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221B1 - 유해가스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유해가스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221B1
KR101966221B1 KR1020170074583A KR20170074583A KR101966221B1 KR 101966221 B1 KR101966221 B1 KR 101966221B1 KR 1020170074583 A KR1020170074583 A KR 1020170074583A KR 20170074583 A KR20170074583 A KR 20170074583A KR 101966221 B1 KR101966221 B1 KR 101966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noxious
noxious gas
condenser
lique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6069A (ko
Inventor
최상근
Original Assignee
최상근
주식회사 에이치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근, 주식회사 에이치알테크 filed Critical 최상근
Priority to KR1020170074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221B1/ko
Publication of KR20180136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78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characterised by auxiliary systems or arrangements
    • B01D5/009Collecting, removing and/or treatment of the condens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가스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해가스 처리 장치는 상측 방향에서 유입된 유해가스를 응축시키는 컨덴서부; 상기 컨덴서부에서 액화된 유해가스가 낙하하면 이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액화물 저장부; 및 상기 컨덴서부에서 액화되지 않고 상기 액화물 저장부를 통과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배출부는 상기 유해가스의 액화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컨덴서부의 내부에서 상기 유해가스가 체류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고, 그로 인해 폐가스 내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대기 오염을 방지하는 기술과 집진장치의 오염을 최소화시켜 집진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집진장치에서 발생하는 폐수처리 비용을 절감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기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와 집진장치의 내부 오염을 방지하고 집진장치의 내구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해가스 처리 장치{DEVICE FOR TREATING HARMFUL GAS}
본 발명은 유해가스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반도체 공정이나 기타 산업공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폐가스에는 중금속을 비롯한 각종 유해물질들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를 그대로 대기 중에 배출할 경우에는 막대한 양의 오염물질이 대기 중에 축적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에, 종래에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장치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폐가스를 정화시켜 대기 중으로 배출하는 방식을 통해 대기오염을 방지하였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2548호에는 폐가스를 정화하는 집진장치 기술에 대해 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집진장치 내부에 유입된 폐가스에 세정액을 분사하여 폐가스 내에 포함된 유해물질들을 산화시키거나 흡수하여 제거하는 기존의 집진장치의 경우, 집진장치 내부가 폐가스의 유해물질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사용 시간이 경과할수록 집진장치의 내구성 및 정화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했다.
또한, 집진장치에 유입된 폐가스가 집진장치 상부의 굴뚝으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폐가스 중 일부가 세정액과 충분히 반응하지 못하고 대기 중으로 그대로 배출될 가능성도 있었다.
아울러, 세정액을 분사하여 폐가스를 정화시키는 집진장치는 한번 분사된 세정액을 다시 순환시켜 재사용하게 되는데, 사용된 세정액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오염되면 더 이상 폐가스를 용해시킬 수 없으므로 오염된 세정액을 폐수처리하고 깨끗한 세정액으로 교환하여야 했다. 하지만, 세정액의 폐수처리 비용이 고가이고, 세정액의 교환 주기가 짧아서 사용자에게는 큰 부담으로 작용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폐가스 내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대기 오염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집진장치의 오염을 최소화시켜 집진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집진장치에서 발생하는 폐수처리 비용을 절감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유해가스 처리 장치는 상측 방향에서 유입된 유해가스를 응축시키는 컨덴서부; 상기 컨덴서부에서 액화된 유해가스가 낙하하면 이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액화물 저장부; 및 상기 컨덴서부에서 액화되지 않고 상기 액화물 저장부를 통과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배출부는 상기 유해가스의 액화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컨덴서부의 내부에서 상기 유해가스가 체류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가스 배출부는 상기 액화물 저장부 내에 존재하는 가스를 외부로 이송하도록 마련된 가스 배관; 및 상기 컨덴서부의 내부로 유입된 유해가스가 상기 컨덴서부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역류하면서 응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유해가스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가스 유동경로 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덴서부는 상기 유해가스가 통과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응축관을 가지며, 상기 응축관 내에는 상기 유해가스가 응축되어 생성된 액화물을 표면에 맺히게 하여 포집하는 액화물 포집기가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응축관을 