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878Y1 - 전자기기용 하우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하우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7878Y1 KR200487878Y1 KR2020130007173U KR20130007173U KR200487878Y1 KR 200487878 Y1 KR200487878 Y1 KR 200487878Y1 KR 2020130007173 U KR2020130007173 U KR 2020130007173U KR 20130007173 U KR20130007173 U KR 20130007173U KR 200487878 Y1 KR200487878 Y1 KR 20048787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side wall
- lid
- hole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1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resilient membe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0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screw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 충격이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본체로부터 덮개가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는 견고한 결합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용 하우징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하우징은 상부가 개방되고, 서로 마주하는 제1 측벽과 제2 측벽을 포함하는 복수의 측벽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씌움 또는 씌움해제되는 덮개와, 상기 본체에 씌워진 상기 덮개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측벽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과, 상기 제2 측벽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구멍을 갖고, 상기 덮개는 상기 제1 측벽 쪽에 씌워지는 하면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체결판과, 상기 제2 측벽 쪽에 씌워지는 하면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를 갖고, 상기 덮개가 상기 본체에 결합될 때,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걸림 구멍에 끼워져 걸리고, 상기 나사 체결판은 상기 나사 구멍에 대면되고 상기 나사 구멍에 삽입된 상기 고정부재와 체결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전자기기용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본체를 갖는 전자기기용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는 외관 기구물로서 부품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을 가진다. 이러한 전자기기용 하우징은 대체로 본체와 덮개를 포함하고, 본체는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를 가진다. 전자기기는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전자기기용 하우징에는 외부 충격이나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 경우, 본체에 결합된 덮개가 임의로 이탈되거나 분리되어 버리면 그 내부에 수용된 부품이 손상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즉, 전자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전자기기용 하우징은 외부 충격이나 압력을 받더라도 본체와 덮개가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기기용 하우징의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전자기기용 하우징(1)은 상부가 개방된 본체(10)와, 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20)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기기용 하우징(1)은 덮개(20)를 본체(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서 나사(32)와 인서트(31)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일 측벽에 관통된 끼움 구멍(12)을 가지며, 마주하는 반대편 측벽에 상하로 연장되는 인서트 구멍(14)을 가진다. 또한, 덮개(20)는 일측에 끼움 돌기(22)를 가지며, 반대측에 관통된 나사 구멍(24)을 가진다. 이와 같은 전자기기용 하우징(1)에 있어서, 본체(10)와 덮개(20)는 끼움 돌기(22)가 끼움 구멍(12)에 끼워짐으로써 일측이 고정되고, 나사 구멍(24)을 통해 삽입된 나사(32)가 인서트 구멍(14)에 매입된 인서트(31)에 체결되어 반대측이 고정된다. 즉, 덮개(20)는 양측이 본체(10)에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기기용 하우징은, 인서트를 매입하기 위한 인서트 구멍을 본체의 측벽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측벽의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본체를 설계 및 제조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나사가 인서트 구멍에 매입된 인서트에 체결되기 때문에 인서트 구멍이 공차 범위를 넘어 정밀하게 가공되지 못하거나 인서트가 인서트 구멍에 제대로 매입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나사와 인서트 간에 정렬 불량이 발생된다. 따라서, 나사가 인서트에 제대로 조여지지 못해 본체와 덮개가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고정부재로서 나사와 인서트가 채용되기 때문에 사용되는 부품수가 많아 부품 생산성이 낮고, 전자기기용 하우징의 제조 단가는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체와 덮개는, 끼움 돌기가 끼움 구멍에 일 방향으로 끼워지는 단순 끼움을 통해 어느 한쪽이 고정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이나 압력, 특히 끼움 돌기가 끼움 구멍에 끼워지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부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 덮개가 본체로부터 쉽게 이탈되거나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와 덮개의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부품 생산성을 높이고, 제조 단가는 낮출 수 있는 전자기기용 하우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 충격이나 압력을 받더라도 본체에 결합된 덮개가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본체와 덮개가 견고한 결합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용 하우징을 제공한다.
