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781Y1 - 니들 폐기처리부를 내장한 펜 타입 주사기 덮개 - Google Patents

니들 폐기처리부를 내장한 펜 타입 주사기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781Y1
KR200486781Y1 KR2020150008474U KR20150008474U KR200486781Y1 KR 200486781 Y1 KR200486781 Y1 KR 200486781Y1 KR 2020150008474 U KR2020150008474 U KR 2020150008474U KR 20150008474 U KR20150008474 U KR 20150008474U KR 200486781 Y1 KR200486781 Y1 KR 200486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hub
cylindrical body
syringe
colla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386U (ko
Inventor
박원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덱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덱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덱셀
Priority to KR2020150008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781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3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3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7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13Caps placed axially onto the needle, e.g. equipped with finger protection gu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2005/3206Needle or needle hub disconnecting devices forming part of or being attached to the hub or syring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78Apparatus for destroying used needles or syringes
    • A61M2005/3284Deformaton of needle by deflection or ben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이 끝난, 니들(주사 바늘)이 장착된 주사기에서, 니들을 구부리고, 구부려진 니들을 장착한 허브를 주사기로부터 분리, 배출시키는 니들 폐기처리부를 내장한 펜 타입 주사기 덮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덮개몸통 하우징부의 상단에 위치되며, 2개의 원통형 몸체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칼라 하우징부를 구비하며, 칼라 하우징부의 중앙에 있는 통공 안에 니들 압착부와 결합된 밀대부가 삽입되어 있으며, 칼라 하우징부의 상부에서 2개의 원통형 몸체의 사이에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는, 니들 폐기처리부를 내장한 펜 타입 주사기 덮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펜 타입 주사기 덮개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덮개몸통 하우징부; 일측이 덮개몸통 하우징부의 내에 삽입되며, 다른 일측은 덮개몸통 하우징부의 상단에 위치되며, 내측에 칼라 하우징부 통공을 구비하는, 칼라 하우징부; 칼라 하우징부 통공에 삽입되며, 상단이 밀대 누름판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밀대부;칼라 하우징부 통공에 삽입되며, 일측에 니들 압착면을 가진 허브 상단 삽입홈을 구비하며, 다른 일측은 밀대부와 연결되는, 니들 압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니들 폐기처리부를 내장한 펜 타입 주사기 덮개{Pen-type syringes cover having needle waste disposal unit}
본 고안은, 사용이 끝난, 니들(주사 바늘)이 장착된 주사기에서, 니들을 구부리고, 구부려진 니들을 장착한 허브를 주사기로부터 분리, 배출시키는 니들 폐기처리부를 내장한 펜 타입 주사기 덮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덮개몸통 하우징부의 상단에 위치되며, 2개의 원통형 몸체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칼라 하우징부를 구비하며, 칼라 하우징부의 중앙에 있는 통공 안에 니들 압착부와 결합된 밀대부가 삽입되어 있으며, 칼라 하우징부의 상부에서 2개의 원통형 몸체의 사이에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는, 니들 폐기처리부를 내장한 펜 타입 주사기 덮개에 관한 것이다.
펜 타입 주사기는 인슐린 투여 등 정기적인 정량의 약제의 투여가 필요한 경우에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펜 타입 주사기는 당뇨병 환자와 같이, 스스로 자주 주사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해 주로 만들어졌다. 펜 타입 주사기는 수회에서 수십 회 주사가 가능한 약재가 수용되어 있으며, 누름에 의하여 일정량의 약제가 인체로 주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펜 타입 주사기는 감염 등의 위험으로 인하여 사용시마다 일회용 니들을 구비한 허브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허브는 중앙에 니들이 장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니들은, 도 1에서와 같이, 니들(200)이 장착된 허브(100), 소캡(250), 대캡(100), 멸균지 마감재(2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 니들(200)이 장착된 허브(100), 소캡(250), 대캡(100), 멸균지 마감재(290)로 구성된 시판되는 니들을 니들 세트라 한다. 여기서 소캡(250)은 팁캡이라고도 하며, 대캡(100)은 허브 커버용 캡이라고 할 수 있다.
