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723B1 - 흄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흄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723B1
KR101507723B1 KR20140128951A KR20140128951A KR101507723B1 KR 101507723 B1 KR101507723 B1 KR 101507723B1 KR 20140128951 A KR20140128951 A KR 20140128951A KR 20140128951 A KR20140128951 A KR 20140128951A KR 101507723 B1 KR101507723 B1 KR 101507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fume
fumes
pipe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8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원에프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원에프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원에프엠티
Priority to KR20140128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 F25J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 F25J3/04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for air
    • F25J3/04642Recovering noble gases from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5/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other separation and/or other processing means
    • F25J2205/84Processes or apparatus using other separation and/or other processing means using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90/00Other 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F25J2200/00 - F25J2280/00
    • F25J2290/60Details about pipelines, i.e. network, for feed or product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흄을 포집하고 처리하는 과정에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2차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흄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흄 처리장치는,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흄을 포집하기 위한 덕트 형태의 포집덕트와; 포집덕트와 연결된 유입관을 통해 내부로 흄이 유입되는 케이싱을 가지며, 케이싱의 내부에서 흄이 유속 및 온도 변화에 의해 오염물질이 응축되어 기액 분리되며 분리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을 갖는 흄 처리기와; 상기 흄 처리기에서 분리된 액체를 수집하는 집수조;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흄 처리장치{A TREATMENT APPARATUS OF FUME}
본 발명은 흄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흄(fume)을 포집하고 포집된 흄을 온도와 유속 변화방식으로 응축 처리함으로써, 별도의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흄을 처리할 수 있으면서 환경 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조나 단조 공정이나 냉연공장등의 산업현장에서는 생산과정중에 흄(fume)이 발생하게 되고, 특히 열처리공정에서 많은 양의 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흄(Fume)은, 0.01㎛ ∼ 5㎛정도의 입자상 물질로서, 고체 혹은 액체 상태로 존재하며, 담배 연기와 같이 입경이 작고 중량이 적어 관성력이 없으므로 확산력을 가지지 아니하여 그 측정조차 곤란하며 그리하여 그 제거가 곤란한 상태에 있다.
또한 흄은 중성, 알카리성을 띠는 경우도 있지만 산성을 띠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주변의 수목, 건물 및 인체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고, 역한 냄새로 환경에 나쁜 영향을 주기도 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맹독성 물질이 배기 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흄(Fume)의 종류로는 염화암모니아( NH4 Cl ), (유리)SiO2 , 불화암 모니아( NH4 F ), 황산계열, 암모니아계열, 염소계열, 불완전 연소물, HCl등으로 다양하다.
이러한 흄의 제거 방법으로는 이오나이저(Ionizer)에 의한 제거법이 알려져 있으나, 이는 그 설치비용과 운전비용이 상당하여 산업용으로의 사용이 곤란한 결점이 있다
종래 흄 처리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5644호 "흄 배출라인의 필터링장치"(등록일자 : 2008.04.2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냉연공장 또는 소둔산세공장의 연마라인에서 발생되는 흄을 배출하는 라인에서 흄을 필터링하는 장치에 있어서, 집진덕트에는 미세 스와프를 포함한 흄의 흐름방향을 전환하여 흄으로부터 미세 스와프를 분리시키는 제1필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필터판의 상부측으로는 제2필터판을 각각 구비한 복수의 유로를 형성하며, 이들 유로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차단판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유로중 어느 한 유로를 통하여 흄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2필터판의 상부측에는 이온나이저와 집진기 및 팬과 구동모터를 차례로 장착하는 한편, 상기 제1필터판의 상류측과, 팬의 후류측에는 각각 압력검출센서를 구비하여 차압을 검출하고 상기 차압이 사전에 설정된 값을 넘게 되면, 제1필터관의 미세 스와프를 제거시키고, 차단판을 이동시켜 제2필터판의 흄 유로를 변경시킴으로써 이온나이저의 화재없이 미세 스와프를 흄으로부터 분리 제거시키는 것이다.
종래 흄 제거장치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59645호 "흄 제거방법과 장치"(등록일자 : 2004.11.2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산업 현장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흄을 제거하기 위하여, 필터로 흄을 여과함에 있어서, 필터의 입측에 미스트분리기를 설치하여 액적을 분리시키고, 그 출측에 가열기를 설치하여 배기가스를 가열함으로서 필터로 유입되는 공기의 상대습도를 낮추어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가 필터에 응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 흄 처리과 관련된 선행기술들은 단순히 흄을 포집하여 별도의 필터를 거쳐서 유증기와 미세입자 등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한 후에 대기중으로 배출시키거나, 소각처리를 거쳐 오염물질을 태워서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대부분이다.