위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와 덮개가 견고한 결합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용 하우징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기기용 하우징은, 상부가 개방되고, 서로 마주하는 제1 측벽과 제2 측벽을 포함하는 복수의 측벽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씌움 또는 씌움해제되는 덮개와, 상기 본체에 씌워진 상기 덮개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측벽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과, 상기 제2 측벽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구멍을 갖고, 상기 덮개는 상기 제1 측벽 쪽에 씌워지는 하면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체결판과, 상기 제2 측벽 쪽에 씌워지는 하면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를 가진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상기 본체에 결합될 때,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걸림 구멍에 끼워져 걸리고, 상기 나사 체결판은 상기 나사 구멍에 대면되고 상기 나사 구멍에 삽입된 상기 고정부재와 체결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덮개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서 상기 덮개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구멍에 끼워져 걸릴 때, 상기 끼움부는 상기 제2 측벽의 외측에서 상기 걸림 구멍에 끼워지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2 측벽의 내면에 접촉하여 걸린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2 측벽의 내면에서 상기 걸림 구멍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상하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를 가진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나사 체결판은 상기 제2 측벽과 마주하는 내면에서 돌출되는 체결부를 가지며,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나사 구멍에 정렬되는 체결 구멍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탭타이트 나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의 복수의 측벽의 상부를 외측에서 에워싸는 복수의 덮개 측벽을 가진다.
본 고안에 따른 전자기기용 하우징은 본체와 덮개를 포함하고, 본체와 덮개의 결합 구조로서 양측에 인서트를 사용하지 않는 나사 체결 구조와, 걸림 돌기와 걸림 구멍을 사용한 이중 걸림 구조를 가진다. 본체의 측벽에 인서트를 매입하기 위한 인서트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본체의 측벽 두께를 줄이는데 제한이 적고, 정밀한 공차 관리를 필요로 하는 인서트 구멍 및 측벽 두께 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본체의 설계 및 제조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체와 덮개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부품수를 줄여 부품 생산성을 높이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체와 덮개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나사가 세로 방향으로 체결되지 않고 외부 충격이나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같은 가로 방향으로 체결되기 때문에 본체와 덮개를 견고한 결합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는 외부 충격이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걸림해제되지 않는 이중 걸림 구조를 통해 본체에 고정된다. 즉, 전자기기용 하우징에 외부 충격이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덮개가 본체로부터 임의로 이탈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용 하우징에 수용된 부품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기기용 하우징의 일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하우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기기용 하우징에 채용되는 본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자기기용 하우징에 채용되는 덮개를 뒤집어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체의 걸림 구멍에 덮개의 걸림 돌기가 끼워지기 전의 전자기기용 하우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체의 걸림 구멍에 덮개의 걸림 돌기가 끼워진 후의 전자기기용 하우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체의 걸림 구멍에 덮개의 걸림 돌기가 끼워진 후 걸리는 전자기기용 하우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D부분을 보인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하우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기기용 하우징에 채용되는 본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자기기용 하우징에 채용되는 덮개를 뒤집어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체의 걸림 구멍에 덮개의 걸림 돌기가 끼워지기 전의 전자기기용 하우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체의 걸림 구멍에 덮개의 걸림 돌기가 끼워진 후의 전자기기용 하우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체의 걸림 구멍에 덮개의 걸림 돌기가 끼워진 후 걸리는 전자기기용 하우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D부분을 보인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전자기기용 하우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하우징(1000)(이하, 간단히 '하우징'이라 한다)은 부품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씌움 또는 씌움해제되어 본체(100)의 개방 부분을 개폐하는 덮개(20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00)이 키폰주장치(keyphone main system) 등의 통신기기에 채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000)은 주로 옥외에 설치되는 네트워크 기기나 데이터 기기 등의 함체로서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100)와 덮개(200)는 플라스틱을 재료로 하여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 방식을 통해 제조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00)이 본체(100)와 덮개(200)로 구분되었지만,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으로도 구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상부가 개방된 대략 사각통 형상을 가진다. 즉, 본체(100)는 바닥판(110)과, 복수의 측벽(121 내지 124)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측벽(121 내지 124)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121, 123)을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121, 123)을 각각 제1 측벽(121)과 제2 측벽(123)이라고 한다.
