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965Y1 - 단자 캡 - Google Patents

단자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965Y1
KR200486965Y1 KR2020170002261U KR20170002261U KR200486965Y1 KR 200486965 Y1 KR200486965 Y1 KR 200486965Y1 KR 2020170002261 U KR2020170002261 U KR 2020170002261U KR 20170002261 U KR20170002261 U KR 20170002261U KR 200486965 Y1 KR200486965 Y1 KR 2004869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engaging
shielding
shiel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2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성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22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9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9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9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자 캡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단자 캡(1)은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단자를 차폐하는 것이다. 단자 캡(1)의 외관과 골격을 캡몸체(10)가 형성하는데, 상기 캡몸체(10)의 일측에는 캡체결홈(16)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캡체결홈(16)의 바닥에는 체결구(18)가 관통하는 체결통공(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구(18)를 외부와 차폐하기 위해서 차폐구(30)가 있다. 상기 차폐구(30)에는 걸이레그(42)가 있어 상기 캡체결홈(16)의 일측 내면을 관통하는 걸이통공(22)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차폐구(30)의 차폐판(43)은 상기 캡체결홈(16)의 입구를 막는데 캡체결홈(16)의 입구 내면과의 사이에서 사람의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틈새를 가진다. 상기 차폐판(43)과 캡체결홈(16)의 결합을 위한 걸림턱(26)과 결합턱(40)은 돌출된 걸림부(24)와 상기 걸림부(24)와 마주보는 결합편(38)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캡몸체(10)를 체결하는 도체인 체결구(18)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체결구(18)를 차폐하는 차폐구(30)가 반드시 공구를 사용하여야 만 캡몸체(10)에서 분리할 수 있어 임의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단자 캡{Terminal cap}
본 고안은 단자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단자를 차폐하는 단자 캡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블럭 등에서는 전원 또는 부하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들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노출되어 있는 단자에는 전원 또는 부하와 연결되는 전선의 말단에 있는 링단자와 같이 것이 결합된다.
전기 자동차가 상용화되면서 자동차용 블럭에서 사용되는 단자들도 고전압을 사용하게 되었고, 이와 같은 단자들은 평상시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자동차용 블럭 등에서 고전압 단자를 평상시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절연성 물질로 만들어진 단자 캡을 사용한다. 상기 단자 캡은 상기 고전압 단자를 차폐하여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주변의 물체 또는 작업자가 고전압 단자에 접촉하게 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단자 캡을 사용하여 고전압 단자를 차폐하고 있지만, 단자 캡이 외력에 의해 또는 작업자나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제거되어 고전압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고전압 단자가 너무 쉽게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되면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단자가 단자 캡에 의해 차폐되도록 하는 경우 단자 캡이 작업자나 사용자에 의해 너무 쉽게 제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단자를 차폐하는 단자 캡 주변에 도체가 노출되어 있는 경우, 이 도체로 고전압이 전달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단자 캡의 주변에 도체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9-17689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단자를 차폐하는 단자 캡에서 도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자 캡을 고정하는 체결구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공구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단자를 차폐하는 단자 캡에 있어서, 상기 단자를 차폐하도록 상판과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하부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측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자가 설치된 쪽에 체결되는 체결구가 위치하는 캡체결홈을 구비하는 캡몸체와, 상기 캡체결홈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구를 포함하고, 상기 캡몸체와 차폐구의 체결을 위해 걸림턱이 있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결합턱이 있는 결합편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데, 상기 걸림부와 결합편이 서로 마주보게 상기 캡몸체의 표면과 차폐구의 표면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걸림부와 결합편의 사이에는 사람의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는 틈새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결합편 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은 상기 걸림부가 돌출된 만큼 후퇴되어 형성되어 상기 결합편이 있는 만입부 내에 상기 걸림부가 위치된다.
삭제
삭제
상기 캡몸체의 표면과 상기 차폐구의 표면은 같은 높이로 된다.
