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868B1 - 교체 가능한 구두굽 - Google Patents

교체 가능한 구두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868B1
KR101487868B1 KR20130118760A KR20130118760A KR101487868B1 KR 101487868 B1 KR101487868 B1 KR 101487868B1 KR 20130118760 A KR20130118760 A KR 20130118760A KR 20130118760 A KR20130118760 A KR 20130118760A KR 101487868 B1 KR101487868 B1 KR 101487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el
protrusion
top lift
sho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8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희
Original Assignee
대구광역시 달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광역시 달서구 filed Critical 대구광역시 달서구
Priority to KR20130118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42Heels with replaceable or adjustable parts, e.g. top lift
    • A43B21/433Heels with replaceable or adjustable parts, e.g. top lift rotatably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39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by rib groove
    • A43B21/40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by rib groove by dovetail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체 가능한 구두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성 구두에 있어서 소모품인 톱리프트와 힐에 각각 홀과 핀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힐돌기 및 톱리프트돌기가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들은 회동끼움결합으로 고정되며, 반대로 회전하게되면 결합이 해지되고 분리되어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교체 가능한 구두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교체 가능한 구두굽은 여성용 구두의 뒷굽을 교체할 수 있는 교체 가능한 구두굽에 있어서, 구두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두창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힐; 상기 힐의 하부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진행방향으로 돌출된 막대형태의 하부핀; 상기 힐의 하부에 탈착되는 톱리프트; 및 상기 톱리프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핀에 대응하여 하부 방향으로 막대형태의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톱리프트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체 가능한 구두굽 {Replaceable heel shoes}
본 발명은 교체 가능한 구두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성 구두에 있어서 소모품인 톱리프트와 힐에 각각 홀과 핀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힐돌기 및 톱리프트돌기가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들은 회동끼움결합으로 고정되며, 반대로 회전하게되면 결합이 해지되고 분리되어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교체 가능한 구두굽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구두굽은 하단면의 중앙에 지지대 구멍이 형성된 구두굽 굽창에 형성된 지지대가 끼워지고 구두굽과 굽창의 반영구적인 결합을 위하여 접착제로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합방법에서 구두의 굽창이 손상되어 교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망치와 니퍼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무리한 힘으로 분리해야 하기 때문에 구두굽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손상된 굽창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구두를 구입한 곳이나 구두를 수선하는 수선점에 가야하므로 비용과 시간이 소모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6-0012346호에서는 먼저 구두굽 하단에 지주를 설치하고 액세서리가 달린 슬리브를 지주에 결합한 후 종래의 방식대로 굽창과 결합하는 여성용 조립식 구두굽을 제안하였으나, 이와 같은 결합 방법에서 액세서리가 달린 슬리브를 교환하고자 할 때, 굽창을 분해하기 위해 망치와 니퍼등의 도구가 사용되며, 지주를 설치하기 위하여 구두굽 자체를 교환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6-0012346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49004호에서는 구두굽 중심의 결합구멍과, 구두굽 하단면에 제1자석 결합부와, 상기 제1자석과 결합되는 자력강화부와 이 자력강화부를 수직으로 감싸 올라가는 슬리브와, 슬리브의 외주에 장착되어 있는 액세서리와 제1자석결합부 또는 자력 강화부와 자력으로 결합하는 제2자석결합부와 제2자석결합부 상단에 위치하여 구두굽 중심의 결합구멍과 결합하는 결합 지지대와 제2자석결합부가 결합되는 구두굽창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자석을 이용한 결합방법에서는 상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6-0012346호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해결하였으나, 자석의 자력에 의해 길거리에 있는 모래나 흙 등에 포함되어 있는 철가루등이 구두굽에 붙어 있게 될 수 있어서 구두굽이 자칫 더러워 보일 수 있으며, 철판내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바닥을 걸어 다닐 때 자칫 불편함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손쉽게 다 쓴 구두굽을 손수 교체할 수 있다는 교체 가능한 구두굽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디자인의 구두굽으로 교체할 수 있는 교체 가능한 구두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교체 가능한 구두굽은 여성용 구두의 뒷굽을 교체할 수 있는 교체 가능한 구두굽에 있어서, 구두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두창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힐; 상기 힐 하부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진행방향으로 돌출된 막대형태의 하부핀; 상기 힐의 하부에 착탈되는 톱리프트; 및 상기 톱리프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핀에 대응하여 하부 방향으로 