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748Y1 -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748Y1
KR200264748Y1 KR2020010034486U KR20010034486U KR200264748Y1 KR 200264748 Y1 KR200264748 Y1 KR 200264748Y1 KR 2020010034486 U KR2020010034486 U KR 2020010034486U KR 20010034486 U KR20010034486 U KR 20010034486U KR 200264748 Y1 KR200264748 Y1 KR 2002647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cover
product
main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4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무호
Original Assignee
박무호
주식회사 우진프라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무호, 주식회사 우진프라스코 filed Critical 박무호
Priority to KR20200100344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7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7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748Y1/ko

Links

Landscapes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용 상자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포장용 상자에 구성된 덮개가 회전개폐가능케 구성하므로서, 상자내에 제품을 담거나 꺼집어낼 때에 덮개와 간섭되지 않게 하여 제품의 손상을 방지케하며, 또한 필요에 따라 상자에 담겨진 내용물이 완전 밀폐되게 하여 제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할 뿐 아니라 냉장을 필요로 하는 제품의 경우 장시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포장용 상자(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자(10)의 본체(40)상단에 구성된 걸림테(21) 일측에 덮개(23)를 회전개폐가능케 일체형으로 구성하되, 상기 덮개(23)의 일측에는 걸림돌기(25)가 형성된 걸림편(26)을 돌출구성하여 걸림테(21)와 선택적으로 결합구성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포장용 상자{Packing box}
본 고안은 포장용 상자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자내에 상품을 담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담겨진 상품의 손상방지 및 다단으로 적재가능케 하며, 또한 상자의 사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품포장을 위한 포장용 상자에 대하여서는 본인이 선출원하여 등록한 것이있다.
즉 포장용 상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밑판과 측판으로 상자본체를 구성하되, 상자본체의 상단 좌우측판에만 일정한 폭의 상판이 돌출구성되게 하고, 전후측판의 내측면에는 완전히 개방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포장용 상자는 상자의 본체 좌우측에만 일정한 폭의 상판이 돌출구성되게 하므로서 상자내에 담겨지는 농수산물의 손상을 방지케함과 동시에 상자의 제작시에도 한공정으로 사출성형할 수 있어 양산이 가능케할 뿐아니라 그에 따른 시간과 인력 및 제작경비를 절감할 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었으나 다음과 같은 불편한 점도 있는 것이었다.
즉 상자 본체의 상단 좌우측판에 내측방향으로 일정한 폭의 상판이 돌출구성되어 있어 상자내에 물건을 담고 빼내는 작업에 장애가 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특히 칼치와 같이 길게 형성된 어물의 경우 담고 빼내는 과정에서 상판과 접하여 비늘이 벗겨지는 등 제품이 손상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자의 상면이 거의 개방되어 있어, 어류를 상자내에 담은 상태에서 신선도 유지를 위하여 상자내에 얼음조각을 담아 냉장보관할 경우 얼음이 쉽게 녹아 냉장효과가 지속될 수 없게 되고, 따라서 장시간의 신선도유지에 어려움이 따르게 되고, 또한 파리나 먼지 등으로부터 상자에 담겨진 제품이 오염시될 우려가 있어 위생적이지 못한 등의 단점도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단점을 시정하고자 포장용 상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자내에 물건을 담거나 꺼집어낼때에 물건의 손상없이 용이하게 담고 꺼집어낼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필요한 경우에는 상자의 상면이 덮개를 이용하여 완전히 밀폐될 수 있게하여 위생적인 보관이 될 수 있게할 뿐 아니라 냉장보관시에는 상자내에 얼음 조각을 채운상태에서 덮개를 닫아 보관하면 냉장효과가 장시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포장용 상자를 구성함에 잇어서, 상자측판상에 덮개를 구성하되, 상기 덮개는 측판상에 확개식으로 일체로 연결되게 한다.
이때 덮개는 상자의 양측상면 일부에만 적용되게 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전면에 걸쳐 덮개가 구성되게 하여 완전 밀폐식으로 구성되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 : 본 고안 상자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 상자의 사시도로서 일측 덮개를 개방한 상태도.
도 3 : 도1의 단면구성도.
도 4 : 본 고안 상자에 구성된 덮개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구성도.
도 5 : 도4의 상태에서 덮개를 개방한 상태도.
도 6 : 본 고안 상자의 단면구성도로서 덮개가 수장실을 완전히 밀폐되게 한 상태도.