상기한 필터링 처리일 경우 필터의 교체작업을 수시로 시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작업이 수시로 중단되어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소각 처리일 경우 소각로 장비 설치비용과 운용 비용 및 소각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 비용이 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소각시 이산화탄소, 매연 등의 2차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폐수 처리를 위한 세정 집진시설인 water scrbber를 채용할 경우 장비 설치비용이 발생하게 되고 운용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수질에 따른 별도의 폐수 처리설비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후처리 작업 없이 흄을 대기중으로 방출할 경우, 공해 유발로 인한 환경법에 의해 단속 대상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5644호 "흄 배출라인의 필터링장치"(등록일자 : 2008.04.21)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59645호 "흄 제거방법과 장치"(등록일자 : 2004.11.23)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흄을 포집하고 처리하는 과정에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2차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흄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흄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덕트와; 상기 포집덕트와 연결된 유입관을 통해 내부로 흄이 유입되는 케이싱을 가지며 케이싱의 내부에서 흄이 유속 및 온도 변화에 의해 오염물질이 응축되어 기액 분리되며 분리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을 갖는 흄 처리기와; 상기 흄 처리기에서 케이싱의 하측과 연결된 배수관으로부터 분리된 액체를 수집하는 집수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흄 처리기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흄이 상,하로 유동되도록 상,하 개구되며 복수의 이송경로를 갖는 이송관과, 상기 케이싱 내의 상,하부에 적어도 하나 마련되어 유체의 횡방향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격판을 구비한다.
상기 유입관의 내경보다 흄의 첫번째 이송경로를 구성하는 제1,2이송관의 내경 합계가 더 크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복수의 이송관들은 상기 케이싱의 일측인 유입관에서 타측의 배출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흄 처리기는 케이싱 내의 온도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집수조는 상부에 마련되어 수면 상에 부유하는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출구와, 하부에 수위 조절을 위한 배수구를 구비하되, 상기 배수관의 수두가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흄의 유입 압력보다 더 높은 수두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요소로는 흄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덕트와; 상기 포집덕트와 연결된 유입관을 통해 내부로 흄이 유입되는 케이싱을 가지며, 케이싱의 내부에서 온도 변화에 의해 흄의 오염물질이 응축되어 기액 분리되도록 열교환기가 구비되며 분리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을 갖는 흄 처리기와; 상기 흄 처리기에서 케이싱의 하측과 연결된 배수관으로부터 분리된 액체를 수집하는 집수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인 요소로는 흄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덕트와; 상기 포집덕트와 연결된 유입관을 통해 내부로 흄이 유입되는 케이싱을 가지며, 케이싱의 내부에서 흄의 유속 변화에 의해 오염물질이 응축되어 기액 분리되며 분리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을 갖는 흄 처리기와; 상기 흄 처리기에서 케이싱의 하측과 연결된 배수관으로부터 분리된 액체를 수집하는 집수조;를 구비하되, 상기 유입관의 내경보다 흄의 첫번째 이송경로를 구성하는 제1,2이송관의 내경 합계가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흄을 포집하고, 포집된 흄의 유속 및 온도를 변화시켜 흄에 함유된 수분 및 기름 등의 액상의 오염물질과 기체로 기액 분리시킨 후에, 집수조(300)를 이용하여 분리된 액상의 오염물질을 물과 부유성 오염물질로 구분시켜 각각 처리함으로써, 기존 흄 처리설비에 비해 흄의 처리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대폭 줄일 수 있으며 대기 환경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이송관(120)들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더 커질 경우, 흄이 케이싱(110)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더 지연되면서 냉각되어 흄의 기액 분리 효율을 항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흄의 포집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흄 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흄 처리장치에 해당하는 제2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제4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흄 처리장치의 제 1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오일퀀칭탱크 또는 건조로 등의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흄을 포집하기 위한 덕트 형태의 포집덕트(10)와; 포집덕트(10)와 연결된 유입관(50)을 통해 내부로 흄이 유입되는 케이싱(110)을 가지며,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흄이 유속 및 온도 변화에 의해 오염물질이 응축되어 기액 분리되며 분리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150)을 갖는 흄 처리기(100)와; 상기 흄 처리기(100)에서 분리된 액체를 수집하는 집수조(30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포집덕트(10)는 흄이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산업 현장 공정들의 상측에 마련되며 하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포집된 흄을 송풍기(blower)를 이용하여 유입관(50)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포집덕트(10)는 일 예로 열간 단조설비(20)를 거쳐 퀀칭탱크(30)에서 퀀칭 처리된 후에 열처리존(40)으로 이송되어 열처리되는 공정을 갖는 열간 단조 제품의 제조공정에 마련될 수 있으며, 특히 흄이 많이 발생되는 퀀칭탱크(3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포집덕트(10)를 통해 포집된 흄은 유입관(50)을 통해 흄 처리기(100)측으로 이송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입관(50)은 흄 처리기(100)의 케이싱(110) 상부와 연결되어 흄을 케이싱(110)의 내부로 유입시키게 된다.