막대형태의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톱리프트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부핀은 막대형태로 형성되되, 하단부는 단면이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톱리프트홀은 상기 하부핀의 하단부의 단면에 대응되어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핀이 닿는 바닥부분은 원통형의 빈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힐의 하단부 상단은 폐쇄되고 하단은 개구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힐의 하단부 하단은 개구된 부분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하부핀의 중심축을 향하여 내향하여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힐돌기; 상기 톱리프트는 다각형기둥 또는 원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톱리프트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톱리프트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원기둥형태의 톱리프트연장부; 및 상기 톱리프트연장부 상단 부분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제1힐돌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톱리프트홀의 중심축으로부터 외향하여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톱리프트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힐돌기와 톱리프트돌기는 서로 회동끼움결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힐돌기와 제1힐돌기 사이부분과 톱리프트돌기와 톱리프트돌기의 사이부분에 위치하는 다각형의 제1끼움고정체; 상기 힐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내부버튼; 및 상기 힐의 내부를 위치하며, 상기 제1내부버튼과 제1끼움고정체 사이를 연결하는 제1와이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두창 하부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진행방향으로 돌출된 막대형태의 상부핀; 및 상기 구두창 하부에 결합되는 상기 힐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핀에 대응하여 하부 방향으로 막대형태의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힐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부핀은 막대형태로 형성되되, 하단부는 단면이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힐홀은 상기 상부핀 하단부의 단면에 대응되어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핀이 닿는 바닥부분은 원통형의 빈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두창의 하단부 상단은 패쇄되고 하단은 개구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두창의 하단부 하단은 개구된 부분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상부핀의 중심축을 향하여 내향하여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구두창돌기; 상기 힐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힐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원기둥형태의 힐연장부; 및 상기 힐연장부 상단 부분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구두창돌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힐홀의 중심축으로부터 외향하여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제2힐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힐돌기와 구두창돌기는 서로 회동끼움결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힐돌기와 제2힐돌기 사이부분과 구두창돌기와 구두창돌기의 사이부분에 위치하는 다각형의 제2끼움고정체; 상기 제1내부버튼 위쪽에 위치하는 제2내부버튼; 및 상기 힐의 내부를 위치하며, 상기 제2내부버튼과 제2끼움고정체 사이를 연결하는 제2와이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쉽게 다 쓴 구두굽을 손수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여러 가지 디자인의 구두굽으로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구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구두굽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구두굽의 하부핀과 톱리프트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구두굽의 제1힐돌기와 톱리프트돌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구두굽의 제1힐돌기와 톱리프트돌기 및 하부핀과 톱리트프홀의 결합된 일부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구두굽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구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구두굽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구두굽의 하부핀과 톱리프트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구두굽의 제1힐돌기와 톱리프트돌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구두굽의 제1힐돌기와 톱리프트돌기 및 하부핀과 톱리트프홀의 결합된 일부 모습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구두굽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체 가능한 구두굽은 여성용 구두(100)의 뒷굽을 교체할 수 있는 교체 가능한 구두굽에 있어서, 구두(100)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두창(110)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힐(120); 상기 힐(120) 하부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진행방향으로 돌출된 막대형태의 하부핀(121); 상기 힐(120)의 하부에 착탈되는 톱리프트(130); 및 상기 톱리프트(top lift)(13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핀(121)에 대응하여 하부 방향으로 막대형태의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톱리프트홀(13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부핀(121)은 막대형태로 형성되되, 하단부는 단면이 다각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톱리프트홀(131)은 상기 하부핀(121)의 하단부의 단면에 대응하여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핀(121)이 닿는 바닥부분은 원통형의 빈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인 