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981Y1 - 수명연장이 가능한 집진장치용 스택 - Google Patents

수명연장이 가능한 집진장치용 스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981Y1
KR200487981Y1 KR2020170001383U KR20170001383U KR200487981Y1 KR 200487981 Y1 KR200487981 Y1 KR 200487981Y1 KR 2020170001383 U KR2020170001383 U KR 2020170001383U KR 20170001383 U KR20170001383 U KR 20170001383U KR 200487981 Y1 KR200487981 Y1 KR 2004879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
receiving frame
cooling coil
condensed wate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827U (ko
Inventor
김정현
박현철
류호주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2020170001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981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8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8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9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9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900/00Special arrangements for conducting or purifying combustion fumes; Treatment of fumes or ashes
    • F23J2900/13004Water draining devices associated with f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는 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과 분진을 제거하여 정화된 가스를 배출하는 집진부재와, 집진부재에서 정화된 가스를 대기중에 배출시키는 스택과, 스택의 내측에서 가스의 온도를 절감시키는 열교환부 및 스택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어 열교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스택은 집진부재에서 전달된 가스가 순차 충돌되도록 스택의 내측 벽면에 상하방향으로 순차 고정되는 복 수개의 차단판을 구비한 수명연장이 가능한 집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명연장이 가능한 집진장치용 스택{STACK FOR A DUST COLLECTOR THAT CAN EXTEND ITS LIFE}
본 고안은 수명연장이 가능한 집진장치용 스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해가스가 발생되는 소각로나 제철소, 화학조성물의 제조과정에서 유해가스가 발생되는 산업 현장 시설물은 집진장치를 설치하여 유독성 물질 및 분진등이 포함된 유독가스를 정화 시킨 뒤에 스택을 통하여 대기중에 배출한다.
이때, 집진장치에서 정화된 가스는 수분이 함유된 고온 및 고압 가스로서 집진장치에서 스택으로 유입될 시에 스택 내벽면을 강하게 때릴 수 있어 손상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택내부에 차단판을 구비하여 집진장치에서 배출된 고온 및 고압의 가스가 충돌시켜 압력을 저감시켜 배출하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하지만, 위와 같은 구조는 수분이 포함된 고온의 가스가 배출될 경우에 온도차에 따른 응축수가 발생됨에 따라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차단판의 부식이 쉽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분이 포함된 가스는 스택을 통과하면서 응결됨에 따라 응축수를 생성시킨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상측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받을 수 있도록 스택 내부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받을 수 있도록 스택의 바닥면에 응축수 수용함을 별도로 구비하거나, 바닥면에 배수로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스택 내부에 상시 응축수가 고임 상태로 유지되기에 여름철과 같이 외부 온도가 높고 습한 날씨가 계속될 경우에 역한 냄새나 병해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1539호(2015.12.23, 등록)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분이 함유된 고온 가스의 유속 저감과 온도를 낮출 수 있고, 응축수에 의한 스택 내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수명연장이 가능한 집진장치용 스택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과 분진을 제거하여 정화된 가스를 배출하는 집진부재와, 집진부재에서 정화된 가스를 대기중에 배출시키는 스택과, 스택의 내측에서 가스의 온도를 절감시키는 열교환부 및 스택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어 열교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스택은 집진부재에서 전달된 가스가 순차 충돌되도록 스택의 내측 벽면에 상하방향으로 순차 고정되는 복 수개의 차단판을 구비하고, 열교환부는 스택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는 직립된 벽면을 이루어 지지부의 상단에 고정되는 받이프레임과, 받이프레임의 중심부에 고정되어 냉각코일을 지지하는 지지봉 및 내측에서 냉각수가 순환되어 하측에서 이동되는 고온의 가스와 열교환반응하고, 외면에 생성된 응축수가 받이프레임측으로 이동되도록 지지봉에서 받이프레임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된 냉각코일을 포함하고, 냉각코일과 받이프레임은 지지부에 응축수를 전달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명연장이 가능한 집진장치용 스택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현장에서 수집된 유해가스를 대기중에 배출시에 스택 내부에서 가스의 유속을 절감시킬 수 있어 내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스택 내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명연장이 가능한 집진장치용 스택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서 스택의 감속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서 열교환부를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서 열교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서 열교환부의 하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서 냉각코일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A-A'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서 고정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서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수명연장이 가능한 집진장치용 스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명연장이 가능한 집진장치용 스택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서 스택의 감속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현장에서 가스를 수집하여 정화시키는 집진부재(200)와, 집진부재(200)에서 정화된 가스를 대기중에 배출하는 스택(100)과, 스택(100)내부에서 고온의 가스 온도를 하강시키는 열교환부(300)와, 열교환부(300)의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순환부(400)와, 스택내부에 벽면에 고정되어 열교환부(300)를 지지하는 지지부(500)와, 열교환부(300)와 지지부(500)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배출된 응축수를 전달하는 배수배관(600)을 포함한다.