사용전 니들 세트에는, 허브(200)의 중앙에 있는 니들(200) 위에 소캡(250)이 덮어져 있으며, 그 위에 대캡(270)이 장착되어 있으며, 허브(100)의 저면에는 멸균지 마감재(290)가 부착되어 있다. 사용시에는 멸균지 마감재(290)를 제거하고, 대캡(270) 및 소캡(250)이 씌워져 있는, 니들(200)이 장착된 허브(100)를 펜 타입 주사기에 장착한 후, 대캡(270) 및 소캡(250)을 제거하고, 주사를 행한다. 일반적으로, 니들의 사용이 끝난 후에는, 니들 위에 다시 소캡(250) 또는 대캡(270)을 장착한 후, 주사기로부터 허브를 분리하여 버린다.
펜 타입 주사기에 사용되는 니들은 다른 일반적인 의료용 주사기의 니들에 비하여 두께가 매우 얇고 상당히 예리하며 길이 또한 매우 짧다는 특성을 지닌다.
펜 타입 주사기에 허브를 장착할 때에는, 펜 타입 주사기 상부의 주사기 나사부와, 허브 내측의 허브 나사부를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때, 이들 두 나사부의 최초 접촉점부터 통상 시계도는 방향(우회전 방향)(이하 '시계 방향'이라 함)으로 2~3회 회전시켜, 나사 결합에 의해 펜 타입 주사기에 허브가 장착된다. 니들을 구비한 허브가 펜 타입 주사기에 장착되면, 니들을 인체나 동물의 표피에 삽입하여 정해진 주사 약제만큼 주사한다. 주사가 끝나면, 펜 타입 주사기와 허브를 분리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펜 타입 주사기에 허브를 장착할 때와 반대로, 통상, 시계도는 방향과 반대방향(좌회전 방향)(이하 '반시계 방향'이라 함)으로 2~3회 회전시켜 나사 풀림 방식으로 분리한다.
니들이 장착된 허브를 사용한 이후, 펜 타입 주사기와 허브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소캡을 니들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니들에 찔리거나, 소캡을 니들에 씌우지 아니하고 바로 분리를 시도하는 경우에 허브를 돌려서 나사 풀림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부주의로 인해 니들에 찔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한번 사용 됨으로써 오염된 니들이 장착된 허브를 분리한 이후에도 의료용 폐기물을 안전하게 폐기처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1회성 소모품인, 니들을 장착한 허브를 재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 후 폐기되는 일회용 니들이 장착된 허브를 별도로 보관하는 니들 폐기 보관용기 또는 별도의 허브 분리기구들은 많이 개발되어 왔으나, 이러한 폐기보관용기 또는 허브 분리기구는 소비자가 추가적으로 비용을 들여 구입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으며, 이들을 개별적으로 별도 관리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어 왔다.
따라서 소형이고 간편하며 휴대가 용이하며, 보다 안전하고 쉽게 주사기로부터 니들이 장착된 허브를 분리하고 배출할 수 있는 도구가 요망된다.
선행기술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9-019498호의 주사바늘의 폐기처리구가 있다. 이 폐기처리구는 보호통체의 내측 바닥에 경질의 변형 수단을 구비하며, 주사바늘을 이 폐기처리구에 밀어 넣음에 의해, 주사바늘이 변형 수단에 부딪쳐 구부러지게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9-019498호의 경우, 주사바늘의 폐기처리구를 별도로 구매하거나 별도로 휴대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주사바늘의 폐기처리구를 다수회 사용가능하다면, 구부려진 주사바늘을 폐기처리구로부터 배출할때에 부주위에 의해 찔릴 위험이 있으며, 만약 폐기처리구가 일회용일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그 경비가 부담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펜 타입 주사기와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는 덮개가 폐기처리구의 역할을 하며, 상기 덮개의 내부공간에 기 사용된 허브가 삽입되면, 삽입 압력에 의하여 니들이 구부려지게 되며, 나사 풀림 방식으로 주사기와 허브를 회전시켜 분리하고 원 터치 압력방식으로 덮개 내부로부터, 덮개 밖으로 허브를 배출시키는 펜 타입 주사기의 덮개를 제안한다.
