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546Y1 - 장신구가 구비된 구두 굽 - Google Patents

장신구가 구비된 구두 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546Y1
KR200469546Y1 KR2020110006757U KR20110006757U KR200469546Y1 KR 200469546 Y1 KR200469546 Y1 KR 200469546Y1 KR 2020110006757 U KR2020110006757 U KR 2020110006757U KR 20110006757 U KR20110006757 U KR 20110006757U KR 200469546 Y1 KR200469546 Y1 KR 2004695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heel
case
ornament
shoe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7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801U (ko
Inventor
조성희
Original Assignee
조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희 filed Critical 조성희
Priority to KR20201100067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546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8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8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5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5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4Ornamental buckles;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out fastening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A43B3/0084Arrangement of flocked decoration on sho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리스탈 등의 장식부재를 케이스에 수용한 후 케이스를 와이어편로 연결하여서 된 장신구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획 형성된 수용부를 갖는 구두 굽 본체에 체결한 후 충격흡수용 패드를 구두 굽 본체에 부착하여 구두에 심미감을 부여함으로써 패션화할 수 있도록 한 장신구가 구비된 구두 굽에 관한 것으로,
상기에 따른 본 고안은 구두의 뒷축에 체결되는 것으로, 일측면을 제외한 원주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뒷부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장신구(300)를 체결할 때 연결용 와이어편(350)이 삽입되도록 하여 장신구(3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 돌기(11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돌기(110)에 의해 구획형성되어 장신구(300)가 수용되는 수용부(130)로 이루어지는 구두 굽 본체(100)와;
구두 굽 본체(100)에 체결되어 구두에 심미감을 부여하는 것으로, 크리스탈 등의 장식부재(310)와, 장식부재(310)를 수용하되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어 장식부재(310)를 수용한 후 절곡하여 장식부재(310)가 케이스(3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고정편(311)과, 양측면에 형성되어 연결용 외이어편(350)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장공(332)으로 이루어진 케이스(330)와, 케이스(330)에 체결되는 것으로, 케이스(330)를 상호연결하되 구두 굽 본체(100)에 체결할 때 연결용 와이어편(350)이 돌기(110)의 뒷부분으로 삽입되어 장신구(300)가 구두 굽 본체(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연결용 와이어편(350)으로 된 장신구(300)와;
구두 굽 본체(100)에 체결되어 충격을 흡수함과 아울러 장신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충격흡수용 패드(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신구가 구비된 구두 굽{The shoes hoof where the ornament is had}
본 고안은 구두의 뒤축에 체결되어 보행시 척추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장신구가 구비된 구두 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리스탈 등의 장식부재를 케이스에 수용한 후 케이스를 와이어편로 연결하여서 된 장신구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획 형성된 수용부를 갖는 구두 굽 본체에 체결한 후 충격흡수용 패드를 구두 굽 본체에 부착하여 구두에 심미감을 부여함으로써 패션화할 수 있도록 한 장신구가 구비된 구두 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구두 굽은 제작되는 구두의 종류에 따라 구두 굽의 크기가 규격화 또는 일원화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 및 원하는 기호에 관계없이 규격화된 상태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개성이나 기호에 무관하게 제조 판매되었다.
그러나 최근의 경향으로서 구두 자체를 패션의 일부로 인식하여 구두의 외양이 다채롭게 형상화됨과 동시에 구두 외부에 여러 가지 장신구를 부착하는 등 구두를 패션화하는 경향이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장신구가 구비된 구두 굽이 개발 판매되고 있으나 종래에는 구두 굽에 장신구를 체결할 때 구두 굽 본체(1)에 구멍(2)을 형성한 후 장신구(3)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형태로 하여 구두 굽을 제작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접착하는 방식은 외부충격에 의해 장신구가 구두 굽에서 아탈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여름의 장마철이나 겨울에 눈길을 장시간 걸을 경우에는 접착면에 습기가 침투하여 장신구가 구두 굽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구두를 패션화하고자 하던 본래의 목적을 이루지 못하고 장신구가 이탈됨으로써 오히려 구두가 볼품없이 변하여 착용하지못하여 구두 굽을 교체하거나 교체하지 못할 경우에는 구두 자체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고안은 크리스탈 등의 장식부재를 케이스에 수용한 후 케이스를 와이어편로 연결하여서 된 장신구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획 형성된 수용부를 갖는 구두 굽 본체에 체결한 후 충격흡수용 패드를 구두 굽 본체 부착하여 구두에 심미감을 부여하여 패션화할 수 있도록 한 장신구가 구비된 구두 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실시 예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복수개의 암형 홈이 윗면에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측면 하단에서 방사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단턱부와, 상기 단턱부의 윗면에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상향으로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구두 굽 본체; 상기 구두 굽 본체의 단턱부의 형성방향을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돌기와 몸체부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삽입되는 와이어편과, 상기 와이어편이 삽입되는 장공이 측면 후방에 형성되고 전면에는 장식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편이 복수개의 돌기와 상기 몸체부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돌기와 돌기 사이에 형성된 수용부에 삽입 