집진부재(200)는 유해가스를 수집하는 수집부(220)와, 수집부(220)에서 수집된 가스를 정화시키는 정화부(210)와, 정화부(210)의 출력측에서 가스 및 먼지를 감지하는 센서부(230)를 포함한다.
수집부(220)는 소각로, 용해로 및 기타 화학 조성물이 제조 현장에서 발생하는 가스 및 분진등을 포집하는 장치이다.
정화부(210)는 수집부(220)에서 수집된 가스중에 포함된 분진과 유해물질을 정화시켜 스택(100)으로 배출한다. 정화부(210)는 스택(100)으로 연장되는 연결배관(211)을 통하여 정화된 가스를 배출한다. 여기서, 정화부(210)에서 배출된 가스는 수분이 함유된 고온 및 고압의 가스에 해당된다. 수집부(220) 및 정화부(210)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을 적용함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센서부(230)는 정화부(210)의 출력측 배관에서 유해물질의 농도 및 분진(먼지)의 농도를 감지하여 정화부(210)의 입력측과 출력측 사이에 연결된 바이패스 배관(212)을 개폐시킨다. 즉, 센서부(230)는 배관내에 유해 가스 및/또는 먼지를 감지하여 설정된 값이 감지되면, 바이패스 배관(212)을 개방하여 정화부(210)의 출력된 가스를 정화부(210)의 입력측으로 재순환시켜 정화과정을 반복 한다.
지지부(500)는 스택내부의 벽면을 따라 고정되어 상면에 실장되는 열교환부(300)를 지지한다. 여기서 지지부(500)는 열교환부(300)를 통하여 배출되는 응축수가 이동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해당 유로는 하측에서 연결되는 배수배관(600)으로 응축수를 전달한다.
이와 같은 지지부(500)와 열교환부(300) 및 배수배관(600)으로 이어지는 유로는 후술한다.
스택(100)은 지면에서 직립되고, 내측에서 집진부재(200)로부터 전달된 가스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도록 집진부재(200)에서 연장된 연결배관(211)이 연결된다. 여기서, 스택(100)은 정화부(210)에서 공급된 고압 가스의 유속을 절감시키는 감속수단(110)과, 열교환부(300)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수집 및 저장하는 회수탱크(120)를 포함한다.
회수탱크(120)는 스택의 외부에 설치되어 배수배관(600)을 통하여 배출되는 응축수를 수집 및 저장한다. 여기서, 본 고안은 응축수를 회수탱크(120)로 배출시킴에 따라 스택내부에 응축수가 장기간 고임에 따라 오염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는 열교환부(300)와 지지부(500)와 배수배관(600) 및 회수탱크(120)로 이어지는 유로를 통하여 달성된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이중에서 감속수단(11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서 감속수단(110)을 간략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감속수단(110)은 벽면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정화부(210)에서 공급된 가스를 수회 충돌시켜 유속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감속수단(110)은 정화부(210)에서 연장된 연결배관(211)의 유출구에 인접된 벽면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1차 충돌시키는 제1차단판(111)과, 제1차단판(111)에서 충돌된 가스를 2차 충돌시키는 제2차단판(112)을 포함한다.
제1차단판(111)은 정화부(210)에서 연장된 연결배관(211)이 연결되는 스택(100)의 내측 벽면 상측에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된다. 이때, 연장된 길이와 각도는 연결배관(211)에서 배출된 가스가 1차 충돌하여 방향이 전환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2차단판(112)은 제1차단판(111)이 설치된 벽면의 반대측 벽면에 설치되어 제1차단판(111)에서 1차 충돌된 가스를 2차 충돌시킨다. 이때, 2차 충돌된 가스는 제1차단판(111)과 제2차단판(112) 사이의 유로를 통하여 열교환부(300)가 설치된 상측으로 통하여 대기중에 배출된다.