본 고안자들은 선행연구를 통해 국내 등록특허 제10-1547444호의 펜 타입 주사기의 덮개를 보유하고 있다.
도 2는 국내 등록특허 제10-1547444호의 대표도로, 니들(200)을 압착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의 덮개(300)에서, 밀대부(314)의 하부에 니들 압착부(380)가 연설되어 일체형을 이루고 있다. 컵형 허브 삽입부(337)의 내측에 니들 압착부(380)가 위치되며, 컵형 허브 삽입부(337)의 상부 통공(328)을 통해 밀대부(314)가 움직이며, 밀대부(314)에는 스프링 지지턱(327)이 있다. 덮개몸통 하우징부(370) 상단과 스프링 지지턱(327)의 사이에 있는 밀대부(314)에 스프링(330)이 끼워진다. 덮개몸통 하우징부(370)의 상단 통공(371)을 통해 밖으로 돌출되며, 이렇게 밖으로 돌출된 밀대부(314)에 밀대 누름판부(310)가 장착된다. 컵형 허브 삽입부(337)는, 허브(100)의 허브 하부 몸통부(140)의 외벽에 있는 막대모양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허브 하부몸통 돌기(141)가 삽입할 수 있는 다수개의 홈(338)을 구비할 수 있다. 컵형 허브 삽입부(337)는 대컵(270)과 같은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컵형 허브 삽입부(337)의 하단은 하단 돌출부를 구비하며, 하단 돌출부는 덮개몸통 하우징부(370)의 중간부에 위치되는 중간부 홈(205)과 결합한다.
도 2의 덮개(300)는 덮개몸통 하우징부(370)의 내측에 컵형 허브 삽입부(337)가 내장되어 니들을 압착하여 구겨진 후, 배출이 잘 안될 경우 등에 있어서, 니들 폐기처리부의 점검 및 AS가 어렵다. 예를들어, 주사기본체를 덮개(300)로부터 분리하고, 구겨진 니들을 구비한 허브를 배출하고자 할 경우, 배출이 잘 안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러한 경우에 내측에 들어 있는 컵형 허브 삽입부(337)를 살피느라고 잘못하여 찔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허브 삽입부를 구비한 수단이 덮개몸통 하우징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보다 손쉽고 안전하게 사용 및 덮개 상태의 확인을 할 수 있는 니들 폐기처리부를 내장한 펜 타입 주사기 덮개가 요망된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부공간에 기 사용된 허브가 삽입되면, 삽입 압력에 의하여 니들이 구부려지게 되며, 나사 풀림 방식으로 주사기와 허브를 회전시켜 분리하고 원 터치 압력방식으로 덮개 내부로부터, 덮개 밖으로 허브를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 니들 폐기처리부를 내장한 펜 타입 주사기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허브 삽입부를 구비한 수단이 덮개몸통 하우징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보다 손쉽고 안전하게 사용 및 덮개 상태의 확인을 할 수 있는 니들 폐기처리부를 내장한 펜 타입 주사기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덮개몸통 하우징부의 상단에 위치되며, 2개의 원통형 몸체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칼라 하우징부를 구비하며, 칼라 하우징부의 중앙에 있는 통공 안에 니들 압착부와 결합된 밀대부가 삽입되어 있으며, 칼라 하우징부의 상부에서 2개의 원통형 몸체의 사이에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는, 니들 폐기처리부를 내장한 펜 타입 주사기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칼라 하우징부의 통공은 상부의 내측반경과 하부의 내측반경이 단차를 이루는 내측 단차면을 구비하여, 내측 단차면이 니들 압착부의 상부 이동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진, 니들 폐기처리부를 내장한 펜 타입 주사기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밀대 누름판부의 