통과하는 유해가스가 상기 액화물 포집기의 표면에 맺힌 액화물과 접촉할 경우, 상기 유해가스의 액화가 가속화되도록 상기 액화물 포집기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 메쉬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메쉬망은 상기 응축관을 통과하는 유해가스가 상기 메쉬망의 표면을 따라서 회전하며 이동함으로써 상기 응축관 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연장되도록 상기 메쉬망은 상기 응축관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나선형으로 꼬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메쉬망은 상기 응축관을 통과하는 유해가스와의 접촉율을 높이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굴곡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유해가스 처리 장치는 상기 액화물 저장부를 통과한 가스를 정화시켜 배출하는 스크러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컨덴서부에서 액화된 유해가스는 액화물 저장부에 별도로 저장되며 대기 중에 배출되지 않으므로, 대기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유해가스가 컨덴서부의 내부에서 장시간 체류하며 액화됨에 따라, 집진장치까지 이동하는 유해가스의 양이 미미하며, 그로 인해 집진장치의 내부 오염을 방지하고 집진장치의 내구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셋째, 집진장치로 유입되기 전에 대부분의 유해가스가 컨덴서부에서 액화되므로 집진장치의 세정액을 장시간 사용할 수 있고, 세정액의 폐수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넷째, 유해가스가 집진장치로 이동하기 전에 유해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예를 들어, 중금속)만을 별도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이를 재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가스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덴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덴서부의 응축관 내에 액화물 포집기가 위치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포집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가스 처리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가스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덴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가스 처리 장치(10)는 컨덴서부(100), 액화물 저장부(200), 가스 배출부(300) 및 스크러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컨덴서부(100)는 상측이 가스 유입관(170)과 연결되고, 하측은 액화물 저장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가스 유입관(170)을 통과한 유해가스는 컨덴서부(100)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컨덴서부(100)는 상측 방향에서 유입된 유해가스를 응축시켜 유해가스가 액화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덴서부(100)는 유해가스가 통과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응축관(110, 120, 130)을 가지며, 컨덴서부(100)의 상측에서 유입된 유해가스는 다수의 응축관(110, 120, 130)을 통해 분기되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컨덴서부(100)의 측면 하부에는 컨덴서부(100)의 내부로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구(I)가 구비되고, 컨덴서부(100)의 측면 상부에는 컨덴서부(100)의 내부로부터 냉각수가 유출되는 냉각수 유출구(O)가 구비될 수 있다.
유해가스가 컨덴서부(100)의 상측 방향에서 유입되어 컨덴서부(100)를 통과하는 시간동안 냉각수를 컨덴서부(100)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컨덴서부(100)의 내부로 들어온 냉각수는 냉각수 이동로(180)를 통해 이동하고 냉각수 유출구(O)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냉각수 이동로(180)는 응축관(110, 120, 1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냉각수 이동로(180)를 통과하는 냉각수의 온도 및 응축관(110, 120, 130) 내부를 통과하는 유해가스 간의 온도차가 발생하여 유해가스의 액화가 이루어진다.
액화물 저장부(200)는 상측이 컨덴서부(100)의 하측 및 가스 배관(310)의 하측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컨덴서부(100)에서 액화된 유해가스가 액화물 저장부(200) 방향으로 낙하할 경우, 액화물 저장부(200)는 액화물(210)을 수집하고 이를 저장하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스 배출부(300)는 컨덴서부(100)에서 액화되지 않고 액화물 저장부(200)를 통과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가스 배출부(300)는 컨덴서부(100)에서 이루어지는 유해가스의 액화율을 높이기 위해 컨덴서부(100)의 내부에서 유해가스가 체류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스 배출부(300)는 가스 배관(310) 및 가스 유동경로 조절수단(3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배관(310)의 일단은 액화물 저장부(200)의 상측과 연결되고, 타단은 스크러버(400)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액화물 저장부(200) 내에 가스가 존재할 경우, 가스가 가스 배관(310)을 통해 스크러버(400)로 이송될 수 있고, 최종적으로는 스크러버(400)의 상측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스 배관(310) 상에는 가스 유동경로 조절수단(320)이 설치되어 가스 배관(310)에 존재하는 가스의 흐름이 일 방향(예를 들어, 컨덴서부(100)로부터 스크러버(400) 방향으로)으로 이루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가스 유동경로 조절수단(320)의 설치 위치는 가스 배관(310) 상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컨덴서부(100)의 상측에 유입된 유해가스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기에 적당한 위치라면 도1에 도시된 위치 외의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스 유동경로 조절수단(320)은 컨덴서부(100)의 내부로 유입된 유해가스가 컨덴서부(100)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역류하면서 응축이 이루어지도록 유입된 유해가스의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 가스 유동경로 조절수단(320)은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송풍기로 적용될 수 있다.