흄 처리기(100)는 밀폐된 형태의 케이싱(110)을 가지며, 케이싱(11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유입관(50)을 통해 유입된 흄이 상,하로 유동되도록 상,하 개구되며 복수의 이송경로를 갖는 이송관(120)과, 상기 케이싱(110) 내의 상,하부에 적어도 하나 마련되어 유체의 횡방향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격판(115)을 구비한다.
그리고 케이싱(110)은 유동판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케이싱(110)의 내주면에 수평으로 상,하부 고정판(116)이 배치되고, 상,하부 고정판(116)에 의해 케이싱(110)의 내부공간이 상부와 하부 및 중간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흄 처리기(100)는 케이싱(110)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케이싱(110)의 내부에 냉매가 이송되는 파이프 형태의 열교환기(200)가 더 구비된다.
또한, 흄 처리기(100)는 하부에 분리된 액체가 수집되어 집수조(300)측으로 배수되도록 집수조(300)와 연결된 배수관(140)이 마련되어 있다.
즉, 흄 처리기(100)의 케이싱(110)은 상부와 하부가 중앙 부위와 차단판을 매개로 구획되고 구획된 상부와 하부가 격판(115)에 의해 횡방향으로 밀폐된 공간을 가지게 되며, 상,하측이 개구된 파이프 형태의 복수의 이송관(120)이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흄 처리기(100)는 흄이 상,하측 단부가 개구된 이송관(120)을 통해 케이싱(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되는 복수의 이송경로를 갖게 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이송관(120)들 중 케이싱(110)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배열된 순서대로 제1,2,3,4...n이송관(121,122,123,124,...n)으로 구분하기로 한다.
집수조(300)는 배수관(140)을 매개로 케이싱(110)의 하부와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때 배수관(140)의 수두는 상기 유입관(50)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흄의 유입 압력보다 더 높은 수두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집수조(300)는 상부에 마련되어 수면 상에 부유하는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출구(310)와, 하부에 수위 조절을 위한 배수구(320)가 구비된다.
배수구(320)에는 집수조(300) 내의 물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밸브(325)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집수조(300)의 드레인출구(310)는 집수조(300)에 담겨진 액체에서 상부에 위치하고 물에 비해 비중이 낮은 기름 등의 부유성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배수구(320)는 집수조(300)의 하부에 마련되어 집수조(300)의 하부에 위치한 물을 외부로 배수시켜 집수조(300) 내의 수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3은 흄의 유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열교환기(200)가 생략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흄 처리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흄이 유입관(50)을 통해 케이싱(110)의 상부 우측에 위치한 공간에 일시 머물다가 제1,2이송관(121,122)을 통해 케이싱(110)의 하부 우측에 위치한 공간까지 이송되고 다시 격벽(115)에 의해 횡방향으로 밀폐되어 있으므로, 제3,4이송관(123,124)을 통해 다시 케이싱(110)의 상측으로 이송되며, 제5,6이송관(125,126)을 통해 다시 케이싱(110)의 하부 좌측에 위치한 공간으로 이송된 후에, 제7,8이송관(127,128)을 통해 케이싱(110)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중에 흄이 응축되면서 기체와 액체로 분리되고 분리된 기체가 배출관(150)으로 배출된다.
