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270Y1 - 자전거 크랭크셋 브래킷 - Google Patents

자전거 크랭크셋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270Y1
KR200488270Y1 KR2020160000855U KR20160000855U KR200488270Y1 KR 200488270 Y1 KR200488270 Y1 KR 200488270Y1 KR 2020160000855 U KR2020160000855 U KR 2020160000855U KR 20160000855 U KR20160000855 U KR 20160000855U KR 200488270 Y1 KR200488270 Y1 KR 2004882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rame
crankset
crankshaft
upp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011U (ko
Inventor
모종우
Original Assignee
모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종우 filed Critical 모종우
Priority to KR2020160000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270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0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0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2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003Combination of crank axles and bearings housed in the bottom bra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2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21/14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means of cranks, eccentrics, or like members fixed to one rotary member and guided along tracks on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 크랭크셋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이는 소정의 두께,넓이 및 강성을 갖는 다양한 소재의 자전거 프레임(1)에 결합되는 크랭크셋의 고정 및 지지장치로 구성함에 있어서, 프레임(1)에 상부브래킷(2)과 하부브래킷(3)으로 나뉘어 결합 및 체결하도록 제작되며 지지구조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크랭크축(5) 양끝단에 원형지지판(6)과 지지핀(7-a,7-b)을 설치하여 뒤틀림 강도와 결합 안전성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프레임(1)과 크랭크축(5) 지지 구조체인 브래킷은 프레임(1)과 영구 접합하지 않고 결합하여 다양한 소재개발과 디자인이 가능하도록 하며 동시에 자전거 동력발생 장치인 크랭크축(5)을 안정적으로 구성하고 지지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전거 크랭크셋 브래킷{Bicycle Crankset Bracket}
본 고안은 자전거 크랭크셋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이는 소정의 두께 및 넓이와 강도를 갖는 다양한 소재의 자전거 프레임에 상, 하부로 나뉘어 결합하는 크랭크셋의 고정 및 지지장치로 구성함에 있어서, 프레임에 결합하여 체결하도록 제작되는 구조체로 자전거 프레임과 크랭크축 지지 구조체인 브래킷은 영구 접합하지 않고 결합하여 자전거 동력발생 장치인 크랭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의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의 프레임 중앙 하단에 위치한 크랭크셋은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장치로 바텀브래킷{Bottom Bracket} 또는 베어링브래킷{Bearing Bracket}, 크랭크축{Crank Axle}, 수프라켓기어{Sprocket Gear}, 크랭크암{Crank Arm}, 페달{Pedal}로 구성한다.
도1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의 크랭크셋을 지지하는 구조체는 구동시 하중과 뒤틀림이 심하여 강성이 있는 금속재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3개의 프레임축을 영구접합하고 접합지점(A)에서 직각방향으로 크랭크축 관통관(B)을 만들어 베어링을 설치하고 크랭크축(C)을 삽입한 후 수프라켓(F), 크랭크암(D)과 페달(E)을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영구접합 방식의 크랭크셋의 지지구조는 강성이 강하고 영구접합이 용이한 금속재 사용으로 제한되어 있어 프레임과 크랭크셋 각각을 나무재, 합성수지재, 마그네슘재 등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기 어려워 소재의 다양화를 추구할 수 없으며 이러한 소재의 제한은 디자인에도 영향을 미쳐 다양한 소재와 구조를 갖는 제품 출시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금속재에서 흔히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크랭크축 관통관의 변형, 빗물이나 바닷물 등과 같은 외부환경에 따른 내부부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베어링과 크랭크축, 베어링을 지지해 주는 관통관 또는 베어링브래킷의 마모를 가속화하여 이격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정상적인 