컨덴서부(100)의 상측 방향에서 유입된 유해가스는 기체 본연의 특성상 상측 방향에 머무르려는 속성이 있으나, 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가스 유동경로 조절수단(320)에 의해 컨덴서부(100)로부터 스크러버(4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컨덴서부(100)의 상측에서 유입된 유해가스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가스 유동경로 조절수단(320)은 내부에 구비된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컨덴서부(100)의 내부에서 유해가스가 체류하는 시간을 의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 유동경로 조절수단(320)의 팬 회전 속도를 느리게 설정하여 유해가스가 컨덴서부(100)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유해가스가 컨덴서부(100) 내에 장시간 체류하게 됨에 따라, 컨덴서부(100)에서 이루어지는 유해가스의 액화율을 높일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덴서부(100)의 응축관(110, 120, 130) 내에 액화물 포집기(140, 150, 160)가 위치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응축관(110, 120, 130) 내에는 유해가스가 응축되어 생성된 액화물을 표면에 맺히게 하여 포집하는 액화물 포집기(140, 150, 160)가 위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유해가스의 액화율을 더욱 향상시키며, 유해가스의 액화를 가속화시키기 위해 다수의 응축관(110, 120, 130) 내에 각각 액화물 포집기(140, 150, 160)를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액화물 포집기(140, 150, 160)는 다수의 홀(H)이 형성된 메쉬(mesh)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응축관(110, 120, 130) 내에 액화물 포집기(140, 150, 160)가 위치하지 않을 경우, 유해가스의 액화가 일어나면 액화된 유해가스는 응축관(110, 120, 130) 내벽에 물방울로 맺혀있다가 중력에 의해 액화물 저장부(200) 방향으로 낙하될 수 있다.
그런데, 일 실시예에서는 응축관(110, 120, 130) 내에 다수의 홀(H)이 형성된 메쉬망이 위치함에 따라, 액화되어 물방울이 된 유해가스가 메쉬망의 홀(H)의 빈 공간에 부착되어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액화물 포집기(140, 150, 160)가 없는 경우에는 액화된 유해가스가 응축관(110, 120, 130) 내벽에 맺혀있다가 중력에 의해 액화물 저장부(200)로 신속하게 낙하하기 때문에 응축관(110, 120, 130) 내벽에 장시간 위치하는 것이 구조상 어려운 반면, 일 실시예에 의한 액화물 포집기(140, 150, 160)는 메쉬망에 다수의 홀(H)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액화된 물방울들이 홀(H)에 부착되어 장시간 유지될 수 있다.
메쉬망의 홀(H)에 부착된 물방울들은 액화물 포집기(140, 150, 160)를 통과하는 유해가스들과 접촉시, 일종의 액체 흡착제로서 작용하여 유해가스를 물방울의 표면에 흡착시킬 수 있고, 물방울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커질 경우에는 중력에 의해 액화물 저장부(200) 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다.
또한, 메쉬망에 부착된 물방울들은 응축관(110, 120, 130)을 통과하는 유해가스와 접촉할 경우, 유해가스의 온도를 떨어뜨려 가스의 액화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 즉, 유해가스가 응축관(110, 120, 130)을 통과하는 동안 유해가스인 기체 및 액화된 물방울이 서로 접촉할 확률이 높아지므로 유해가스의 액화가 가속화될 수 있다.
아울러, 일 실시예에서 메쉬망은 응축관(110, 120, 130) 내에서 응축관(110, 120, 13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나선형으로 꼬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응축관(110, 120, 130)을 통과하는 유해가스는 메쉬망의 내부를 통과하며 컨덴서부(100)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나선형으로 꼬여진 메쉬망 형태로 인해 유해가스는 메쉬망의 내부 표면을 따라서 회전하며 하강하게 된다.
