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973Y1 -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973Y1
KR200488973Y1 KR2020170005046U KR20170005046U KR200488973Y1 KR 200488973 Y1 KR200488973 Y1 KR 200488973Y1 KR 2020170005046 U KR2020170005046 U KR 2020170005046U KR 20170005046 U KR20170005046 U KR 20170005046U KR 200488973 Y1 KR200488973 Y1 KR 2004889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ide comfort
data
acceleration
measurem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835U (ko
Inventor
윤임하
정순배
김동춘
Original Assignee
서울교통공사
(주)스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교통공사, (주)스마텍 filed Critical 서울교통공사
Priority to KR2020170005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97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8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8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9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8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4Suspension or damp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승차감 그 분석장치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는, 철도차량의 승차감 측정장치로부터 계측데이터를 입력받는 계측데이터 로깅부; 궤도검측차량에 의해 측정된 검측데이터를 입력받는 검측데이터 입력부; 철도차량의 운행기록을 저장하는 운행기록 저장부; 및 계측데이터 로깅부로부터 입력되는 계측데이터와 검측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검측데이터 및 운행기록 저장부에 저장된 운행기록에 기초하여 계측데이터를 검증하고, 계측데이터로부터 객차 내의 계측승차감을 산출하여 계측승차감과 검측데이터에서 추출한 검측승차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신뢰성을 판단하는 분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APPARATUS FOR ANALYZING RIDE COMFORT OF RAILWAY VEHICLE}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형으로 철도차량의 주행 중 객차에서 승객이 위치하는 다양한 장소별로 진동가속도를 측정하여 수집하고, 객차에서 수집된 계측데이터를 궤도검측차량에 의해 측정된 검측데이터 및 운행기록을 기반으로 검증하여 객차에서 승객이 느끼는 승차감을 분석하는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철도레일 위를 주행하여 대량으로 여객 및 화물을 수송하는 교통수단으로써, 주행안정성 확보 및 승차감 향상 등 다양한 수요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야 한다. 특히, 승객이 이용하는 객차의 경우에는 여행 시에 느끼는 안락함의 정도를 나타내는 승차감 요소가 중요한 요구사항으로 인식되고 있다.
철도차량에서의 승차감이란 운행 중인 열차에서 승객이 느끼는 쾌적함의 정도를 말하며, 보다 넓은 의미에서는 진동, 소음, 온도, 습도, 조도, 개인 공간, 좌석의 질감, 천장의 높이, 전망, 통풍 등 승객이 느끼는 모든 인자들을 고려한 것을 의미하지만 이들 모든 인자를 고려한 승차감의 평가는 실제적으로는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철도차량의 차체에서 측정되는 진동이나 가속도 신호만을 이용하는 좁은 의미의 승차감 평가방법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고안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651195호(2006.11.30. 공고, 철도차량의 승차감 종합측정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승차감 분석은 객차의 경우 객실 내 좌석에서 승객으로 전달되는 진동 가속도를 측정한 후 주파수 대역별로 가중치를 부여한 진동 측면에서의 승차감 수준을 평가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승차감을 분석하기 위해 각 호선별로 고정된 좌석에서 측정된 진동 가속도를 기반으로 승차감 수준을 평가하고 있어 모든 객차에서 승객이 느끼는 승차감을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철도차량에서의 진동 가속도는 구간별 속도 및 선로의 상태에 영향을 받고 있지만, 궤도검측차의 검측데이터와 운행기록과의 상관관계를 통한 승차감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형으로 철도차량의 주행 중 객차에서 승객이 위치하는 다양한 장소별로 진동가속도를 측정하여 수집하는 철도차량의 승차감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철도차량의 객차에서 승객이 위치하는 다양한 장소별로 측정하여 수집한 진동가속도의 계측데이터를 궤도검측차량에 의해 측정된 검측데이터 및 운행기록을 기반으로 검증하여 객차에서 승객이 느끼는 승차감을 분석하는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철도차량의 승차감 측정장치는, 철도차량의 객실에 설치하여 진동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측정부; 가속도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진동 가속도의 계측데이터를 증폭하고 보정하는 신호보정부; 신호 보정부에서 증폭된 아날로그 계측데이터를 디지털 계측데이터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디지털 계측데이터를 분석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및 AD 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계측데이터를 통신부의 통신규격에 따라 변환하여 통신부로 전달하는 측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측정 제어부로부터 가속도 측정부, 통신부 및 전원공급부의 상태를 입력받아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가속도 