크랭크셋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게 하여 자전거의 수명을 단축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마모의 진행을 초기에 확인하기 어렵고, 확인할 수 있어도 수리가 쉽지 않으며, 사용자가 직접 크랭크축 관통관을 교체 수리하는 것은 더더욱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크랭크셋의 경우 장거리 배송시 돌출된 크랭크를 쉽게 분리할 수 없어 포장이 어려우며, 포장이 잘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크랭크셋 부품인 수프라켓, 크랭크암 등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질 경우, 크랭크축 관통관의 내부변형 또는 베어링의 이탈 등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나무, 합성수지, 등과 같은 다양한 소재의 자전거 프레임과 크랭크축을 지지해주는 크랭크셋을 영구접합이 아닌 조립 가능한 지지구조체인 브래킷을 결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자전거의 동력발생장치인 크랭크운동에서 발생하는 뒤틀림, 휨, 하중 등에 대해 강도와 안전을 유지하며, 동시에 분해 조립은 물론, 선별 수리할 수 있도록 하여 반영구적이며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장거리 배송시, 분리 발송하여 안심하고 안전하게 제품을 배송할 수 있도록 크랭크축 지지구조체인 브래킷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내용에는 자전거 본체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지지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해 자전거 프레임(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의 지지장치인 상부브래킷(2)과 하부브래킷(3)을 구조하여 볼트(11)로 체결하고 상부브래킷(2)에는 프레임(1)의 직각 방향인 크랭크축(5) 방향으로 베어링브래킷(4)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멍을 내어 삽입하고 나사산을 갖춘 플런저볼트(13)로 고정하고, 베어링브래킷(4) 양끝에 원형wl판에 원형지지판(6)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주변부에 구멍을 내어 지지핀(7-a,7-b)을 설치하고 볼트(11)을 고정한다. 이때, 하부브래킷(3) 및 상부브래킷(2)의 일부는 지지핀(7-a)이 관통할 수 있도록 구멍을 내고 안정적으로 홀드 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지지 강도를 높이도록 구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자전거 프레임에 상부와 하부로 분리된 2개의 브래킷(2,3)을 볼트(11)로 결합하여 장착하고 상부브래킷(2)에 베어링브래킷(4)을 설치함으로써 크랭크운동시 발생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도록 하며 원형지지판(6)과 지지핀(7-a.7-b)을 설치하여 뒤틀림에 더욱 보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경량화와 미적인 요소를 가미하는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립체결방식으로 영구접합이 불가한 프레임 소재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어 친환경소재의 다양한 적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기존 자전거 크랭크셋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태가 다른 프레임을 갖는 자전거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2의 크랭크셋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2의 크랭크셋브래킷(2)의 밑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2의 상부브래킷(2)에 베어링브래킷(4)과 크랭크축(5)이 관통 장착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2의 상부브래킷(2)의 연결부와 원형지지판(6) 및 지지핀(7-a, 7-b)의 결합부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2의 하부브래킷(3)의 연결부와 원형지지판(6) 및 지지핀(7-a)의 결합부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자전거의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의 본체 프레임이 구조한 안장의 하단에 자전거를 구동하기 위한 크랭크 장치를 구조함에 있어서 소정 두께 및 넓이와 강성을 갖는 다양한 소재의 자전거 본체 프레임(1)과 프레임 위쪽에 크랭크축(5)을 지지하도록 구조된 상부브래킷(2)과 프레임(1)하단에 밀착 결합및 체결하도록 구조된 하부브래킷(3)으로 제작되며 두개의 상,하부 브래킷(2,)이 프레임(1)을 사이에 두고 볼트(11)로 체결되고 양옆 끝단에 원형지지판(6)과 여러 개의 지지핀(7-a,7-b)이 지지구조를 보완하도록 설치되고 볼트(11)로 체결되어 더욱 안정된 크랭크축(5)을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고정하여 페달에 가해지는 비대칭 하중과 뒤틀림에 대해 안정성과 강도를 강화시킨 것이 그 특징이다. 이 모두의 체결된 결합체를 크랭크셋 브래킷이라 명칭한다.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1)과 크랭크셋 브래킷은 각각 일정형태의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이다.
상기 결합된 상부브래킷(2)와 하부브래킷(3)은 프레임(1) 형태와 구조에 맞춰 제작하여 볼트(11)로 체결 고정시 완전히 일체 되도록 구조한다.
