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758Y1 - 구두 뒷굽 보호구 - Google Patents

구두 뒷굽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758Y1
KR200487758Y1 KR2020180000769U KR20180000769U KR200487758Y1 KR 200487758 Y1 KR200487758 Y1 KR 200487758Y1 KR 2020180000769 U KR2020180000769 U KR 2020180000769U KR 20180000769 U KR20180000769 U KR 20180000769U KR 200487758 Y1 KR200487758 Y1 KR 2004877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el
shoe
periphery
present
closely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filed Critical 김현수
Priority to KR2020180000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7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7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7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42Heels with replaceable or adjustable parts, e.g. top lif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6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3/00Wear-resisting attachments
    • A43C13/04Cleats; Simple studs; Screws; Hob-nai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2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ttached to the so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구두 뒷굽 보호구는 둘레부와 바닥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두 뒷굽 보호구는 구두의 뒷굽을 커버함으로써, 그 뒷굽이 잦은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계절의 변화, 사용자의 취향 및 당시의 유행에 따라 서로 다른 스타일의 디자인이 프린팅되거나 부착됨으로써, 하나의 구두로도 다양한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두 뒷굽 보호구{SHOE HEEL PROTECTOR}
본 고안은 구두의 뒷굽을 커버하는 구두 뒷굽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제 2의 심장이라고 일컬어지는 발은 인간이 하루종일 활동하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신체부위에 해당한다. 이러한 발은 한쪽에 26 개의 뼈와 33 개의 관절, 그리고 94 개의 근육이 횡과 종으로 족궁을 형성하여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인간에게 운동성을 제공한다. 특히 전신의 체중을 떠받치며 충격을 흡수하는 족궁은 인체의 받침대 역할을 수행한다. 즉, 족궁의 거점 중 하나인 뒤꿈치는 사용자 전신의 체중을 고스란히 전달받을 수밖에 없다.
한편 신발은 발을 보호함과 동시에 그 발을 지탱하는 의류의 한 품목으로써, 사용자의 걸음에 따라 저면이 바닥과 반복적으로 마찰한다. 이러한 신발은 형태, 기능 및 용도에 따라 구두, 운동화 및 슬리퍼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구두는 계절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신발이다.
종래의 구두는 남녀화를 불문하고 일정 두께의 굽이 형성된다. 그 굽은 구두의 저면 전반에 걸쳐 형성되며, 특히 사용자의 걸음을 고려하여 구두의 앞쪽에 비해 뒤쪽에 위치한 뒷굽이 더 두껍게 형성된다. 즉, 종래의 구두는 전신의 체중을 떠받치며 충격을 흡수하는 뒤꿈치를 걸음걸이에 따른 인체의 균형에 맞추기 위해 그 형상이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구두는 뒤꿈치에 전달되는 하중으로 인해 뒷굽이 바닥과 더욱 강하게 마찰하므로, 그 마찰에 의한 마모가 앞쪽의 굽보다 심각한 수준이다. 더욱이 종래의 구두는 사계절 내내 착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는 반면, 사계절 내내 동일한 외형을 유지한다는 단점이 공존했다. 종래에는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뒷굽을 통째로 바꾸는 등의 작업을 하였지만, 이 역시 작업장 방문과 이에 따른 교체 시간 및 그 비용이 상당히 소요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동반되었다.
(1) KR 등록특허공보 제10-1489735호(2015.02.04.) (2) KR 등록특허공보 제10-1487868호(2015.01.29.) (3) KR 등록특허공보 제10-1384889호(2014.04.15.) (4)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546호(2013.10.16.)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두의 뒷굽을 커버하는 구두 뒷굽 보호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구두 뒷굽 보호구는 둘레부 및 바닥부를 포함한다. 상기 둘레부는 뒷굽의 둘레에 밀착·고정된다. 상기 바닥부는 상기 둘레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둘레부가 상기 뒷굽의 둘레에 밀착·고정되면, 상기 뒷굽의 저면에 밀착된다. 상기 바닥부는 보호패드 및 탄성띠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패드는 상기 바닥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둘레부가 상기 뒷굽의 둘레에 밀착·고정되면, 상기 뒷굽의 저면 후방에 밀착되어 상기 뒷굽의 저면에 발생되는 마찰을 저감시킨다. 상기 탄성띠는 상기 바닥부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보호패드에서부터 방사형으로 탄성력 있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둘레부가 상기 뒷굽의 둘레에 밀착·고정되면, 상기 뒷굽의 저면 전방에 밀착되어 상기 바닥부의 면적을 늘린다.