즉, 나선형으로 꼬여진 메쉬망 형태는 응축관(110, 120, 130) 내에서 하강하는 가스의 이동거리를 연장시키며, 결과적으로 응축관(110, 120, 130) 내에서 유해가스가 체류하는 시간을 연장시켜 유해가스의 액화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포집기(140, 150, 160)를 도시한 것이다. 도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망은 응축관(110, 120, 130)을 통과하는 유해가스와의 접촉율을 높이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굴곡면(141)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굴곡면(141)은 응축관(110, 120, 130) 내에서 이동하는 유해가스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응축관(110, 120, 130)의 길이 방향과는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형성된, 경사진 상태의 메쉬망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굴곡면(141)은 메쉬망의 일측을 일정한 각도로 구부려서 형성할 수 있으나, 굴곡면(141)의 형성은 전술한 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응축관(110, 120, 130)의 길이 방향과 경사진 상태의 메쉬망을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메쉬망을 응축관(110, 120, 130) 내에 추가하는 등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응축관(110, 120, 130)의 내부 공간에 높은 밀도로 메쉬망이 충진되도록 응축관(110, 120, 13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굴곡면(141)을 배치시킬 수 있다. 응축관(110, 120, 130) 내에 배치된 다수의 굴곡면(141)으로 인해 메쉬망을 통과하는 유해가스의 체류시간이 길어지며, 체류시간 동안 유해가스는 메쉬망에 맺혀있던 물방울들과 접촉하여 가스의 액화가 가속화되므로 컨덴서부(100)의 응축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크러버(400, scrubber)는 일측이 가스 배관(310)과 연결되고, 액화물 저장부(200)를 통과한 가스를 최종적으로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크러버(400)는 유독성 폐가스에 세정용액을 분무하는 습식 방식, 활성탄 등의 필터를 이용한 건식 방식, 버너나 고온의 챔버 속에 폐가스를 통과시키는 연소 방식 등의 공지된 스크러버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스크러버 방식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한편, 실시하기에 따라, 컨덴서부(100)의 용량을 크게 확장하여 설치할 경우에는 컨덴서부(100)에서 처리할 수 있는 유해가스의 응축율도 상승하게 되므로 스크러버(400)를 사용하지 않아도 폐가스의 정화율을 높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컨덴서부(100)의 용량이 커질 경우에는 가스 배관(310)의 일단에 스크러버(400)를 연결하지 않고, 가스 배관(310)으로부터 가스를 대기 중으로 직접 배출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스크러버(400)의 설치, 장비 운용 및 폐수처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결국, 컨덴서부(100)에서 액화된 유해가스는 액화물 저장부(200)에 별도로 저장되며 대기 중에 배출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대기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가스를 컨덴서부(100)의 상측 방향에서 하측 방향으로 역류하며 이동시키도록 이동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유해가스가 컨덴서부(100)의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져 컨덴서부(100)의 응축율이 높아지고, 컨덴서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액화물 포집기(140, 150, 160)는 액화물 포집기(140, 150, 160)를 통과하는 유해가스의 이동거리를 연장시키고 유해가스와 액화된 물방울 간의 접촉율을 높여 컨덴서부(100)의 응축 성능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컨덴서부(100)의 용량이 커질 경우, 유해가스를 액화시키는 응축율도 상승하게 되므로 스크러버(400)를 사용하지 않아도 폐가스의 정화율을 스크러버(400) 사용시와 동등하거나 기존보다 우월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가스가 컨덴서부(100)의 내부에서 장시간 체류하며 액화됨에 따라, 스크러버(400)까지 이동하는 유해가스의 양이 미미하며, 그로 인해 스크러버(400)의 내부 오염을 방지하고 스크러버(400)의 내구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더욱이, 대부분의 유해가스는 스크러버(400)로 유입되기 전에 컨덴서부(100)에서 액화가 이루어짐에 따라서 스크러버(400)의 세정액을 장시간 사용할 수 있고, 세정액의 폐수처리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폐수로 인한 수질 오염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유해가스가 스크러버(400)로 이동하기 전에 유해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예를 들어, 중금속)만을 별도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중금속을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 재활용 효과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유해가스 처리 장치
100 : 컨덴서부
110, 120, 130 : 응축관
140, 150, 160 : 액화물 포집기
141 : 굴곡면
H : 홀
170 : 가스 유입관
180 : 냉각수 이동로
I : 냉각수 유입구
O : 냉각수 유출구
200 : 액화물 저장부
210 : 액화물
300 : 가스 배출부
310 : 가스 배관
320 : 가스 유동경로 조절수단
400 : 스크러버

Claims (7)

  1. 상측 방향에서 유입된 유해가스를 응축시키는 컨덴서부;
    상기 컨덴서부에서 액화된 유해가스가 낙하하면 이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액화물 저장부; 및
    상기 컨덴서부에서 액화되지 않고 상기 액화물 저장부를 통과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배출부는 상기 유해가스의 액화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컨덴서부의 내부에서 상기 유해가스가 체류하는 시간을 조절하고,
    상기 컨덴서부는 상기 유해가스가 통과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응축관을 가지며, 상기 응축관 내에는 상기 유해가스가 응축되어 생성된 액화물을 표면에 맺히게 하여 포집하는 액화물 포집기가 위치하되,
    상기 응축관을 통과하는 유해가스가 상기 액화물 포집기의 표면에 맺힌 액화물과 접촉할 경우, 상기 유해가스의 액화가 가속화되도록 상기 액화물 포집기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부는
    상기 액화물 저장부 내에 존재하는 가스를 외부로 이송하도록 마련된 가스 배관; 및
    상기 컨덴서부의 내부로 유입된 유해가스가 상기 컨덴서부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역류하면서 응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유해가스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가스 유동경로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처리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은 상기 응축관을 통과하는 유해가스가 상기 메쉬망의 표면을 따라서 회전하며 이동함으로써 상기 응축관 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연장되도록 상기 메쉬망은 상기 응축관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나선형으로 꼬여진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은 상기 응축관을 통과하는 유해가스와의 접촉율을 높이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굴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가스 처리 장치는
    상기 액화물 저장부를 통과한 가스를 정화시켜 배출하는 스크러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처리 장치.
