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734Y1 - 직액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직액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734Y1
KR200488734Y1 KR2020180005414U KR20180005414U KR200488734Y1 KR 200488734 Y1 KR200488734 Y1 KR 200488734Y1 KR 2020180005414 U KR2020180005414 U KR 2020180005414U KR 20180005414 U KR20180005414 U KR 20180005414U KR 200488734 Y1 KR200488734 Y1 KR 200488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writing
slit
writing tip
iner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4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나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나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나미
Priority to KR20201800054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7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734Y1/ko
Priority to PCT/KR2019/015122 priority patent/WO202010591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8Arrangements for feeding the ink to the nibs
    • B43K5/1818Mechanical feeding means, e.g. valves; Pumps
    • B43K5/1827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2Ink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8Arrangements for feeding the ink to the n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액식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직액식필기구의 사용과정에 있어 필기팁에 발생되는 관성력에 의하여 잉크의 관성 유동을 관성보유체의 점성 보유력에 의하여 제한하여 잉크의 과도유출을 방지하고 일정량의 잉크를 보유하여 원활한 필기를 위하여 필기팁으로 지속적인 잉크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직액식 필기구에 있어서, 잉크가 액상으로 저장되는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탱크의 하부에 잉크가 배출되는 관체로 형성된 잉크배출부, 상기 잉크배출부에 내부에 잉크 배출을 제어하는 잉크밸브, 상기 잉크배출부에 상단이 끼워 결합되어 잉크를 공급받아서 필기면에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필기가 이루어지게 하는 필기팁, 상기 잉크배출부의 하부에 배출된 잉크를 슬릿의 부착력에 의하여 보유하여 필기팁에 공급하는 잉크슬릿보유부, 상기 잉크배출부와 잉크슬릿보유부 사이에 필기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필기팁의 관성 유동에 대하여 잉크슬릿보유부의 잉크를 점성 보유하여 잉크의 관성 유동에 의한 배출이 제한되게 형성한 관성보유체 및 상기 필기팁의 외측에 끼워 결합되어 필기팁을 지지하는 팁캡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직액식필기구의 사용과정에 있어 필기팁에 발생되는 관성력에 의하여 잉크의 관성 유동을 관성보유체의 점성 보유력에 의하여 제한하여 잉크의 과도유출을 방지하는 효과와 일정량의 잉크를 보유하여 원활한 필기를 위하여 필기팁으로 지속적인 잉크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직액식 필기구{Direct-fluid Writing Instruments}
본 고안은 직액식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액식 필기구에 있어서, 잉크탱크의 하부에 잉크가 배출되는 관체로 형성된 잉크배출부, 상기 잉크배출부에 내부에 잉크 배출을 제어하는 잉크밸브, 상기 잉크배출부의 하부에 배출된 잉크를 슬릿의 부착력에 의하여 보유하여 필기팁에 공급하는 잉크슬릿보유부, 상기 잉크배출부와 잉크슬릿보유부 사이에 필기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필기팁의 관성 유동에 대하여 잉크슬릿보유부의 잉크를 점성 보유하여 잉크의 관성 유동에 의한 배출이 제한되게 형성한 관성보유체를 구성하여서, 직액식필기구의 사용과정에 있어 필기팁에 발생되는 관성력에 의하여 잉크의 관성 유동을 관성보유체의 점성 보유력에 의하여 제한하여 잉크의 과도유출을 방지하고 일정량의 잉크를 보유하여 원활한 필기를 위하여 필기팁으로 지속적인 잉크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액식 필기구는 필기팁에 잉크를 직접 공급하여 필기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직액식 필기구는 잉크가 액상으로 저장되는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탱크의 하부에 잉크가 배출되는 관체로 형성된 잉크배출부, 상기 잉크배출부에 내부에 잉크 배출을 제어하는 잉크밸브, 상기 잉크배출부에 상단이 끼워 결합되어 잉크를 공급받아서 필기면에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필기가 이루어지게 하는 필기팁, 및 상기 필기팁의 외측에 끼워 결합되어 필기팁을 지지하는 팁캡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직액식 필기구는 필기과정에 잉크탱크의 잉크가 필기팁으로 