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199Y1 -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199Y1
KR200488199Y1 KR2020150007596U KR20150007596U KR200488199Y1 KR 200488199 Y1 KR200488199 Y1 KR 200488199Y1 KR 2020150007596 U KR2020150007596 U KR 2020150007596U KR 20150007596 U KR20150007596 U KR 20150007596U KR 200488199 Y1 KR200488199 Y1 KR 2004881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protrusions
support portion
receiving
flu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5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896U (ko
Inventor
손설희
김열중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75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199Y1/ko
Priority to AU2016358639A priority patent/AU2016358639B2/en
Priority to US15/777,159 priority patent/US20180334288A1/en
Priority to MYPI2018000799A priority patent/MY196800A/en
Priority to JP2018526065A priority patent/JP6600747B2/ja
Priority to PCT/KR2016/013457 priority patent/WO2017090952A1/ko
Priority to SG11201804344WA priority patent/SG11201804344WA/en
Priority to EP16868848.9A priority patent/EP3381833B1/en
Publication of KR201700018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8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1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1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2Apparatus for compressin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1Springs, elastic 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to locate the articles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67Handles with respective ends fixed to local areas of two opposite sides or wall-part
    • B65D25/2873Straps or s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2Bail handles, i.e. pivoted rigid handles of generally semi-circular shape with pivot points on two opposed sides or wall parts of the cona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means for keeping contents in position, e.g. resili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Abstract

본 고안은 수용부 하단의 형태 유지에 의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유연 재질의 파우치 형태로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단을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 상단의 개방을 차단하되, 저면의 누름판을 통해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되는 김치를 가압하는 덮개부; 상기 수용부 하단의 개방을 차단하되, 정형화되어 상기 수용부 하단의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a container for packing kimchi}
본 고안은 김치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치가 수용되는 유연 재질의 수용부 하단에 정형화된 지지부가 결합됨으로써 지지부에 의한 수용부 하단의 형태 유지에 의해 김치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과거 김치류의 상품(이하 '김치'라 함)은 유연 재질의 파우치로 포장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김치를 유연 재질의 파우치로 포장하는 경우, 보관 및 운반 과정에서 어느 일측으로 기울거나 쓰러지는 경우, 내부 김치의 일부가 국물에 잠기지 못함에 따라 효모 및 곰팡이 발생, 변색, 탈색, 물리적 열화 등이 따랐으므로 이에 의해 김치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1140호(공고일: 2006. 11. 14.)에 개시된 바와 같은 김치 포장용기를 제안한바 있다.
상기 김치 포장용기는, 파우치부 내의 김치가 덮개부 저면의 누름판에 의해 가압되어 국물에 잠기게 되는바, 김치의 품질 유지가 용이하다.
그러나, 상기 김치 포장용기는 진열대 등의 바닥과 수시로 접촉하는 파우치부 하단이 재질 특성상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김치 포장용기는 재질 특성상 파우치부에 주름이 형성되거나 굴곡이 형성되므로 외면에 표기되는 상품정보의 확인이 어려워 소비자 선택을 곤란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특히, 파우치부 하단의 형태가 유지될 수 없어 적층 등이 어려워짐에 따라 김치의 보관 및 운반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김치 포장용기는 냉장 보관 과정에서 파우치부가 냉장고 내벽에 접촉하는 경우 접촉 부위 주변의 김치가 쉽게 빙결되어 김치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김치 포장용기는 덮개부와 결합하는 연결부의 하단이 덮개부의 누름판 하단에 비해 더 하부에 위치하므로 취식에 의해 파우치부 내의 김치 저장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줄어드는 경우, 연결부에 의해 누름판 하단과 파우치부 내의 김치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므로 누름판을 통한 김치 가압이 이루어질 수 없어 김치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파우치부 하단의 형태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김치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운반 과정에서 김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김치 포장용기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김치 표장용기에서 파우치부 하단이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 쉽게 손상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김치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 김치 포장용기에서 파우치부 하단의 형태가 유지될 수 없어 김치의 보관 및 운반이 곤란하였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김치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 김치 포장용기를 통한 냉장 보관시 파우치부 내 김치의 빙결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김치 품질이 저하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김치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 김치 포장용기에서 누름판에 의한 김치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김치 품질이 저하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김치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는, 유연 재질의 파우치 형태로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단을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 상단의 개방을 차단하되, 저면의 누름판을 통해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되는 김치를 가압하는 덮개부; 상기 수용부 하단의 개방을 차단하되, 정형화되어 상기 수용부 하단의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비닐 또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외면 또는 내면 둘레가 상기 수용부 상단의 내면 또는 외면 둘레에 융착된다.