하부에 밀대부가 구비되며, 밀대부의 하부에는 밀대부 통공을 구비하며, 니들 압착부의 일측에는 니들 압착면을 가진 허브 상단 삽입홈을 구비하고 니들 압착부의 다른 일측에는 고리형 결합부를 구비하여, 고리형 결합부가 밀대부에 삽입되어 고리형 결합부의 고리부가 밀대부 통공을 통해 밖으로 나오도록 함에 의해, 니들 압착부와 밀대부를 결합시키는, 니들 폐기처리부를 내장한 펜 타입 주사기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펜 타입 주사기 덮개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덮개몸통 하우징부; 일측이 덮개몸통 하우징부의 내에 삽입되며, 다른 일측은 덮개몸통 하우징부의 상단에 위치되며, 내측에 칼라 하우징부 통공을 구비하는, 칼라 하우징부; 칼라 하우징부 통공에 삽입되며, 상단이 밀대 누름판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밀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펜 타입 주사기 덮개는 칼라 하우징부 통공에 삽입되며, 일측에 니들 압착면을 가진 허브 상단 삽입홈을 구비하며, 다른 일측은 밀대부와 연결되는, 니들 압착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펜 타입 주사기 덮개는 덮개몸통 하우징부의 밖에 위치되며, 하단이 밀대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구부려진 니들을 가진 허브를 배출시 눌러지는 밀대 누름판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니들 압착부에 니들이 삽입되거나, 밀대 누름판부가 눌러지면, 니들 압착부와 결합된 밀대부가, 칼라 하우징부 통공 안에서, 움직이도록 이루어진다.
칼라 하우징부의 통공은 상부의 내측반경과 하부의 내측반경이 단차를 이룬다.
니들 압착부의 다른 일측에는 고리형 결합부를 구비하며, 밀대부의 하부에 밀대부 통공을 구비하며, 고리형 결합부가 밀대부에 삽입되고 고리형 결합부의 고리부가 밀대부 통공을 통해 밖으로 튀어나옴에 의해, 니들 압착부와 밀대부를 결합시켜진다.
밀대부의 둘레에는 스프링이 끼워져 있다.
칼라 하우징부는, 2개의 원통형 몸체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되, 외측에 위치한 원통형 몸체인 제1 원통형 몸체와, 내측에 위치한 원통형 몸체인 제2 원통형 몸체는, 원통형 몸체 연결판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제2 원통형 몸체는 제1 원통형 몸체보다 반경 및 높이가 작다.
칼라 하우징부의 상부에서, 제1 원통형 몸체와 제2 원통형 몸체의 사이에,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다.
칼라 하우징부는 제1 원통형 몸체는 상단의 테두리를 따라 링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된 칼라 하우징 테두리를 가진다.
고리형 결합부는 4개이다.
기 사용된 니들이 삽입된 허브를 장착하고 있는 주사기 본체가 덮개몸통 하우징부의 내로 밀어 넣어지되, 니들이 니들 압착면에 압착되도록 밀어 넣어지면, 허브 상단 삽입홈은 허브의 니들 고정용 몸통부가 삽입되게 되며, 니들이 구부러지도록 이루어진다.
니들 압착면은 돌기를 구비하여 요철면을 형성하고 있다.
허브 상단 삽입홈에 허브의 니들 고정용 몸통부가 삽입되어 있는 주사기 본체를 회전시켜, 주사기 본체만이 제거되고, 허브 상단 삽입홈에 니들 고정용 몸통부가 삽입되어 있는 허브를 제거하기 위해, 밀대 누름판이 눌려진 경우, 밀대 누름판의 이동에 따라, 밀대부도 이동하면서, 허브 상단 삽입홈으로부터 허브의 니들 고정용 몸통부가 떨어짐에 따라 허브가 덮개로부터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내측 단차면은 니들 압착부의 상부 이동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진다.
밀대 누름판부는 이중 원주벽을 가진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은 평평한 원형판으로 이루어진 누름판을 구비하며, 누름판의 외측 원주 둘레를 따라 벽을 형성한 누름판 측벽을 구비하며, 누름판 측벽의 내측에는 단차를 이루는 측벽 내측 단차면을 구비한다.
