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248B1 -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1248B1 KR101191248B1 KR1020120076061A KR20120076061A KR101191248B1 KR 101191248 B1 KR101191248 B1 KR 101191248B1 KR 1020120076061 A KR1020120076061 A KR 1020120076061A KR 20120076061 A KR20120076061 A KR 20120076061A KR 101191248 B1 KR101191248 B1 KR 1011912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vertical body
- power supply
- ship
- vess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B63J2003/043—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using shore connectors for electric power supply from shore-borne mains, or other electric energy sources external to the vessel, e.g. for docked, or moored vess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는 설치되는 받침대(110)와; 상기 받침대(110)의 상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수직몸체(120)와; 상기 수직몸체(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30)와; 상기 수직몸체(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지지대(140)와; 상기 지지대(140)의 일측에 설치되어 육상에서 공급되는 전원케이블(A)을 감거나 풀어서 이동시키기 위한 풀리부재(150)와; 선박(B)의 높이 또는 위치에 따라서 변경되는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상기 풀리부재(150)를 작동시키기 위한 감지부재(160)가 포함되는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육상에서 선박으로 전원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에서 선박의 높이 및 위치가 변화될 경우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전원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는 보상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의 높이 및 위치에 따라서 전원케이블의 연결방향 및 각도를 조절하여 전원 공급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전원케이블이 분리 또는 절손현상을 최소화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수간만의 차이 또는 기상변화로 달라지는 선박의 높이 및 위치에 따라서 전원케이블을 자동으로 풀어주거나 감아주는 보상기능을 수행하여 전원을 안정적으로 선박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용 전원공급장치는 육상에서 외부 전원을 선박에 설치된 전원공급부에 연결하여 선박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12248호(2006.03.23), 제0430864호(2006.11.13), 제0451326호(2010.12.09)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조수간만의 차이 또는 기상변화로 해수위가 달라지면서 선박의 높이 및 위치가 변화될 경우 전원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는 보상기능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를 갖게 되었다.
또한, 선박의 높이 및 위치에 따라서 전원케이블의 연결방향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전원 공급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아울러 종래에는 선박의 높이 및 위치가 변화되면서 전원케이블이 쉽게 분리되거나 절손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조수간만의 차이 또는 기상변화로 해수위가 달라지면서 선박의 높이 및 위치가 변화될 경우 전원케이블을 자동으로 감거나 풀어주는 보상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는,
지면에는 설치되는 받침대(110)와; 상기 받침대(110)의 상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수직몸체(120)와; 상기 수직몸체(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30)와; 상기 수직몸체(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지지대(140)와; 상기 지지대(140)의 일측에 설치되어 육상에서 공급되는 전원케이블(A)을 감거나 풀어서 이동시키기 위한 풀리부재(150)와; 선박(B)의 높이 또는 위치에 따라서 변경되는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상기 풀리부재(150)를 작동시키기 위한 감지부재(16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몸체(120)의 하부 일측에는 케이블 릴(122)이 설치되어 육상에서 공급되는 전원케이블(A)이 감긴 상태로 상기 풀리부재(150)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130)는 상기 받침대(110)의 상단에 고정되는 제1기어(131)와; 상기 수직몸체(120)의 하단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32)와; 상기 구동모터(132)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상기 제1기어(131)와 맞물려 회전시키기 위한 제2기어(1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지지대(140)의 선단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지지대(141)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140)와 보조지지대(141)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보조지지대(14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14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직몸체(120)의 상단에는 힌지축(12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140)는 상기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상기 수직몸체(120)와 지지대(140)의 사이에는 회동실린더(143)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14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지지대(140)의 일측에는 윈치(144)가 설치되고, 상기 윈치(144)의 하부에는 상기 풀리부재(1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감지부재(160)는 선박(B)의 일측에 탈착되는 고정구(162)가 끝단에 설치되는 와이어(161)가 선박(B)의 위치 및 높이에 따라서 감기거나 풀리는 이동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와이어 엔코더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40)의 일측에는 선박(B)의 이동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풀리부재(150)를 작동시키기 위한 감지센서(17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육상에서 선박으로 전원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에서 선박의 높이 및 위치가 변화될 경우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전원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는 보상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의 높이 및 위치에 따라서 전원케이블의 연결방향 및 각도를 조절하여 전원 공급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전원케이블이 분리 또는 절손현상을 최소화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는 설치되는 받침대(110)와; 상기 받침대(110)의 상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수직몸체(120)와; 상기 수직몸체(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30)와; 상기 수직몸체(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지지대(140)와; 상기 지지대(140)의 일측에 설치되어 육상에서 공급되는 전원케이블(A)을 감거나 풀어서 이동시키기 위한 풀리부재(150)와; 선박(B)의 높이 또는 위치에 따라서 변경되는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상기 풀리부재(150)를 작동시키기 위한 감지부재(160)가 포함된다.