상기 연결부는 외면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턱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는 외면에 전후 또는 좌우로 마주하는 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돌기 각각에는 손잡이 양단부에 복수로 구비되는 결합공 중의 어느 하나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는 합성수지 사출 성형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내면 둘레에 내측으로 돌출된 결합턱을 구비한다.
상기 덮개부는 합성수지 사출 성형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판은 상기 덮개부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하단이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 비해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지지부는 외면 또는 내면 둘레가 상기 수용부 하단의 내면 또는 외면 둘레에 융착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덮개부를 수용 가능한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의 어느 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외면에 전후 또는 좌우로 마주하는 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돌기 각각에는 손잡이 양단부에 복수로 구비되는 결합공 중의 어느 하나가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는 바닥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상부로 이어지는 벽체를 구비한다.
상기 벽체는 상부로 돌출된 복수의 연장편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합성수지 사출 성형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는, 수용부의 하단에 정형화된 지지부가 결합되는바, 지지부에 의해 수용부 하단이 보호됨과 동시에 수용부 하단의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수용부 하단의 손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김치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는, 누름판의 하단이 연결부의 하단에 비해 더 하부에 위치할 뿐만 아니라 지지부가 연결부 및 덮개부를 수용 가능한바, 누름판에 의한 김치 가압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김치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에서 지지부의 다른 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에서 덮개부의 누름판을 통한 김치 가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에서 지지부를 통한 덮개부 및 연결부의 수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에 손잡이가 결합된 일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에서 손잡이가 결합된 다른 형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A)는, 수용부(10)와, 연결부(20)와, 덮개부(30)와, 지지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10)는 유연 재질의 파우치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수용부(10)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0)의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부(10)의 상단에 상기 연결부(20)의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수용부(10)의 하단에 상기 지지부(40)의 결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수용부(1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비닐 또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0)가 투명 또는 반투명의 비닐 또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형성됨으로써 재질 특성상 상기 수용부(10) 외부에서 그 내부에 수용되는 김치(100)의 시각적 확인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수용부(10)의 상단을 개방 상태로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부(20)는 외면 또는 내면 둘레가 상기 수용부(10) 상단의 내면 또는 외면 둘레에 융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20)의 외면 또는 내면 둘레가 상기 수용부(10) 상단의 내면 또는 외면 둘레에 융착됨으로써 상기 연결부(20)와 상기 수용부(10) 사이를 통한 김치(100) 국물 등의 누출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0)는 외면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턱(2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20)가 상기 돌출턱(21)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돌출턱(21)이 아래에서 설명하는 상기 덮개부(30)의 결합턱(32)에 걸림에 따라 상기 연결부(20)와 상기 덮개부(30)의 결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0)는 외면에 전후 또는 좌우로 마주하는 돌기(2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20)가 상기 돌기(2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돌기(22) 각각에 손잡이(50) 양단부에 복수로 구비되는 결합공(51) 중의 어느 하나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연결부(20)에 상기 손잡이(50)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0)는 합성수지 사출 성형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0)가 합성수지 사출 성형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부(20)의 내구성이 안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부(20)의 제조가 용이하다.
상기 덮개부(30)는, 상기 연결부(20) 상단의 개방을 차단하되, 저면의 누름판(31)을 통해 상기 수용부(10) 내에 수용되는 김치(100)를 가압한다.
이와 같은 상기 덮개부(30)는 내면 둘레에 내측으로 돌출된 결합턱(3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부(30)가 상기 결합턱(32)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결합턱(32)에 상기 연결부(20)에 구비되는 상기 돌출턱(21)이 걸림에 따라 상기 덮개부(30)와 상기 연결부(20)의 결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30)는 합성수지 사출 성형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30)가 합성수지 사출 성형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덮개부(30)의 내구성이 안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 덮개부(30)의 제조가 용이하다.