상기 크랭크셋 브래킷은 자전거 본체 프레임(1)에 직접 영구 접합하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크랭크셋 브래킷은 자전거 본체 프레임(1)에 안정적인 지지구조체를 구성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브래킷(2)과 하부브래킷(3)은 본체 프레임(1)에 대해 볼트(11)로 조립된다.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1)과 상,하부 브래킷(2,3)의 결합부에서 뒤틀림으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각각의 결합면에 얇은 합성수지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크랭크셋 브래킷을 지지 보조해 주는 원형지지판(6)은 중심부에 위치한 베어링브래킷(4)과 너트(8)로 체결되며 지지핀은 크랭크 축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원형지지판(6) 주변에 고정볼트(11)로 조립된다
단, 모양과 구조에 따라 설치하는 고정볼트의 크기와 수, 너트의 크기는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상부브래킷(2)과 하부브래킷(3)을 체결하고 상,하부의 브래킷에 구조되어 있는 크랭크축(5) 방향으로 낸 구멍에 핀(7-a)을 삽입하고 양쪽에 원형지지판(8)을 체결하여 뒤틀림과 하중을 분산하도록 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 구조를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랭크 브래킷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종류의 자전거 프레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2와 3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크랭크 브래킷의 구조는 상기 상부브래킷(2)과 하부브래킷(3) 사이에 프레임(1)을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도4와 도5를 참조하여 본 분해도에 따른 상부 브래킷(2)과 자전거 본체 프레임(1) 및 하부브래킷(3), 크랭크축(5)의 양끝을 지지 보완해 주는 원형지지판(6)으로 구성하고 지지핀(7-a, 7-b)으로 체결하여 안정적인 구조로 자전거 본체 프레임과 크랭크축이 결합된것이 특징이다.
실시 예를 따라서 영구 접합하지 않고 고정볼트(11)를 이용하여 상부브래킷(2), 프레임(1), 하부브래킷(3) 순으로 결합하고 프레임(1)과 하부브래킷(3)에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을 내고 상부브래킷에는 볼트로 고정할 수 있는 구멍 및 나사산을 내어 하부프레임에서부터 볼트(11)를 삽입하여 체결하고 고정한다.
상기 상부브래킷(2)에 베어링브래킷(4)를 관통설치하고 플렌저볼트(13)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베어링브래킷(4) 양쪽 끝단에 원형지지판(6)을 너트(8)를 이용해 고정하고, 동시에 관통 지지핀(7-a)은 프레임방향과 직각, 즉 크랭크축(5) 방향으로 상부와 하부 각각의 브래킷(2,3)을 관통하도록 구조하고 상.하부 브래킷(2,3)을 홀드하도록 하며, 관통하지 않은 지지핀(7-b)을 추가 설치하고 양쪽의 원형지지판(6)에 고정하여 회전방향으로 뒤틀림을 받는 크랭크축(5)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본실시예 중 도2에서 상.하부브래킷(2,3)은 프레임 형태에 기준하여 적정한 곳에 위치시켰지만 사용용도, 안장의 위치, 뒷바퀴와의 거리, 사용자의 취향 등을 고려하여 설치 위치는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도4는 상기 도2의 크랭크세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크랭크셋 브라켓은 자전거 프레임(1)에 상부브래킷(2), 하부브래킷(3), 베어링브래킷(4), 크랭크축(5), 원형지지판(6), 지지핀(7-a,7-b), 너트(8), 수프라켓기어(9) 크랭크암(10), 고정볼트(11), 와셔(12), 플런저볼트(13)로 구성되어 있으며, 1쌍의 크랭크축 지지 역할을 수행하는 상부브래킷(2)과 하부브래킷(3)은 자전거 프레임에 밀착되어 체결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두개의 상부브래킷(2)과 하부브래킷(3) 사이에 자전거 본체 프레임(1)을 끼워 넣고 고정볼트로 조립하여 크랭크셋 브래킷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브래킷(3)은 4개 이상의 고정볼트(11)가 관통하도록 구멍을 내어 볼트를 설치하고 하부브래킷(3)과 프레임(1)을 결합하여 나사산이 구조되어 있는 상부브래킷(2)와 볼트(11)와 와셔(12)를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크랭크셋 브래킷은 베어링브래킷(4)을 견고한 구조로 결합하기 위해 브래킷에 지지핀(7-a)을 관통시켜 양쪽 끝단에 원형지지판(6)과 체결하고 동시에 원형지지판(6)의 중심에 너트(8)로 베어링브래킷(4)을 고정하여 우수한 지지역할과 뛰어난 미적 효과를 가진다.
상기에 사용된 구성은 쓰임새의 종류와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위치 및 결합체에 따라 구성은 가감된다.
상기 상부와 하부의 브래킷(2,3)은 프레임(1) 접합면의 형태로 제작되어 결합시 지지대의 역할을 수행하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고 강도를 높여 안정적인 그랭크축(5)지지대로 완성된다.
상기 결합하는 상부와 하부의 브래킷(2,3)은 그 자체로 미감을 연출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 스틸, 니켈, 탕소강 또는 아연, 크롬 등으로 도금된 굽힘 강도가 강한 금속재질로 제작된 것으로 자전거 프레임에 밀착 결합시켜 안정적으로 크랭크축(5)을 지지 하도 형성된다.