여기서, 제1차단판(111)과 제2차단판(112)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고, 제1 및 제2차단판(111, 112) 이외에도 그 숫자가 추가될 수 있다.
즉, 감속수단(110)은 상 하측에서 지그 재그 식으로 배치된 복 수개의 차단판(111, 112)을 구비하여 정화부(210)에서 배출된 가스의 유속을 절감시킨다. 이는 종래와 달리 스택 내부 길이를 연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스 이동경로를 연장 시켜 유속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교환부(300)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열교환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열교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열교환부의 하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냉각코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A-A' 단면도, 도 8은 고정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스택 내부 벽면에 밀착되는 받이프레임(330)과, 받이프레임(330)의 내측 공간에 수용되는 냉각코일(320)과, 받이프레임(330)의 상단에서 이물질을 걸러주는 걸름망(310)과, 냉각코일(320)의 굽혀진 선단과 걸름망(310)을 지지하는 지지봉(350)과, 냉각코일(320)을 받이프레임(330)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340)을 포함한다.
냉각코일(320)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냉각순환부(400)에서 연장된 공급관(320a)에서 연장되는 하나가 지지봉(350)을 관통한 뒤에 받이프레임(330)으로 굽혀지고, 받이프레임(330)의 내측에는 지지봉(350)에서 연장되는 냉각코일(320)이 받이프레임(330)의 내측에서 연장되다가 다시 지지봉(350)측으로 연장된 후 받이프레임(330)측으로 연장되는 과정을 반복한 뒤에 배출관(320b)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냉각코일(320)은 하나가 지지봉(350)과 받이프레임(330) 사이를 왕복하여 연장되면서 하나의 층을 이루는 형상이며, 냉각코일(320)로 이루어진 층은 상하로 이격된 복 수개의 층으로 형성됨도 가능하다.
복 수개의 층을 이루는 경우에는 각 층별로 별개의 공급관(320a)과 배출관(320b)이 연결되거나, 복 수개의 층이 하나의 냉각코일(320)로 연장됨도 가능하다.
또한, 냉각코일(320)은 냉각순환부(400)에서 공급된 냉각수가 순환되면서 하측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와 열교환하여 가스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냉각코일(320)은 접촉된 가스와 온도차가 발생됨에 따라 가스에 포함된 수분이 냉각코일(320)의 외면에 응결되어 응축수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냉각코일(320)의 외면에 생성된 응축수가 스택 내부로 자유 낙하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봉(350)에서 연장되는 냉각코일(320)을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냉각코일(320)은, 도 7을 참조하면, 냉각수가 순환되는 코일배관(321)의 외면에 맺힌 응축수의 자유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외면에 수분의 흡수가 가능한 재질(예를 들면, 종이와 직물지)로 이루어진 흡수체(322)가 포함되고, 흡수체(322) 및 코일배관(321)을 수용하는 봉체(3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봉체(323) 및 흡수체(322)는 코일배관(321)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되, 코일배관(321)의 외면이 일부 노출시키고, 응축수가 이동되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하측에서 일부가 개구(324)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냉각코일(320)은 지지봉(350)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고, 외면에서 형성된 개구(324)와 흡수체(322)를 통하여 받이프레임(330) 및 지지부(500)로 응축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받이프레임(330)은 스택 내부에 밀착되는 직립된 벽면으로 형성되며, 상단에서 용접 또는 못, 나사,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걸름망(310)을 지지한다. 여기서, 받이프레임(330)은 내측에서 연장되는 냉각코일(320)(도 6 참조)을 지지할 수 있도록 내측에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봉(350)은 받이프레임(33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의 중심부에서 냉각코일(320)에 의해 지지된다. 즉 지지봉(350)은, 플라스틱 수지로서 제조되어 냉각코일(320)과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고정브라켓(340)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고정브라켓(340)은 직립된 제1판(341)과, 제1판(341)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판(342)과, 제1판(341)에서 관통된 삽입구(343)와, 제2판(342)에서 관통형성되어 지지부(500)에 연통되는 전달구(345)와, 삽입구(343)와 전달구(345) 사이를 연결하도록 절개된 유로구(344)를 포함한다.