상기 둘레부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오돌토돌한 돌기로 처리되며, 마찰력 있는 재질의 논슬립면이 형성된다.
상기 둘레부의 외측면에는 특정 스타일이 프린팅되거나 특정 스타일의 디자인물이 부착·고정되는 스타일면이 형성된다.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른 구두 뒷굽 보호구는 구두의 뒷굽을 커버함으로써, 사용자의 걸음에 따라 뒷굽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켜 뒷굽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구두 뒷굽 보호구는 구두의 뒷굽을 커버함으로써, 계절의 변화, 사용자의 취향 및 당시의 유행에 따라 뒷굽에 변화를 주어 하나의 구두로도 다양한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두 뒷굽 보호구의 전체적인 형태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두 뒷굽 보호구가 장착된 구두의 뒷굽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구두 뒷굽 보호구의 사용 상태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게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벽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 상에 있어서 층과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과장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 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 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미리 배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구두 뒷굽 보호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두 뒷굽 보호구의 전체적인 형태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두 뒷굽 보호구가 장착된 구두의 뒷굽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구두 뒷굽 보호구(10)는 구두의 뒷굽(1)을 커버하기 위해 둘레부(100) 및 바닥부(200)를 포함한다.
둘레부(100)는 뒷굽(1)의 둘레에 탄성력 있게 밀착·고정된다. 이러한 둘레부(100)는 내측면과 외측면 각각에 논슬립면(110)과 스타일면(120)이 형성된다.
먼저, 논슬립면(110)은 둘레부(100)의 내측면에 다수의 오돌토돌한 돌기로 처리되며, 마찰력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논슬립면(110)은 둘레부(100)가 뒷굽(1)의 둘레를 탄성력 있게 감싸면, 뒷굽(1)의 둘레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둘레부(100)가 뒷굽(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아울러, 논슬립면(110)은 뒷굽(1)의 둘레에 대한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고무나 실리콘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스타일면(120)은 둘레부(100)의 외측면에 특정 스타일이 프린팅되거나 특정 스타일의 디자인물이 부착·고정된다. 즉, 스타일면(120)은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스타일의 디자인이 염색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또 다른 특정 스타일의 디자인물이 접착 혹은 벨크로 등의 부착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하나의 구두로도 다양한 스타일이 연출 가능하게끔 둘레부(100)의 외형을 변신시킬 수 있다.
바닥부(200)는 둘레부(100)의 하부에 형성된다. 또한 바닥부(200)는 둘레부(100)가 뒷굽(1)의 둘레에 밀착·고정되면, 뒷굽(1)의 저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바닥부(200)는 일측과 타측 각각에 보호패드(210) 및 탄성띠(220)가 위치한다.
먼저, 보호패드(210)는 바닥부(200)의 일측에 위치한다. 또한, 보호패드(210)는 둘레부(100)가 뒷굽(1)의 둘레에 밀착·고정되면, 뒷굽(1)의 저면 후방에 밀착된다. 즉, 둘레부(100)는 일정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걸음에 따라 뒷굽(1)의 저면에 발생되는 마찰을 저감시킴과 더불어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탄성띠(220)는 바닥부(200)의 타측에 위치한다. 또한, 탄성띠(220)는 보호패드(210)에서부터 방사형으로 탄성력 있게 연장·형성되고, 둘레부(100)가 뒷굽(1)의 둘레에 밀착·고정되면, 뒷굽(1)의 저면 전방에 밀착된다. 즉, 탄성띠(220)는 신축성 있게 늘어나고 줄어듦으로써, 둘레부(100)와 뒷굽(1) 둘레의 밀착에 대응하여 바닥부(200)의 면적을 늘리고, 보호패드(210)가 뒷굽(1)의 저면 후방에 안정적으로 자리잡게끔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5를 더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구두 뒷굽 보호구의 사용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구두 뒷굽 보호구의 사용 상태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구두 뒷굽 보호구(10)는 구두의 뒷굽(1)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구두 뒷굽 보호구(10)는 구두의 뒷굽(1)을 커버함으로써, 그 뒷굽(1)이 잦은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계절의 변화, 사용자의 취향 및 당시의 유행에 따라 서로 다른 스타일의 디자인이 프린팅되거나 부착됨으로써, 하나의 구두로도 다양한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 된다.
10 : 구두 뒷굽 보호구
100 : 둘레부
110 : 논슬립면
120 : 스타일면
200 : 바닥부
210 : 보호패드
220 : 탄성띠
1 : 뒷굽