이때, 흄 처리기(100)는 흄의 케이싱(110) 내의 첫 이송경로가 되는 제1,2이송관(121,122)의 내경 합계가 유입관(5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A2-1+A2-2)>A1), 내경의 단면적 변화로 인해 유입되는 흄의 유속이 저하되면서 케이싱(110) 내부를 상,하 이송되는 흄의 온도가 내려가게 됨에 따라 흄의 응축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배출관(150)의 내경이 제7,8이송관(127,128)의 내경 합계보다 더 큰 내경을 갖도록 함으로써, 기체의 유속을 지연시켜 흄의 응축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송관(120)들은 4pass의 이송방향을 갖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나, 굳이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2pass 또는 6pass 및 8pass 등의 이송방향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흄의 이송도중에 이송관(120)을 감싸는 파이프 형태로 구성된 열교환기(200)에 냉매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케이싱(110) 내부를 냉각시켜 흄을 액체와 기체로 기액 분리시킨다.
이어서, 기액 분리된 액체는 케이싱(110)의 하측에 수집되면서 배수관(140)을 통해 집수조(300) 내로 집수되고, 기체는 제3,4,5,6,7,8이송관(123,124,125,126,127,128)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배출관(150)으로 배출되어 대기중으로 배기된다.
즉, 흄은 기액 분리되는 과정에서 기체와 오염물질이 포함된 액체로 분리되고, 오염물질이 포함된 액체는 흄에 함유된 오일 미스트와 미세입자 등의 오염물질을 기준으로 수분이 응집되면서 응축되어 케이싱(110)의 하측에 연결된 배수관(140)을 통해 집수조(300) 내에 수집된다.
상기한 흄 처리과정은 흄이 케이싱(110) 내로 유입된 후에 상,하 개구된 이송관(120)을 상,하로 이송되는 과정중에 1번째 이송경로인 제1,2이송관(121,122)의 내경 합계가 유입관(50)의 내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A2-1+A2-2)>A1), 흄의 유속이 느려지고 열교환기(200)에 의해 온도가 냉각되면서 흄에 함유된 기름 등의 오염물질 및 수분이 액상으로 변환되어 배수관(140)을 통해 집수조(300) 내로 공급되는 반면에, 분리된 기체는 복수의 이송경로인 이송관(120)을 통해 상,하로 이동되다가 케이싱(110)의 좌측 상단에 연결된 배출관(150)으로 배출된다.
집수조(300)는 흄의 기액 분리과정에서 분리된 액체를 수집하고 수집된 물과 유분 등의 부유성 오염물질을 비중 차이로 구분시킨 후에 유분 등의 부유성 오염물질이 드레인출구(310)의 높이까지 차오르게 되면 드레인출구(310)를 통해 흄 처리기(100)의 외부에 마련된 별도의 처리 설비측으로 이송시켜 폐유 처리하는 한편, 기름 등의 부유성 부유물질에 비해 집수조(300)의 하측에 가라앉은 물은 집수조(300)의 하부에 마련된 배수구(320)를 통해 외부의 배수시설로 배수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흄을 포집하고, 포집된 흄의 유속 및 온도를 변화시켜 흄을 액체와 기체로 기액 분리시킨 후에, 집수조(300)를 이용하여 액체로 분리된 액상의 오염물질을 물과 부유성 오염물질로 구분시켜 각각 처리함으로써, 기존 흄 처리설비에 비해 흄의 처리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대폭 줄일 수 있으며 대기 환경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앞서 선 실시예의 이송관(120)들은 각각의 내경이 동일한 반면에,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해당하는 복수의 이송관(120)들은 상기 케이싱(110)의 일측(도면상의 우측)인 유입관(50)에서 타측(도면상의 좌측)의 배출관(150)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 구조(A2-1<A2-2<A2-3...<A2-n)를 갖는다.
이로 인해 유입관(50)을 통해 케이싱(110) 내로 유입된 흄의 유속이 점차 저하되면서 유입관(50)을 통해 케이싱(110) 내로 유입된 흄의 배출시간이 더 지연되어 흄의 응축 처리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포집덕트(10)와 집수조(300)의 구성은 동일하며, 흄 처리기(100)는 상기 포집덕트(10)와 연결된 유입관(50)을 통해 내부로 흄이 유입되는 케이싱(110)을 가지고, 케이싱(110)의 내부에 열교환기(200)가 구비되어 흄의 유속에 상관없이 온도가 냉각됨에 따라 흄의 오염물질이 응축되어 기액 분리되도록 열교환기(200)가 구비되며, 분리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150)을 구비한다.
또한, 흄 처리기(100)는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유입관(50)을 통해 유입된 흄이 상,하로 유동되도록 상,하 개구되며 복수의 이송경로를 갖는 이송관(120)과, 상기 케이싱(110) 내의 상,하부에 적어도 하나 마련되어 유체의 횡방향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격판(115)이 구비된다.
