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018Y1 -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018Y1
KR200488018Y1 KR2020170005286U KR20170005286U KR200488018Y1 KR 200488018 Y1 KR200488018 Y1 KR 200488018Y1 KR 2020170005286 U KR2020170005286 U KR 2020170005286U KR 20170005286 U KR20170005286 U KR 20170005286U KR 200488018 Y1 KR200488018 Y1 KR 2004880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bottom
state
support
bottom plat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호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호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호산업
Priority to KR2020170005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0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0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0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04F15/02435Sealing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이중바닥판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이러한 이중바닥판 어셈블리는, 지주를 구비하고 이 지주가 실내 바닥면 상에 세워진 상태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배치되는 지지대들과, 상기 지지대들의 지주 사이사이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연결바들을 구비한 연결지지부, 및 상기 지지대들의 지주들과 상기 연결지지부의 연결바들 측에 얹혀져서 서로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배치되는 이중바닥판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바닥판 어셈블리{access floor assembley}
본 고안은 이중바닥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에서 고가의 전산장비나, 통신장비들이 비치되는 구역(예: 전산실)은 장비들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서 적정 온도와 습도가 최대한 유지될 수 있는 실내 환경이 요구된다.
그리고, 여러 대의 장비들을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상태로 배선 처리가 용이하고, 전기 인가시 안전사고(예: 전기 쇼트) 등을 억제할 수 있는 실내 바닥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내 바닥면 구조를 갖추기 위하여, "엑세스 플로어"라고 불리우는 조립식 이중바닥판들을 실내 바닥면 상에서 일정 간격을 띄우고 서로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배열하여 장비들이 설치되기 위한 이중바닥면을 형성하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때, 이중바닥판들의 설치 안정성을 확보하려면, 외력(충격, 진동, 하중 등)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설치 상태로 이중바닥판들이 시공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이중바닥면 시공에 사용되는 조립식 이중바닥판 구조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등록 제10-1285865호의 이중바닥판 어셈블리."가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등록 제10-1285865호의 이중바닥판 어셈블리는, 특히 복수 개의 지지대들 상에 이중바닥판들이 평면을 이루도록 얹혀진 상태에서 이들의 접촉 지지부 측에서 발생되는 접촉 충격이나, 마모, 소음, 슬립 등을 억제하기 위한 구조나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만족할 만한 설치 안정성 및 시공 품질을 확보하기에는 구조적으로 한계가 있다.
즉, 이중바닥판들이 지지대들의 지주 측에 단순하게 얹혀진 접촉 상태로 지지되는 구조는, 실내 바닥면 상에 시공된 이중바닥판들을 딛는 상태로 보행할 때 발생되는 불규칙한 압력이나 진동에 의해 이중바닥판들이 불규칙하게 유동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불규칙한 유동 현상은 접촉 소음이나 마모, 슬립 등과 같이 설치 안정성 및 시공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중바닥판들의 설치 안정성이 한층 더 향상된 이중바닥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지주를 구비하고 이 지주가 실내 바닥면 상에 세워진 상태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배치되는 지지대들;
상기 지지대들의 지주 사이사이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연결바들을 구비한 연결지지부; 및
상기 지지대들의 지주들과 상기 연결지지부의 연결바들 측에 얹혀져서 서로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배치되는 이중바닥판들을 포함하며,
상기 이중바닥판들은, 판 둘레부 측을 마감하는 상태로 형성되는 마감부와, 이 마감부 측에서 판 둘레부의 모서리 하부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형성되는 완충부와, 이 완충부 측에서 끼움 접촉력으로 상기 지지대의 지주 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되는 고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이중바닥판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실내 바닥면 상에 셋팅되는 지지대들 및 연결지지부 측에 완충 가능하게 접촉 지지되는 상태로 이중바닥판들이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특히 이중바닥판들의 시공 후 보행시 발생되는 불규칙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이중바닥판들이 유동되는 현상을 더욱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중바닥판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중바닥판 어셈블리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고안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중바닥판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5는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일실시 예에 따른 이중바닥판 어셈블리는, 지지대(2)들, 연결지지부(4), 및 이중바닥판(6)들을 포함한다.