한편, 상기 덮개부(30)에서 상기 누름판(31)은 상기 수용부(10) 내의 김치(10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다만, 상기 누름판(31)은 상기 덮개부(30)가 상기 연결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하단이 상기 연결부(20)의 하단에 비해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판(31)의 하단이 상기 연결부(20)의 하단에 비해 하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연결부(20)로 인한 상기 누름판(31)과 상기 수용부(10) 내 김치(100) 사이의 공간 발생이 방지되므로 상기 누름판(31)에 의한 상기 수용부(10) 내 김치(100)의 가압이 지속된다.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수용부(10) 하단의 개방을 차단하되, 정형화되어 상기 수용부(10) 하단의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기 지지부(40)는 외면 또는 내면 둘레가 상기 수용부(10) 하단의 내면 또는 외면 둘레에 융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40)의 외면 또는 내면 둘레가 상기 수용부(10) 하단의 내면 또는 외면 둘레에 융착됨으로써 상기 지지부(40)와 상기 수용부(10) 사이를 통한 김치(100) 국물 등의 누출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0) 및 상기 덮개부(30)를 수용 가능한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부(20) 및 덮개부(30)는 상기 수용부(10)의 상단이 하단 내측으로 처짐에 따라 상기 지지부(40)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 내로 상기 연결부(20) 및 상기 덮개부(30)가 수용되면 김치(100)가 상기 지지부(40)의 바닥에 인접하여 잔존하더라도 상기 누름판(31)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므로 김치(100) 저장량과 무관하게 김치(100) 품질의 유지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연결부(20) 및 상기 덮개부(30)의 수용이 가능한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그 예로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의 어느 한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0)는 외면에 전후 또는 좌우로 마주하는 돌기(4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40)가 상기 돌기(4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돌기(41) 각각에 상기 손잡이(50) 양단부에 복수로 구비되는 상기 결합공(51) 중의 어느 하나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40)에 상기 손잡이(50)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0)는 합성수지 사출 성형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가 합성수지 사출 성형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부(40)의 내구성이 안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부(40)의 제조가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0)는 바닥면(40a)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상부로 이어지는 벽체(40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40)가 상기 벽체(40b)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지지부(40)를 통해서도 일정량의 김치(100) 수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지지부(40)의 다른 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체(40b)는 상부로 돌출된 복수의 연장편(40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벽체(40b)가 연장편(40c)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장편(40c)에 의해서도 상기 수용부(10)의 형태가 유지된다.
본 고안에 의한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A)(이하 '용기')를 통한 김치(100) 포장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상기 수용부(10)는 유연 재질의 파우치 형태로 형성되어 재질 특성상 유동성을 갖는바, 상기 수용부(10)의 유동, 즉 상기 수용부(10)가 상기 연결부(20) 및 상기 덮개부(30)의 하중에 의해 하부로 내려앉게 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판(31) 하단이 상기 김치(100)에 접하게 되어 상기 누름판(31)을 통한 김치(100) 가압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10) 내에 애초 김치(100)를 소량 투입, 다시 말해 김치(100)를 소량 포장하거나, 상기 수용부(10) 내의 김치(100)를 취식하더라도 상기 누름판(31)을 통한 김치(100) 가압이 유지되므로 김치(100)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수용부(10)가 유연 재질의 파우치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수용부(10) 하단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수용부(10)가 유동하여 기울거나 쓰러짐에 따라 바르게 세우거나 적층하는 것이 쉽지 않아 김치(100) 보관 및 운반이 곤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상기 수용부(10)는, 그 하단에 정형화된 상기 지지부(40)가 결합되는바, 상기 지지부(40)에 의해 하단이 보호될 뿐만 아니라 하단의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바르게 세우거나 적층할 수 있어 김치(100)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상기 연결부(20) 및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돌기(22, 41)를 구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22, 41))에 의해 상기 손잡이(50)의 결합이 가능한바, 상기 손잡이(50)를 파지함에 따라 김치(100)의 보관 및 운반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연결부(20) 및 상기 지지부(40)와 상기 손잡이(50)의 결합 상태가 고정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20) 