도 7 : 본 고안 상자의 타 실시예로서 한 개의 덮개로서 수장실이 개폐되게 한 상태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상자 (20)--측판
(21)--걸림테 (22)--결합테
(23)--덮개 (24)--얇은 박판
(25)--걸림돌기 (26)--걸림편
(27)--단턱 (29)--받침부
(30)--밑판 (40)--본체
(41)--수장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포장용 상자(10)의 사시도로서, 밑판 (30)과 측판(20)으로 구성된 본체(40)상단과 하단에 걸림테(21)와 결합테(22)를 구성하되, 본체(40)의 상단에 구성된 걸림테(21) 좌우측에는 일정한 폭의 덮개(23)를 일체형으로 절첩가능케 연결구성한다.
이때 덮개(23)와 걸림테(21)의 연결은 도3 및 도6에서와 같이 얇은 박판(24)으로 연결되어 있어 본체(40)의 측판(20)으로부터 덮개(23)를 열어 개방하거나 덮어 밀폐시키는데에 장애가 되지 않게 구성한다.
상기 덮개(23)는 도3에서와 같이 양측단부 일부에만 개폐가능케 구성하거나 도6에서와 같이 양측 덮개(23)로 상자(10)의 상면이 완전히 개폐되게할 수도 잇다.
상기 상자(10)의 상면에 개폐가능케 구성되는 덮개(23) 양측단부에는 걸림돌기(25)가 내측방향으로 돌출구성된 걸림편(26)을 구성하여 덮개(23)의 결합시 본체(40) 상단에 구성된 걸림테(21)와 결합구성되게 한다.
이때 덮개(23)에 구성된 걸림편(26)은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어 신축성이 있으므로 덮개(23)를 누르면 걸림편(26)이 외측방향으로 확장되었다가 걸림돌기 (25)가 걸림테(21)를 지나면 탄성에 의해 원복되어 걸림테(21)와 결합된다.
상기에서 덮개(23)를 개방하고자할 경우에는 덮개(23)의 일측을 잡고 윗쪽으로 잡아당기면 걸림테(21)로부터 걸림편(26)이 이탈하면서 덮개(23)가 개방되어 수장실(41)이 완전히 개방된다.
또한 도7에서와 같이 상자(10)의 본체(40) 상면에 개폐가능케 구성되는 덮개(23)를 구성함에 있어서, 덮개(23)를 본체(40)의 상면 일측에만 구성되게 하여 상자(10)의 수장실(41)이 개폐되게 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도 덮개(23)의 단부에는 걸림돌기(25)가 구성된 걸림편(26)이 구성되어 있어 본체(40)상면에 구성된 걸림테 (21)와 결합되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본 고안의 상자(10)에 개폐가능케 구성되는 덮개(23) 테두리에는 단턱(27)이 형성되게 하므로서 상대적으로 받침부(29)가 구성되게 하고, 상기 받침부(29)에는 상자(10)의 적재시 상자(10)의 밑판(30)테두리에 구성된 결합테(22)가 안치되게 하므로서 상자(10)를 다단으로 적층하더라도 안정되게 적층된다.
미 설명부호 (50)은 요입부, (51)은 보강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상자(10)는 상자(10)의 본체(40) 상면에 구성된 걸림테(21) 양측 혹은 일측에 덮개(23)가 절첩가능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자(10)내에 구성된 수장실(41)내에 물건을 담거나 꺼집어낼 때에 물건의 손상없이 신속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상자(10)내에 물건을 담거나 꺼집어내고자할 때에 덮개(23)를 윗쪽으로 잡아당겨 상자본체(40)의 걸림테(21)에 결합된 걸림돌기(25)가 이탈되게 한 다음 외측방향으로 재치면 상자(10)에 구성된 수장실(41)이 완전히 개방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상자(10)의 수장실(41)에 물건을 담거나 꺼집어내기가 매우 편리하게 된다.
특히 상자(10)의 수장실(41)이 완전히 개방되어 있어 칼치와 같이 길게 구성된 물품의 경우에도 상자(10)의 수장실(41)에 물건을 담고 꺼집어내는 과정에서 덮개(23)와 부딪히거나 간섭되는 일 없이 작업할 수 있어 물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건을 상자(10)의 수장실(41)에 완전히 담은 상태에서 덮개(23)를 회전시켜 덮개(23)의 양측단부에 구성된 걸림편(26)이 본체(40) 상단에 구성된 걸림테(21)상에 위치되게 한 다음 덮개(23)를 윗쪽에서 누르면 걸림편(26)이 외측방향으로 약간 확개되면서 도4에서와 같이 걸림편(26)의 걸림돌기(25)가 본체(40)의 걸림테(21)에 걸려 덮개(23)가 결합된다.
이때 상자(10)에 구성된 덮개(23)의 크기에 따라 상자(10)내에 담겨진 물건이 일부개방되게 하거나 완전히 밀폐되게 할 수도 있다.