Claims (5)

  1. 뒷굽의 둘레에 밀착·고정되는 둘레부; 및
    상기 둘레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둘레부가 상기 뒷굽의 둘레에 밀착·고정되면, 상기 뒷굽의 저면에 밀착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바닥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둘레부가 상기 뒷굽의 둘레에 밀착·고정되면, 상기 뒷굽의 저면 후방에 밀착되는 보호패드; 및
    상기 바닥부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보호패드에서부터 방사형으로 탄성력 있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둘레부가 상기 뒷굽의 둘레에 밀착·고정되면, 상기 뒷굽의 저면 전방에 밀착되어 상기 바닥부의 면적을 늘리는 탄성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뒷굽 보호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오돌토돌한 돌기로 처리되며, 마찰력 있는 재질의 논슬립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뒷굽 보호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의 외측면에는 특정 스타일이 프린팅되거나 특정 스타일의 디자인물이 부착·고정되는 스타일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뒷굽 보호구.
  4. 삭제
  5. 삭제
KR2020180000769U 2018-02-20 2018-02-20 구두 뒷굽 보호구 KR2004877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769U KR200487758Y1 (ko) 2018-02-20 2018-02-20 구두 뒷굽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769U KR200487758Y1 (ko) 2018-02-20 2018-02-20 구두 뒷굽 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758Y1 true KR200487758Y1 (ko) 2018-10-29

Family

ID=6404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769U KR200487758Y1 (ko) 2018-02-20 2018-02-20 구두 뒷굽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758Y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11781A (en) * 1930-03-26 1931-06-23 Eugene R Degge Overshoe
US2170652A (en) * 1936-09-08 1939-08-22 Martin M Brennan Appliance for protecting portions of a shoe during cleaning or polishing
JPS51118343U (ko) * 1975-03-18 1976-09-25
JPS6278106U (ko) * 1985-11-02 1987-05-19
JP3114801U (ja) * 2005-06-14 2005-10-27 株式会社フロンティア ハイヒール用保護カバー
KR200469546Y1 (ko) 2011-07-25 2013-10-16 조성희 장신구가 구비된 구두 굽
KR101384889B1 (ko) 2012-04-10 2014-04-15 양아름 반영구적 하이힐용 신발커버
KR101487868B1 (ko) 2013-10-04 2015-01-29 대구광역시 달서구 교체 가능한 구두굽
KR101489735B1 (ko) 2012-10-05 2015-02-04 장명호 하이힐 슈즈의 패션형 쿠션 악세사리
US20160106178A1 (en) * 2014-10-15 2016-04-21 Prescella Lanai Monger Shoe cover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11781A (en) * 1930-03-26 1931-06-23 Eugene R Degge Overshoe
US2170652A (en) * 1936-09-08 1939-08-22 Martin M Brennan Appliance for protecting portions of a shoe during cleaning or polishing
JPS51118343U (ko) * 1975-03-18 1976-09-25
JPS6278106U (ko) * 1985-11-02 1987-05-19
JP3114801U (ja) * 2005-06-14 2005-10-27 株式会社フロンティア ハイヒール用保護カバー
KR200469546Y1 (ko) 2011-07-25 2013-10-16 조성희 장신구가 구비된 구두 굽
KR101384889B1 (ko) 2012-04-10 2014-04-15 양아름 반영구적 하이힐용 신발커버
KR101489735B1 (ko) 2012-10-05 2015-02-04 장명호 하이힐 슈즈의 패션형 쿠션 악세사리
KR101487868B1 (ko) 2013-10-04 2015-01-29 대구광역시 달서구 교체 가능한 구두굽
US20160106178A1 (en) * 2014-10-15 2016-04-21 Prescella Lanai Monger Shoe co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52681B2 (en) High foot mobility shoe
CN101237912B (zh) 护胫
JP3196278U (ja) 上部のない靴
US10021919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the human body from foot strike shock
AU2010352681A1 (en) High foot mobility shoe
US20120304493A1 (en) Fashion Shoe Having A Removable Insole and Footbed Cover
US20180055139A1 (en) Ballet shoe
KR101426154B1 (ko) 신발
CN113840555B (zh) 易穿功能鞋
JP7440114B2 (ja) 足プロテクター
KR200487758Y1 (ko) 구두 뒷굽 보호구
KR101509711B1 (ko) 길이조절이 용이한 신발 깔창
KR101166572B1 (ko) 신발창
US20150201701A1 (en) Foot Protection Device for Insertion into a Sandal to Minimize Pressure and Irritations on the Top and Front Portions of the Foot
KR102310154B1 (ko) 기능성 슬리퍼
JPH03279401A (ja) 衝撃吸収靴下類
KR200486203Y1 (ko) 발가락 스타킹
US20210244129A1 (en) Maternity footwear
CN210054659U (zh) 护甲袜
KR101205240B1 (ko) 발바닥 보호용 신발
JP7351499B2 (ja) 靴カバー
KR102274197B1 (ko) 신축 신발
KR101205185B1 (ko)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샌들
KR200314694Y1 (ko) 슬리퍼 기능을 갖는 구두
KR20230136437A (ko) 탄성 밴드가 부착된 덧버선 및 그 사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