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007Y1 - 방범창호 - Google Patents

방범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007Y1
KR200489007Y1 KR2020170003167U KR20170003167U KR200489007Y1 KR 200489007 Y1 KR200489007 Y1 KR 200489007Y1 KR 2020170003167 U KR2020170003167 U KR 2020170003167U KR 20170003167 U KR20170003167 U KR 20170003167U KR 200489007 Y1 KR200489007 Y1 KR 200489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security
fixed
security window
fixed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1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665U (ko
Inventor
이종학
Original Assignee
이종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학 filed Critical 이종학
Priority to KR20201700031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007Y1/ko
Publication of KR201800036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6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0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1Grilles fixed to walls, doors, or windows; Grilles moving with doors or windows; Walls formed as grilles, e.g.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unintended use, e.g. protection against vandalism or sabotage
    • E05Y2800/42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unintended use, e.g. protection against vandalism or sabotage against unauthorised use, e.g.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2007/202Actuator connected to wing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창틀(100) 내측에 방범창틀(200)을 개폐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방범창틀(200)에 개폐창문(400)을 장착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상기 방범창틀(200)을 쉽게 개폐할 수 있는 방범창호를 제공하는 대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방범창호는,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창틀(100); 상기 고정창틀(100)의 내측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주면을 따라 방범창살(210)이 구비된 방범창틀(200); 상기 방범창틀(200)을 상기 고정창틀(100)에 고정시키는 잠금장치(300); 상기 방범창틀(200)의 내측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창문(400); 을 포함하되, 상기 방범창틀(200)은 힌지수단(150)에 의해 상기 고정창틀(100)에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개폐창문(400)은 상기 방범창틀(20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Description

