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275Y1 - 양방향 래치해정 조립체 - Google Patents

양방향 래치해정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275Y1
KR200489275Y1 KR2020180001027U KR20180001027U KR200489275Y1 KR 200489275 Y1 KR200489275 Y1 KR 200489275Y1 KR 2020180001027 U KR2020180001027 U KR 2020180001027U KR 20180001027 U KR20180001027 U KR 20180001027U KR 200489275 Y1 KR200489275 Y1 KR 2004892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actuating
guide
link member
latch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강현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1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2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2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2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4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alternative use on the right-hand or left-hand side of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4Arrangements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s which engage one another are mounted respectively on the wing and the frame and are both movable, e.g. for release by moving either of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36Reversible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락에 적용되어 양방향으로 래치볼트의 해정이 가능한 양바향 래치해정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모티스 본체에 설치된 래치볼트를 해정하기 위한 래치해정 조립체로서, 상기 모티스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레버 작동체; 상기 레버 작동체의 일측 가이드 돌기와 일단이 맞닿고 타단은 상기 래치볼트와 연결되며 상기 모티스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레버; 및 상기 레버 작동체의 타측 가이드 돌기에 맞닿도록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영역과 상기 작동레버의 상기 일단과 맞닿은 작동단을 구비하고 상기 모티스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방향 래치해정 조립체{Latch bolt assembly for unlocking doorlock in both side}
본 고안은 래치해정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락 모티스에 적용되어 양방향으로 래치볼트의 해정이 가능한 양방향 래치해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은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측면으로 돌출 및 인입되는 래치볼트와 데드볼트의 인출여부에 따라 도어를 잠금 및 잠금해제하는 장치이다. 래치볼트는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잠금수단은 아니다. 이러한 래치볼트만의 불안전함을 해결하고자 래치볼트 및 데드 볼트에 의한 잠금 구조를 갖는 모티스(Mortise)기 채용된 도어락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디지털 도어락은 모터의 동력으로 데드 볼트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은 사용자가 도어 잠금을 잊더라도, 도어가 닫힌 후 모터의 동력을 통해 자동으로 데드 볼트를 잠금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다.
한편, 화재 등의 위급한 상황에서 도어를 신속히 밖으로 탈출해야 하는 경우 데드볼트를 별도로 해제하는 것이 신속히 도어를 열고 탈출하는데 방해가 되기 때문에 실내 레버의 조작만으로 래치볼트와 데드 볼트를 동시에 열리도록 한 소위 '안티패닉(Anti panic) 기능'이 탑재된 디지털 도어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에서는 래치볼트 또는 데드볼트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래치볼트 또는 데드볼트를 견인하는 작동수단이 오직 한 방향으로 회전해야만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를 잠금해제시키는 것이 대다수여서 도어의 위치가 좌수인지 우수인지에 따라서 실외 또는 실내 레버의 방향을 바꾸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는 푸쉬-풀(Push-pull) 형태의 도어락에서는 모티스와는 별도로 전환 구조체를 구비하여 장착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작동수단을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최종적으로는 일방향의 회전력으로 변환되어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새로운 작동구조를 갖는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선행문헌 1)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는 작동레버의 양방향 회전(즉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작동하중이 상이한 문제가 있었다. 