지지대(2)들은 도 1에서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A1)와, 이 베이스플레이트(A1) 측에 세워진 상태로 형성되는 지주(A2)를 각각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지지대(2)들은 지주(A2)들이 세워진 상태로 실내 바닥면(S) 측에 베이스플레이트(A1)들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띄우고 복수 개가 배열되는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지주(A2)의 상부 측에는 후술하는 이중바닥판(6)들의 둘레부 모서리 하부 측을 받쳐줄 수 있는 상태로 지주캡(A3)이 설치되며, 이 지주캡(A3)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지주(A2)들의 상부 측에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어 정,역 회전 조작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즉, 지지대(2)들은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실내 바닥면(S) 상에 이격 배치되어 후술하는 이중바닥판(6)들의 둘레부 중에서 모서리부들의 하부 측을 지주(A2) 및 지주캡(A3)들로 각각 지지하는 상태로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연결지지부(4)는 도 1에서와 같이 연결바(B)들을 구비하고, 이격 배치되는 지지대(2)들 사이사이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상태로 형성된다.
연결바(B)들은 후술하는 이중바닥판(6)들의 둘레부 중에서 모서리들 사이의 가장자리변 하부 측을 받쳐 주는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도 1에서와 같이 인접 배치된 지지대(2)들의 지주(A2)들 사이사이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상태로 셋팅된다.
연결바(B)들은 지지대(2)의 지주(A2)들 측에 설치된 지주캡(A3) 측에 바의 단부 측이 연결 고정되며,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볼트 등을 이용한 체결 고정 방식으로 연결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지지부(4)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후술하는 이중바닥판(6)들의 둘레부 중에서 모서리부들의 하부 측이 지지대(2)들의 지주(A2) 측에 얹혀진 상태로 지지될 때, 둘레부 중에서 모서리들 사이의 가장자리변 하부 측이 얹혀진 상태로 받쳐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이중바닥판(6)들은 지지대(2)들 및 연결지지부(4) 측에 전체 둘레부 측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중바닥판(6)들은 실내 바닥면(S)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의 이중바닥면(S1)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각(또는 직사각) 모양의 둘레부를 갖는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중바닥판(6)들은 전체 둘레부 중에서 네 군데의 모서리부 하부 측이 지지대(2)들의 지주(A2) 측 얹혀지고, 둘레부 중에서 모서리부 사이의 가장자리변 하부 측은 연결지지부(4)의 연결바(B)들 측에 얹혀져서 지지되는 상태로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복수 개가 서로 평면을 이루면서 실내 바닥면(S) 위쪽으로 일정 간격을 띄우고 이중바닥면(S1)을 형성할 수 있는 판 크기 및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중바닥판(6)들의 재질은 금속이 사용되며, 예를 들어, 프레스 작업이나 금형 성형 작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중바닥판(6)들의 윗면에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바닥재(예: 타일)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이중바닥판(6)들은 지지대(2)들 및 연결지지부(4) 측에 얹혀진 셋팅 상태에서 외력(예: 보행시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불규칙하게 유동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이중바닥판(6)들은 도 3에서와 같이 판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는 마감부(C)와, 이 마감부(C) 측에서 판 둘레부의 모서리 하부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형성되는 완충부(D), 및 이 완충부(D) 측에서 끼움 접촉력으로 지지대(2)의 지주(A2) 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되는 고정부(E)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마감부(C)는 도 3에서와 같이 이중바닥판(6)의 판 둘레부 측을 감싸는 마감 상태로 판 둘레부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마감부(C)의 재질은 합성수지나 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이중바닥판(6)들 상에 각종 전기,전자 장비들이 배치되는 점을 감안할 때 절연 특성을 갖는 재질을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부(C)는 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 작업에 의해 이중바닥판(6)의 둘레부 측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이외에도 별도로 제작되어 끼움 결합 방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마감부(C)는 이중바닥판(6)들의 판 둘레부 미감(美感)을 높일 수 있는 상태로 마감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복수 개의 이중바닥판(6)들이 서로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인접 배치될 때, 지지대(2)들이나 연결지지부(4) 또는 인접된 바닥판들 간에 서로 접촉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접촉 소음이나, 마모, 슬립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완충부(D)는 도 3에서와 같이 이중바닥판(6)의 판 둘레부 중에서 모서리 하부 측에 제공되는 상태로 마감부(C) 측에 형성된다.