방범창호{ Crime prevention windows }
본 고안은 방범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창살이 형성되어 있는 방범창호이며, 필요시 편리하게 방범창호을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 방범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범창호는 외부로부터 침입자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로서, 창문의 전체를 스테인레스봉으로 형성된 창틀을 형성하여 이를 창문이 고정된 콘크리트창틀에 고정시키는 고정식이 널리 사용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고정식 방범창호의 설치방식은 견고하여 방범효과가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노후된 건물의 콘크리트창틀에 방범창호을 설치할 경우에는 콘크리트가 떨어져 나가거나 손상되어 건물의 손상을 초래하게 되고 일단 설치된 경우에는 방범창호을 제거하는 것이 대단히 난해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재 등의 비상시에는 방범창호을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오히려 재난을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항상 방범창살(210)이 창문을 가리고 있어 외부로부터 격리된 것과 같은 답답함을 갖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2016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창틀(100) 내측에 방범창틀(200)을 개폐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방범창틀(200)에 개폐창문(400)을 장착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상기 방범창틀(200)을 쉽게 개폐할 수 있는 방범창호를 제공하는 대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방범창호는,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창틀(100); 상기 고정창틀(100)의 내측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주면을 따라 방범창살(210)이 구비된 방범창틀(200); 상기 방범창틀(200)을 상기 고정창틀(100)에 고정시키는 잠금장치(300); 상기 방범창틀(200)의 내측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창문(400); 을 포함하되, 상기 방범창틀(200)은 힌지수단(150)에 의해 상기 고정창틀(100)에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개폐창문(400)은 상기 방범창틀(20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고정창틀(1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장착되며, 상기 방범창틀(200)에 의해 상기 고정창틀(100)이 폐쇄될 때 상기 방범창틀(200)방향으로 이동하여 밀착되는 기밀수단(500); 을 더 포함한다.
상기 기밀수단(500)은, 탄성부재(540)에 의해 상기 고정창틀(100)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지지되며, 상기 방범창틀(200)에 의해 상기 고정창틀(100)이 폐쇄될 때 상기 고정창틀(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작동부재(510); 상기 고정창틀(100) 내부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방범창틀(200)에 의해 상기 고정창틀(100)이 폐쇄될 때 상기 방범창틀(200)방향으로 돌출되어 밀착되는 기밀부재(520); 일단이 상기 작동부재(51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기밀부재(520)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작동부재(510)가 상기 고정창틀(100)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기밀부재(520)를 상기 방범창틀(200)방향으로 돌출되게 이동시키는 연동부재(530);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방범창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방범창틀(200)이 상기 고정창틀(100)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방범창틀(200) 내부에 상기 개폐창문(400)이 구비됨으로써, 방범 기능을 강화하면서, 화재 등의 비상시에 상기 방범창틀(200)을 쉽게 개방하여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방범창틀(200)의 닫힘 시 상기 기밀부재(520)가 상기 방범창틀(200)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고정창틀(100)과 상기 방범창틀(20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키고,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고정창틀(100)에 상기 기밀부재(520)가 삽입되는 확장홈(11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기밀부재(520)가 상기 방범창틀(200)과 접할 때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창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창호의 방법창틀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창호의 개폐창문(400)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창호의 폐쇄시 기밀수단(5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창호의 개방시 기밀수단(5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창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창호의 방법창틀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창호의 개폐창문(400)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창호의 폐쇄시 기밀수단(5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창호의 개방시 기밀수단(5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창호는, 고정창틀(100), 방범창틀(200), 잠금장치(300), 개폐창문(400) 및 기밀수단(5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창틀(100)은 일반적인 창호의 창틀과 마찬가지로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창호를 설치할 외벽에 고정된다.
상기 방범창틀(200)은 상기 고정창틀(100)의 내측에 대응되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창틀(100)의 내측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범창틀(200)의 일단과 상기 고정창틀(100)의 일단 사이에 힌지수단(150)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수단(150)을 기준으로 상기 방범창틀(200)이 회전하여 여닫이 형태로 개폐된다.
또한, 상기 방범창틀(200)에는 내주면을 따라 방범창살(210)이 구비된다.
상기 방범창살(210)은 세로로 긴 막대 형상이며,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방범창틀(200)의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잠금장치(300)는 상기 방범창틀(200)을 상기 고정창틀(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310)를 회전시키면 상기 방범창틀(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고정구(320)가 상기 고정창틀(100)의 고정홈(미도시)에 삽입되며, 이로 인해 상기 방범창틀(200)이 상기 고정창틀(100)에 고정되어 임의로 회전하여 개폐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기 잠금장치(300)의 구성은 일반적인 잠금장치(300)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개폐창문(400)은 상기 방범창틀(200)의 내측에 미닫이 형태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방범창틀(200)의 내주면의 대략 1/2크기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2개로 이루어져 각각 상기 방범창틀(200)의 두께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상기 방범창틀(200)의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개폐된다.
여기에서 상기 개폐창문(400)은 상기 방범창살(210)을 기준으로 실외쪽으로 배치되어 상기 방범창살(210)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개폐창문(400)은 상기 방범창살(210)을 기준으로 실내 쪽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폐창문(400) 사이에는 방충망(미도시)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방범창틀(200)에 상기 고정창틀(100)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방범창틀(200) 내부에 상기 개폐창문(400)이 구비됨으로써, 방범 기능을 강화하면서, 화재 등의 비상시에 상기 방범창틀(200)을 쉽게 개방하여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기밀수단(500)은 상기 고정창틀(1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장착되어 상기 고정창틀(100)과 상기 방범창틀(20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작동부재(510), 기밀부재(520) 및 연동부재(5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부재(510)는 사각형의 막대 형상이며, 상기 방범창틀(200) 방향 일단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510)는 일단이 상기 고정창틀(100) 내주면에 돌출되게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창틀(100)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여기에서 상기 작동부재(510)는 탄성부재(540)에 의해 상기 방범창틀(200) 방향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상기 작동부재(510)는 상기 방범창틀(200)이 상기 고정창틀(100)을 폐쇄할 때 상기 방범창틀(200)과 접하여 상기 고정창틀(100) 내부로 삽입되도록 이동하게 된다.
상기 기밀부재(520)는 상기 고정창틀(100)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방범창틀(200)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기밀부재(520)는 수축 및 팽창 가능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창틀(100)의 내측에는 상기 기밀부재(520)가 삽입되는 확장홈(110)이 형성되는데, 상기 확장홈(110)의 폭은 상기 기밀부재(520)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기밀부재(520)가 상기 방범창틀(200)과 접하여 길이 방향으로 압축될 때 상기 확장홈(110)에서 폭 방향으로 팽창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창틀(100)에 상기 기밀부재(520)가 삽입되는 확장홈(11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기밀부재(520)가 상기 방범창틀(200)과 접할 때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연동부재(530)는 긴 막대 형상이며, 일단이 상기 작동부재(51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기밀부재(520)에 힌지결합되며, 가운데 부분이 상기 고정창틀(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연동부재(530)는 상기 작동부재(510)가 상기 고정창틀(100)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기밀부재(520)를 상기 방범창틀(200) 방향으로 돌출되게 이동시킨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방범창호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창틀(100)이 개방된 상태일 때에는 상기 탄성부재(540)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510)가 상기 고정창틀(100)의 내측에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기밀부재(520)는 상기 고정창틀(100) 내부에 삽입 배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범창틀(200)이 회전하여 상기 고정창틀(100)을 폐쇄할 때, 상기 작동부재(510)는 상기 방범창틀(200)과 접하면서 상기 탄성부재(540)를 압축시키면서 상기 고정창틀(1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동부재(53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기밀부재(520)를 상기 방범창틀(200)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기밀부재(520)는 상기 방범창틀(200)의 외주면과 접하여 밀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방범창틀(200)의 닫힘 시 상기 기밀부재(520)가 상기 방범창틀(200)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고정창틀(100)과 상기 방범창틀(20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키고,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고정창틀 110 : 확장홈
150 : 힌지수단 200 : 방범창틀
210 : 방범창살 300 : 잠금장치
310 : 손잡이 320 : 고정구
400 : 개폐창문 500 : 기밀수단
510 : 작동부재 520 : 기밀부재
530 : 연동부재 540 : 탄성부재