즉 작동 링크들을 일측으로 밀어 올리는 방식으로 작동해정이 이루어지는 구조에서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에 따른 작동하중(즉, 래치볼트의 해정에 요구되는 힘)이 달라서 제품 신뢰성을 저하시키고 작동 효율면에서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01247호(공고일: 2013년 08월 28일)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래치볼트의 해정시 양방향 모두에서의 작동 하중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한 힘으로 양방향 래치 해정이 가능한 양방향 래치해정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모티스 본체에 설치된 래치볼트를 해정하기 위한 래치해정 조립체로서, 상기 모티스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레버 작동체; 상기 레버 작동체의 일측 가이드 돌기와 일단이 맞닿고 타단은 상기 래치볼트와 연결되며 상기 모티스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레버; 및 상기 레버 작동체의 타측 가이드 돌기에 맞닿도록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영역과 상기 작동레버의 상기 일단과 맞닿은 작동단을 구비하고 상기 모티스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양방향 래치해정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레버 작동체의 상기 복수의 가이드 돌기는 상기 레버 작동체의 두께방향에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레버 작동체의 일부에는 상기 레버 작동체의 회전시, 상기 링크부재의 상기 작동단 및 상기 작동레버의 상기 일단에 간섭되지 않는 홈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작동레버의 상기 일단에는 상기 링크부재의 상기 작동단이 맞닿는 제1 안내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안내면에서 연속되며 상기 작동레버의 상기 일단의 끝부분에 상기 제1 안내면보다 상대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제2 안내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버 작동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일측 가이드 돌기가 상기 작동레버의 상기 제2 안내면에 맞닿아 상기 작동레버를 선회시키고, 상기 레버 작동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타측 가이드 돌기가 상기 링크부재의 상기 돌출영역에 맞닿아 상기 링크부재를 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고, 상기 링크부재의 작동단이 상기 작동레버의 제1 안내면에 맞닿아 상기 작동레버를 선회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레버 작동체의 외주면에 복수의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고 이들 가이드 돌기가 각각 작동레버와 링크부재에 형성된 곡면을 따라 이동하여 작동됨으로써, 래치볼트의 해정시 양방향 모두에서의 작동 하중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한 힘으로 양방향 래치 해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래치해정 조립체가 적용된 모티스의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래치해정 조립체가 적용된 모티스의 내부 구성도,
도 2b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래치해정 조립체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래치해정 조립체의 부분 확대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레버 작동체가 작동레버를 선회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및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본 고안의 레버 작동체가 링크부재를 연동시켜 작동레버를 선회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모티스 본체(10)의 내부에는 잠금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데드볼트(12)와 문의 고정을 위한 래치볼트(20)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래치볼트(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링크부재(30)와 작동레버(40), 및 레버 작동체(50)가 모티스 본체(10)의 내부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모티스 본체(10)의 인출공(11)에는 래치볼트(20)가 출몰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래치볼트(20)는 말단에 지지 포스트(21)가 형성된다. 이 지지 포스트(21)는 작동 레버(40)의 제1 단부(40a)에 연결된다. 한편 래치볼트(20)는 모티스 본체(10)의 내부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작동레버(40)가 래치볼트(20)를 당겨서 모티스 본체(10)로 인입된 상태를 이루다가 작동레버(40)의 당기는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다시 인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작동레버(40)는 래치볼트(20)의 지지포스트(21)에 연결된 제1 단부(40a)와 레버 작동체(50)의 일측 가이드 돌기(52)와 맞닿는 제2 단부(40b)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단부(40a)와 제2 단부(40b) 사이에는 회전축(41)이 형성되며 이 회전축(41)은 모티스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작동레버(40)는 모티스 본체(10)에서 일정반경으로 선회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작동레버(40)의 제1 단부(40a)와 제2 단부(40b)는 대략 '∧'자 형상으로 회전축(41)을 기점으로 형성된다.
링크부재(30)는 선회점(32)을 기준으로 선단측에는 작동단(31)이 형성되고, 말단측에는 링크몸체(35)가 형성된다. 링크몸체(35)에는 내측으로 돌출영역(33)이 형성된다. 또한 링크부재(30)의 선회점(32)에는 볼트(13)가 체결되어 모티스 본체(10)의 내부에서 링크부재(30)는 일정각도로 선회가능하게 된다.