제1판(341)은 냉각코일(320)의 외면(봉체(323) 외면)에 끼움식으로 고정되어 받이프레임(330)의 벽면에 밀착된다. 이때, 제1판(341)은 나사나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이 연통될 수 있도록 복 수개의 나사홀(도면번호 표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판(342)은 제1판(341)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받이프레임(330)의 하면에 밀착된다. 이때, 제2판(342)의 반대면은 지지부(500)의 상면에 위치되어 후술되는 연통구(520)(도 9 참조)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삽입구(343)는 제1판(341)에서 관통형성되며, 냉각코일(320)의 봉체(323) 외면에 밀착된다. 즉, 냉각코일(320)은 삽입구(343)를 통하여 받이프레임(330)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삽입구(343)와 봉체(323) 외면간에 틈새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판(341)을 사이에 두고 양측 또는 어느 한쪽에서 탄성링(도시되지 않음)이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탄성링은 제1판(341)을 기준으로 받이프레임(330)의 벽면과 제1판(341) 또는 제1판(341)의 반대측에서 체결되어 삽입구(343)와 봉체(323) 외면 간의 틈새를 방지한다.
또는, 삽입구(343)와 봉체(323) 외면은 용접으로서 밀폐됨도 가능하다.
유로구(344)는 제1판(341)에서 제2판(342)으로 연장되도록 절개 형성된다. 즉 유로구(344)는 삽입구(343)에서 연장되어 제2판(342)의 전달구(345)로 연장되도록 절개되어 냉각코일(320)의 외면에서 이동되는 응축수를 전달구(345)로 전달한다.
전달구(345)는 제2판(342)에서 관통형성되어 유로구(344)가 연장된다. 여기서 전달구(345)는 지지부(500)의 연통구(520) 상측에 위치되어 유로구(344)에서 전달되는 응축수를 연통구(520)로 전달한다.
즉, 본 고안은 냉각코일(320)에서 고정브라켓(340)의 삽입구(343)와 유로구(344) 및 전달구(345)로 이어지는 유로가 형성된다.
지지부(500)는 스택(100)의 내측 벽면을 따라 용접 또는 볼트와 같은 고정치구에 의해 고정되어 받이프레임(330)을 지지하고, 하측에서 연장되는 복 수개의 배수배관(600)과 유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지지부(500) 및 배수배관(600)의 구조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고안에서 지지부(500)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지부(500)는 상면을 따라 연장되어 응축수의 수로를 이루는 수로홈(510)과, 수로홈(510) 사이에서 관통형성되어 하측의 배수배관(600)과 연통되는 연통구(520)를 포함한다.
수로홈(510)은 지지부(500)의 상면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냉각코일(320)로부터 전달되는 응축수를 연통구(520)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수로홈(510)은 연통구(520)에 연결되는 부분에서 경사로를 형성하여 응축수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로홈(510)은 연통구(520)에 연결됨에 따라 한 번에 많은 양의 응축수가 연통구(520)에 모일 때 넘치지 않도록 연통구(520)의 수용 용량을 확장시킬 수 있다.
연통구(520)는 지지부(500)에서 상하측으로 연통되어 하측에서 배수배관(600)이 용접이나 기타 고정치구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연통구(520)는 고정브라켓(340)의 제2판(342)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500)는 연통구(520)의 상측에 위치된 고정브라켓(340)의 전달구(345)를 통하여 응축수를 수집하고, 수집된 응축수를 배수배관(600)으로 안내한다. 이때 수로홈(510)은 연통구(520)의 수용량을 초과하는 많은 양의 응축수가 한번에 몰릴 경우에 초과된 응축수를 수용하게 된다.
또는 연통구(520)는 수로홈(510)을 통하여 응축수의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고정브라켓(340)에 비하여 적은 숫자로 형성됨도 가능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수집부(220)는 현장에서 유해물질 및 분진이 포함된 가스를 수집하여 정화부(210)로 전달한다. 정화부(210)는 수집부(220)에서 전달된 가스의 유해물질 및/또는 분진을 걸러서 정화된 가스(공기)를 스택(100)으로 전달한다.
이때, 센서부(230)는 정화부(210)의 출력측 배관에서 유해가스 및/또는 분진의 농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에 바이패스 배관(212)을 개방하도록 밸브(213)를 자동제어한다.
즉, 본 고안에서 집진부재(200)는 정화된 가스를 재확인하여 정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센서부(230)를 통하여 정화과정을 반복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센서부(230)는 수집부(220)와 정화부(210) 사이의 배관을 차단함도 가능하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집진부재(200)에서 정화된 가스는 배관을 통하여 스택(100) 내부로 유입되면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상하측에서 정렬되는 복 수개의 차단판(111, 112)들에 순차적으로 충돌되면서 유속이 느려지게 된다.
