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797Y1 - 금속 절단기용 모재 공급기 - Google Patents

금속 절단기용 모재 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797Y1
KR200488797Y1 KR2020190000053U KR20190000053U KR200488797Y1 KR 200488797 Y1 KR200488797 Y1 KR 200488797Y1 KR 2020190000053 U KR2020190000053 U KR 2020190000053U KR 20190000053 U KR20190000053 U KR 20190000053U KR 200488797 Y1 KR200488797 Y1 KR 2004887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present
material feeder
cutting
measur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0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혜
Original Assignee
김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혜 filed Critical 김은혜
Priority to KR20201900000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7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7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7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having only one mov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6Sheet shears
    • B23D15/08Sheet shears with a blade moved in one plane, e.g.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2Arrangements for holding, guiding, and/or feeding work during th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8Press-pads; Counter-bases; Hold-dow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속 절단기용 모재 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하측 면에 자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모재가 부착 가능하며 하측 면과 상측 면을 관통하는 개구부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측정 수단을 구비하는 부착부; 모재 공급기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 및 부착부와 파지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속 절단기용 모재 공급기{BASE METAL PROVIDING DEVICE FOR SHEARING MACHINE}
본 고안은 철판 등과 같은 금속 판재인 모재를 금속 절단기(shearing machine)에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금속 판재는 강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소재로 이루어지고, 금속판재의 사용용도에 따라 두께별로 다양하게 분류하여 사용되고 있다. 나아가 금속판재 중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는 금속 판재의 경우 코일형태로 감겨 일괄공급되고 있으며, 각 분야별 제품의 규격에 맞춰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거나 1차 규격으로 절단된 판재를 다시 작은 규격으로 절단하기 위하여 절단기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금속 절단기는, 절단하고자 하는 가공물인 금속판재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과 함께 커터를 구비하고, 상하로 승강 구동하는 상부 프레임을 구성하여 상부 프레임의 하강에 의한 작동으로부터 금속 판재를 절단할 수 있다.
한편, 금속 절단기를 이용하여 금속 판재를 절단하기 위해, 작업자는 절단하고자 하는 금속 판재를 지지 프레임 상의 테이블에 위치시킨 후 절단 부재 방향으로 밀어 넣어 금속 판재가 절단되도록 하는데, 위 과정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절단하고자 하는 금속 판재의 크기가 작은 경우, 작업자와 절단 부재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져, 위와 같은 절단 과정에서의 안전사고 위험이 더욱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0-1536639호(2015.07.08 등록)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 판재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금속 절단기용 모재 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철판 등과 같은 금속 판재인 모재를 금속 절단기에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한 모재 공급기로서, 하측 면에 자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모재가 부착 가능하며, 상기 하측 면과 상측 면을 관통하는 개구부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측정 수단을 구비하는 부착부; 상기 모재 공급기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 및 상기 부착부와 상기 파지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성체와 측정 수단을 구비하는 별도의 모재 공급기를 이용해 철판 등과 같은 금속 판재를 금속 절단기의 커팅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은 크기의 피가공물을 안전하게 커팅부로 공급함과 동시에 작업의 정밀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재 공급기가 사용되는 금속 절단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재 공급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재 공급기의 하측 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재 공급기의 상측 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재 공급기를 사용하여 모재를 금속 절단기로 공급하는 방법에 대한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재 공급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재 공급기를 사용하여 모재를 금속 절단기로 공급하는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재 공급기의 하측 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고안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고안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고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고안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고안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 절단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다른 금속 절단기(100)의 정면 구성을 나타내며, 도 2는 금속 절단기(100)의 측면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금속 절단기(100)는 피가공물을 절단하기 위한 커팅부(120)가 구비되는 본체 프레임(110), 피가공물이 놓여져 커팅부(120)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테이블이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130)과, 커팅부(120)에 의해 절단된 피가공물이 배출되는 수납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있다.
본체 프레임(110)은, 작업 장소에 고정 상태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커팅부(120) 및 수납부(140)가 각각 장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본체를 형성한다.
한편, 지지 프레임(130)의 상면에는 금속 판재 등과 같은 피가공물이 적재될 수 있는 평탄한 테이블이 구비되고, 지지프레임(130) 상의 테이블에 적재되어 놓여진 피가공물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커팅부(120)를 향해 공급된다.
지지프레임(130) 상의 테이블에는 적재된 가공물에 대해 절단할 길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자를 형성하는 측정 수단(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30) 상의 테이블에 놓여져 공급된 후 커팅부(120)에 의해 절단된 피가공물은 수납부(140)로 배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팅부(120)에 의해 절단된 피가공물은 수납부(140)로 배출되어, 본체 프레임(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트레이(미도시)로 수납될 수 있다.