상기 받침대(110)는 부두와 같은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상기 수직몸체(1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직몸체(120)는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좌우방향으로 회전하여 선박(B)의 높이 또는 위치에 따라서 전원케이블(A)을 선박(B)의 전원공급부(C)에 연결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수직몸체(120)의 하부 일측에는 케이블 릴(122)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육상에서 공급되는 전원케이블(A)이 감긴 상태로 상기 풀리부재(150)가 작동할 경우 회전하면서 전원케이블(A)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구동부재(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몸체(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는 상기 받침대(110)의 상단에 고정되는 제1기어(131)와; 상기 수직몸체(120)의 하단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32)와; 상기 구동모터(132)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상기 제1기어(131)와 맞물려 회전시키기 위한 제2기어(133)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132)의 작동으로 상기 제2기어(133)와 맞물려 있는 상기 제1기어(131)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상기 수직몸체(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40)는 상기 풀리부재(150)가 일측에 설치된 상태로 전원케이블(A)이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력을 확보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140)의 선단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지지대(141)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140)와 보조지지대(141)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보조지지대(14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142)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실린더(142)의 전진 또는 후진작동으로 상기 보조지지대(14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선박(B)의 위치에 따라서 전원케이블(A)이 전원공급부(C)와 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몸체(120)의 상단에는 힌지축(12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140)는 상기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상기 수직몸체(120)와 지지대(140)의 사이에는 회동실린더(143)가 설치되어 상기 회동실린더(143)의 전진 또는 후진작동으로 상기 지지대(14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대(140)의 일측에는 윈치(144)가 설치되고, 상기 윈치(144)의 하부에 상기 풀리부재(150)가 장착되므로 유지보수 또는 전원케이블(A)을 전원공급부(C)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윈치(144)의 작동으로 상기 풀리부재(150)와 전원케이블(A)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작업자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풀리부재(150)는 조수간만의 차이 또는 기상변화로 해수위가 달라지면서 선박의 높이 및 위치가 변화될 경우 전원케이블(A)을 감거나 풀어주어서 보상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풀리부재(150)의 일측에는 풀리모터(151)가 구비되어 회전방향에 따라서 전원케이블(A)을 감거나 풀어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감지부재(160)는 선박(B)의 높이 또는 위치에 따라서 변경되는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풀리부재(150)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보상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감지부재(160)는 선박(B)의 일측에 탈착되는 고정구(162)가 끝단에 설치되는 와이어(161)가 선박(B)의 위치 또는 높이에 따라서 감기거나 풀리는 이동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와이어 엔코더가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고정구(162)는 고리 또는 자석 등과 같이 선박(B)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들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박(B)의 일측에 상기 고정구(162)가 고정된 상태에서 선박(B)의 높이 및 위치가 변경될 경우 상기 와이어(161)가 풀리거나 감아지는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풀리부재(150)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보상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40)의 일측에는 선박(B)의 이동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풀리부재(150)를 작동시키기 위한 감지센서(170)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선박(B)의 위치를 측정하여 이동거리에 따라서 상기 풀리부재(15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감지센서(170)는 비전센서(Vision sensor)를 사용하였으나, 이와 달리 다양한 형태와 종류를 갖는 센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원케이블(A)이 선박(B)의 전원공급부(C)에 연결된 상태에서 조수간만의 차이 또는 기상변화로 선박의 높이 및 위치가 변화될 경우 상기 감지부재(160)의 작동으로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풀리부재(150)가 전원케이블(A)을 감거나 풀어주는 보상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본 발명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110: 받침대 111: 힌지축
120: 수직몸체 121: 힌지축
122: 케이블 릴 130: 구동부재
131: 제1기어 132: 구동모터
133: 제2기어
140: 지지대 141: 보조지지대
142: 실린더 143: 회동실린더
144: 윈치
150: 풀리부재 151: 풀리모터
160: 감지부재 161: 와이어
162: 고정구
170: 감지센서
A: 전원케이블 B: 선박
C: 전원 공급부
110: 받침대 111: 힌지축
120: 수직몸체 121: 힌지축
122: 케이블 릴 130: 구동부재
131: 제1기어 132: 구동모터
133: 제2기어
140: 지지대 141: 보조지지대
142: 실린더 143: 회동실린더
144: 윈치
150: 풀리부재 151: 풀리모터
160: 감지부재 161: 와이어
162: 고정구
170: 감지센서
A: 전원케이블 B: 선박
C: 전원 공급부
Claims (8)