공급되어서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하부로 유동 되어서 필기면에 도포가 이루어지므로 필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직액식 필기구는 잉크의 공급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져 원활한 필기가 이루어지는 필기하지 않을 경우 잉크가 지속적인 유동에 의하여 필기팁을 통하여 과도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어 잉크배출부에 필기팁의 가압에 따라 개방되도록 잉크의 배출을 제한하는 잉크밸브를 구비하여 실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직액식 필기구는 필기팁의 펌핑작용에 의한 잉크밸브의 개방시 배출된 잉크를 일정량 보유할 수 있게 필기팁의 외주연을 따라 슬릿을 등간격으로 형성한 잉크슬릿보유부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직액식 필기구는 필기팁에 관성력에 의한 관성유동력이 발생하게 되면 잉크슬릿보유부에 저장된 잉크가 관성 유동에 의하여 과도배출되어 잉크배출이 과도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직액식 필기구는 잉크슬릿보유부의 잉크 보유량이 적어 필기팁을 가압하여 잉크가 배출되게 하는 펌핑잉크 배출과정이 자주 이루어져 그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08304호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직액식 필기구가 필기팁에 관성력에 의한 관성유동력이 발생하게 되면 잉크슬릿보유부에 저장된 잉크가 관성 유동에 의하여 과도배출되어 잉크 배출이 과도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과 잉크슬릿보유부의 잉크 보유량이 적어 필기팁을 가압하여 잉크가 배출되게 하는 펌핑잉크 배출과정이 자주 이루어져 그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직액식 필기구에 있어서, 잉크가 액상으로 저장되는 잉크탱크와 상기 잉크탱크의 하부에 잉크가 배출되는 관체로 형성된 잉크배출부, 상기 잉크배출부에 내부에 잉크 배출을 제어하는 잉크밸브, 상기 잉크배출부에 상단이 끼워 결합되어 잉크를 공급받아서 필기면에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필기가 이루어지게 하는 필기팁, 상기 잉크배출부의 하부에 배출된 잉크를 슬릿의 부착력에 의하여 보유하여 필기팁에 공급하는 잉크슬릿보유부, 상기 잉크배출부와 잉크슬릿보유부 사이에 필기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필기팁의 관성 유동에 대하여 잉크슬릿보유부의 잉크를 점성 보유하여 잉크의 관성 유동에 의한 배출이 제한되게 형성한 관성보유체 및 상기 필기팁의 외측에 끼워 결합되어 필기팁을 지지하는 팁캡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잉크배출부의 하부에 배출된 잉크를 슬릿의 부착력에 의하여 보유하여 필기팁에 공급하는 잉크슬릿보유부와 상기 잉크배출부와 잉크슬릿보유부 사이에 필기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필기팁의 관성 유동에 대하여 잉크슬릿보유부의 잉크를 점성 보유하여 잉크의 관성 유동에 의한 배출이 제한되게 형성한 관성보유체 및 상기 필기팁의 외측에 끼워 결합되어 필기팁을 지지하는 팁캡으로 구성함으로써, 직액식필기구의 사용과정에 있어 필기팁에 발생되는 관성력에 의하여 잉크의 관성 유동을 관성보유체의 점성 보유력에 의하여 제한하여 잉크의 과도유출을 방지하는 효과와 일정량의 잉크를 보유하여 원활한 필기를 위하여 필기팁으로 지속적인 잉크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상태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성보유체 분리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상태 예시도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상태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관성 유동에 의한 잉크의 과도유출을 방지하도록 함과 더불어 일정량의 잉크를 보유하여 원활한 필기를 위하여 필기팁으로 지속적인 잉크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고안은 직액식 필기구에 있어서, 잉크탱크(10)와 잉크배출부(20), 잉크밸브(30), 필기팁(40), 잉크슬릿보유부(50), 관성보유체(60) 및 팁캡(41)으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잉크탱크(10)는 잉크가 액상으로 저장되고 하부에 잉크가 배출되는 잉크배출부(20)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잉크탱크(10)는 그 자체로 몸체를 형성하거나, 외측에 별도의 하우징이 결합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잉크배출부(20)는 잉크탱크(10)의 하부에 잉크가 배출되는 관체로 돌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잉크배출부(20)는 하부에서 필기팁(40)이 끼워 결합되어서 잉크탱크(10)에서 배출되는 잉크를 공급받아 필기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잉크밸브(30)는 잉크배출부(20)의 내부에 잉크 배출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잉크밸브(30)는 잉크배출부(20)에 결합된 필기팁(40)의 가압에 따라 개방되어 잉크탱크(10)의 잉크를 배출시켜 필기팁(40)을 통하여 공급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잉크밸브(30)는 잉크배출부(20)에 탄성 가동되게 구비된 밸브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필기팁(40)은 상단이 잉크배출부(20)에 끼워 결합되고 하단은 팁캡(41)에 의하여 보호되는 것이다.