한편, 본체 프레임(110)에는 작업자가 금속 절단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조작부들(111, 11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체 프레임(110)의 정면에 제1 조작부(111)가 구비되고, 본체 프레임(110)의 측면에는 제2 조작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들(111, 112)에는 작업자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머튼들과 금속 절단기(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램프 또는 디스플레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커팅부(120)는 피가공물을 향해 상하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110)에 구비되며, 피가공물에 접하여 절단하는 절단 부재(121)와 피가공물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부재(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절단 부재(121)는 지지 프레임(130)의 테이블 상에 놓여져 공급된 피가공물을 향해 상하 수직으로 왕복 운동하여 절단하며, 본체 프레임(110)의 폭 방향에 상응하는 길이로 길게 연장하여 다양한 크기의 피가공물들을 일률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부재(122)는 절단 부재(121)의 일측에 소폭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절단 부재(121)와 함께 수직으로 상하 왕복 운동하여 피가공물을 누름 고정할 수 있다.
클램프 부재(122)는 본체 프레임(110)의 폭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구비되어, 절단 시 피가공물을 눌러 고정하여 피가공물의 가공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커팅부(120)에는 절단 부재(121)와 클램프 부재(122)에 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구동 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금속 절단기(100)를 이용해 금속 판재 등과 같은 피가공물을 절단하는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작업자는 먼저 지지 프레임(130) 상의 테이블에 피가공물을 놓은 후 커팅부(120)를 향해 밀어 공급한다.
그 후, 작업자는 상기 공급된 피가공물을 향해 커팅부(120)가 하강하도록 하며, 그에 따라 피가공물에 클램프 부재(122)가 접하여 고정시킨 후 절단 부재(121)가 접하면서 피가공물을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커팅부(121)에 의해 절단된 피가공물은 수납부(140)로 배출되어, 절단된 피가공물의 스크랩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금속 절단기(100)를 이용한 절단 과정에서, 절단하고자 하는 금속 판재의 크기가 작은 경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지지 프레임(130) 상의 테이블에 금속 판재를 적재해 커팅부(120)로 공급하고 절단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성체와 측정 수단을 구비하는 별도의 모재 공급기를 이용해 철판 등과 같은 금속 판재를 금속 절단기의 커팅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은 크기의 피가공물을 안전하게 커팅부로 공급함과 동시에 작업의 정밀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재 공급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모재 공급기(300)는 부착부(310), 파지부(320) 및 연결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부착부(310)는 하측 면에 자성체(350)가 구비되어 모재가 자력에 의해 부착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부착부(310)에는 하측 면과 상측 면을 관통하는 개구부(미도시)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측정 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부착부(310)의 하측 면에 구비된 자성체(350)는 복수의 영구 자석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파지부(320)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 모재 공급기(300)를 파지하기 위한 것이며, 연결부(330)는 부착부(310)와 파지부(320)를 연결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재 공급기(300)의 구성에 따라, 작업자는 모재 공급기(300)의 부착부(310) 하측 면에 모재인 금속 판재를 부착시킨 후, 파지부(320)를 잡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금속 절단기(100)의 커팅부(120)로 공급하여 절단되도록 하고, 절단 후 남은 모재를 부착부(310)의 하측 면에 부착된 상태로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재 공급기(300)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재 공급기(300)의 하측 면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재 공급기(300)의 상측 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부착부(310)의 하측 면(311)에는 복수의 영구 자석들(351, 352)이 구비되며, 부착부(310)의 하측 면(311)과 상측 면(312)을 관통하는 복수의 개구부들(361, 36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부착부(310)에는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361, 362)에 각각 인접하도록 복수의 측정 수단들(371, 372)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부(310)는 하측 면(311)과 상측 면(312)을 관통하는 제1 개구부(361)와 제2 개구부(362)를 포함하고, 제1 개구부(361)에 좌우로 각각 인접하도록 제1 측정 수단(371)과 제1 영구 자석(351)이 구비되며, 제2 개구부(362)에 좌우로 각각 인접하도록 제2 영구 자석(352)와 제2 측정 수단(372)이 구비될 수 있다.
측정 수단들(371, 372)에는 각각 상측 및 하측 방향에서 모두 노출 가능하도록 눈금자가 형성되어, 모재 공급기(300)의 부착부(310)에 부착된 모재의 크기(좀 더 상세하게는, 절단할 모재의 크기)가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부착부(310)의 하측 면에는, 모재의 용접 비드가 안착되기 위한 홈(380)이 형성되어 있으며, 홈(380)은 자성체인 제1, 2 영구 자석들(351, 352) 및 제1, 2 측정 수단들(371, 372)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재 공급기를 사용하여 모재를 금속 절단기로 공급하는 방법에 대한 일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측정 수단들(371, 372)의 눈금자를 이용해 모재(A)의 절단 크기를 맞추고 모재(A)의 용접 비드(600)가 부착부(310)의 하측 면 홈(380)에 안착되도록 하측 면(311)에 부착시킨 후, 파지부(320)를 손으로 잡아 금속 절단기(100)의 커팅부(120)로 공급하여 절단되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작업자는 절단 후 남은 모재(A)가 부착부(310)의 하측 면(311)에 부착된 상태로, 파지부(320)를 당겨 제거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작업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재 공급기(300)를 이용해 소형의 모재를 안전하게 금속 절단기(100)의 커팅부(120)로 공급 및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재 공급기(300)의 부착부(310) 하측 면의 끝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절곡된 측면부의 내측 면에 자성체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모재 공급기(300)의 부착부(310)는 하측 면의 끝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결부(330)와 결합되는 측면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315)의 내측 면에는, 제1, 2 영구 자석들(351, 352)에 추가하여, 제3 영구 자석(355)이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큰 모재(B)의 경우, 모재(B)의 끝단이 측면부(315)의 내측 면에 구비된 제3 영구 자석(355)에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모재(B)가 모재 공급기(300)의 부착부(310)에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로 금속 절단기(100)의 커팅부(120)로 공급 및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모재 공급기(3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자성체의 개수, 크기, 형상, 위치 등은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영구 자석들(357, 358)이 부착부(310)의 하측 면(311)과 측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금속 절단기 110 : 본체 프레임
111 : 제1 조작부 112 : 제2 조작부
120 : 커팅부 121 : 절단 부재
122 : 클램프 부재 130 : 지지 프레임
140 : 수납부 300 : 모재 공급기
310 : 부착부 311 : 부착부 하측 면
312 : 부착부 상측 면 315 : 측면부
320 : 파지부 330 : 연결부
350 : 자성체 351, 352 : 제1, 2 영구 자석
361, 362 : 제1, 2 개구부 371, 372 : 제1, 2 측정 수단
380 : 홈 600 : 용접 비드