바닥판(110)과 복수의 측벽(121 내지 124)으로 에워싸인 본체(100)의 내부에는 부품 또는 부품이 장착된 기판 등이 수용된다. 이를 위해 바닥판(110)과 복수의 측벽(121 내지 124)의 내면에는 부품 또는 기판이 용이하게 설치 또는 안착될 수 있는 돌출부(120)가 구비된다.
복수의 측벽(121 내지 124) 중 제1 측벽(121)에는 주변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복수의 접속 단자(125)가 구비되고, 전자기기의 작동 상태를 조절하거나 확인하기 위한 입출력수단(126)이 구비된다. 복수의 접속 단자(125)와 입출력수단(126)은 제1 측벽(121)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0)의 내부에 수용된 부품과 연결된다. 실시예에서, 접속 단자(125)와 입출력수단(126)이 구비되는 제1 측벽(121)을 제외한 나머지 측벽들(122 내지 124)은 외면에 부착되는 확장벽(122a 내지 124a)을 가진다. 확장벽(122a 내지 124a)은 아래로 내려갈수록 측벽들(122 내지 124)의 외면에서 멀어지도록 기울어진다. 따라서, 하우징(1000)이 갖는 미감과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확장벽(122a 내지 124a)은, 본체(100)에 덮개(200)가 씌워질 수 있도록, 측벽들(122 내지 124)의 외면에서 상측에 여유 부분을 두고 부착된다. 여유 부분은 본체(100)에 씌워진 덮개(200)의 덮개 측벽(221 내지 224)이 확장벽(122a 내지 124a)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하로 충분한 길이(G)를 가진다. 실시예에서는, 확장벽(122a 내지 124a)이 측벽들(122 내지 124)의 외면에 부착되지만, 확장벽(122a 내지 124a)은 본체(100)의 사출 성형 시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덮개(2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측벽(121)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130)과, 제2 측벽(123)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구멍(140)을 가진다. 나사 구멍(130)과 걸림 구멍(140)은, 본체(100)와 덮개(200)의 결합에 사용가능하도록 제1 측벽(121)과 제2 측벽(123)의 상측, 즉 여유 부분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 제1 측벽(121)에는 총 6개의 나사 구멍(130)이 3개씩 폭방향으로 양측에 나뉘어 형성되지만, 나사 구멍(130)의 개수와 형성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2 측벽(123)에는 총 3개의 걸림 구멍(140)이 폭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지만, 걸림 구멍(140)의 개수와 형성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나사 구멍(130)과 걸림 구멍(140)의 개수와 형성 위치에 따라 나사 구멍(130)과 걸림 구멍(140)의 크기도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나사 구멍(130)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본체(100)와 덮개(200)의 결합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실시예에서는 양측에 1개씩의 나사 구멍(130)이 사용되며, 나머지 나사 구멍은 탭 오버 방지 등을 위한 여유 구멍으로 사용될 수 있다).
걸림 구멍(140)에 덮개(200)의 걸림 돌기(240)(도 4 참조)가 용이하게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걸림 구멍(140)은 외측을 향하는 일부가 확장될 수 있다(도 5 내지 도 7의 A, B, C 부분 참조). 또한, 덮개(200)의 가림판(210)에 접촉하는 제2 측벽(123)의 상면은 외측을 향하는 일부가 라운드지거나 하향 경사질 수 있다.