다시 설명하면 도3에서와 같이 덮개(23)가 상자(10)의 본체(40) 상면 일부에만 덮어지게 구성되게 할 경우에는 상자(10)의 수장실(41)일부가 개방되므로 상자(10)에 담겨진 내용물을 쉽게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도6에서와 같이 덮개(23)가 상자(10)의 본체(40) 상면 전부분을 덮어 밀폐할 경우에는 상자(10)에 담겨진 내용물이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기때문에 외부의 오염원인으로부터 차단되므로 내용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어류와 같이 냉장을 요하는 내용물인 경우에는 얼음을 채운상태에서 덮개(23)를 닫아 밀폐된 상태로 유지하게 되면 장시간 냉장효과가 지속되므로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7에서와 같이 덮개(24)가 상자(10)의 본체(40)상면 일측에 구성되게하되, 상기 덮개(23)에 의해 본체(40)의 수장실(41)이 완전히 밀폐되거나 개방되게 할 수 있어 상자(10)내에 담겨지는 내용물을 외부의 오염원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될뿐 아니라 냉장을 요하는 내용물의 경우 장시간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상자(10)를 여러층 적층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자(10)의 밑판(30)에 구성된 결합테(22)가 아랫쪽에 위치하는 상자의 덮개(23)의 단턱(27)에 끼워지면서 받침부(29)상에 안치되므로 적재수단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상자를 제작함에 있어서도 상자에 연결구성되는 덮개를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로 일회 사출로서 제작이 완료되므로 양산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농산물이나 수산물 등과 같은 상품의 포장을 위한 상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자의 본체 상단에 덮개가 회전식으로 개폐가능케 구성되어 있어 상자내에 상품 즉 내용물을 담거나 꺼집어내고자 할 경우에 덮개를 완전히 개방하여 상품과 접촉되지 않게 하므로서 상품의 손상을 방지케할 수 있게될 뿐아니라 덮개를 완전히 밀폐되게 할 경우에는 냉장 성능이 우수하여 포장된 내용물의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상자의 제작시에도 일회 사출성형으로 상자의 제작이 가능케되므로 제작이 용이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포장용 상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자(10)의 본체(40) 상단에 걸림테(21)를 구성하되, 걸림테(21) 일측에 덮개(23)를 얇은 박판(24)으로 연결구성되게 하므로서 회전개폐가능케 구성하고, 상기 덮개(23)의 측면에는 걸림돌기(25)가 형성된 걸림편(26)이 돌출구성되게 하여 상자 본체(40) 상단에 구성된 걸림테(21)와 결합구성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KR2020010034486U 2001-11-09 2001-11-09 포장용 상자 KR2002647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486U KR200264748Y1 (ko) 2001-11-09 2001-11-09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486U KR200264748Y1 (ko) 2001-11-09 2001-11-09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748Y1 true KR200264748Y1 (ko) 2002-02-20

Family

ID=7307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486U KR200264748Y1 (ko) 2001-11-09 2001-11-09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7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0084B2 (en) Compact portable pack for carrying diapers, wet baby wipes and reclosable disposable bags
AU750534B2 (en) Refillable towelette dispensing package
NO324584B1 (no) Snuff-box lid
JP3451051B2 (ja) 食品保存容器
KR200264748Y1 (ko) 포장용 상자
JP4077633B2 (ja) 発泡樹脂製包装箱
JP2001055241A (ja) 冷凍保存用容器
KR200264765Y1 (ko) 실링지의 분리 가능한 용기 개폐구조
KR200417982Y1 (ko) 상품 포장 상자
EP3381833A1 (en) Kimchi packing container having flexibility and standard form
KR102100024B1 (ko) 저장 용기
KR200305460Y1 (ko) 식품 포장용기
KR200458786Y1 (ko) 신선식품 보관용 상자
JP2640643B2 (ja) トレーパック収容容器
KR200385832Y1 (ko) 실링지를 이용한 식품보관용 밀폐구조
JP2589495Y2 (ja) 保冷容器
KR200331168Y1 (ko) 덮개 부재를 가지는 포장 용기
KR200150374Y1 (ko) 플라스틱재 보관상자
KR200335713Y1 (ko) 김치냉장고용 보관용기의 손잡이 형상구조
JP3085874U (ja) 卵包装容器
KR200316544Y1 (ko) 잠금구 및 손잡이를 갖춘 포장용 박스
JP3354843B2 (ja) 薄壁容器
KR200446129Y1 (ko) 지함 잠금 구조
KR100377221B1 (ko) 저장용기
KR200150682Y1 (ko) 계량기 보관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