상기 필기팁(40)은 길이방향으로 미세한 유로가 형성된 섬유체로 형성되며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잉크를 하부로 유동시켜서 필기면과의 접촉에 의하어 필기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잉크슬릿보유부(50)는 잉크배출부(20)의 하부에 배출된 잉크를 점성 보유할 수 있게 필기팁(40)의 외주연을 따라 등간격으로 잉크를 점성보유하는 슬릿(51)으로 형성한 것이다.
성기 잉크슬릿보유부(50)는 잉크탱크(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하여 실시하거나, 잉크탱크(10)로부터 분리되어 조립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성보유체(60)는 잉크배출부(20)와 잉크슬릿보유부(50) 사이에 필기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필기팁(40)의 관성 유동에 대하여 잉크슬릿보유부(50)의 잉크를 점성 보유하여 잉크의 관성 유동에 의한 배출이 제한되게 형성한 것이다.
상기 관성보유체(60)는 필기팁(40)보다 밀도가 낮은 저밀도체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관성보유체(60)는 잉크배출부(20)에 끼워 결합할 수 있게 중앙에 조립공(61)이 관통형성된 것이다.
상기 관성보유체(60)의 하단에는 잉크슬릿보유부(50)의 슬릿(51)에 비례하여 잉크공급절개부(62)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팁캡(41)은 필기팁(40)의 외측에 끼워 결합되어 필기팁(40)을 지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잉크슬릿보유부(50)는 필기팁(40)의 외주연을 따라 등간격으로 잉크를 점성 보유하는 슬릿(51)이 팁캡(41)의 내주면에서 등 간격으로 돌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팁캡(41)은 관성보유체(60)를 슬릿(51)의 상부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하여 잉크탱크(10)와 결합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은 직액식 필기구에 있어서, 잉크가 액상으로 저장되는 잉크탱크(10)와 상기 잉크탱크(10)의 하부에 잉크가 배출되는 관체로 형성된 잉크배출부(20), 상기 잉크배출부(20)에 내부에 잉크 배출을 제어하는 잉크밸브(30), 상기 잉크배출부(20)에 상단이 끼워 결합되어 잉크를 공급받아서 필기면에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필기가 이루어지게 하는 필기팁(40), 상기 잉크배출부(20)의 하부에 배출된 잉크를 슬릿(51)의 부착력에 의하여 보유하여 필기팁(40)에 공급하는 잉크슬릿보유부(50), 상기 잉크배출부(20)와 잉크슬릿보유부(50) 사이에 필기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필기팁(40)의 관성 유동에 대하여 잉크슬릿보유부(50)의 잉크를 점성 보유하여 잉크의 관성 유동에 의한 배출이 제한되게 형성한 관성보유체(60) 및 상기 필기팁(40)의 외측에 끼워 결합되어 필기팁(40)을 지지하는 팁캡(41)으로 구성한 본 고안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직액식필기구의 사용과정에 있어 필기팁(40)에 발생되는 관성력에 의하여 잉크의 관성 유동을 관성보유체(60)의 점성 보유력에 의하여 잉크의 과도유출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관성보유체(60)가 일정량 이상의 잉크를 점성 보유하여 원활한 필기를 위하여 필기팁(40)으로 지속적인 잉크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 잉크슬릿보유부(50)를 필기팁(40)의 외주연을 따라 등간격으로 잉크를 점성 보유하는 슬릿(51)으로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잉크배출부(20)의 하부에 배출된 잉크를 상기 슬릿(51)에 점성 보유하였다 필기팁(40)에 공급하여 지속적인 필기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관성보유체(60)는 필기팁(40)보다 밀도가 낮은 저밀도체로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관성보유체(60)에 흡수된 잉크가 점성 보유되어서 안정적으로필기팁(40)의 잉크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성보유체(60)의 