상기 구두(100)에 있어서, 상기 구두(100)를 오래 신고 다니게 되면 뒷굽에 해당하는 상기 톱리프트(130)가 닳게 되어 교체해주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체 가능한 구두굽은 누구나 용이하게 교체를 할 수 있도록 상기 톱리프트(130)가 상기 힐(120)에 탈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톱리프트(130)는 상기 힐(120)의 하부에 탈착이 되도록 구성되기 위하여 상기 힐(120)의 하부면에는 막대형태의 상기 하부핀(1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톱리프트(130)는 상부면에는 상기 하부핀(121)에 대응되도록 막대형태의 상기 톱리프트홀(1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핀(121)과 톱리프트홀(131)이 끼움결합으로 결합을 하면서 상기 힐(120)과 톱리프트(130)가 탈착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이 조금 더 단단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하부핀(121)의 단면은 다각형으로 구성을 하며,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톱리프트홀(131)의 단면 역시 다각형으로 구성된다. 여기에 추가로 상기 하부핀(121)이 닿는 상기 톱리프트홀(131)의 바닥부분은 원통형의 빈 공간부를 형성하여서 상기 하부핀(121)의 하부면이 상기 톱리프트홀(131)의 바닥부분에 닿았을 때, 상기 톱리프트(130)를 회전시켜 상기 힐(120)과 톱리프트(130)가 결합이 쉽게 해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힐(120)과 톱리프트(130)의 결합을 더욱 더 견고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힐(120)의 하단부 상단은 폐쇄되고 하단은 개구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힐(120)의 하단부 하단은 개구된 부분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하부핀(121)의 중심축을 향하여 내향하여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힐돌기(122); 상기 톱리프트(130)는 다각형기둥 또는 원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톱리프트(130) 상단부에는 상기 톱리프트홀(131)을 포함한 상기 톱리프트(13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원기둥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톱리프트홀(131)을 포함하는 원기둥의 상단 부분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제1힐돌기(122)에 대응하도록 상기 톱리프트홀(131)의 중심축으로부터 외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톱리프트돌기(1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힐돌기(122)는 상기 하부핀(121)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힐(12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핀(121)의 중심축을 향하여 내향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톱리프트(130)의 상단면에는 상기 톱리프트홀(13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기둥형태인 톱리프트연장부(133), 상기 톱리프트연장부(133)의 상단 둘레를 따라서 상기 톱리프트홀(131)의 중심축으로부터 외향 돌출형성되는 상기 톱리프트돌기(1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힐돌기(122)와 톱리프트돌기(132)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이에는 빈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빈공간을 통하여 상기 제1힐돌기(122)는 상기 톱리프트돌기(132) 안쪽으로, 상기 톱리프트돌기(132)는 상기 제1힐돌기(122)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으며, 서로가 안쪽으로 위치한 후 회전하여 상기 제1힐돌기(122)와 톱리프트돌기(132)가 마찰하면서 결합하게 된다.
여기에 안정장치로 상기 제1힐돌기(122)와 톱리프트돌기(132)의 회동끼움결합이 사용간에 해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힐돌기(122)와 톱리프트돌기(132)가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제1힐돌기(122)의 각각의 사이에 형성되는 빈공간 부분과 상기 톱리프트돌기(132)의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빈공간 부분이 일치하게 되는데 일치된 두 빈공간에 끼워지는 제1끼움고정체(1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끼움고정체(125)는 상기 두 빈공간에 끼워져 상기 제1힐돌기(122)와 상기 톱리프트돌기(132)가 결합된 후 회전이 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힐돌기(122)와 톱리프트돌기(132)들에 형성되어 있는 빈공간은 다수개가 있다. 이중에 하나에만 끼워져 고정시키면 되며, 굳이 모든 빈공간에 끼워져 고정시킬 필요는 없다.
상기 제1끼움고정체(125)는 상기 제1힐돌기(122)와 톱리프트돌기(132)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빈공간 사이를 상하로 이동하면서 끼워졌다 빠져나오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그렇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제1내부버튼(123)과 제1와이어(124)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상기 제1내부버튼(123)은 상기 힐(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힐(120)의 내부로 들어갔다 나오는 왕복운동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와이어(124)는 상기 힐(120)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내부버튼(123)과 제1끼움고정체(125)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내부버튼(123)을 손으로 눌러 상기 힐(120) 내부로 들어가게 될 경우, 상기 제1내부버튼(123)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와이어(124)가 상기 제1내부버튼(123)의 이동거리만큼 상기 제1와이어(124)가 따라 움직이게 되며, 상기 제1와이어(124) 타측에 연결된 상기 제1끼움고정체(125)는 상기 제1와이어(124)가 이동한 만큼 위쪽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제1힐돌기(122)와 톱리프트돌기(132)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빈공간 사이에서 빠져 나오게 된다. 