이때, 유입관(50)의 내경은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들과는 달리 첫번째 흄의 이송경로가 되는 제1,2이송관(121,122)의 내경 합계보다 크거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A1≥(A2-1+A2-2)).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유입관(50)의 내경과 제1,2이송관(121,122)의 내경 합계가 동일한 크기일 경우, 유속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단순히 열교환기(200)를 이용한 냉각방식으로 흄을 응축시켜 처리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1,2실시예에 비해 흄의 응축 효율이 저하되지만, 각각의 이송관(120)들의 관경 크기에 상관없이 온도 변화에 따른 응축방식으로 흄을 기액 분리하여 오염물질을 액상으로 집수조(300)에 분리시켜 흄의 처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를 구비하되, 열교환기가 생략되어 유속 변화만으로 흄의 오염물질을 응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위한 구성은 흄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덕트(10)와; 상기 포집덕트(10)와 연결된 유입관(50)을 통해 내부로 흄이 유입되는 케이싱(110)을 가지며,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흄의 유속 변화에 의해 오염물질이 응축되어 기액 분리되며 분리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150)을 갖는 흄 처리기(100)와; 상기 흄 처리기(100)에서 케이싱(110)의 하측과 연결된 배수관(140)으로부터 분리된 액체를 수집하는 집수조(300);를 구비하되, 상기 유입관(50)의 내경보다 흄의 첫번째 이송경로를 구성하는 제1,2이송관(121,122)의 내경 합계가 더 크게 형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흄 처리기(100)는 흄의 케이싱(110) 내 첫 이송경로가 되는 제1,2이송관(121,122)의 내경 합계가 유입관(5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A2-1+A2-2)>A1), 내경의 단면적 변화로 인해 유입되는 흄의 유속이 저하되면서 케이싱(110) 내부를 상,하 이송되는 흄의 온도가 내려가게 됨에 따라 흄의 응축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출관(150)의 내경이 제7,8이송관(127,128)의 내경 합계보다 더 큰 내경을 갖도록 함으로써, 기체의 유속을 지연시켜 흄의 응축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입관(50)을 통과하여 케이싱(110) 내로 유입되는 뜨거운 흄을 유속 변화 또는 온도 변화를 이용하여 케이싱(110)내를 통과하는 과정중에 기액 분리시키고, 분리된 기체는 케이싱(110) 내의 이송 경로를 통과시킨 후에 케이싱(110)의 외부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반면에, 분리된 액체는 오염물질을 중심으로 응집된 상태로 집수조(300) 내로 수집된 후에, 다시 비중 차이에 의해 물과 부유성 오염물질로 분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흄 처리설비에 비해 흄의 처리시 발생되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기존 소각 처리방식의 경우 발생되는 2차 환경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10 : 포집덕트 20 : 열간 단조설비
30 : 퀀칭탱크 40 : 열처리존
50 : 유입관 100 : 흄 처리기
110 : 케이싱 115 : 격벽
116 : 고정판 120 : 이송관
121,122,123,124...n : 제1,2,3,4...n 이송관
140 : 배수관 150 : 배출관
200 : 열교환기 300 : 집수조
310 : 드레인출구 320 : 배수구
325 : 배수밸브

Claims (8)

  1. 흄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덕트(10)와;
    상기 포집덕트(10)와 연결된 유입관(50)을 통해 내부로 흄이 유입되는 케이싱(110)을 가지며,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흄이 유속 및 온도 변화에 의해 오염물질이 응축되어 기액 분리되며 분리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150)을 갖는 흄 처리기(100); 및
    상기 흄 처리기(100)에서 케이싱(110)의 하측과 연결된 배수관(140)으로부터 분리된 액체를 수집하는 집수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흄 처리기(100)는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유입관(50)을 통해 유입된 흄이 상,하로 유동되도록 상,하 개구되며 복수의 이송경로를 갖는 복수의 이송관(120)과, 상기 케이싱(110) 내의 상,하부에 적어도 하나 마련되어 유체의 횡방향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격판(115)을 구비하며,
    상기 유입관(50)의 내경보다 흄의 첫번째 이송경로를 구성하는 제1,2이송관(121,122)의 내경 합계가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송관(120)들은 상기 케이싱(110)의 일측인 유입관(50)에서 타측의 배출관(150)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처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흄 처리기(100)는 케이싱(110) 내의 온도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2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처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300)는 상부에 마련되어 수면 상에 부유하는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출구(310)와, 하부에 수위 조절을 위한 배수구(320)를 구비하되,
    상기 배수관(140)의 수두가 상기 유입관(50)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흄의 유입 압력보다 더 높은 수두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처리장치.