하단에 잉크슬릿보유부(50)의 슬릿에 비례하여 잉크공급절개부(62)를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보유된 잉크가 잉크슬릿보유부(50)의 슬릿(51)으로 원활하여 유동되어 필기팁(40)의 잉크공급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팁캡(41)은 필기팁(40)의 외측에 끼워 결합되어 필기팁(40)을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잉크슬릿보유부(50)는 필기팁(40)의 외주연을 따라 등간격으로 잉크를 점성 보유하는 슬릿(51)이 팁캡(41)의 내주면에서 등 간격으로 돌출 형성하고, 관성보유체(60)를 슬릿(51)의 상부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구성의 간소화에 따른 생산성 향상과 잉크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10 : 잉크탱크
20 : 잉크배출부
30 : 잉크밸브
40 : 필기팁
41 : 팁캡
50 : 잉크슬릿보유부
51 : 슬릿
60 : 관성보유체
61 : 조립공
62 : 잉크공급절개부

Claims (4)

  1. 직액식 필기구에 있어서;
    잉크가 액상으로 저장되는 잉크탱크(10)와 상기 잉크탱크(10)의 하부에 잉크가 배출되는 관체로 형성된 잉크배출부(20), 상기 잉크배출부(20)에 내부에 잉크 배출을 제어하는 잉크밸브(30), 상기 잉크배출부(20)에 상단이 끼워 결합되어 잉크를 공급받아서 필기면에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필기가 이루어지게 하는 필기팁(40), 상기 잉크배출부(20)의 하부에 배출된 잉크를 슬릿(51)의 부착력에 의하여 보유하여 필기팁(40)에 공급하는 잉크슬릿보유부(50), 상기 잉크배출부(20)와 잉크슬릿보유부(50) 사이에 필기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필기팁(40)의 관성 유동에 대하여 잉크슬릿보유부(50)의 잉크를 점성 보유하여 잉크의 관성 유동에 의한 배출이 제한되게 형성한 관성보유체(60) 및 상기 필기팁(40)의 외측에 끼워 결합되어 필기팁(40)을 지지하는 팁캡(41)으로 구성하고;
    상기 잉크슬릿보유부(50)는 잉크배출부(20)의 하부에 배출된 잉크를 점성 보유할 수 있게 필기팁(40)의 외주연을 따라 등 간격으로 잉크를 점성보유하는 슬릿(51)으로 형성하며;
    상기 잉크슬릿보유부(50)는 잉크탱크(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한 것과, 잉크탱크(10)로부터 분리되어 조립되게 구성한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구성하고;
    상기 관성보유체(60)는 필기팁(40)보다 낮은 저밀도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2. 직액식 필기구에 있어서;
    잉크가 액상으로 저장되는 잉크탱크(10)와 상기 잉크탱크(10)의 하부에 잉크가 배출되는 관체로 형성된 잉크배출부(20), 상기 잉크배출부(20)에 내부에 잉크 배출을 제어하는 잉크밸브(30), 상기 잉크배출부(20)에 상단이 끼워 결합되어 잉크를 공급받아서 필기면에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필기가 이루어지게 하는 필기팁(40), 상기 잉크배출부(20)의 하부에 배출된 잉크를 슬릿(51)의 부착력에 의하여 보유하여 필기팁(40)에 공급하는 잉크슬릿보유부(50), 상기 잉크배출부(20)와 잉크슬릿보유부(50) 사이에 필기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필기팁(40)의 관성 유동에 대하여 잉크슬릿보유부(50)의 잉크를 점성 보유하여 잉크의 관성 유동에 의한 배출이 제한되게 형성한 관성보유체(60) 및 상기 필기팁(40)의 외측에 끼워 결합되어 필기팁(40)을 지지하는 팁캡(41)으로 구성하고;
    상기 잉크슬릿보유부(50)는 필기팁(40)의 외주연을 따라 잉크를 점성 보유하는 슬릿(51)이 팁캡(41)의 내주면에서 등 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관성보유체(60)는 필기팁(40)보다 낮은 저밀도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3.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보유체(60)는 잉크배출부(20)에 끼워 결합할 수 있게 중앙에 조립공(61)을 관통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보유체(60)는 하단에 잉크슬릿보유부(50)의 슬릿(51)에 비례하여 잉크공급절개부(6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KR2020180005414U 2018-11-23 2018-11-23 직액식 필기구 KR200488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414U KR200488734Y1 (ko) 2018-11-23 2018-11-23 직액식 필기구