Claims (8)

  1. 철판 등과 같은 금속 판재인 모재를 금속 절단기에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한 모재 공급기에 있어서,
    하측 면에 자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모재가 부착 가능하며, 상기 하측 면과 상측 면을 관통하는 개구부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측정 수단을 구비하는 부착부;
    상기 모재 공급기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 및
    상기 부착부와 상기 파지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절단기용 모재 공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면에 구비된 자성체는 복수의 영구 자석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절단기용 모재 공급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하측 면과 상기 상측 면을 관통하는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부에 좌우로 각각 인접하도록 제1 자성체와 제1 측정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개구부에 좌우로 각각 인접하도록 제2 자성체와 제2 측정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절단기용 모재 공급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면의 끝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절곡된 측면부의 내측 면에 또 다른 자성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절단기용 모재 공급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수단에는 눈금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절단기용 모재 공급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자는
    상측 및 하측 방향에서 모두 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절단기용 모재 공급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의 용접 비드가 안착되기 위한 홈이 상기 하측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절단기용 모재 공급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자성체 및 상기 측정 수단 중 적어도 하나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절단기용 모재 공급기.
KR2020190000053U 2019-01-04 2019-01-04 금속 절단기용 모재 공급기 KR2004887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053U KR200488797Y1 (ko) 2019-01-04 2019-01-04 금속 절단기용 모재 공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053U KR200488797Y1 (ko) 2019-01-04 2019-01-04 금속 절단기용 모재 공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797Y1 true KR200488797Y1 (ko) 2019-03-20

Family

ID=65891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053U KR200488797Y1 (ko) 2019-01-04 2019-01-04 금속 절단기용 모재 공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797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706B1 (ko) 2016-04-11 2018-02-21 이홍근 절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706B1 (ko) 2016-04-11 2018-02-21 이홍근 절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7969B2 (en) Support table frame for high speed laser blanking
KR101518025B1 (ko) 모터컨트롤러부품 자동용접장치
KR101578015B1 (ko) Nct 펀칭기 착탈용 부스바 펀칭장치
JP6583415B2 (ja) 板材加工システム、及び板材加工方法
US20130098876A1 (en) Laser machining apparatus
EP2893987B1 (en) Work processing apparatus and die moving method for work processing apparatus
KR101559468B1 (ko) 공작기계용 부정형 가공품 고정장치 및 그 방법
CN103108718A (zh) 用于可调节的斜切导引装置的反馈机构
JP2006326810A (ja) 丸鋸切断機のワーク供給装置およびそのワーク供給方法
KR20140026662A (ko) 용접장치 및 방법
KR200488797Y1 (ko) 금속 절단기용 모재 공급기
EP3072623A1 (en) Workpiece fixing jig used in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e
JP2015223608A (ja) 板材加工システム、及び板材加工方法
CN214236743U (zh) 汇流排焊接保护装置及汇流排焊接装置
US20150273570A1 (en) Fastener applying apparatus and fastener applying method
KR101692898B1 (ko) 스터드 용접장치
KR101975268B1 (ko) 금속 절단기
KR101632875B1 (ko) 펀칭장치
CN210587382U (zh) 一种激光对线剪板机
US11504781B2 (en) Twin-head bar cutting device
CN210975320U (zh) 切边组件及定型机
EP3610964B1 (en) Workpiece placement platform device having workpiece positioning member freely movable in and out relative to upper surface of placement platform
US20210046531A1 (en) Press brake system
JP5685659B1 (ja) 両頭加工機におけるワーク搬出入装置
US20140131423A1 (en) Fetching mechanism and automatic welding system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