하단과 상기 지지부(40) 상단 사이의 간격이 고정되어 상기 수용부(10)를 통한 김치(100) 저장 용량에 제한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상기 돌기(22) 각각에는 상기 손잡이(50)에 복수로 마련되는 상기 결합공(51) 중의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바, 복수로 마련되는 상기 결합공(51)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돌기(22) 각각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연결부(20) 하단과 상기 지지부(40) 상단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0)를 통한 김치(100) 저장 용량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고안에 의한 용기(A)를 통해 다양한 용량의 김치(100) 포장이 가능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100) 포장용기는, 상기 수용부(10)의 하단에, 정형화된 상기 지지부(40)가 결합되는바, 상기 지지부(40)에 의해 상기 수용부(10) 하단이 보호됨과 동시에 상기 수용부(10) 하단의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상기 수용부(10) 하단의 손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김치(100)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해질 수 있고, 상기 누름판(31)의 하단이 상기 연결부(20)의 하단에 비해 더 하부에 위치할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부(40)가 상기 연결부(20) 및 상기 덮개부(30)를 수용 가능한바, 상기 누름판(31)에 의한 김치(100) 가압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김치(100)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수용부 20 : 연결부
21 : 돌출턱 22 : 돌기
30 : 덮개부 31 : 누름판
32 : 결합턱 40 : 지지부
41 : 돌기 40a : 바닥면
40b : 벽체 40c : 연장편
50 : 손잡이 51 : 결합공
100 : 김치 A : 김치 포장용기

Claims (12)

  1. 파우치 형태로 형성되는 수용부(10);
    상기 수용부(10)의 상단을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연결부(20);
    상기 연결부(20) 상단의 개방을 차단하되, 저면의 누름판(31)을 통해 상기 수용부(10) 내에 수용되는 김치를 가압하는 덮개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10)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10) 하단의 개방을 차단하고 상기 수용부(10) 하단의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지지부(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10)는, 유연 재질로 형성되되, 하단의 가로 및 세로 폭이 상단의 가로 및 세로 폭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연결부(20) 및 상기 덮개부(30)를 수용 가능한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20) 및 덮개부(30)는 상기 수용부(10)의 상단이 하단 내측으로 처짐에 따라 상기 지지부(40) 내측으로 수용되고,
    상기 연결부(20)와 지지부(40)의 외면에는 전후 또는 좌우로 마주하는 돌기(22, 41)를 각각 구비하되, 상기 돌기(22, 41) 각각에는 손잡이(50) 양단부에 복수로 구비되는 결합공(51) 중 어느 하나가 제각기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수용부(10) 내의 김치(100) 저장 용량 변경에 대응되게 상기 연결부(20)와 지지부(40) 사이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한 것인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비닐 또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인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외면 또는 내면 둘레가 상기 수용부 상단의 내면 또는 외면 둘레에 융착되는 것인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외면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턱을 구비하는 것인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내면 둘레에 내측으로 돌출된 결합턱을 구비하는 것인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상기 덮개부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하단이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 비해 하부에 위치하는 것인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외면 또는 내면 둘레가 상기 수용부 하단의 내면 또는 외면 둘레에 융착되는 것인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바닥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상부로 이어지는 벽체를 구비하는 것인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상부로 돌출된 복수의 연장편을 구비하는 것인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
KR2020150007596U 2015-11-23 2015-11-23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 KR2004881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596U KR200488199Y1 (ko) 2015-11-23 2015-11-23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
AU2016358639A AU2016358639B2 (en) 2015-11-23 2016-11-22 Kimchi Packaging Container With Flexibility And Firmness
US15/777,159 US20180334288A1 (en) 2015-11-23 2016-11-22 Kimchi Packaging Container with Flexibility and Firmness
MYPI2018000799A MY196800A (en) 2015-11-23 2016-11-22 Kimchi packaging container with flexibility and firmness
JP2018526065A JP6600747B2 (ja) 2015-11-23 2016-11-22 流動性及び定形性を有するキムチ包装容器
PCT/KR2016/013457 WO2017090952A1 (ko) 2015-11-23 2016-11-22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