PCT/KR2019/015122 WO2020105915A1 (ko) 2018-11-23 2019-11-08 직액식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414U KR200488734Y1 (ko) 2018-11-23 2018-11-23 직액식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734Y1 true KR200488734Y1 (ko) 2019-07-04

Family

ID=6722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414U KR200488734Y1 (ko) 2018-11-23 2018-11-23 직액식 필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8734Y1 (ko)
WO (1) WO20201059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5915A1 (ko) * 2018-11-23 2020-05-28 주식회사 모나미 직액식 필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6678A (ko) * 1999-02-17 2000-12-26 유키오 우에스기 직액식 필기구
KR100708304B1 (ko) 2006-04-06 2007-04-19 이해섭 필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0116A (en) * 1992-06-23 1994-03-01 Chang Shin Ju D Flow control for writing instruments
JP2618823B2 (ja) * 1994-02-21 1997-06-11 ぺんてる株式会社 筆記具カートリッジ
KR100562280B1 (ko) * 2004-06-15 2006-03-23 주식회사모나미 필기구
JP2006289875A (ja) * 2005-04-14 2006-10-26 Mitsubishi Pencil Co Ltd 加圧式の筆記具
KR200488734Y1 (ko) * 2018-11-23 2019-07-04 주식회사 모나미 직액식 필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6678A (ko) * 1999-02-17 2000-12-26 유키오 우에스기 직액식 필기구
KR100708304B1 (ko) 2006-04-06 2007-04-19 이해섭 필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5915A1 (ko) * 2018-11-23 2020-05-28 주식회사 모나미 직액식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05915A1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0046B1 (en) Liquid feed device
KR20090051073A (ko) 필기구
KR200488734Y1 (ko) 직액식 필기구
JP2000233592A (ja) 直液式筆記具
KR101587997B1 (ko) 연속필기 가능한 마커펜
US4997301A (en) Fountain pen
JP2013144379A (ja) バルブ機構を備えた筆記具
JP2002362086A (ja) インキ導入管及びこれを内蔵した筆記具
KR102138035B1 (ko) 레귤레이터닙형 직액식 필기구
CN113246616B (zh) 液体消耗装置
KR101992126B1 (ko) 고밀도유지관체형 직액식 필기구
KR101706669B1 (ko) 필기농도의 조절이 가능한 마커펜
KR101992127B1 (ko) 고밀도유지 돌기형 직액식 필기구
JP2003136883A (ja) 筆記具
JP4848544B2 (ja) インキ補充用具
KR101992128B1 (ko) 고밀도유지 돌기형 직액식 필기구
JP2009083293A (ja) 筆記具
JP4501389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及びそのバッファタンク
KR100903403B1 (ko) 액상 보드마커
JP2607230Y2 (ja) 筆記具
KR20200087921A (ko) 레귤레이터홈형 직액식 필기구
US236877A (en) Chaeles h
JP3813663B2 (ja) インク注入具
KR101653327B1 (ko)
JP4006606B2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