- 지면에는 설치되는 받침대(110)와; 상기 받침대(110)의 상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수직몸체(120)와; 상기 수직몸체(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30)와; 상기 수직몸체(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지지대(140)와; 상기 지지대(140)의 선단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지지대(141)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140)와 보조지지대(141)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보조지지대(14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142)와; 상기 지지대(140) 또는 보조지지대(141)의 일측에 설치되어 육상에서 공급되는 전원케이블(A)을 감거나 풀어서 이동시키기 위한 풀리부재(150)와; 선박(B)의 높이 또는 위치에 따라서 변경되는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상기 풀리부재(150)를 작동시키기 위한 감지부재(16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몸체(120)의 하부 일측에는 케이블 릴(122)이 설치되어 육상에서 공급되는 전원케이블(A)이 감긴 상태로 상기 풀리부재(150)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130)는 상기 받침대(110)의 상단에 고정되는 제1기어(131)와; 상기 수직몸체(120)의 하단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32)와; 상기 구동모터(132)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상기 제1기어(131)와 맞물려 회전시키기 위한 제2기어(1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몸체(120)의 상단에는 힌지축(12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140)는 상기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상기 수직몸체(120)와 지지대(140)의 사이에는 회동실린더(143)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14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40)의 일측에는 윈치(144)가 설치되고, 상기 윈치(144)의 하부에는 상기 풀리부재(1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160)는 선박(B)의 일측에 탈착되는 고정구(162)가 끝단에 설치되는 와이어(161)가 선박(B)의 위치 또는 높이에 따라서 감기거나 풀리는 이동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와이어 엔코더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40)의 일측에는 선박(B)의 이동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풀리부재(150)를 작동시키기 위한 감지센서(17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6061A KR101191248B1 (ko) | 2012-07-12 | 2012-07-12 |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6061A KR101191248B1 (ko) | 2012-07-12 | 2012-07-12 |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91248B1 true KR101191248B1 (ko) | 2012-10-16 |
Family
ID=47288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6061A KR101191248B1 (ko) | 2012-07-12 | 2012-07-12 |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1248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7672A (ko) * | 2018-09-05 | 2020-03-13 |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 선박 육상전력공급케이블 지지장치 |
KR102107338B1 (ko) * | 2019-08-14 | 2020-05-12 | 주식회사 제이에스이엔지 | 디스펜서 타입 항만대체전력 시스템 |
KR102131035B1 (ko) * | 2019-07-16 | 2020-07-07 | 이강호 |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이송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0864Y1 (ko) | 2006-07-14 | 2006-11-13 | 주식회사 정아마린 | 선박용 전원공급 케이블 릴 장치 |
-
2012
- 2012-07-12 KR KR1020120076061A patent/KR1011912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0864Y1 (ko) | 2006-07-14 | 2006-11-13 | 주식회사 정아마린 | 선박용 전원공급 케이블 릴 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7672A (ko) * | 2018-09-05 | 2020-03-13 |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 선박 육상전력공급케이블 지지장치 |
KR102159582B1 (ko) | 2018-09-05 | 2020-09-24 |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 선박 육상전력공급케이블 지지장치 |
KR102131035B1 (ko) * | 2019-07-16 | 2020-07-07 | 이강호 | 디스펜서용 전원케이블 이송장치 |
KR102107338B1 (ko) * | 2019-08-14 | 2020-05-12 | 주식회사 제이에스이엔지 | 디스펜서 타입 항만대체전력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2516B1 (ko) | 지지와이어로부터 매달린 화물의 방위를 지지와이어를 중심으로 제어하는 방법과 윈치구조 | |
US9950910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the orientation of a load suspended from a bearing wire about said bearing wire and a winch arrangement | |
JP5895291B2 (ja) | 潮力発電所を設置する方法および装置 | |
CN104781181B (zh) | 用于组装结构的装置和方法 | |
EP2868914B1 (en) | Device and method of attaching and detaching blade for wind turbine | |
KR101191248B1 (ko) | 자동보상기능을 갖는 선박용 전원공급장치 | |
SG187118A1 (en) | Working system for floating structure, floating structure, working ship, and working method for floating structure | |
JPWO2009122754A1 (ja) | 発電装置 | |
US10330072B2 (en) | Power generating systems | |
BRPI0904566A2 (pt) | dispositivo e método para abaixar ou suspender uma carga na água | |
JP2015209022A (ja) | 要救助者揚収ウィンチ昇降方法及び昇降装置 | |
KR101436595B1 (ko) | 케이블 포설장치 | |
KR101804519B1 (ko) | 컬럼 이동장치 | |
CN201784791U (zh) | 多波束船舷便携式安装平台 | |
CN202030376U (zh) | 阀控排缆机构 | |
KR200481079Y1 (ko) |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용 케이블 모듈 | |
CN110104509A (zh) | 一种整体平推式变幅伸缩收放装置 | |
CN103847978A (zh) | 飞艇发放锚泊装置鼻栓总成 | |
CN104660955B (zh) | 水产养殖水下视频监控船 | |
KR101591955B1 (ko) | 회전방지형 지브크레인 | |
KR101798456B1 (ko) | 부하량에 따른 제어기능을 갖는 유압식 인양기 | |
JP3117566U (ja) | 位置精度向上標識ブイ | |
CN213387294U (zh) | 一种航标缆绳的自动收放器 | |
CN110424399B (zh) | 交通施工深基坑侧壁偏斜监测装置 | |
CN210802482U (zh) | 一种土建工程用建筑墙面垂直度检测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