측정부는 3축 진동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통신부는 TCP/IP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AD 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지털 계측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측정 제어부는 통신부의 연결상태에 따라 디지털 계측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된 디지털 계측데이터를 통신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는, 철도차량의 승차감 측정장치로부터 계측데이터를 입력받는 계측데이터 로깅부; 궤도검측차량에 의해 측정된 검측데이터를 입력받는 검측데이터 입력부; 철도차량의 운행기록을 저장하는 운행기록 저장부; 및 계측데이터 로깅부로부터 입력되는 계측데이터와 검측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검측데이터 및 운행기록 저장부에 저장된 운행기록에 기초하여 계측데이터를 검증하고, 계측데이터로부터 객차 내의 계측승차감을 산출하여 계측승차감과 검측데이터에서 추출한 검측승차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신뢰성을 판단하는 분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분석 제어부는. 계측데이터를 가속도 데이터로 변환하여 오프셋 보정하는 전처리부; 전처리부에 처리된 가속도 데이터를 주파수 분석을 위해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FFT 변환부; FFT 변환부를 통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데이터에 대해 승차감을 보정하는 승차감 보정부; 승차감 보정부에서 보정된 데이터를 시간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FFT 변환부; 및 역FFT변환부에서 시간영역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통해 가속도 실효값을 산출하여 승차감 레벨을 계산하는 승차감 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승차감 보정부는,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서 방향에 따른 감각 보정 곡선을 적용하여 승차감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전처리부는, 계측데이터를 가속도 데이터로 변환하는 가속도 변환부; 가속도 변환부에서 변환된 가속도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가속도 데이터의 표준편차와 오프셋을 산출하여 가속도 데이터의 오프셋과 표준편차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필터부는, 저주파 대역을 필터링하는 저역통과 필터부; 및 공간패턴에서 설정된 공간주파수로 필터링하는 공간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분석 제어부는, 계측데이터로부터 구간거리를 산출하는 구간거리 산출부; 및 구간거리 산출부에서 산출된 구간거리와 운행기록을 비교하여 계측데이터를 검증하는 검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분석 제어부는, 승차감 계산부로부터 산출된 계측승차감과 검측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검측데이터로부터 추출한 검측승차감을 비교하는 상관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는 이동형으로 철도차량의 주행 중 객차에서 승객이 위치하는 다양한 장소별로 진동가속도를 측정하여 수집하고, 객차에서 수집된 계측데이터를 궤도검측차량에 의해 측정된 검측데이터 및 운행기록을 기반으로 검증하여 객차에서 승객이 느끼는 승차감을 편리하게 분석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승차감 측정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에서 분석 제어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에서 전처리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에서 감각보정 곡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에서 승차감을 평가하는 예시 평가표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에서 검측데이터와 계측승차감의 비교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승차감 측정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승차감 측정장치(100)는, 가속도 측정부(110), 신호보정부(120), AD 변환부(130), 통신부(150), 측정 제어부(140) 및 전원공급부(160)를 비롯하여 저장부(170)와 상태표시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측정부(110)는 철도차량의 객실에 설치하여 진동 가속도를 3축 진동센서를 통해 측정하여 철도차량의 주행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의 X, Y, Z 축 진동 가속도를 측정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의한 승차감 측정장치(100)는 이동형으로 궤도검측차가 아닌 일반 철도차량의 모든 객실에서 진동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신호보정부(120)는 가속도 측정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진동 가속도의 계측데이터를 증폭하고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등 신호를 보정한다.
AD 변환부(130)는 신호보정부(120)에서 증폭된 아날로그 계측데이터를 디지털 계측데이터로 변환한다.
통신부(150)는 AD 변환부(130)에서 디지털 계측데이터로 변환된 진동 가속도를 분석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부(150)는 TCP/IP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측정장치(100)와 분석장치(200) 간 이더넷 통신으로 측정장치(100)에서 측정된 진동 가속도를 분석장치(200)로 전송한다.
측정 제어부(140)는 가속도 측정부(110)를 통해 측정된 잔동 가속도를 통신부(150)를 통해 분석장치(200)로 전송하기 위해, AD 변환부(130)에서 변환된 디지털 계측데이터를 통신부의 통신규격인 이더넷 통신 규격으로 변환하여 통신부(150)를 통해 분석장치(200)로 전송한다.