하부브래킷(3)은 상부브래킷(2)을 체결하기위해 고정볼트(11)를 삽입하여 고정하며 이는 모양, 형태, 기능 등에 따라 고정볼트의 위치를 변경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악용 자전거로 본 고안을 적용시킬 때는 하부에서 올 수 있는 충격으로 인한 파손이 우려되는 경우, 나사산을 하브브래킷에 구조하고 볼트는 상부브래킷에서 하부브래킷 방향으로 삽입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브래킷에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지지핀(7-a, 7-b)의 경우 지지와 조립성을 좋게 하기 위해 양쪽 끝단에 고정지지에 사용되는 원형지지판(6)에 핀끝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홀딩시키도록 한다.
상기 원형지지판(6)의 크기나 두 원형지지판의 설치거리 즉 지지핀(7-a,7-b)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지지핀(7-a,7-b)의 설치간격 또는 두께는 가감하여 결합하여 크랭크셋 브래킷의 안정적인 지지와 미관을 동시에 줄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을 결합시키는 크랭크축(5), 베어링브라켓(4), 지지핀(7-a, 7-b), 원형지지판(6), 볼트(11)는 그 자체로 미감을 줄 수 있는 스테인레스스틸, 크롬, 니켈도금, 플라스틱재 또는 착,도색한 부품으로 구성한다.
각자의 볼트(11)는 휨, 충격, 진동 등에 강한 소재를 사용하도록 하여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며 고정볼트(11)에 삽입되는 각자의 와셔(12)는 충격, 휨 진동 등으로 인해 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하여 있도록 한다. 단, 설치와 사용용도에 따라 일부 금속와셔 또는 합성수지 와셔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베어링브래킷(4) 양끝단에 설치된 원형지지판(6)은 여러개의 핀을 고정하며 하단부는 하부브래킷(3)과 프레임(1), 베어링브래킷(4) 등은 꼭 필요한 체결 구조이나 설치된 다수의 지지핀(7-b)은 원형지지판(6)을 고정하는 것만으로도 뒤틀림 또는 휨 강도에 안정적으로 결합하여 더욱 견고하고 강한 강도로 브래킷을 형성하게 된다. 다만, 사용장소에 따라, 용도에 따라 좀 더 높은 안전성과 내구성이 요구되는 경우, 지지핀(7-b)을 체결하는 구조는 하부브래킷(3)에 사용된 지지핀(7-a) 관통방식으로 상부브래킷(2)에도 동일한 관통방식으로 설치하고 홀딩하도록 하여 더욱 높은 강도의 지지구조로 결합하도록 고정할 수도 있다.
도 5는 상기 하부브래킷(3)이 프레임(1)에 체결 장착되는 연결부의 결합을 도시한 도 2의 밑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두개의 상부브래킷과 하부브래킷 사이에 프레임(1)을 넣고 합성수지와셔 또는 금속와셔(12)로 구성하여 볼트(11)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하고 고정하면 기본적인 크랭크셋 브래킷이 형성된다.
상기 기술한 도 5는 도 8의 하부브래킷을 프레임(1)의 하단이 체결면에 위치하고 도7의 상부브래킷을 프레임에 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의 반대편 공간에 밀착설치하고 볼트(11)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체결하도록 한다. 이때 프레임과의 접촉면의 넓이나 상,하부 브래킷(2,3)의 크기가 클 경우, 일정 거리 사이에 구멍과 볼트를 추가 설치 구조하여 크랭크 축에 가해지는 뒤틀림에 대한 강도를 높인다.