유속이 느려진 가스는 열교환부(300)를 통과하고, 냉각코일(320)은 냉각순환부(400)에 의해 공급되는 저온의 냉각수가 수용되기에 외면에 접촉된 가스의 온도를 떨어뜨린다.
아울러 온도가 낮아진 가스는 걸름망(310)을 통과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걸름망(310)은 외부로부터의 이물질과, 내부의 먼지 덩어리등을 걸르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냉각코일(320)의 외면은 온도차에 따라 응축수가 생성된다. 응축수는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 냉각코일(320)(예를 들면, 개구(324) 또는 흡수체(322)에 흡수되어)의 외면을 따라 받이프레임(330)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응축수는 고정브라켓(340)의 유로구(344)를 통하여 전달구(345)로 이동된후 지지부(500)의 수로홈(510) 또는 연통구(520)로 이동된다.
이후 응축수는 지지부(500)의 연통구(520)에서 일시 수용된 후 배수배관(600)을 통하여 회수탱크(120)로 저장된다. 따라서, 냉각코일(320)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열교환부(300) 내지 배수배관(600)으로 연장되는 유로를 통하여 회수탱크(120)로 전달될 수 있어 스택 내부에 응축수가 상시 고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응축수의 고임을 방지할 수 있어 응축수가 상시 고임에 따른 스택(100) 내부의 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차단판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스택(100)의 수명연장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수명연장이 가능한 집진장치용 스택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스택 110 : 감속수단
111 : 제1차단판 112 : 제2차단판
120 : 회수탱크 200 : 집진부재
210 : 정화부 211 : 연결배관
212 : 바이패스 배관 213 : 밸브
230 : 센서부 300 : 열교환부
310 : 걸름망 320 : 냉각코일
320a : 공급관 320b : 배출관
321 : 코일배관(321) 322 : 흡수체
323 : 봉체 330 : 받이프레임
340 : 고정브라켓 341 : 제1판
342 : 제2판 343 : 삽입구
344 : 유로구 345 : 전달구
350 : 지지봉 400 : 냉각순환부
500 : 지지부 510 : 수로홈
520 : 연통구 600 : 배수배관

Claims (8)

  1. 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과 분진을 제거하여 정화된 가스를 배출하는 집진부재(200);
    집진부재(200)에서 정화된 가스를 대기중에 배출시키는 스택(100);
    스택(100)의 내측에서 가스의 온도를 절감시키는 열교환부(300); 및
    스택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어 열교환부(300)를 지지하는 지지부(500);를 포함하고,
    스택(100)은
    집진부재(200)에서 전달된 가스가 순차 충돌되도록 스택(100)의 내측 벽면에 상하방향으로 순차 고정되는 복 수개의 차단판(111, 112)을 구비하고,
    열교환부(300)는
    스택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는 직립된 벽면을 이루어 지지부(500)의 상단에 고정되는 받이프레임(330);
    받이프레임(330)의 중심부에 고정되어 냉각코일(320)을 지지하는 지지봉(350); 및
    내측에서 냉각수가 순환되어 하측에서 이동되는 고온의 가스와 열교환반응하고, 외면에 생성된 응축수가 받이프레임(330)측으로 이동되도록 지지봉(350)에서 받이프레임(330)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된 냉각코일(320);을 포함하고,
    냉각코일(320)과 받이프레임(330)은 지지부(500)에 응축수를 전달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명연장이 가능한 집진장치용 스택.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500)는
    상면에서 하향되어 응축수의 이동 또는 수용하는 수로홈(510); 및
    수로홈(510) 사이에서 관통되어 냉각코일(320) 또는 받이프레임(330)으로부터 이동된 응축수를 하측에서 연장되는 배수배관(600)으로 전달하는 연통구(520);를 포함하는 수명연장이 가능한 집진장치용 스택.
  5. 제1항에 있어서, 냉각코일(320)은
    공급관(320a)에서 연장된 하나가 지지봉(350)과 받이프레임(330) 사이를 반복하여 연장된 후 배출관(320b)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명연장이 가능한 집진장치용 스택.