걸림 구멍(140)이 형성되는 제2 측벽(123)에 있어서, 그 내면에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150)가 돌출된다. 하나의 걸림 구멍(140)마다 한 쌍의 가이드 돌기(150)가 양측에 구비되며, 가이드 돌기(150)는 상하로 연장된다. 가이드 돌기(150)는 덮개(200)의 결합 시에, 걸림 돌기(240)가 걸림 구멍(140)에 정확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가이드 돌기(150)는 제2 측벽(123)을 지지하여, 덮개(200)의 결합 시 제2 측벽(123)에 가해지는 힘 또는 하중에 의해 제2 측벽(123)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덮개(200)는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대략 판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덮개(200)는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갖는 가림판(210)과, 가림판(210)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된 복수의 덮개 측벽(221 내지 224)을 포함한다.
덮개(200)가 본체(100)에 결합될 때, 가림판(210)은 본체(100)의 복수의 측벽(121 내지 124) 상에 놓여진다. 즉, 가림판(210)의 하면은 복수의 측벽(121 내지 124)의 상면에 접촉된다. 또한, 덮개 측벽(221 내지 224)은 복수의 측벽(121 내지 124)의 상측을 외측에서 에워싼다. 즉, 덮개 측벽(222 내지 224)에 의해 본체(100)의 측벽(122 내지 124)의 외면에 있는 여유 부분이 대부분 가려진다.
덮개(200)는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제1 측벽(121) 쪽에 씌워지는 가림판(210)의 하면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체결판(230)과, 본체(100)의 제2 측벽(123) 쪽에 씌워지는 가림판(210)의 하면 가장자리에서 돌출되거나 또는 덮개 측벽(223)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240)를 가진다. 실시예에서는, 걸림 돌기(240)가 덮개 측벽(223)에서 돌출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나사 체결판(230)은 덮개 측벽(221)보다 내측에서 돌출된다. 이러한 나사 체결판(230)은 제2 측벽(123)과 대향하는 내면에서 돌출되는 체결부(232)(도 8 참조)를 포함한다. 덮개(200)가 본체(100)에 씌워졌을 때, 나사 체결판(230)은 본체(100)의 제1 측벽(121)에 형성된 나사 구멍(130)과 마주하고, 체결부(232)에는 나사 구멍(130)에 정렬되는 체결 구멍(234)이 형성된다. 정렬된 나사 구멍(130)과 체결 구멍(234)에는, 본체(100)에 씌워진 덮개(200)를 본체(1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300)(도 7 참조)가 끼워져 조여진다.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재(300)로서 구멍에 탭을 내면서 조여지는 탭타이트 나사(taptite screw)가 사용되어, 나사 체결판(230)을 제1 측벽(121)에 고정시킬 때 부하는 덜 걸리면서 상대적으로 체결력은 강화된다. 하지만, 고정부재(300)는 탭타이트 나사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탭핑 나사(tapping screw)를 채용할 수 있다.