완충부(D)의 재질은 탄력적인 완충(緩衝) 작용이 가능한 합성수지나 우레탄 재질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마감부(C)의 저면 측에서 단차진 돌출 상태로 형성되며, 마감부(C) 측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패드 타입으로 덧대어지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D)는 도 2에서와 같이 이중바닥판(6)의 둘레부 중에서 모서리 하부 측이 지지대(2)의 지주(A2)의 지주캡(A3) 측에 얹혀진 상태로 배치될 때, 이들의 접촉 틈새 사이에 위치되어 이중바닥판(6) 측에서 전달되는 불규칙한 충격이나 진동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완충부(D)는 이중바닥판(6)들이 얹혀지는 지지대(2)와 연결지지부(4) 중에서 특히 실내 바닥면(S) 측에 놓여진 상태로 배치되는 지지대(2) 측에 이중바닥판(6)의 모서리 하부 측이 완충 가능하게 얹혀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고정부(E)는 지지대(2) 및 연결지지부(4) 측에 얹혀진 이중바닥판(6)들의 유동을 더욱 적극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고정부(E)는 도 2 내지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이중바닥판(6)들의 모서리 측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완충부(D) 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의 고정돌기(E1)들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대(2)들 측에는 고정돌기(E1)들과 대응하는 고정홀(E2)들이 지주캡(A3) 측에 형성된다.
즉, 고정돌기(E1) 및 고정홀(E2)은 도 2에서와 같이 이중바닥판(6)들이 지지대(2) 및 연결지지부(4) 측에 얹혀지는 상태로 셋팅될 때 서로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돌기 및 홈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E)는 이중바닥판(6)들이 지지대(2) 및 연결지지부(4) 측에 얹혀져서 이중바닥면(S1)을 이루는 상태로 실내 바닥면(S) 측에 시공된 상태에서 고정돌기(E1)들의 걸림 접촉력에 의해 특히 이중바닥판(6)들이 수평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유동되는 슬립 현상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마감부(C), 완충부(D), 및 고정부(E)는 이중바닥판(6)의 둘레부 미감을 높이고, 불규칙한 유동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들을 제공하여 이중바닥판(6)들에 의한 이중바닥면(S1)의 시공 품질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중바닥판 어셈블리는, 이중바닥판(6)들의 유동을 더욱 안정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보조고정부(F)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보조고정부(F)는 완충부(D) 및 고정부(E) 측과 서로 연계하여 공기(Q) 압력에 의해 한층 향상된 고정력 확보가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보조고정부(F)는 도 4에서와 같이 완충부(D) 내측에 형성되는 제1 공기포켓(F1)과, 고정부(E) 측에 형성되는 제2 공기포켓(F2) 그리고, 제1 공기포켓(F1)과 제2 공기포켓(F2)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상태로 형성되는 포켓통로(F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1 공기포켓(F1)은 완충부(D) 내측에서 이 완충부(D) 측이 이중바닥판(6)에 의해 눌려지는 상태로 작동될 때 포켓 공간이 탄력적으로 오므라질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된다.
제2 공기포켓(F2)은 고정부(E)의 고정돌기(E1) 내측에서 공기(Q) 압력에 의해 포켓 공간이 고정돌기(E1)의 둘레부 측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팽창될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포켓통로(F3)는 제1 공기포켓(F1)과 제2 공기포켓(F2) 사이를 서로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태로 완충부(D) 및 고정부(E) 내측에 형성된다.
