축 결합시켜 개별적 회전작동되게 하는데, 상기 제2주축(234a)의 내부에는 상기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의 제2케이블(221)이 회전작동에 간섭이 없도록 삽입되게 하는 제2통홀(234b)이 형성된 제2구동부(234);
    상기 제1주축(232a)을 통해 삽입된 제1케이블(211)이 전기접속되는 고정자(235); 및
    상기 제2주축(234a)을 통해 삽입된 제2케이블(221)이 전기접속되는데, 상기 제2주축(234a)에 연결되면서 상기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의 회전에 대응하여 동일 회전을 수행하고, 상기 회전하는 둘레면으로 상기 고정자(235)가 전기가 통하게 면 접촉되면서 상기 제1케이블(211)과 제2케이블(221)을 상호 전기 접속되게 하는 회전자(236);를 더 포함한 선박용 육상전원공급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재(100)는 차륜 굴림을 이용해 목적한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한 차량부(110a); 및
    차량의 견인력을 통해 목적한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견인부(110b);를 더 포함한 선박용 육상전원공급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릴 부재(200)는 육상의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육상 전원을 공급되게 하는 육상연결케이블릴(210); 및
    상기 육상연결케이블릴(210)에 로터리커넥터(230)를 통해 전기접속되어 육상 전원이 공급되는데, 선박의 전원부에 연결되어 육상 전원을 선박에 공급되게 하는 선박연결케이블릴(220);을 더 포함한 선박용 육상전원공급설비.
  4. 삭제
  5. 삭제
KR1020210010245A 2021-01-25 2021-01-25 선박용 육상전원공급설비 KR102293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245A KR102293321B1 (ko) 2021-01-25 2021-01-25 선박용 육상전원공급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245A KR102293321B1 (ko) 2021-01-25 2021-01-25 선박용 육상전원공급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321B1 true KR102293321B1 (ko) 2021-08-24

Family

ID=77506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245A KR102293321B1 (ko) 2021-01-25 2021-01-25 선박용 육상전원공급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3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597B1 (ko) * 2022-12-05 2023-06-23 이재훈 전원공급 케이블 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864Y1 (ko) 2006-07-14 2006-11-13 주식회사 정아마린 선박용 전원공급 케이블 릴 장치
KR101919250B1 (ko) * 2017-09-27 2018-11-15 주식회사 코릴 이동형 항만대체전력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864Y1 (ko) 2006-07-14 2006-11-13 주식회사 정아마린 선박용 전원공급 케이블 릴 장치
KR101919250B1 (ko) * 2017-09-27 2018-11-15 주식회사 코릴 이동형 항만대체전력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597B1 (ko) * 2022-12-05 2023-06-23 이재훈 전원공급 케이블 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5912B2 (en) Reel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linear material slack
CN101177229B (zh) 排多层流线型拖缆的智能拖曳绞车
KR102293321B1 (ko) 선박용 육상전원공급설비
US11181091B2 (en) Wave energy conversion system and a method for generating electrical power from a wave energy
JP2013023324A (ja) コード収容装置
US8495963B2 (en) Shallow water anchor
CN113701726B (zh) 一种带有海水监测功能的漂浮式海洋测绘装置
AU2013242793B1 (en) Motor operated spool
PL182479B1 (pl) Sposób i urządzenie do sterowania zwijaniem i rozwijaniem kabla w pojeździe z napędem elektrycznym
CN1692055A (zh) 船只的充气浮动装置
CN105059487B (zh) 一种水上无人装置
CN110715591A (zh) 一种跳板到码头距离的测量装置及方法
KR20100003973U (ko) Ac모터를 장착한 굴삭기용 배선장치
CN205931306U (zh) 无人机的供电控制系统
JP3117566U (ja) 位置精度向上標識ブイ
JP2007528464A (ja) 風力発電装置
CN110617150A (zh) 小型风冷柴油机油门智能稳压控制系统
CN113666205B (zh) 一种船舶用岸电电缆卷车
KR101191248B1 (ko)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EP1985575A1 (en) Winch and assembly of such a winch with a storage drum and/or an endless rope
CN215764645U (zh) 用于管道的水下探测装置
JP5466896B2 (ja) 陸上電源給電用ケーブルリール
JP4088691B2 (ja) 水底敷設ケーブルのウインチ装置
CN201864008U (zh) 小艇充气式扶正装置的自动控制器
CN106476990A (zh) 一种用于空气动力艇的停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