상기 차폐구는 상기 캡체결홈의 입구를 막는 차폐판과 상기 차폐판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로 연장된 차폐측판과 상기 차폐판의 저면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캡체결홈의 일측에 형성된 걸이통공을 관통하는 걸이레그를 포함한다.
상기 캡체결홈의 입구 내측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차폐측판이 안착되는 안착단이 형성된다.
상기 캡체결홈의 입구 내측과 상기 차폐측판의 사이에는 스페이서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캡체결홈의 내면과 차폐구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한다.
상기 걸이레그는 차폐구가 캡몸체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캡몸체의 상판에 대해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경사부와 상기 상판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경사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경사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1경사부의 폭방향 양단을 따라 나란히 연장되는 가이드펜스가 형성되어 상기 걸이통공의 내면에 밀착된다.
상기 걸이레그의 자유단부에는 화살표 형상으로 걸이가 형성되어 상기 걸이통공에 걸어진다.
상기 걸이레그는 상기 차폐판의 저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차폐측판의 일부를 제거한 위치로 연장된다.
본 고안에 의한 단자 캡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캡몸체를 블럭몸체에 체결하는 체결구가 차폐구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되므로, 단자 캡 주변에 도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캡몸체를 블럭몸체에 체결하는 체결구가 있는 캡체결공을 차폐구를 사용하여 차폐하는데, 상기 차폐구와 캡체결공의 가장자리 사이의 틈이 작업자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없도록 되어 있어 상기 차폐구에 있는 결합편을 작업자나 사용자가 별도의 공구없이 조작할 수 없도록 하였다. 따라서 단자 캡의 분리가 상대적으로 어렵게 되어 단자 캡에 의해 차폐되는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단자에 대한 차폐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단자 캡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례를 구성하는 차폐구를 보인 저면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 실시례의 단자 캡(1)의 외관과 골격을 캡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캡몸체(10)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절연성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상기 캡몸체(10)가 만들어진다. 상기 캡몸체(10)는 상판(1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측벽(14)이 하부로 연장되어 내부에 하부로 개방되는 공간이 만들어진다.
상기 상판(12)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으로 되는 것이다. 상기 상판(12)의 형상은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단자가 배치되는 형태에 따라 만들어진다. 상기 상판(1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하부로 소정 길이 연장된 측벽(14)에는 상기 단자에 연결된 와이어가 외부로 연장되는 부분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부분들은 상기 측벽(14)이 일부 없거나 측벽(14)의 연장 길이를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캡몸체(10)의 상판(12) 일측에는 캡체결홈(16)이 만들어진다. 상기 캡체결홈(16)은 상기 상판(12)에 홈형상으로 오목하게 만들어진다. 상기 캡체결홈(16)의 바닥에는 체결통공(17)이 형성되어 상기 캡몸체(1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 쪽과 연통된다. 상기 체결통공(17)은 상기 캡몸체(10)를 예를 들면 블럭몸체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18)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통공(17)에는 별도의 금속부싱(도면부호 부여않음)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캡체결홈(16)의 입구 내측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안착단(20)이 있다. 상기 안착단(20)은 상기 캡체결홈(16)의 입구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차폐구(30)의 차폐측판(34)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캡체결홈(16)의 내면 일측을 관통하여서 걸이통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통공(22)은 상기 캡몸체(1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과 상기 캡체결홈(16)이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상기 걸이통공(2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차폐구(30)의 걸이레그(42)가 관통한다. 상기 걸이통공(22)의 양측, 즉 상기 캡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쪽의 양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레그(42) 선단의 걸이(48)가 걸어진다.