  6. 제5항에 있어서, 냉각코일(320)은
    냉각수가 순환되는 코일배관(321);
    수분 흡수가 가능한 재질로서 코일배관(321)의 외면에서 응축수를 흡수하는 흡수체(322); 및
    코일배관(321) 및 흡수체(322)를 내측에 수용하는 봉체(323);를 포함하는 수명연장이 가능한 집진장치용 스택.
  7. 제6항에 있어서, 냉각코일(320)은
    봉체(323)와 흡수체(322)에서 코일배관(321)이 공기중에 노출되도록 절개되어 연장되는 개구(324)를 포함하는 수명연장이 가능한 집진장치용 스택.
  8. 제1항에 있어서, 열교환부(300)는
    받이프레임(33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냉각코일(320)의 외면을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340)을 포함하고,
    고정브라켓(340)은
    냉각코일(320)의 외면에 끼움식으로 체결되도록 삽입구(343)가 형성되어 받이프레임(330)의 벽면에 밀착되는 제1판(341);
    제1판(341)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받이프레임(330)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2판(342); 및
    삽입구(343)에서 제2판(342)으로 절개 및 연장되어 냉각코일(320)을 따라 이동되는 응축수를 이동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구(344);를 포함하는 수명연장이 가능한 집진장치용 스택.

KR2020170001383U 2017-03-24 2017-03-24 수명연장이 가능한 집진장치용 스택 KR2004879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383U KR200487981Y1 (ko) 2017-03-24 2017-03-24 수명연장이 가능한 집진장치용 스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383U KR200487981Y1 (ko) 2017-03-24 2017-03-24 수명연장이 가능한 집진장치용 스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827U KR20180002827U (ko) 2018-10-04
KR200487981Y1 true KR200487981Y1 (ko) 2018-11-29

Family

ID=63861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383U KR200487981Y1 (ko) 2017-03-24 2017-03-24 수명연장이 가능한 집진장치용 스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98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6203B2 (ja) * 1988-07-22 1998-08-13 東京計装株式会社 凝縮性成分及びミストを含むガスの流量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135707B1 (ko) * 2011-10-14 2012-04-13 (주)오선텍 수소발생장치의 기액분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555B1 (ko) * 2000-04-11 2003-03-10 김병우 백연 제거방법및 장치
KR20050033399A (ko) * 2003-10-20 2005-04-12 정규진 냉각식 제습기
KR101581539B1 (ko) 2014-03-28 2015-12-31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택용 먼지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6203B2 (ja) * 1988-07-22 1998-08-13 東京計装株式会社 凝縮性成分及びミストを含むガスの流量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135707B1 (ko) * 2011-10-14 2012-04-13 (주)오선텍 수소발생장치의 기액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827U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6576B2 (en) Fiber bed assembly and fiber bed therefor
KR101705835B1 (ko) 배기가스에 포함된 응축수 분리 회수 시스템
JP4722070B2 (ja) トンネル粉塵・排気ガス等の清浄装置
SU1718740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потоков парогазовых смесей, образующихс при сбросе избыточного давлени из-под защитных оболочек атомных электростанций
KR101127626B1 (ko) 습식정화장치
JPWO2019189886A1 (ja) 集塵システム、蓄熱システム
KR100894313B1 (ko) 집진장치
KR200487981Y1 (ko) 수명연장이 가능한 집진장치용 스택
ES2293238T3 (es) Aparato y procedimiento para la depuracion en humedo.
KR101787614B1 (ko) 액비악취 저감장치
KR101866143B1 (ko) 필터 세척유닛을 포함하는 배가스 처리장치
FI125936B (fi) Pakokaasupesuri ja laiva
KR102349742B1 (ko) 고형물체를 사용한 자체청소형 유동층 열교환기
KR101943914B1 (ko) 습식정화 필터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CN107930310A (zh) 车间废气处理系统
US115856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external corrosion guards
KR101925556B1 (ko) 조립식 망상 충진판을 가진 모듈형 폐가스 처리 장치
KR101507723B1 (ko) 흄 처리장치
FI126858B (fi) Pakokaasupesuri ja laiva
KR100731250B1 (ko) 입자순환식 배가스 냉각용 열교환기
KR101160051B1 (ko) 친환경적인 전자동 방탄 및 탄두 회수장치
ES2173819T1 (es) Aparato de filtracion de lecho granular libre para acondicionamiento de gas caliente.
CN212491628U (zh) 一种热处理设备的排风装置
KR101509621B1 (ko) 펠렛 보일러용 집진장치
CN107930331A (zh) 废气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