KR1020170074583A 2017-06-14 2017-06-14 유해가스 처리 장치 KR101966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583A KR101966221B1 (ko) 2017-06-14 2017-06-14 유해가스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583A KR101966221B1 (ko) 2017-06-14 2017-06-14 유해가스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069A KR20180136069A (ko) 2018-12-24
KR101966221B1 true KR101966221B1 (ko) 2019-04-12

Family

ID=65010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583A KR101966221B1 (ko) 2017-06-14 2017-06-14 유해가스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2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167A (ja) 1998-11-26 2000-06-13 Kubota Corp オイル回収装置
JP2000279704A (ja) 1999-03-31 2000-10-10 Gl Sciences Inc 溶媒回収装置
KR100862982B1 (ko) * 2007-09-19 2008-10-13 서기철 폐열 및 용매 회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7226A (en) * 1987-09-08 1989-03-13 Masahiko Izumi Deodorization apparatus
FR2976285B1 (fr) * 2011-06-08 2013-05-24 Servier Lab Procede de synthese et forme cristalline du chlorhydrate de 4-{3-[cis-hexahydrocypenta[c]pyrrol-2(1h)-yl]propoxy}benzamide ainsi que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qui la contiennent
KR101364097B1 (ko) * 2012-04-27 2014-02-20 성진엔지니어링 (주)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포함된 폐가스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167A (ja) 1998-11-26 2000-06-13 Kubota Corp オイル回収装置
JP2000279704A (ja) 1999-03-31 2000-10-10 Gl Sciences Inc 溶媒回収装置
KR100862982B1 (ko) * 2007-09-19 2008-10-13 서기철 폐열 및 용매 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069A (ko) 201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4230A (en) Segmented heat exchanger flue gas treatment
WO2011162023A1 (ja) ガス処理システム
SU1103784A3 (ru) Способ селективной очистки гор чего газа
JPH08105620A (ja) 煙道ガス降流処理式の2ステージの凝縮型熱交換器
KR100912867B1 (ko)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
KR101966221B1 (ko) 유해가스 처리 장치
KR960011037B1 (ko) 폐수 재생능력을 가진 샤워터널식 배기 정화장치
KR101507723B1 (ko) 흄 처리장치
KR101706112B1 (ko) 스크러버를 위한 반도체 공정 폐가스의 냉각제습 장치
CN106552498B (zh) 一种预脱硫式烟气污染物一体化脱除装置
KR102349742B1 (ko) 고형물체를 사용한 자체청소형 유동층 열교환기
KR20230119342A (ko) 여과회전필터를 갖는 유해 배기가스 습식 정화장치
KR101562119B1 (ko) 수분 제거 장치
JPH09243050A (ja) 排煙処理方法及び装置
KR100829592B1 (ko) 증기 제거기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 정화장치
JPH0531315A (ja) 排気処理装置
CN105854495A (zh) 一种用于脱硫技术除尘除雾装置
KR102589114B1 (ko) 유해 배기가스 습식 정화장치
KR100720102B1 (ko) 폐열을 이용한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2449409B1 (ko) 도금조 폐가스 처리용 싸이클론 응축장치를 갖는 고효율 스크러버 장비
KR100220857B1 (ko) 1단계 및 다단계 공기 조절 시스템
RU2286200C2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выбросов в атмосферу от загрязняющих вещест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752481C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мплексной очистки дымовых газов и загрязненного воздуха
RU2792383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дымовых газов
CN209934456U (zh) 一种烟囱冷凝水收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