상기 캡체결홈(16)의 내면 타측에는 걸림부(2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4)는 상기 캡체결홈(16)의 입구를 평면도로 볼 때, 다른 부분에 비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4)의 하단에는 걸림턱(26)이 있다. 상기 걸림턱(26)은 아래에서 설명될 차폐구(30)의 결합턱(40)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참고로 상기 걸림부(24)는 반드시 상기 캡체결홈(16)의 입구 내면에서 돌출될 필요는 없다. 상기 걸림부(24)가 상기 캡체결홈(16)의 입구의 다른 부분과 같은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캡체결홈(16)의 입구에서 상기 걸림부(24)가 돌출되어 형성됨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될 차폐구(30)의 설치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걸림부(24)가 차폐구(30)의 만입부(36)에 위치되어 차폐구(30)가 캡체결홈(16)의 입구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캡체결홈(16)의 입구 내면을 둘러서는 스페이서돌기(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돌기(28)는 캡체결홈(16)의 입구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돌기(28)는 다수개가 있다. 상기 스페이서돌기(28)는 아래에서 설명될 차폐구(30)의 차폐측판(34)에 밀착되어 차폐구(3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차폐구(30)는 상기 캡체결홈(16)을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폐구(30)가 상기 캡체결홈(16)을 막아줌에 의해 상기 체결구(18)로 작업자나 사용자가 등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차폐구(30)에는 차폐판(32)이 있어서 상기 캡체결홈(16)의 입구를 막게 된다. 상기 차폐판(32)은 상기 캡체결홈(16)의 입구 단면 형상과 동일한 판상이다. 상기 차폐판(3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차폐측판(34)이 있다. 상기 차폐측판(34)은 상기 안착단(20)에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차폐측판(34)이 상기 안착단(20)에 안착됨에 의해 상기 차폐판(32)의 상면은 상기 캡몸체(10)의 상판(12)과 같은 높이로 된다. 물론, 상기 차폐판(32)의 상면이 상기 상판(12)과 반드시 동일한 높이로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조금 높거나 조금 낮을 수도 있다.
상기 차폐판(32)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만입부(36)가 있다. 상기 만입부(36)는 상기 걸림부(24)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다. 상기 만입부(36)의 일측을 따라 결합편(38)이 하부로 연장된다. 상기 결합편(38)은 상기 차폐측판(34)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결합편(38)의 선단에는 상기 걸림턱(26)에 걸어지는 결합턱(40)이 있다. 상기 결합턱(40)이 상기 걸림턱(26)에 걸어짐에 의해 상기 차폐구(30)가 상기 캡몸체(10)의 캡체결홈(16)에 체결되어 있게 된다.
상기 차폐구(30)에는 걸이레그(42)가 있다. 상기 걸이레그(42)는 상기 차폐구(30)의 차폐판(32) 저면에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걸이레그(42)가 상기 차폐판(32)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차폐측벽(34)의 일부를 제거한 위치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이레그(42)가 연장되면서 상기 걸이통공(22)의 적어도 내면 상단에 밀착되면 상기 차폐판(32)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안착단(22)에 상기 차폐측판(34)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레그(42)가 상기 걸이통공(22)의 내면 상단에 밀착됨에 의해 상기 차폐판(32)이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걸이레그(42)는 그 연장되는 각도가 달리 형성된 제1경사부(44)와 제2경사부(46)가 있다. 상기 제1경사부(44)는 상기 차폐판(32)에 연결된 것으로 제2경사부(46)보다 급격한 하향 경사를 가진다. 상기 제1경사부(44)의 하면 폭방향 양단에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펜스(4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펜스(45)가 형성됨에 의해 상기 제1경사부(44)가 상기 걸이통공(22)에 있을 때, 보다 넓은 면적에서 걸이통공(22)의 내면과 밀착되어 차폐구(30)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걸이레그(42)의 제1경사부(44)는 상기 차폐구(30)가 캡체결홈(16)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상판(12)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연장되고 상기 제2경사부(46)는 상기 상판(12)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차폐구(30)를 상기 캡체결홈(16)에서 분리하고 외부로 당기게 되면, 상기 제2경사부(46)가 상기 걸이통공(22)을 관통한 상태로 있게 되고, 제1경사부(44)의 경사에 의해 상기 차폐판(32)은 상기 캡체결홈(16)에서 멀리 떨어지도록 된다.