상기 상,하부브래킷(2,3)의 양끝단에 설치되는 원형지지판(6) 간의 연결부인 지지핀(7-a,7-b)을 구성함에 프레임의 무게와 용도에 따라 도4와 같이 지지핀(7-a,7-b)을 크랭크 중심부로부터 원형지지판 주변부를 따라 방사형으로 연속하여 추가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브래킷(2)의 구성은 크랭크축(5)의 회전을 원활하게 해주는 베어링브래킷(4)과 이를 지지하도록 관통설치구조를 갖춘 상부브래킷(4)으로 구성되며 베어링브래킷 외부의 중앙에 원통면을 따라 360도 홈을 내어 플런저볼트(13)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조하고, 베어링브래킷(4)이 설치되도록 관통된 구멍에 밀접하게 삽입한 후 베어링브래킷을 중심으로 플런저 고정용 홈을 구조한 위치에 방사형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상부브래킷(2)에 2개이상의 구멍을 뚫고 나사산을 내어 플런저볼트(13)를 이용해 고정한다 이러한 상부브래킷(2)은 하부브래킷(3)과 함께 프레임(1)에 볼트(11)에 의해 고정된 것만으로도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에서 상세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 6에 기술한 상부브래킷(2)에 양쪽끝단에 설치되는 원형지지판(6)과 베어링브래킷(4)이 너트(8)에 의해 크랭크축(5)을 감싸며 체결하고 상부브래킷(2)과 하부브래킷(3)에 크랭크축(5) 방향으로 관통 구조된 구멍을 통해 지지핀(7-a)이 안정적으로 홀딩하며 동시에 원형지지판(6)에 방사형으로 주변부에 구멍을 내어 지지핀(7-b)으로 체결하여 크랭크의 회전운동에 의한 뒤틀림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상기 도 2의 하부브래킷(3)의 결합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프레임(1)과 접합면에 볼트(11)를 체결할 수 있는 구멍을 내어 프레임과 상부브라켓(2)에 밀착 조립하도록 하며 하부브래킷(3)에 크랭크축 방향으로 지지핀(7-a)이 홀드할 수 있도록 구멍을 내고 지지핀(7-a)을 관통설치하며 동시에 지지핀(7-a) 양끝에 원형지지판(6)을 설치하고 원형지지판(6) 주변을 따라 방사형으로 지지핀(7-a)과 체결할 수 있는 구멍을 내어 지지핀과 원형지지판을 볼트로 체결한다. 이를 위해 지지핀(7-a,7-b) 양끝에는 볼트(11)가 체결될 수 있는 암나사산을 만들고 원형지지판(6)은 지지핀(7-a,7-b)과 체결할 수 있도록 지지핀의 직경보다 작은 구멍을 가지도록 형성한다
상기 상부브래킷(2)과 하부브래킷(3)을 프레임(1)에 고정하고자 할 때는 고정볼트(11) 지지핀(7-a,7-b)과 너트(8)를 상부브래킷(2)을 중심으로 프레임(1)을 끼워 죄면 강력하게 밀착되어 크랭크축(5)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안전성과 강도를 갖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 구성된 크랭크셋 브래킷은 배송 또는 장거리 이동을 위해 분해할 경우 상기 하부브래킷(3)에 체결된 고정볼트(11), 지지핀(7-a,7-b)과 체결된 고정볼트(11)를 풀러 프레임에서 탈거하면 쉽게 분해 가능하다. 만약 파손에 의한 교체 작업으로 완전분해를 원할 경우 모든 고정볼트(11),너트(8), 지지핀(7-a,7-b) 및 와셔(12)를 풀러 필요한 부분을 교체하면 된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나무자전거, 플라스틱 자전거, 탄소 섬유자전거 등, 크랭크셋 구조체를 본체프레임에 영구접합 할 수 없는 재질에 본 고안을 응용해 크랭크셋 브래킷을 제작하여 결합도 가능하다.