전원공급부(160)는 측정장치(100)를 이동형으로 편리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상태표시부(180)는 측정 제어부(140)로부터 가속도 측정부(110), 통신부(150) 및 전원공급부(160)의 상태를 입력받아 표시하여, 사용자가 측정장치(100)를 운영할 때 전원상태를 확인하고, 가속도 측정부(110)의 측정상태 및 통신부(150)의 통신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저장부(170)는 AD 변환부(130)에서 변환된 디지털 계측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 제어부(140)가 통신부(150)의 연결상태에 따라 AD 변환부(130)에서 변환된 디지털 계측데이터를 저장부(170)에 저장하거나, 저장부(170)에 저장된 디지털 계측데이터를 통신부(150)를 통해 분석장치(20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철도차량의 승차감 측정장치에 따르면, 이동형으로 철도차량의 주행 중 객차에서 승객이 위치하는 다양한 장소별로 진동가속도를 편리하게 측정하여 수집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에서 분석 제어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에서 전처리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에서 감각보정 곡선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에서 승차감을 평가하는 예시 평가표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에서 검측데이터와 계측승차감의 비교 그래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200)는, 계측데이터 로깅부(210), 검측데이터 입력부(220), 운행기록 저장부(230) 및 분석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계측데이터 로깅부(210)는 철도차량의 승차감 측정장치(100)로부터 계측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계측데이터 로깅부(210)는 측정장치(100)와 LAN으로 연결되어, 이더넷 통신으로 측정장치(100)로부터 철도차량의 객석에서 3축 진동센서에 의해 측정한 진동 가속도의 계측데이터를 입력받는다.
검측데이터 입력부(220)는 궤도검측차량(300)에 의해 측정된 검측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검측데이터로는 검측한 시간, 궤도검측차량의 속도, 검측한 거리, 검측한 승차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운행기록 저장부(230)는 승차감 측정장치(100)를 설치하여 승차감을 계측한 철도차량의 운행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철도차량의 운행기록을 기반으로 구간별 실거리 데이터를 추출하여 계측데이터로부터 산출한 구간거리를 검증하여 계측데이터의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다.
분석 제어부(240)는 계측데이터 로깅부(210)로부터 입력되는 계측데이터와 검측데이터 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되는 검측데이터 및 운행기록 저장부(230)에 저장된 운행기록에 기초하여 계측데이터를 검증하고, 계측데이터로부터 객차 내의 승차감을 산출하여 검측된 승차감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신뢰성을 판단한다.
여기서 분석 제어부(240)는, 전처리부(2410), FFT 변환부(2420), 승차감 보정부(2430), 역FFT 변환부(2440) 및 승차감 계산부(2450)를 비롯하여 구간거리 산출부(2460), 검증부(2470) 및 상관 분석부(2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부(2410)는 측정된 계측데이터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고, 측정된 계측데이터에 거리정보가 포함되지 않아 전처리를 통해 가속도 데이터의 표준편차 및 오프셋을 보정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부(2410)는 가속도 변환부(2411), 필터부(2412) 및 보정부(241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변환부(2411)는 계측데이터를 가속도 데이터로 변환한다.
필터부(2412)는 변환된 가속도 데이터에 포함된 진동 가속도를 측정하면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제거한다.
여기서 필터부(2412)는 저주파 대역을 필터링하는 저역통과 필터부(2413)와 공간패턴에서 설정된 공간주파수로 필터링하는 공간필터부(2414)를 포함할 수 있다.
보정부(2415)는 필터링된 가속도 데이터의 표준편차와 오프셋을 계산하여 가속도 데이터에서 오프셋과 표준편차를 보정한다.
예를 들어, 오프셋 보정은 가속도 데이터에서 오프셋을 차감하여 보정하고, 표준편차 보정은 가속도 데이터의 절대값이 설정배수의 표준편차보다 작은 경우 가속도 데이터를 제거하여 보정할 수 있다.
FFT 변환부(2420)는 전처리부(2410)에 처리된 가속도 데이터를 주파수 분석을 위해 수학식 1과 같이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Figure 112017093637156-utm00001
여기서, x(n) : time domain 의 신호
X(k) : Frequency domain 으로의 변환 결과
N : x(n)의 data samples
최대 주파수는 sampling 주파수의 1/2 (
Figure 112017093637156-utm00002
)
주파수 해상도는
Figure 112017093637156-utm00003
승차감 보정부(2430)는 FFT 변환부(2420)를 통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데이터에 대해 차량의 진행방향,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에 대해 승객이 느끼는 승차감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보정함수를 적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진동은 소음과 같이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동일한 세기를 갖더라도 그것을 인식하는 승객은 주파수 대역에 따라 서로 다른 강도로 인식하기 때문에 철도차량에서 승차감을 분석할 경우 측정된 물리적인 진동의 세기보다도 승객이 직접 느낄 수 있는 주파수에 따라 환산된 진동의 세기가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차감 보정을 위한 주파수 대역을 대역필터로 필터링한 후 차량 진행방향, 상하방향, 수평방향에 따라 각각 보정함수를 적용하여 승차감을 보정할 수 있다.