SG11201804344WA SG11201804344WA (en) 2015-11-23 2016-11-22 Kimchi packaging container with flexibility and firmness
EP16868848.9A EP3381833B1 (en) 2015-11-23 2016-11-22 Kimchi packing container having flexibility and standard 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596U KR200488199Y1 (ko) 2015-11-23 2015-11-23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911U Division KR200491079Y1 (ko) 2018-12-18 2018-12-18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896U KR20170001896U (ko) 2017-05-31
KR200488199Y1 true KR200488199Y1 (ko) 2018-12-26

Family

ID=58763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596U KR200488199Y1 (ko) 2015-11-23 2015-11-23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80334288A1 (ko)
EP (1) EP3381833B1 (ko)
JP (1) JP6600747B2 (ko)
KR (1) KR200488199Y1 (ko)
AU (1) AU2016358639B2 (ko)
MY (1) MY196800A (ko)
SG (1) SG11201804344WA (ko)
WO (1) WO20170909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17349S1 (en) * 2023-11-20 2024-03-12 Shenzhen Liya Trading Co., Ltd. Kimchi ja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085B2 (ja) * 1999-11-24 2001-03-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使用済燃料貯蔵ラ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69865Y1 (ko) * 2002-01-11 2002-03-23 이홍복 김치통
KR200431140Y1 (ko) * 2006-08-14 2006-11-14 씨제이 주식회사 김치 맛과 보관성 개선용 김치 누름판
JP2006334215A (ja) * 2005-06-03 2006-12-14 Koichi Hasegawa 買い物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8181B1 (en) * 2000-12-04 2002-11-12 Ivex Packaging Corporation Shrinkable tray with attachable lids
EP2212210A4 (en) * 2007-11-28 2011-12-28 Glad Products Co VACUUM STORAGE BOXES
JP3145085U (ja) * 2008-07-14 2008-09-25 株式会社マルハチ 容器入りキム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085B2 (ja) * 1999-11-24 2001-03-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使用済燃料貯蔵ラ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69865Y1 (ko) * 2002-01-11 2002-03-23 이홍복 김치통
JP2006334215A (ja) * 2005-06-03 2006-12-14 Koichi Hasegawa 買い物袋
KR200431140Y1 (ko) * 2006-08-14 2006-11-14 씨제이 주식회사 김치 맛과 보관성 개선용 김치 누름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81833B1 (en) 2022-06-01
KR20170001896U (ko) 2017-05-31
JP2018535898A (ja) 2018-12-06
EP3381833A1 (en) 2018-10-03
EP3381833A4 (en) 2019-07-10
SG11201804344WA (en) 2018-06-28
AU2016358639A1 (en) 2018-06-07
WO2017090952A1 (ko) 2017-06-01
JP6600747B2 (ja) 2019-10-30
US20180334288A1 (en) 2018-11-22
MY196800A (en) 2023-05-03
AU2016358639B2 (en)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2810A (en) Container/dispenser for rolled plastic bags
US3620403A (en) Plastic food container
US10421601B2 (en) Processor tray and method of packing
US8088421B2 (en) Food package having a reclose mechanism
WO2008085041A1 (en) Package for flowable goods, in particular comestibles, and use of such package during transportation, presentation and consumption
US20190375534A1 (en) Meat patty tray and method of packaging and display
KR200488199Y1 (ko)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
KR20180003655U (ko)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
JP2007030952A (ja) 発泡合成樹脂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ロケット包装体の収納方法
US20080237228A1 (en) Airtight food container
GB2422140A (en) Thermoformed container with integrated support
KR20210071513A (ko) 유동성 및 정형성을 갖는 김치 포장용기
KR101530894B1 (ko)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KR101252781B1 (ko) 표고버섯 김치의 신선도 유지용 가스배출장치가 구비된 용기
KR100605357B1 (ko) 포장용 트레이의 진공금형장치 및 그에 의해 성형된 포장용트레이
JP4887120B2 (ja) 海老包装用トレイ
JP2011031940A (ja) 保冷容器
KR200389485Y1 (ko) 식품 포장용 트레이
KR101729640B1 (ko) 발포폼 성형기에 의하여 일체 성형되는 포장용 상자
KR20140005221U (ko) 식품 포장 용기
CN212424068U (zh) 一种保温包装箱
JP3023783U (ja) 茎状植物搬送展示容器
US20210371192A1 (en) Ice cream packaging material using horizontal disposable plastic film mold as inner packaging material
KR200383291Y1 (ko) 진공트레이
KR200264748Y1 (ko) 포장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