상기 차폐구(30)의 걸이레그(42)에는 걸이(48)가 있다. 상기 걸이(48)는 상기 걸이통공(22)의 캡몸체(10) 내부의 공간쪽 양측면에 걸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걸이통공(22) 양측에 걸이(48)가 걸어짐에 의해 상기 차폐구(30)가 상기 캡몸체(10)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걸이(48)는 상기 차폐구(30)의 차폐판(32)이 상기 캡체결홈(16)의 입구에 있을 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들어가 위치해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단자 캡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단자 캡(1)은, 예를 들면 자동차용 블럭의 블럭몸체 일측에 체결된다. 즉, 상기 체결구(18)가 상기 체결공(17)을 관통하여 블럭몸체에 체결됨에 의해 상기 단자 캡(1)은 블럭몸체에 있는 단자를 외부와 차폐하게 된다. 상기 단자에는 외부의 전원이나 부하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와이어에 있는 예를 들면 링터미널이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캡몸체(10)의 측벽(14)에 형성된 부분을 통해서 와이어는 상기 캡몸체(10)의 내부와 외부 사이로 연장된다.
상기 체결구(18)를 사용하여 상기 캡몸체(10)를 블럭몸체에 체결한 후에는 상기 캡체결홈(16)의 입구를 상기 차폐구(30)로 막게 된다. 상기 차폐구(30)는 제조시에 상기 캡몸체(10)와는 별도로 만들어진다. 상기 차폐구(30)의 걸이레그(42)가 상기 캡체결홈(16)의 일측 벽면에 형성된 걸이통공(22)을 관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이레그(42)의 선단에 있는 상기 걸이(48)가 상기 걸이통공(22)을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걸이(48)는 화살표 형상으로 되어 있어 양단이 탄성변형할 수 있다. 상기 걸이(48)가 탄성변형되거나 상기 걸이통공(22)을 대각선방향으로 가로질러 걸이통공(22)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차폐구(30)가 상기 캡몸체(1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이레그(42)가 상기 걸이통공(22)을 관통하여 있게 되면, 상기 차폐구(30)가 상기 캡몸체(10)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차폐구(30)의 차폐판(32)쪽을 잡아 당기더라도 상기 걸이(48)가 걸이통공(22)의 양단에 걸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체결구(18)를 사용하여 상기 캡몸체(10)를 블럭몸체에 체결한 후에는 상기 차폐구(30)의 차폐판(32)이 상기 캡체결홈(16)의 입구를 막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차폐구(30)의 차폐측판(34)이 상기 안착단(20)에 안착되도록 하면서 상기 결합편(38)의 결합턱(40)이 상기 걸림부(24)의 걸림턱(26)에 걸어지도록 한다. 상기 결합편(38)은 상기 결합턱(40)이 상기 걸림부(24)를 따라 안내되면서 탄성변형되었다가 상기 결합턱(40)이 상기 걸림턱(26)에 걸어짐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차폐구(30)의 만입부(36)에 상기 걸림부(24)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24)가 차폐구(30)가 상기 캡체결홈(16) 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해, 상기 캡체결홈(16)의 내면에 있는 스페이서돌기(28)가 상기 차폐구(30)의 차폐측판(34)에 밀착되어 상기 캡체결홈(16) 내에서 상기 차폐구(30)가 임의로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상기 캡체결홈(16)의 입구 내측과 상기 차폐구(30)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매우 좁은 틈새만이 형성된다. 상기 틈새는 사람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없을 정도의 틈새이다. 상기 틈새로는 선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일자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만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폐구(30)를 상기 캡몸체(10)의 캡체결홈(16)에서 분리해 내기 위해서는 공구를 사용해야만 가능하다. 이는 상기 만입부(36)에 상기 걸림부(24)가 위치해 있어 상기 결합편(38)의 일측 표면과 상기 걸림부(24)의 전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되면서, 상기 결합턱(40)과 걸림턱(26)이 결합된 부분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성상 상기 결합턱(40)과 걸림턱(26) 사이의 체결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공구가 필요하다. 특히 상기 차폐구(30)의 차폐판(32) 표면과 상기 캡몸체(10)의 상판(12) 표면은 거의 같은 높이로 되어 외부에서 상기 차폐구(30) 측에 힘을 가하기 어려운 구조이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한편, 상기 차폐구(30)를 상기 캡체결홈(16)으로부터 분리해 내기 위해서는 공구를 상기 만입부(36)와 상기 걸림부(24) 사이로 삽입하여, 상기 결합편(38) 선단의 결합턱(40)이 상기 걸림부(24)의 걸림턱(26)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결합편(38)을 들어올려 차폐구(30)가 상기 캡체결홈(16)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한다.