역FFT 변환부(2440)는 승차감 보정부(2430)에서 보정된 데이터를 수학식 2와 같이 시간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Figure 112017093637156-utm00004
승차감 계산부(2450)는 역FFT 변환부(2440)에서 시간영역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통해 수학식 3과 같이 가속도 실효값(xrms)을 산출한 후 수학식 4와 같이 승차감(Leq) 레벨을 계산한다.
Figure 112017093637156-utm00005
Figure 112017093637156-utm00006
이와 같이 가속도 실효값과 승차감 레벨을 계산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차감을 평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평가등급을 5단계로 구분하여 평가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등급과 등급 간 레벨 차이는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구간거리 산출부(2460)는 계측데이터로부터 구간거리를 산출한다.
여기서 계측데이터는 진동 가속도를 측정한 가속도 데이터로써, 구간거리 산출부(2460)는 전처리부(2410)에서 전처리된 계측데이터를 적분하여 속도를 산출한 후 이를 다시 적분하여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구간거리 산출부(2460)는 최대속도를 기준으로 속도를 보정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구건거리 산출부(2460)는 운행기록 저장부(230)로부터 실거리를 읽어와 산출된 거리와 비교하여 발생되는 오차를 속도에 반영하여 속도를 보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계측데이터로부터 산출된 거리는 검측데이터의 결과와 비교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검증부(2470)는 구간거리 산출부(2460)에서 산출된 구간거리와 운행기록 저장부(230)에 저장된 운행기록을 비교하여 계측데이터의 페일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여기서 검증결과 페일이 발생한 경우 계측데이터의 이상으로 다시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관 분석부(2480)는 검증부(2470)에서 검증된 계측데이터에 대해 승차감 계산부(2450)에서 계산된 계측승차감과 검측데이터 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된 검측데이터로부터 추출한 검측승차감을 비교하여 계측데이터의 효용성을 판단하고 저장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검측데이터와 계측승차감을 비교한 그래프를 살펴볼 때, Y축 승차감을 나타낸 계측승차감과 검측데이터에서 궤간에서의 승차감을 나타낸 빨간색 그래프와 비교할 때 유사하게 분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관 분석부(2480)는 분석결과 설정값 이상 차이가 발생할 경우 상관오류를 출력하여 다시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에 따르면, 철도차량의 객차에서 승객이 위치하는 다양한 장소별로 측정하여 수집한 진동가속도의 계측데이터를 궤도검측차량에 의해 측정된 검측데이터 및 운행기록을 기반으로 검증하여 객차에서 승객이 느끼는 승차감을 편리하게 분석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측정장치 110 : 가속도 측정부
120 : 신호보정부 130 : AD 변환부
140 : 측정 제어부 150 : 통신부
160 : 전원공급부 170 : 저장부
180 : 상태표시부 200 : 분석장치
210 : 계측데이터 로깅부 220 : 검측데이터 입력부
230 : 운행기록 저장부 240 : 분석 제어부
300 : 궤도검측차량 2410 : 전처리부
2411 : 가속도 변환부 2412 : 필터부
2413 : 저역통과 필터부 2414 : 공간필터부
2415 : 보정부 2420 : FFT 변환부
2430 : 승차감 보정부 2440 : 역FFT 변환부
2450 : 승차감 계산부 2460 : 구간거리 산출부
2470 : 검증부 2480 : 상관 분석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철도차량의 승차감 측정장치로부터 계측데이터를 입력받는 계측데이터 로깅부;
    궤도검측차량에 의해 측정된 검측데이터를 입력받는 검측데이터 입력부;
    상기 철도차량의 운행기록을 저장하는 운행기록 저장부; 및
    상기 계측데이터 로깅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계측데이터와 상기 검측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검측데이터 및 상기 운행기록 저장부에 저장된 운행기록에 기초하여 상기 계측데이터를 검증하고, 상기 계측데이터로부터 객차 내의 계측승차감을 산출하여 계측승차감과 상기 검측데이터에서 추출한 검측승차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신뢰성을 판단하는 분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제어부는. 상기 계측데이터를 가속도 데이터로 변환하여 오프셋 보정하는 전처리부;
    상기 전처리부에 처리된 상기 가속도 데이터를 주파수 분석을 위해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FFT 변환부;
    상기 FFT 변환부를 통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데이터에 대해 승차감을 보정하는 승차감 보정부;
    상기 승차감 보정부에서 보정된 데이터를 시간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FFT 변환부; 및
    상기 역FFT 변환부에서 시간영역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통해 가속도 실효값을 산출하여 승차감 레벨을 계산하는 승차감 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계측데이터를 상기 가속도 데이터로 변환하는 가속도 변환부;
    상기 가속도 변환부에서 변환된 상기 가속도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상기 가속도 데이터의 표준편차와 오프셋을 산출하여 상기 가속도 데이터의 오프셋과 표준편차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저주파 대역을 필터링하는 저역통과 필터부; 및