즉, 포켓통로(F3)는 제1 공기포켓(F1)과 제2 공기포켓(F2) 간에 서로 공기(Q)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이며, 포켓들 내부에는 완충부(D)의 완충 작용시 고정돌기(E1)의 둘레부 측이 공기(Q) 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팽창될 수 있는 상태로 공기(Q)가 채워진다.
이러한 보조고정부(F)는 이중바닥판(6) 측이 외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려질 때 완충부(D)의 완충 작용과 연계된 탄력적인 팽창 작용으로 고정부(E)의 고정력이 더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보조고정부(F)는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이중바닥판(6) 측이 외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려지면서 완충부(D)가 상,하방향으로 오므라지는 상태로 완충 작용될 때, 이 완충부(D) 내측에 형성된 제1 공기포켓(F1)이 탄력적으로 오므라지는 상태로 작동된다.
그러면, 제1 공기포켓(F1) 측의 공기(Q)가 포켓통로(F3)를 통해서 제2 공기포켓(F2) 측으로 공급되고, 이 제2 공기포켓(F2)은 공기(Q) 압력에 의해 고정부(E)의 고정돌기(E1) 둘레부 부피를 팽창시키는 상태로 작동된다.
이에 따라, 고정돌기(E1)는 고정홀(E2) 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돌기 둘레부의 팽창에 의해 홀부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저항이 크게 발생될 수 있는 상태로 돌기 형태가 탄력적으로 변화되므로, 이로 인하여 이중바닥판(6)은 지지대(2)의 지주(A2)의 지주캡(A3) 측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보조고정부(F)는 완충부(D)가 작용할 때마다 공기(Q) 압력에 의한 탄력적인 팽창 작용으로 이중바닥판(6)들의 설치 안정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는 탄력적인 고정력을 고정부(E)의 고정돌기(E1) 측에 부여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보조고정부(F)의 작용에 의하면, 고정돌기(E1)가 고정홀(E2) 측에 끼워진 상태로 돌기 둘레부 부피가 탄력적으로 팽창될 수 있는 상태로 작동되므로, 이중바닥판(6)들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유동되는 현상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고정부(F)는 도 4에서와 같이 연결통로(F4)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통로(F4)는 이중바닥판(6)의 네 군데 모서리 측의 완충부(D)들과 대응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1 공기포켓(F1)들을 마감부(C)의 연장방향을 따라 서로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태로 형성된다.
그러면, 이중바닥판(6)의 둘레부 네 군데 모서리 측에 형성되는 보조고정부(F)의 제1 공기포켓(F1)들이 연결통로(F4)들에 의해 서로 연통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통로(F4)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면, 예를 들어 이중바닥판(6) 측에 형성된 네 개의 완충부(D)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완충 작동될 때, 이와 연계되어 나머지 세 군데의 완충부(D) 측으로 공기(Q)가 강제 공급되면서 네 개의 제2 공기포켓(F2)들이 동시에 팽창되는 상태로 작동될 수 있으므로, 이중바닥판(6)들의 고정 안정성이 더욱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실내 바닥면(S) 상에서 이중바닥판(6)들이 지지대(2)들 및 연결지지부(6) 측에 지지되면서 서로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특히, 각각의 이중바닥판(6)들의 유동이 억제될 수 있는 접촉 지지 구조를 제공하여 이중바닥판(6)들의 설치 안정성 및 시공 품질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2: 지지대 4: 연결지지부 6: 이중바닥판
C: 마감부 D: 완충부 E: 고정부
F: 보조고정부 S: 실내 바닥면 Q: 공기

Claims (5)

  1. 지주를 구비하고 이 지주가 실내 바닥면 상에 세워진 상태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배치되는 지지대들;
    상기 지지대들의 지주 사이사이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연결바들을 구비한 연결지지부; 및
    상기 지지대들의 지주들과 상기 연결지지부의 연결바들 측에 얹혀져서 서로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배치되는 이중바닥판들을 포함하며,
    상기 이중바닥판들은, 판 둘레부 측을 마감하는 상태로 형성되는 마감부와, 이 마감부 측에서 판 둘레부의 모서리 하부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형성되는 완충부와, 이 완충부 측이 상기 지지대의 지주 상부 측에 고정돌기 및 고정홀의 끼움 결합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는,