레버 작동체(50)는 외주면에 일측 가이드 돌기(52)와 타측 가이드 돌기(51)가 형성된다. 이때 일측 가이드 돌기(52)와 타측 가이드 돌기(51)는 레버 작동체(50)의 두께방향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며, 그의 원주방향에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이때 일측 가이드 돌기(52)는 작동레버(40)의 제2 단부(40b)에 맞닿게 연결된다. 또한 타측 가이드 돌기(51)는 링크부재(30)의 돌출영역(33)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레버 작동체(50)의 중심에는 축공(53)이 형성되고, 축공(53)에는 손잡이 축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레버 작동체(50)의 외주면에는 데드볼트(12)를 구동시키기 위한 작동돌기(54)가 형성될 수도 있다. 데드볼트(12)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은 종래의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작동레버(40)의 제2 단부(40b; 도 1 참조)에는 제1 안내면(42a)과 제2 안내면(42b)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안내면(42a)은 오목한 형상으로 제공되고, 제2 안내면(42b)는 제1 안내면(42a)에서 상대적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제공된다. 한편 링크부재(30)의 작동단(31)은 제1 안내면(42a)에 맞닿게 위치되며, 제2 안내면(42b)은 레버 작동체(50)의 일측 가이드 돌기(52)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또한 레버 작동체(50)는 평면상에서 원형으로 제공되고 상부에는 일정하게 평탄면을 갖는 홈부(55)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 홈부(55)는 레버 작동체(50)의 회전시 그의 외주면이 작동레버(40)의 제2 안내면(42b)이나 링크부재(30)의 일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한편, 링크부재(30)의 작동단(31)에는 만곡면(31a)이 형성되고 이 만곡면(31a)은 작동레버(40)의 제1 안내면(42a)에 맞닿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레버 작동체(50)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작동레버(40)가 구동된다. 구체적으로 레버 작동체(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홈부(55)의 수평 선상에 위치하는 일측 가이드 돌기(52)가 작동레버(40)의 제2 안내면(42b)을 밀어서 작동레버(40)를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킨다. 이에 따라 작동레버(40)의 제1 단부(40a)에 연결된 래치볼트(20)의 지지 포스트(21)를 끌어당겨서 래치볼트(20)를 모티스 본체(10)의 내부에 인입시키게 된다. 이때 작동레버(40)에 제공된 제2 안내면(42b)은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레버 작동체(50)의 일측 가이드 돌기(52)도 볼록한 곡면돌기로 형성됨으로써 레버 작동체(50)가 회전하면 일측 가이드 돌기(52)가 제2 안내면(42b)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작동레버(40)를 자연스럽게 선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레버 작동체(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레버 작동체(50)의 타측 가이드 돌기(51)가 링크부재(30)의 돌출영역(33)에 맞닿아서 링크 몸체(35)를 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킨다. 이에 따라 링크부재(30)의 작동단(31)의 만곡면(31a)이 작동레버(40)의 제1 안내면(42a)을 따라 밀어내면서 작동레버(40)를 선회시킨다. 이때 도 3과 같이 링크부재(30)의 작동단(31)에 형성된 만곡면(31a)이 작동레버(40)의 제1 안내면(42a)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하면서 작동레버(40)를 선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레버 작동체(50)의 외주면에 형성된 일측 가이드 돌기(52)와 타측 가이드 돌기(51)를 통해 레버 작동체(50)의 양방향 회전(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따라 작동레버(40)의 선회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레버(40)에 연결된 래치볼트(20)를 모티스 본체(10)의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게 된다(래치 해정).