반대로 눌렀던 상기 제1내부버튼(123)을 놓으면, 반대로 작용하여 상기 제1내부버튼(123)은 상기 힐(120)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다시 나오게 되며, 상기 제1내부버튼(123)에 연결된 제1와이어(124)가 반대로 되돌아가게 되고, 상기 제1끼움고정체(125)는 다시 상기 제1힐돌기(122)와 톱리프트돌기(132)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빈공간 사이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내부버튼(123)은 상기 힐(120) 외면중에서 외부에 바로 노출이 되지 않도록 안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구두굽은 총 3가지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상기 하부핀(121)과 상기 톱리프트홀(131)과의 끼움결합, 둘째, 상기 제1힐돌기(122)와 상기 톱리프트돌기(132)의 회동끼움결합, 섯째, 상기 제1힐돌기(122)와 상기 톱리프트돌기(132)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빈공간에 끼워지는 상기 제1끼움고정체(125)로 고정하는 결합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3가지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상기 힐(120)에 결합된 상기 톱리프트(130)를 역순으로 하여 분리하며, 새로운 톱리프트(130)를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위의 방법을 응용하여서 상기 구두창(110)과 힐(120)의 결합도 생각해 볼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핀(121)과 동일하게 상기 구두창(110) 하부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진행방향으로 돌출된 막대형태의 상부핀(126)을 형성하고, 상기 톱리프트홀(131)과 동일하게 상기 구두창(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기 힐(12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핀(126)에 대응하여 하부 방향으로 막대형태의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힐홀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상부핀(126)은 막대형태로 형성되되, 상단부는 단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힐홀은 상기 상부핀(126)의 하단부의 단면에 대응되어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핀(126)이 닿는 바닥부분은 원통형의 빈공간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두창(110)의 하단부 상단은 패쇄되고 하단은 개구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두창(110)의 하단부 하단 개구된 부분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상부핀(126)의 중심축을 향하여 내향하여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구두창돌기; 상기 힐(120)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힐(1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원기둥형태의 힐연장부; 및 상기 힐연장부 상단 부분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구두창돌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힐홀의 중심축으로부터 외향하여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제2힐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힐돌기와 구두창돌기는 서로 회동끼움결합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2힐돌기와 제2힐돌기 사이부분과 상기 구두창돌기와 구두창돌기의 사이부분에 위치하는 제2끼움고정체(129); 상기 힐(120)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내부버튼(127);및 상기 힐(120)의 내부를 위치하며, 상기 제2내부버튼(127)과 제2끼움고정체(129) 사이를 연결하는 제2와이어(12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내부버튼(127)은 상기 제1내부버튼(123)과 동일하게 상기 힐(120) 안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과 분리방법은 상기 힐(120)과 톱리프트(130)때와 동일하다.
상기 힐(120)과 톱리프트(130)의 탈착과 달리 상기 힐(120)과 구두창(110)의 착탈의 경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디자인의 힐을 선택하여 상기 구두(100)의 포인트를 줄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치환 등에 의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구두
110 - 구두창
120 - 힐
121 - 하부핀
122 - 제1힐돌기
123 - 제1내부버튼
124 - 제1와이어
125 - 제1끼움고정체
126 - 상부핀
127 - 제2내부버튼
128 - 제2와이어
129 - 제2끼움고정체
130 - 톱리프트
131 - 톱리프트홀
132 - 톱리프트돌기
133 - 톱리프트연장부

Claims (12)

  1. 여성용 구두의 뒷굽을 교체할 수 있는 교체 가능한 구두굽에 있어서,
    구두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두창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힐;
    상기 힐 하부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진행방향으로 돌출된 막대형태의 하부핀;
    상기 힐의 하부에 착탈되는 톱리프트;
    상기 톱리프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핀에 대응하여 하부 방향으로 막대형태의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톱리프트홀;
    상기 힐의 하단부 상단은 폐쇄되고 하단은 개구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힐의 하단부 하단은 개구된 부분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하부핀의 중심축을 향하여 내향하여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힐돌기;
    상기 톱리프트는 다각형기둥 또는 원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톱리프트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톱리프트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원기둥형태의 톱리프트연장부; 및
    상기 톱리프트연장부 상단 부분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제1힐돌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톱리프트홀의 중심축으로부터 외향하여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톱리프트돌기;로 구성되되,
    상기 제1힐돌기와 제1힐돌기 사이부분과 톱리프트돌기와 톱리프트돌기의 사이부분에 위치하는 제1끼움고정체;
    상기 힐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내부버튼; 및