    합성수지나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이중바닥판의 판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형성되는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마감부 중에서 상기 이중바닥판의 판 둘레부 모서리 하부 측과 대응하는 저면 지점에서 단차진 돌출 상태로 형성되며, 재질은 합성수지나 우레탄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하는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중바닥판 어셈블리는, 보조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고정부는,
    상기 완충부 측이 상기 이중바닥판에 의해 눌려질 때 포켓 공간이 탄력적으로 오므라질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완충부 내측에 형성되는 제1 공기포켓과, 이 제1 공기포켓 측이 탄력적으로 오므라질 때 발생되는 공기 압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의 고정돌기의 둘레부 측을 탄력적으로 팽창시킬 수 있는 상태로 상기 고정돌기 내측에 형성되는 제2 공기포켓, 및 상기 제1 공기포켓과 상기 제2 공기포켓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상태로 형성되는 포켓통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KR2020170005286U 2017-10-12 2017-10-12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KR2004880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286U KR200488018Y1 (ko) 2017-10-12 2017-10-12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286U KR200488018Y1 (ko) 2017-10-12 2017-10-12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018Y1 true KR200488018Y1 (ko) 2018-12-04

Family

ID=64668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286U KR200488018Y1 (ko) 2017-10-12 2017-10-12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01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3291A (ja) * 1996-04-09 1997-10-21 Matsuyama Denki Kk 二重床用パネルの支持脚
KR200155279Y1 (ko) * 1997-08-26 1999-08-16 박준욱 2중 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KR20120019363A (ko) * 2010-08-24 2012-03-06 (주)휴그린하이테크 발코니용 데크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3291A (ja) * 1996-04-09 1997-10-21 Matsuyama Denki Kk 二重床用パネルの支持脚
KR200155279Y1 (ko) * 1997-08-26 1999-08-16 박준욱 2중 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KR20120019363A (ko) * 2010-08-24 2012-03-06 (주)휴그린하이테크 발코니용 데크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111B1 (ko) 레벨 조절 및 충격 흡수가 가능한 우드블럭 모듈
KR101627836B1 (ko) 진동흡수부를 포함하는 데크로드
US6427965B1 (en) Shock and vibration damping pad and system
KR200488018Y1 (ko)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JP6567246B2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
KR102118869B1 (ko) 충격 및 소음 방지 바닥구조
KR101497562B1 (ko) 이중 바닥판재 구조와 그 성형방법
EP4047130B1 (en) Modular pavement system with a wear-protective system
KR101636746B1 (ko) 거푸집지지대 텐션고정구
KR101442693B1 (ko) 크린룸 벽체의 내진 시공장치
KR101720632B1 (ko) 다용도 빗물 저류조블록
KR101240410B1 (ko) 가변기능을 구비한 면진장치
KR101827640B1 (ko) 마루바닥 시공시스템
KR102034747B1 (ko) 엘리베이터의 완충장치
KR101554930B1 (ko) 방진 마운트 및 그 제작방법
JP6502116B2 (ja) 制振装置
KR101699282B1 (ko) 진동흡수장치
JP7286307B2 (ja) 免震構造
KR101996010B1 (ko) 원통형 면진 물탱크
KR101278686B1 (ko) 슬래브거푸집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2226293B1 (ko) 마루틀 고정장치
KR20160089803A (ko) 이동식 사다리
KR200417291Y1 (ko) 마루 시공용 바닥 지지구
KR200493888Y1 (ko) 이중 바닥판 어셈블리
WO2018179271A1 (ja) エレベータのバッファ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