또한 레버 작동체(50)에 형성된 일측 가이드 돌기(52)가 작동레버(40)의 제2 안내면(42b)를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작동레버(40)를 선회시킬 수 있고, 레버 작동체(50)의 타측 가이드 돌기(51)가 링크부재(30)의 돌출영역(33)을 따라 이동되어 링크부재(30)를 선회시키고 링크부재(30)의 작동단(31)이 작동레버(40)의 제1 안내면(42b)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작동레버(40)를 선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버 작동체(50)의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작동레버(40)의 선회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래치볼트(20)의 모티스 본체(10)의 인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각각 작동레버(40)와 링크부재(30)와 레버 작동체(50)의 접촉면들이 곡면으로 서로 연결되어 작동시 부하를 줄일 수 있고, 종래보다 작고 균등한 힘으로 양방향의 래치볼트 해정을 위한 작동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모티스 본체
11: 인출공
12: 데드볼트
20: 래치볼트
21: 지지 포스트
30: 링크부재
31: 작동단
32: 선회점
33: 돌출영역
40: 작동레버
40a: 제1 단부
40b: 제2 단부
41: 회전축
50: 레버 작동체
51: 타측 가이드 돌기
52: 일측 가이드 돌기
53: 축공
54: 작동돌기

Claims (5)

  1. 모티스 본체에 설치된 래치볼트를 해정하기 위한 래치해정 조립체로서,
    상기 모티스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레버 작동체;
    상기 레버 작동체의 일측 가이드 돌기와 일단이 맞닿고 타단은 상기 래치볼트와 연결되며 상기 모티스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레버; 및
    상기 레버 작동체의 타측 가이드 돌기에 맞닿도록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영역과 상기 작동레버의 상기 일단과 맞닿은 작동단을 구비하고 상기 모티스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레버의 상기 일단에는 상기 링크부재의 상기 작동단이 맞닿는 제1 안내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안내면에서 연속되며 상기 작동레버의 상기 일단의 끝부분에 상기 제1 안내면보다 상대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제2 안내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 작동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일측 가이드 돌기가 상기 작동레버의 상기 제2 안내면에 맞닿아 상기 작동레버를 선회시키고,
    상기 레버 작동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타측 가이드 돌기가 상기 링크부재의 상기 돌출영역에 맞닿아 상기 링크부재를 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고, 상기 링크부재의 상기 작동단이 상기 작동레버의 상기 제1 안내면에 맞닿아 상기 작동레버를 선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래치해정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작동체의 상기 복수의 가이드 돌기는 상기 레버 작동체의 두께방향에서 서로 어긋나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래치해정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작동체의 일부에는, 상기 레버 작동체의 회전시, 상기 링크부재의 상기 작동단과 상기 작동레버의 상기 일단이 간섭되지 않도록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래치해정 조립체.
  4. 삭제
  5. 삭제
KR2020180001027U 2018-03-09 2018-03-09 양방향 래치해정 조립체 KR2004892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027U KR200489275Y1 (ko) 2018-03-09 2018-03-09 양방향 래치해정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027U KR200489275Y1 (ko) 2018-03-09 2018-03-09 양방향 래치해정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275Y1 true KR200489275Y1 (ko) 2019-05-24

Family

ID=66651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027U KR200489275Y1 (ko) 2018-03-09 2018-03-09 양방향 래치해정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27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4534A (ko) * 2013-04-17 2014-10-27 주식회사 아이레보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KR20140148049A (ko) * 2013-06-21 2014-12-31 주식회사 아이레보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4534A (ko) * 2013-04-17 2014-10-27 주식회사 아이레보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KR20140148049A (ko) * 2013-06-21 2014-12-31 주식회사 아이레보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7270B1 (en) Free-wheeling door lock mechanism
US6174005B1 (en) Bi-directional handle and latch assembly
JP4765123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KR890005209B1 (ko) 프리 노브 로테이션과 프런트 엔드 로딩을 포함하는 문자물쇠용 노브 조립체
US10508472B2 (en) Automatically-extendible deadbolt latch assembly
US7752877B2 (en) Rotary actuation latch with disconnect feature
US7506904B2 (en) Door handle lock assembly with automatic lock and retract
CA2359842C (en) Lever handle controller for mortise lock
US6857300B1 (en) Door locking device
KR101968278B1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US6007117A (en) Motor vehicle door lock or the like with trip-free mechanism
JP2004143754A (ja) 電気錠
CA2033003C (en) Selective self-locking deadbolt latch
US6178794B1 (en) Lever handle controller
KR200489275Y1 (ko) 양방향 래치해정 조립체
JP5421083B2 (ja) ドアロック装置
US20050092040A1 (en) Door lock with a coupling mechanism for simultaneous movement of latch bolt and deadbolt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KR101856179B1 (ko) 잠금부가 구비된 크리센트
JP3104740B2 (ja) 自動車用ドア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ロック装置
US6286345B1 (en) Card locking device
JPH05868U (ja) 平面ハンドル
JP4094326B2 (ja) 非常解錠装置
JP4035841B2 (ja) 解錠防止機構を持つ錠
KR20080009840A (ko)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