걸림 돌기(240)는 덮개(200)의 하면, 즉 가림판(21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덮개 측벽(223))를 포함한다. 또한, 걸림 돌기(240)는 지지부의 하단, 측 덮개 측벽(223)의 끝단에서 덮개(20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끼움부(244)와, 끼움부(244)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는 걸림부(246)을 포함한다. 걸림 돌기(240)가 걸림 구멍(140)에 끼워져 걸릴 때, 끼움부(244)는 제2 측벽(123)의 외측에서 걸림 구멍(140)에 끼워지고, 걸림 구멍(140)을 통과한 걸림부(246)는 제2 측벽(123)의 내면에 접촉하여 걸리게 된다. 걸림 돌기(240)는 걸림 구멍(140)에 끼워지는 끼움부(244) 외에도 제2 측벽(123)에 걸리는 걸림부(246)를 가지기 때문에 덮개(200)의 일측은 이중 걸림 방식으로 본체(1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덮개(200)를 본체(100)에 결합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덮개(200)의 일측에 구비된 걸림 돌기(240)가 본체(100)의 제2 측벽(123)에 형성된 걸림 구멍(140)의 외측에 바로 위치하도록 덮개(200)를 위치시킨다. 덮개(200)가 본체(100)의 바닥판(110)과 평행하게 놓이는 경우에는, 걸림 돌기(240)의 걸림부(246)가 걸림 구멍(140)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덮개(200)는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된다(도 5 참조). 덮개(200)를 회동시키면서 본체(100) 쪽으로 밀어주면, 걸림 돌기(240)의 걸림부(246)가 걸림 구멍(140)에 통과되면서 끼움부(244)가 걸림 구멍(140)에 끼워진다(도 6 참조). 이후, 기울어진 덮개(200)를 바닥판(110)과 평행하도록 본체(100) 쪽으로 닫으면, 제2 측벽(123)의 상면이 덮개(200)의 가림판(210)의 하면에 접촉되며, 끼움부(244)가 걸림 구멍(140) 내의 제2 측벽(123)에 접촉되고, 걸림부(246)가 제2 측벽(123)의 내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본체(100)와 덮개(200)가 3군데에서 접촉되면서 걸리기 때문에 본체(100)에 대하여 덮개(200)의 유동이 방지된다. 또한, 하우징(1000)의 측방향에서 가해지는 외부 충격 또는 압력을 받더라도 본체(100)로부터 덮개(200)가 임의로 해제되거나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덮개(200)의 걸림 돌기(240)가 본체(100)의 걸림 구멍(140)에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나사 체결판(230)은 본체(100)의 제1 측벽(121)의 내면에 대면되고, 제1 측벽(121)에 형성된 나사 구멍(130)은 나사 체결판(230)에 형성된 체결 구멍(234)에 정렬된다. 나사 구멍(130)의 외측에서 고정부재(300)인 탭타이트 나사를 끼워 조이면, 탭타이트 나사가 나사 구멍(130) 및 체결 구멍(234)에 탭을 내면서 조여진다. 즉, 나사 구멍(130)이 형성된 본체(100)의 제1 측벽(121)에 나사 체결판(230)을 갖는 덮개(200)의 일측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0)에는, 본체(100)와 덮개(200)의 결합을 위해, 인서트를 사용하지 않는 나사 체결 구조와, 이중 걸림 구조가 채용된다. 따라서, 본체(100)와 덮개(200)의 결합을 위해 고정부재(300)의 부품수가 적게 사용되어 부품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하우징(1000)의 제조 단가는 낮출 수 있다. 또한, 본체(100)와 덮개(200)의 양측이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하우징(1000)에 외부 충격이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본체(100)에 결합되어 있는 덮개(200)가 본체(100)로부터 임의로 이탈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바닥판
120: 돌출부 121, 122, 123, 124: 측벽
122a, 123a, 124a: 확장벽 125: 접속 단자
126: 입출력수단 130: 나사 구멍
140: 걸림 구멍 150: 가이드 돌기
200: 덮개 210: 가림판
221, 222, 223, 224: 덮개 측벽 230: 나사 체결판
232: 체결부 234: 체결 구멍
240: 걸림 돌기 244: 끼움부
246: 걸림부 300: 고정부재
120: 돌출부 121, 122, 123, 124: 측벽
122a, 123a, 124a: 확장벽 125: 접속 단자
126: 입출력수단 130: 나사 구멍
140: 걸림 구멍 150: 가이드 돌기
200: 덮개 210: 가림판
221, 222, 223, 224: 덮개 측벽 230: 나사 체결판
232: 체결부 234: 체결 구멍
240: 걸림 돌기 244: 끼움부
246: 걸림부 300: 고정부재
Claims (6)
- 상부가 개방되고, 서로 마주하는 제1 측벽과 제2 측벽을 포함하는 복수의 측벽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씌움 또는 씌움해제되는 덮개와,
상기 본체에 씌워진 상기 덮개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측벽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과, 상기 제2 측벽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구멍을 갖고,
상기 덮개는 상기 제1 측벽 쪽에 씌워지는 하면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체결판과, 상기 제2 측벽 쪽에 씌워지는 하면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를 갖고,