상기 차폐구(30)의 차폐판(32)이 상기 캡체결홈(16)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면 상기 걸이레그(42)가 상기 걸이통공(22)을 통해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 걸이레그(42)가 상기 걸이통공(22)을 통해 어느 정도 빠져나오면 상기 걸이(48)가 상기 걸이통공(22)의 양단에 걸어지게 되고, 더 이상 차폐구(30)가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18)를 분리하는 작업을 하고, 상기 체결구(18)가 블럭몸체에서 풀어지면 상기 캡몸체(10)가 블럭몸체에서 분리되고 블럭몸체에 있는 고전압용 단자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고안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차폐구(30)와 캡몸체(10)의 체결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38)이 차폐구(30)에 있고, 걸림부(24)가 캡몸체(10)에 있으나, 이들이 서로 반대의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걸이레그(42)의 자유단부에 걸이(48)가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걸이레그(42)가 상기 걸이통공(22)에 약간 압입되는 정도의 크기이고 걸이레그(42)의 길이가 충분히 길다면 상기 걸이(48)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걸이레그(42)의 길이가 충분히 길다면, 상기 차폐판(32)이 상기 캡체결홈(16)에서 충분히 벗어날 정도로 걸이레그(42)를 빼내더라도 차폐구(30)가 여전히 캡몸체(10)에 연결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스페이서돌기(28)는 상기 캡체결홈(16)의 입구 측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차폐측판(34)에 형성될 수도 있다.
1: 단자 캡 10: 캡몸체
12: 상판 14: 측벽
16: 캡체결홈 17: 체결통공
18: 체결구 20: 안착단
22: 걸이통공 24: 걸림부
26: 걸림턱 28: 스페이서돌기
30: 차폐구 32: 차폐판
34: 차폐측판 36: 만입부
38: 결합편 40: 결합턱
42: 걸이레그 44: 제1경사부
45: 가이드펜스 46: 제2경사무
48: 걸이

Claims (10)

  1.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단자를 차폐하는 단자 캡에 있어서,
    상기 단자를 차폐하도록 상판과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하부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측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자가 설치된 쪽에 체결되는 체결구가 위치하는 캡체결홈을 구비하는 캡몸체와,
    상기 캡체결홈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구를 포함하고,
    상기 캡몸체와 차폐구의 체결을 위해 걸림턱이 있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결합턱이 있는 결합편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데, 상기 걸림부와 결합편이 서로 마주보게 상기 캡몸체의 표면과 차폐구의 표면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걸림부와 결합편의 사이에는 사람의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는 틈새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결합편 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은 상기 걸림부가 돌출된 만큼 후퇴되어 형성되어 상기 결합편이 있는 만입부 내에 상기 걸림부가 위치되는 단자 캡.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몸체의 표면과 상기 차폐구의 표면은 같은 높이로 되는 단자 캡.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구는 상기 캡체결홈의 입구를 막는 차폐판과 상기 차폐판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로 연장된 차폐측판과 상기 차폐판의 저면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캡체결홈의 일측에 형성된 걸이통공을 관통하는 걸이레그를 포함하는 단자 캡.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캡체결홈의 입구 내측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차폐측판이 안착되는 안착단이 형성되는 단자 캡.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캡체결홈의 입구 내측과 상기 차폐측판의 사이에는 스페이서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캡체결홈의 내면과 차폐구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하는 단자 캡.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레그는 차폐구가 캡몸체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캡몸체의 상판에 대해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경사부와 상기 상판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경사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경사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1경사부의 폭방향 양단을 따라 나란히 연장되는 가이드펜스가 형성되어 상기 걸이통공의 내면에 밀착되는 단자 캡.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레그의 자유단부에는 화살표 형상으로 걸이가 형성되어 상기 걸이통공에 걸어지는 단자 캡.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레그는 상기 차폐판의 저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차폐측판의 일부를 제거한 위치로 연장되는 단자 캡.