  7. 삭제
  8. 흄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덕트(10)와;
    상기 포집덕트(10)와 연결된 유입관(50)을 통해 내부로 흄이 유입되는 케이싱(110)을 가지며,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흄의 유속 변화에 의해 오염물질이 응축되어 기액 분리되며 분리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150)을 갖는 흄 처리기(100)와;
    상기 흄 처리기(100)에서 케이싱(110)의 하측과 연결된 배수관(140)으로부터 분리된 액체를 수집하는 집수조(300);를 구비하되,
    상기 유입관(50)의 내경보다 흄의 첫번째 이송경로를 구성하는 제1,2이송관(121,122)의 내경 합계가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처리장치.
KR20140128951A 2014-09-26 2014-09-26 흄 처리장치 KR101507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8951A KR101507723B1 (ko) 2014-09-26 2014-09-26 흄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8951A KR101507723B1 (ko) 2014-09-26 2014-09-26 흄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723B1 true KR101507723B1 (ko) 2015-04-01

Family

ID=5303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8951A KR101507723B1 (ko) 2014-09-26 2014-09-26 흄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7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58569A (zh) * 2022-07-16 2022-09-16 鄂尔多斯市神东天隆矿山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钻杆风冷淬火加工装置
KR20230110910A (ko) * 2022-01-17 2023-07-25 이달은 열분해기용 콘덴서와 이를 구비한 열분해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234Y1 (ko) * 1997-04-29 1999-06-15 한형수 내부 집진구조를 구비하는 열교환기
KR200195361Y1 (ko) * 2000-03-24 2000-09-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고온가열로에 사용되는 배기가스 분석기의 응축수제거장치
KR20040012140A (ko) * 2002-08-01 2004-02-11 주식회사 포스코 아연도금설비내의 아연 흄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234Y1 (ko) * 1997-04-29 1999-06-15 한형수 내부 집진구조를 구비하는 열교환기
KR200195361Y1 (ko) * 2000-03-24 2000-09-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고온가열로에 사용되는 배기가스 분석기의 응축수제거장치
KR20040012140A (ko) * 2002-08-01 2004-02-11 주식회사 포스코 아연도금설비내의 아연 흄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0910A (ko) * 2022-01-17 2023-07-25 이달은 열분해기용 콘덴서와 이를 구비한 열분해처리장치
KR102611806B1 (ko) 2022-01-17 2023-12-11 유한회사 호원 열분해기용 콘덴서와 이를 구비한 열분해처리장치
CN115058569A (zh) * 2022-07-16 2022-09-16 鄂尔多斯市神东天隆矿山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钻杆风冷淬火加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52440A (ja) 舶用排ガス処理装置
CN203533565U (zh) 一种生活垃圾焚烧及其附属烟气的处理系统
KR102139900B1 (ko) 열교환기와 응축필터부를 구비하는 백연제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백연제거방법
KR101573292B1 (ko) 일체형 원통 집진설비
KR101507723B1 (ko) 흄 처리장치
JP2008183497A (ja) 粉塵の処理方法、及び粉塵の処理装置
CN104606971A (zh) 一种余热回收型除尘器
CN105999977A (zh) 气液分离装置
JP2012241951A (ja) 灰の分離搬送方法及び灰の分離搬送装置
CN209662936U (zh) 一种基于高温炉排放高温烟气的环保降温设备
KR101943914B1 (ko) 습식정화 필터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KR101030679B1 (ko) 유해가스 배출 장치
CN212492179U (zh) 一种烟气净化系统
KR100829592B1 (ko) 증기 제거기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1966221B1 (ko) 유해가스 처리 장치
CN207555671U (zh) 一种厨房用环保设备
CN207628129U (zh) 一种含颗粒物废气处理装置
JP2005125201A (ja) ダイオキシン・煤塵除去装置
CN104801128A (zh) 工业废气排放冷却净化环保系统
US8778064B2 (en) Green house gases filtration system
KR100427807B1 (ko) 쓰레기 소각장치
CN221217829U (zh) 转炉烟气净化系统
EP1146287A1 (en) An apparatus for processing soot and mist
KR19980063478A (ko) 배기가스 처리장치
CN107270358A (zh) 一种厨房用环保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