안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장신구; 및 상기 구두 굽 본체의 몸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암형 홈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숫형 돌출부가 저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윗면 및 복수개의 돌기의 상단을 덮어 상기 장신구가 상기 구두 굽 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충격흡수용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 장신구가 구비된 구두 굽은 크리스탈 등의 장식부재를 케이스에 수용한 후 케이스를 와이어편로 연결하여서 된 장신구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획 형성된 수용부를 갖는 구두 굽 본체에 체결한 후 충격흡수용 패드를 구두 굽 본체 부착하여 구두에 심미감을 부여하여 패션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획 형성된 수용부를 갖는 구두 굽 본체에 장신구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구두 굽을 제작함으로써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구두 굽에서 장신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구두의 패션화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구두 굽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두 굽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두 굽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구두 굽 중 장신구를 나타낸 사시도.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 예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가 구비된 구두 굽은, 복수개의 암형 홈(105a)이 윗면에 형성된 몸체부(105)와, 상기 몸체부(105)의 측면 하단에서 방사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단턱부(107)와, 상기 단턱부(107)의 윗면에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상향으로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돌기(110)를 포함하는 구두 굽 본체(100); 상기 구두 굽 본체(100)의 단턱부(107)의 형성방향을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돌기(110)와 몸체부(105)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삽입되는 와이어편(350)과, 상기 와이어편(350)이 삽입되는 장공(332)이 측면 후방에 형성되고 전면에는 장식부재(310)가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편(350)이 복수개의 돌기(110)와 상기 몸체부(105)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돌기(110)와 돌기(110) 사이에 형성된 수용부(130)에 삽입 안착되는 케이스(330)를 포함하는 장신구(300); 및 상기 구두 굽 본체(100)의 몸체부(105)에 형성된 복수개의 암형 홈(105a)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숫형 돌출부(500a)가 저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05)의 윗면 및 복수개의 돌기(110)의 상단을 덮어 상기 장신구(300)가 상기 구두 굽 본체(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충격흡수용 패드(500)를 포함한다.
상기 구두 굽 본체(100)의 몸체부(105)는 구두의 뒷부분 저면에 장착되며 일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의 하단에는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단턱부(107)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100)는, 상기 몸체부(105)의 측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단턱부(107)의 윗면에서 상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05)의 측면과 돌기(110)의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상기 와이어편(350)이 상기 단턱부(105)의 둘레방향을 따라 삽입된다.
상기 장신구(300)의 장식부재(310)는, 상기 단턱부(107)가 형성된 상기 몸체부(105)의 측면부위에 배치되어 구두 굽(100)에 심미감을 부여하는 것으로, 큐빅과 같은 인조보석 등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장식부재(310)는 장방형 형상의 케이스(330) 전면에 본드와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30)의 전면 모서리부에는 상기 케이스(330)의 전면에서 장식부재(310)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편(331)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고정편(331)은 상기 케이스(330)의 전면에 부착된 장식부재(310)의 중심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장식부재(310)의 테두리 부위를 상기 케이스(330)의 전면측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30)의 측면 후방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편(350)이 삽입될 수 있는 장공(332)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편(350)에 의해 복수개의 케이스(330)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편(350)이 상기 몸체부(105)의 측면과 복수개의 돌기(110)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삽입되면, 상기 케이스(330)는 상기 복수개의 돌기(110) 사이에 형성된 수용부(130)로 삽입되어 상기 단턱부(107)의 윗면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30)가 상기 수용부(130)에 안착되면, 상기 충격흡수용 패드(500)를 상기 몸체부(105)와 결합하여, 상기 복수개의 돌기(110)와 케이스(330)의 상부를 차단한다.
그러면, 상기 케이스(330)가 상기 몸체부(105)의 측면부위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충격흡수용 패드(500)는 상기 몸체부(105) 및 단턱부(107)를 포함하는 구두 굽 본체(100)의 형상 및 면적과 대응되는 형상 및 면적을 갖는 것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편(350)을 케이스(330)에 형성된 장공(332)에 삽입하여 상기 와이어편(350)에 복수개의 케이스(330)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케이스(330)와 케이스(330) 사이에서 노출된 와이어편(350)을 상기 몸체부(105)와 복수개의 돌기(110)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삽입시킨다.
그 다음, 상기 와이어편(350)에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케이스(330)를 상기 복수개의 돌기(110)와 돌기(110) 사이에 형성된 수용부(130)에 각각 삽입시켜 상기 단턱부(107)의 윗면에 상기 케이스(330)를 안착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몸체부(105)에 형성된 암형 홈(105a)에 충격흡수용 패드(500)에 형성된 숫형 돌출부(500a)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하여 상기 몸체부(105)와 충격흡수용 패드(500)를 서로 결합한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두 굽 본체(100)의 측면부위에 장신구(300)가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구두 굽 본체 300 : 케이스
500 : 충격흡수용 패드