    공간패턴에서 설정된 공간주파수로 필터링하는 공간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감 보정부는,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서 방향에 따른 감각 보정 곡선을 적용하여 승차감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제어부는,
    상기 계측데이터로부터 구간거리를 산출하는 구간거리 산출부; 및
    상기 구간거리 산출부에서 산출된 구간거리와 운행기록을 비교하여 상기 계측데이터를 검증하는 검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제어부는, 상기 승차감 계산부로부터 산출된 상기 계측승차감과 상기 검측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검측데이터로부터 추출한 상기 검측승차감을 비교하는 상관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
KR2020170005046U 2017-09-25 2017-09-25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 KR2004889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046U KR200488973Y1 (ko) 2017-09-25 2017-09-25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046U KR200488973Y1 (ko) 2017-09-25 2017-09-25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835U KR20190000835U (ko) 2019-04-03
KR200488973Y1 true KR200488973Y1 (ko) 2019-04-11

Family

ID=66103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046U KR200488973Y1 (ko) 2017-09-25 2017-09-25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97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84034A (zh) * 2021-04-07 2022-10-14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冲击振动性能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0434A (ja) 2010-11-02 2012-05-24 Akebono Brake Ind Co Ltd 鉄道車両用異常診断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195B1 (ko) * 2004-12-30 2006-11-3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의 승차감 종합측정시스템
KR101250104B1 (ko) * 2010-12-29 2013-04-02 코레일공항철도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 시스템
KR101590712B1 (ko) * 2014-06-23 2016-02-02 현대로템 주식회사 운행기록을 이용한 철도차량과 선로 감시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0434A (ja) 2010-11-02 2012-05-24 Akebono Brake Ind Co Ltd 鉄道車両用異常診断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835U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ri et al. Condition monitoring of railway track using in-service vehicle
EP2436574B1 (en) State monitoring apparatus and state monitoring method of railway car, and railway car
JP4298433B2 (ja) 鉄道車両の異常検知装置
CN107107927B (zh) 铁道车辆状态监视装置
JP4521524B2 (ja) 軌道状態解析方法及び軌道状態解析装置並びに軌道状態解析プログラム
JP6315810B2 (ja) 鉄道橋の支承部の異常検出方法
EP3751249B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ity in railroad vehicle
KR101259088B1 (ko) 철도차량의 주행 안정성 분석 시스템
KR200488973Y1 (ko)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장치
WO2018155348A1 (ja) 異常監視装置、異常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94105B1 (ko) 다수 개의 매개변수에 의한 철도 차량의 진단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철도 차량의 안전 진단 방법
KR20120075757A (ko) 철도차량의 승차감 분석 시스템
Tsunashima et al. Condition monitoring of railway track and driver using in-service vehicle
JP2011011715A (ja) 異常原因特定装置、異常原因特定システム、および異常原因特定方法
JP6952531B2 (ja) 鉄道車両の異常診断システム
JP2007022220A (ja) 軌道状態解析方法及び軌道状態解析装置並びに軌道状態解析プログラム
CN117957158A (zh) 用于识别运输系统受损的方法及其控制装置
JP6935595B2 (ja) 軌条車両の異常検出装置
JP2013100111A (ja) 異常原因特定装置、異常原因特定システム、および異常原因特定方法
JP6770414B2 (ja) 乗り心地測定方法及び装置
WO2005003698A1 (en)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a system by measuring a time-variant acoustic signal from the system
JP7040983B2 (ja) 車両試験システム
KR100651187B1 (ko) 도시철도 차량의 운행중 진동 시험장치 및 그 방법
JP2008044563A (ja) 編成列車振動計測装置の位置認識方法
JP7445406B2 (ja) 監視装置、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