    상기 힐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내부버튼과 제1끼움고정체 사이를 연결하는 제1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구두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핀은 막대형태로 형성되되, 하단부는 단면이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구두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톱리프트홀은 상기 하부핀의 하단부의 단면에 대응되어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핀이 닿는 바닥부분은 원통형의 빈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구두굽.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힐돌기와 톱리프트돌기는 서로 회동끼움결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구두굽.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두창 하부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진행방향으로 돌출된 막대형태의 상부핀; 및
    상기 구두창 하부에 결합되는 상기 힐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핀에 대응하여 하부 방향으로 막대형태의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힐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구두굽.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핀은 막대형태로 형성되되, 하단부는 단면이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구두굽.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힐홀은 상기 상부핀 하단부의 단면에 대응되어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핀이 닿는 바닥부분은 원통형의 빈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구두굽.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두창의 하단부 상단은 패쇄되고 하단은 개구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두창의 하단부 하단은 개구된 부분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상부핀의 중심축을 향하여 내향하여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구두창돌기;
    상기 힐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힐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원기둥형태의 힐연장부; 및
    상기 힐연장부 상단 부분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구두창돌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힐홀의 중심축으로부터 외향하여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제2힐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구두굽.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힐돌기와 구두창돌기는 서로 회동끼움결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구두굽.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힐돌기와 제2힐돌기 사이부분과 구두창돌기와 구두창돌기의 사이부분에 위치하는 다각형의 제2끼움고정체;
    상기 제1내부버튼 위쪽에 위치하는 제2내부버튼; 및
    상기 힐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내부버튼과 제2끼움고정체 사이를 연결하는 제2와이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구두굽.
KR20130118760A 2013-10-04 2013-10-04 교체 가능한 구두굽 KR101487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8760A KR101487868B1 (ko) 2013-10-04 2013-10-04 교체 가능한 구두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8760A KR101487868B1 (ko) 2013-10-04 2013-10-04 교체 가능한 구두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868B1 true KR101487868B1 (ko) 2015-01-29

Family

ID=52593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8760A KR101487868B1 (ko) 2013-10-04 2013-10-04 교체 가능한 구두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8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758Y1 (ko) 2018-02-20 2018-10-29 김현수 구두 뒷굽 보호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9503U (ko) * 1989-05-22 1990-12-20
KR930000125U (ko) * 1991-06-05 1993-01-20 박희득 구두굽
KR200243223Y1 (ko) * 2001-05-09 2001-10-15 조광식 교체 가능한 구두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9503U (ko) * 1989-05-22 1990-12-20
KR930000125U (ko) * 1991-06-05 1993-01-20 박희득 구두굽
KR200243223Y1 (ko) * 2001-05-09 2001-10-15 조광식 교체 가능한 구두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758Y1 (ko) 2018-02-20 2018-10-29 김현수 구두 뒷굽 보호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9420C2 (ru) Обувь с регулируемым по высоте высоким каблуком
US3514879A (en) Heel having interchangeable support portion
JP6893178B2 (ja) クロスカントリー用の交換可能なプレートシステム
KR101487868B1 (ko) 교체 가능한 구두굽
US20170347751A1 (en) Interchangable shoe heel
JP2018514294A5 (ko)
KR101086636B1 (ko) 보조구두굽 및 제조방법
KR20110008815A (ko) 착탈 교체가 용이한 뒤축이 구비된 이중충격흡수용 신발
US3182409A (en) Shoe heel with a detachable wear lift
JP6848042B2 (ja) 緩衝器を有するノルディックウォーキングポール
KR20180132383A (ko) 교체형 구두굽
KR100849004B1 (ko) 자석을 이용한 조립식 구두굽
CN205695990U (zh) 一种扭力型可换跟式高跟鞋
KR101873016B1 (ko) 교체 가능한 보조굽
KR200489236Y1 (ko) 신발용 악세서리
ITTV20100126A1 (it) Dispositivo per la sostituzione del tacco rimovibile dotato di dispositivi d'impegno tiranti in una calzatura con tacco rimovibile
KR200452015Y1 (ko) 굽 교체가 용이한 하이힐
US2879610A (en) Heel for shoes
US2301327A (en) Heel fastener
CN205728388U (zh) 一种鞋
CN205337820U (zh) 一种可换鞋底的鞋
CN204032490U (zh) 一种新型人字拖鞋
CN216019461U (zh) 一种鞋跟可更换且连接牢固的鞋
KR200299662Y1 (ko) 구두의 굽갈이 장치
KR980006317U (ko) 조립형 신발의 겉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