Claims (2)

  1. 복수개의 암형 홈(105a)이 윗면에 형성된 몸체부(105)와, 상기 몸체부(105)의 측면 하단에서 방사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단턱부(107)와, 상기 단턱부(107)의 윗면에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상향으로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돌기(110)를 포함하는 구두 굽 본체(100);
    상기 구두 굽 본체(100)의 단턱부(107)의 형성방향을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돌기(110)와 몸체부(105)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삽입되는 와이어편(350)과,
    상기 와이어편(350)이 삽입되는 장공(332)이 측면 후방에 형성되고 전면에는 장식부재(310)가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편(350)이 복수개의 돌기(110)와 상기 몸체부(105)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돌기(110)와 돌기(110) 사이에 형성된 수용부(130)에 삽입 안착되는 케이스(330)를 포함하는 장신구(300); 및
    상기 구두 굽 본체(100)의 몸체부(105)에 형성된 복수개의 암형 홈(105a)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숫형 돌출부(500a)가 저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05)의 윗면 및 복수개의 돌기(110)의 상단을 덮어 상기 장신구(300)가 상기 구두 굽 본체(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충격흡수용 패드(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가 구비된 구두 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300)의 케이스(330) 전면 모서리부에는, 상기 장식부재(310)가 상기 케이스(3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편(331)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가 구비된 구두 굽.
KR2020110006757U 2011-07-25 2011-07-25 장신구가 구비된 구두 굽 KR2004695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757U KR200469546Y1 (ko) 2011-07-25 2011-07-25 장신구가 구비된 구두 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757U KR200469546Y1 (ko) 2011-07-25 2011-07-25 장신구가 구비된 구두 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801U KR20130000801U (ko) 2013-02-04
KR200469546Y1 true KR200469546Y1 (ko) 2013-10-16

Family

ID=50737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757U KR200469546Y1 (ko) 2011-07-25 2011-07-25 장신구가 구비된 구두 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5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758Y1 (ko) 2018-02-20 2018-10-29 김현수 구두 뒷굽 보호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16123T3 (es) * 2016-10-05 2021-03-31 Menghi Shoes & Co S R L Calzado compuesto por una o más piedras decorativas fijadas en la parte superior y/o en la parte inferi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884U (ja) * 1994-12-26 1995-10-09 泰一 黒川 セラミックヒール
KR200254595Y1 (ko) 2001-07-18 2001-12-01 이태석 구두 밑창 측면 부위에 부착되는 금속공예장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884U (ja) * 1994-12-26 1995-10-09 泰一 黒川 セラミックヒール
KR200254595Y1 (ko) 2001-07-18 2001-12-01 이태석 구두 밑창 측면 부위에 부착되는 금속공예장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758Y1 (ko) 2018-02-20 2018-10-29 김현수 구두 뒷굽 보호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801U (ko) 201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84492S1 (en) Shoe outsole
USD586092S1 (en) Shoe outsole
USD569084S1 (en) Shoe outsole
USD538525S1 (en) Shoe
USD536861S1 (en) Portion of a shoe outsole
USD550942S1 (en) Shoe
US20170245572A1 (en) Cap for allowing decoration with assembly block or toy
US9408434B2 (en) Footwear
USD585187S1 (en) Shoe outsole
USD583137S1 (en) Footwear outsole
USD533333S1 (en) Portion of a shoe outsole
WO2010090616A3 (en) An attachment assembly for decorative shoe accessory
USD503528S1 (en) Portion of a shoe upper
US9603410B2 (en) Modular shoe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and method of attachment
KR200469546Y1 (ko) 장신구가 구비된 구두 굽
USD508162S1 (en) Portion of a shoe midsole
US20160088897A1 (en) Sole shoe wearable over boot
WO2017144872A1 (en) Shoe constructions
USD538015S1 (en) Portion of a shoe sole
USD522219S1 (en) Portion of a shoe sole
USD503270S1 (en) Portion of a shoe upper
USD503527S1 (en) Portion of a shoe upper
CN204259954U (zh) 一种可拆卸的鞋
USD488616S1 (en) Portion of a slipper
KR200469584Y1 (ko) 신발용 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