1: 자전거 프레임{Bicycle Main Frame}
2: 상부브래킷{Upper Bracket}
3: 하부브래킷{Lower Bracket}
4: 베어링브래킷{Bearing Bracket}
5: 크랭크축{Crank Axle}
6: 원형지지판{Round Support Panel}
7-a: 지지핀(브래킷을 홀드하는 지지핀){Support Pin with Holding Bracket}
7-b: 지지핀(브래킷을 홀드하지 않는 지지핀){Support Pin without Holding Bracket}
8: 너트{Nut}
9: 수프라켓{Sprocket}
10: 크랭크암{Crank Arm}
11: 볼트{Bolt}
12: 와셔{Washer}
13: 플런저 볼트{Plunger Bolt}
A: 일반자전거의 3축 프레임 영구접합부
B: 일반자전거의 Bottom Bracket
C: 크랭크축
D: 크랭크암
E: 페달
F: 수프라켓

Claims (5)

  1. 소정두께 및 넓이를 갖는 자전거 프레임(1)을 중심으로 상부브래킷(2)과 하부브래킷(3)으로 제작되며 자전거 프레임(1)은 금속재 또는 비금속재로 제작되어 상기 브래킷과는 비접합 체결되어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셋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래킷(2)과 하부브래킷(3) 사이에 프레임(1)을 삽입하고 상부브래킷(2)에 4개이상의 고정볼트(11)를 체결할 수 있도록 구멍 및 나사산을 내어 하부브래킷(3)과 프레임(1)에 구멍을 내어 고정볼트로 결합하여 프레임에 밀착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상부브래킷(2)은 크랭크축(5)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베어링브래킷(4)을 관통설치하며 베어링 브래킷 양끝단에 원형지지판(6)을 설치하고 너트(8)로 고정하며 동시에 원형지지판(6)에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지지핀(7-a,7-b)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멍을 내고 지지핀(7-a,7-b)에 암나사산을 내어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지지핀(7-a)의 일부는 상부브래킷과 하부브래킷에 관통설치되어 안정적으로 홀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셋 브래킷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래킷(2)에 설치 구조되는 베어링브래킷(4) 외부의 중앙에 원통면을 따라 360도 홈을 내어 플런저볼트(13)로 고정할 수 있도록 제작하고, 상부브래킷(2)에 베어링브래킷(4)을 중심으로 플런저 고정용 홈을 구조한 위치에 방사형으로 2개이상의 구멍을 뚫고 나사산을 내어 플런저볼트(13)를 이용해 베어링브래킷(4)을 고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셋 브래킷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7-a)을 상부브래킷과 하부브래킷에 관통설치여부는 사용용도와 환경에 따라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셋 브래킷
  4. 삭제
  5. 삭제
KR2020160000855U 2016-02-19 2016-02-19 자전거 크랭크셋 브래킷 KR2004882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855U KR200488270Y1 (ko) 2016-02-19 2016-02-19 자전거 크랭크셋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855U KR200488270Y1 (ko) 2016-02-19 2016-02-19 자전거 크랭크셋 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011U KR20170003011U (ko) 2017-08-29
KR200488270Y1 true KR200488270Y1 (ko) 2019-04-05

Family

ID=60628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855U KR200488270Y1 (ko) 2016-02-19 2016-02-19 자전거 크랭크셋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2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1216A (ko) 2021-11-16 2023-05-23 주식회사 비바스포츠 실내외 자전거를 위한 2-way 페달링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987B1 (ko) 2010-02-22 2010-07-29 에스에스오토엔지니어링(주) 자전거용 개방형 바텀 브라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2571B2 (en) * 2007-04-13 2010-07-27 Cannondale Bicycle Corporation Split bottom brack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987B1 (ko) 2010-02-22 2010-07-29 에스에스오토엔지니어링(주) 자전거용 개방형 바텀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1216A (ko) 2021-11-16 2023-05-23 주식회사 비바스포츠 실내외 자전거를 위한 2-way 페달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011U (ko)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4698B2 (en) Bicycle cogset
US9086138B1 (en) Bicycle sprocket
CN100460273C (zh) 自行车链环
US11142280B2 (en) Bicycle crank with spindle attachment structure
US10377445B2 (en) Bicycle front sprocket assembly
TWI424936B (zh) 自行車右曲柄臂組件及其曲柄臂與前扣鏈齒輪
TWI624404B (zh) 腳踏車曲柄臂及鏈環托架總成
TWI738831B (zh) 自行車曲柄臂
US9016169B2 (en) Bicycle sprocket
JP2011500436A (ja) 自転車およびオートバイの伝動素子用の連結フランジ
JP6626546B2 (ja) 緩み防止のための脱着型ワッシャ
US20070295157A1 (en) Crankset assembly for a bicycle
KR200488270Y1 (ko) 자전거 크랭크셋 브래킷
TW422793B (en) Bicycle shock-absorbing device
JP6203540B2 (ja) 自転車用歯付きプーリ組立体
KR20130116771A (ko) 자동차의 허브베어링어셈블리 및 휠디스크 체결구조
US11891143B2 (en) Belt driven pedal cycle employing a slim protective belt drive cover
US10065703B2 (en) Right crank arm assembly for a bicycle
US9027439B2 (en) Crank arm
US20100018345A1 (en) Integrally cast bicycle chain transmission
TWI532638B (zh) Bicycle crank assembly
JP3119748U (ja) 自転車のハブとディスクブレーキロータの固定構造
JP2019167063A (ja) 車両用ホイール
US11691472B2 (en) Bearing device for mounting an axle guide
CN207647978U (zh) 一种轴承套及自行车五通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