상기 덮개가 상기 본체에 결합될 때,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걸림 구멍에 끼워져 걸리고, 상기 나사 체결판은 상기 나사 구멍에 대면되고 상기 나사 구멍에 삽입된 상기 고정부재와 체결되고,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덮개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서 상기 덮개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구멍은 외측을 향하는 일부가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벽의 상면은 외측을 향하는 일부가 라운드지거나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구멍에 끼워져 걸릴 때, 상기 제2 측벽의 상면은 상기 덮개의 하면에 접촉되며, 상기 끼움부는 상기 걸림 구멍 내의 상기 제2 측벽에 접촉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2 측벽의 내면에 접촉하여 걸리는
전자기기용 하우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2 측벽의 내면에서 상기 걸림 구멍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상하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를 갖는 전자기기용 하우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체결판은 상기 제2 측벽과 마주하는 내면에서 돌출되는 체결부를 가지며,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나사 구멍에 정렬되는 체결 구멍이 형성되는 전자기기용 하우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탭타이트 나사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하우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의 복수의 측벽의 상부를 외측에서 에워싸는 복수의 덮개 측벽을 갖는 전자기기용 하우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7173U KR200487878Y1 (ko) | 2013-08-27 | 2013-08-27 | 전자기기용 하우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7173U KR200487878Y1 (ko) | 2013-08-27 | 2013-08-27 | 전자기기용 하우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0989U KR20150000989U (ko) | 2015-03-09 |
KR200487878Y1 true KR200487878Y1 (ko) | 2018-11-15 |
Family
ID=53038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7173U KR200487878Y1 (ko) | 2013-08-27 | 2013-08-27 | 전자기기용 하우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7878Y1 (ko)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85562B2 (ja) * | 2007-11-29 | 2010-11-24 | 富士通株式会社 | 部品組立体および電子機器 |
-
2013
- 2013-08-27 KR KR2020130007173U patent/KR200487878Y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0989U (ko) | 2015-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65202B2 (en) | Connector assembly | |
US20090251850A1 (en) | Lock for a housing | |
US7456355B2 (en) | Permanently closed enclosure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an internal portion thereof | |
US10595423B2 (en) | Electronics housing for electronics in a motor vehicle | |
JP3638535B2 (ja) | カード保持用組立体及びそれを使用するシャシー | |
US20110297628A1 (en) | Server rack assembly | |
US9936595B2 (en) | Wire retention cover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 an electronic device | |
US8901422B2 (en) | Lid structure for flat-cable insertion opening | |
US8755194B2 (en) | Waterproof elemen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waterproof element | |
KR200487878Y1 (ko) | 전자기기용 하우징 | |
US9954310B2 (en) | Fixing structure for fuse holder and fuse cover | |
US10541494B2 (en) | Connector for processor package | |
JP4833452B2 (ja) | 床用配線器具 | |
US6733306B2 (en) | Electronic module assembly apparatu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 |
WO2003023905A2 (en) | Nut holding structure for connector | |
KR102415119B1 (ko) | 회로기판을 구비한 장치 | |
JP2011238507A (ja) | Usbコネクタ | |
KR20170085941A (ko) | 커넥터 | |
CN110874120B (zh) | 机箱 | |
CN111225525B (zh) | 容纳至少一个机电、电气和/或电子部件的外壳 | |
JP4890994B2 (ja) | 電子機器 | |
JP2001269472A (ja) | 遊技機 | |
KR102640023B1 (ko) |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
CN117525717A (zh) | 电池模块 | |
JP2013030586A (ja) | 電子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