KR2020170002261U 2017-05-08 2017-05-08 단자 캡 KR2004869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261U KR200486965Y1 (ko) 2017-05-08 2017-05-08 단자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261U KR200486965Y1 (ko) 2017-05-08 2017-05-08 단자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965Y1 true KR200486965Y1 (ko) 2018-07-18

Family

ID=6304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261U KR200486965Y1 (ko) 2017-05-08 2017-05-08 단자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965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6492A (ja) * 1997-12-08 1999-07-02 Yazaki Corp 端子用保護キャップ
JP2001257016A (ja) * 2000-03-09 2001-09-21 Sumitomo Wiring Syst Ltd ブースタケーブルの誤接続防止構造
JP2009017689A (ja) 2007-07-05 2009-01-22 East Japan Railway Co 鳥害防止用防護管、操作棒、鳥害防止用防護管の装着方法及び離脱方法
JP2009043685A (ja) * 2007-08-10 2009-02-26 Toyota Industries Corp 外部端子接続部用キャップ
KR20120015820A (ko) * 2010-08-13 2012-02-22 (주)브이이엔에스 고전압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6492A (ja) * 1997-12-08 1999-07-02 Yazaki Corp 端子用保護キャップ
JP2001257016A (ja) * 2000-03-09 2001-09-21 Sumitomo Wiring Syst Ltd ブースタケーブルの誤接続防止構造
JP2009017689A (ja) 2007-07-05 2009-01-22 East Japan Railway Co 鳥害防止用防護管、操作棒、鳥害防止用防護管の装着方法及び離脱方法
JP2009043685A (ja) * 2007-08-10 2009-02-26 Toyota Industries Corp 外部端子接続部用キャップ
KR20120015820A (ko) * 2010-08-13 2012-02-22 (주)브이이엔에스 고전압용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2166B2 (ja) 防水コネクタ
US10833456B2 (en) Shield terminal
US9199105B1 (en) Safety hook
US9543702B2 (en) Connector
JP6020930B2 (ja) パネル取付型コネクタ
US10153464B2 (en) Battery cover
US9198316B2 (en) Electrical wire jacketing configuration
JP6061147B2 (ja) パネル取付型コネクタ
KR102607870B1 (ko) 고전압 커넥터 및 그의 체결 방법
JP2021034236A (ja) コネクタ
JP2014116119A (ja) アース端子固定構造
KR200486965Y1 (ko) 단자 캡
JP6346780B2 (ja) 電気接続箱
KR20170073140A (ko) 충전커넥터용 잠금장치
JP6521066B2 (ja) コネクタ
KR20180010934A (ko)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JP2014123466A (ja) コネクタ
KR20120120810A (ko)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KR102429481B1 (ko) 커넥터
US11394186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KR20210084146A (ko) 커넥터 조립체
US9923304B2 (en) Contact preventer for an electrical conductor and assembly for connecting two electrical conductors
KR101658014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376333B1 (ko) 커넥터
KR20080108822A (ko) 커넥터용 더미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