Claims (4)

  1.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창틀(100);
    상기 고정창틀(100)의 내측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주면을 따라 방범창살(210)이 구비된 방범창틀(200);
    상기 방범창틀(200)을 상기 고정창틀(100)에 고정시키는 잠금장치(300);
    상기 방범창틀(200)의 내측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창문(400);
    상기 고정창틀(1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장착되며, 상기 방범창틀(200)에 의해 상기 고정창틀(100)이 폐쇄될 때 상기 방범창틀(200)방향으로 이동하여 밀착되는 기밀수단(500); 을 포함하되,
    상기 방범창틀(200)은 힌지수단(150)에 의해 상기 고정창틀(100)에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개폐창문(400)은 상기 방범창틀(20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기밀수단(500)은,
    탄성부재(540)에 의해 상기 고정창틀(100)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지지되며, 상기 방범창틀(200)에 의해 상기 고정창틀(100)이 폐쇄될 때 상기 고정창틀(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작동부재(510);
    상기 고정창틀(100) 내부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방범창틀(200)에 의해 상기 고정창틀(100)이 폐쇄될 때 상기 방범창틀(200)방향으로 돌출되어 밀착되는 기밀부재(520);
    일단이 상기 작동부재(51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기밀부재(520)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작동부재(510)가 상기 고정창틀(100)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기밀부재(520)를 상기 방범창틀(200)방향으로 돌출되게 이동시키는 연동부재(5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창호.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창틀(100)의 내측에는 상기 기밀부재(520)가 삽입되는 확장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확장홈(110)의 폭은 상기 기밀부재(520)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기밀부재(520)가 상기 방범창틀(200)과 접하여 길이 방향으로 압축될 때 상기 확장홈(110)에서 폭 방향으로 팽창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창호.
KR2020170003167U 2017-06-19 2017-06-19 방범창호 KR200489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167U KR200489007Y1 (ko) 2017-06-19 2017-06-19 방범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167U KR200489007Y1 (ko) 2017-06-19 2017-06-19 방범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665U KR20180003665U (ko) 2018-12-28
KR200489007Y1 true KR200489007Y1 (ko) 2019-04-17

Family

ID=64954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167U KR200489007Y1 (ko) 2017-06-19 2017-06-19 방범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00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633Y1 (ko) 2001-08-07 2001-12-01 경 현 윤 방범창구조체
KR200355513Y1 (ko) * 2004-03-23 2004-07-07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화재시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KR200438066Y1 (ko) * 2007-06-22 2008-01-21 이순길 출입문용 방범창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016Y1 (ko) 2002-01-05 2002-04-12 경 현 윤 방범창 구조체
KR20040075587A (ko) * 2003-02-21 2004-08-30 한정화 비상 탈출이 용이한 접이식 여닫이 이동 방범창
KR20100007320U (ko) * 2009-01-08 2010-07-16 최길인 개폐형 방범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633Y1 (ko) 2001-08-07 2001-12-01 경 현 윤 방범창구조체
KR200355513Y1 (ko) * 2004-03-23 2004-07-07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화재시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KR200438066Y1 (ko) * 2007-06-22 2008-01-21 이순길 출입문용 방범창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665U (ko) 201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284B1 (ko)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
US7150244B2 (en) Window adaptable pet door
KR200489007Y1 (ko) 방범창호
CN104775730A (zh) 一种新型门窗扇的磁吸密封结构
KR100537027B1 (ko) 슬라이딩 방범창
KR102074524B1 (ko) 매립형 도어 힌지를 가지는 안전 방화문 문틀 구조
JP7425838B2 (ja) 開口部建材
KR101249214B1 (ko) 창문의 기밀을 위한 자동 락킹 크리센트
KR101749594B1 (ko) 다단 신장되는 가이드바가 구비된 슬라이딩 도어
KR102099324B1 (ko) 창문장치
LU101528B1 (en) Ventilation device and window or door incorporating same
KR200272016Y1 (ko) 방범창 구조체
JP2015094082A (ja) 建具
KR101672409B1 (ko) 롤 방충망을 이용한 복합 창호
JP6758988B2 (ja) 引戸装置
KR102027831B1 (ko) 기밀성을 갖는 창호
JP2002030873A (ja) ドアーの密閉装置
WO2019240135A1 (ja) 非常時外開き扉の遮蔽構造
KR20110009098U (ko) 특수문용 기밀장치
KR200254633Y1 (ko) 방범창구조체
JPH0988446A (ja) ドア装置
KR20170142607A (ko) 대피공간에 적용되는 이중 창호
KR20190106634A (ko) 기밀성을 갖는 창호용 도어
KR101733112B1 (ko) 현관문용 힌지장치
KR102053115B1 (ko) 여닫이 안전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