스프링이 누름판 측벽의 내측에 삽입되되, 스프링의 상면은 측벽 내측 단차면에 접촉된다.
스프링이 측벽 내측 단차면과 원통형 몸체 연결판의 사이에 위치되어, 측벽 내측 단차면과 원통형 몸체 연결판에 의해 스프링 탄성력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진 다.
본 고안의 니들 폐기처리부를 내장한 펜 타입 주사기 덮개는 내부공간에 기 사용된 허브가 삽입되면, 삽입 압력에 의하여 니들이 구부려지게 되며, 나사 풀림 방식으로 주사기와 허브를 회전시켜 분리하고 원 터치 압력방식으로 덮개 내부로부터, 덮개 밖으로 허브를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져, 휴대가 용이하고, 주사기로부터 기 사용된 니들이 장착된 허브를 손쉽고 안전하게 분리, 배출할 수 있으며, 부주의에 의해 피부접촉 및 찔림 등에 의한 2차 감염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덮개몸통 하우징부의 상단에 위치되며, 2개의 원통형 몸체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칼라 하우징부를 구비하며, 칼라 하우징부의 중앙에 있는 통공 안에 니들 압착부와 결합된 밀대부가 삽입되어 있으며, 칼라 하우징부의 상부에서 2개의 원통형 몸체의 사이에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어, 허브 삽입부를 구비한 칼라 하우징부가 덮개몸통 하우징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보다 손쉽고 안전하게 사용 및 덮개 상태의 확인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칼라 하우징부의 통공은 상부의 내측반경과 하부의 내측반경이 단차를 이루는 내측 단차면을 구비하여, 내측 단차면이 니들 압착부의 상부 이동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져, 안정되게 니들 압착부의 니들 압착면에 니들을 압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밀대 누름판부의 하부에 밀대부가 구비되며, 밀대부의 하부에는 밀대부 통공을 구비하며, 니들 압착부의 일측에는 니들 압착면을 가진 허브 상단 삽입홈을 구비하고 니들 압착부의 다른 일측에는 고리형 결합부를 구비하여, 고리형 결합부가 밀대부에 삽입되어 고리형 결합부의 고리부가 밀대부 통공을 통해 밖으로 나오도록 함에 의해, 니들 압착부와 밀대부를 결합시킴에 의해, 간단한 구조와 조립이 쉽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1은 니들 세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선행기술인 국내 등록특허 제10-1547444호의 대표도이다.
도 3은 펜 타입 주사기 세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3의 허브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허브에 니들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3의 허브의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펜주사기의 덮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밀대 누름판부(310)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밀대 누름판부(310)의 단면도이다.
도 10는 도 7의 칼라 하우징부(340)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칼라 하우징부(340)의 파 단면도이다.
도 12은 도 7의 칼라 하우징부(340)의 단면도(B-B)이다.
도 13은 도 7의 덮개몸통 하우징부(370)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7의 니들 압착부(380)의 사시도이다.
도 15은 도 7의 니들 압착부(380)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7의 덮개(300)의 단면도이다.
도 17는 도 16의 덮개(300)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덮개(300)에 니들이 삽입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덮개(300)에서 니들이 압착된 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는 도 16의 덮개(300)에서 구브러진 니들을 장착한 허브를 제외한 주사기 본체를 제거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16의 덮개(300)에서 압착된 니들을 배출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니들 폐기처리부를 내장한 펜 타입 주사기 덮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펜 타입 주사기 세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펜 타입 주사기 세트는 주사기 본체(50), 니들(200)이 장착된 허브(100), 소캡(250), 대캡(270), 덮개(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주사기 본체(50)는 일반적으로 항균성이 보장되는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제작되며 수회에서 수 십회 사용분량의 주사액을 일정량씩 투입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남은 주사액의 량을 알 수 있도록 투명창에 눈금이 그려져 있는 눈금부(53)를 구비하고 있으며, 주사기 본체(50)의 하단에는 주사약제 투입용 누름판(51)이 구비되고, 주사기 본체(50)의 허브(100)상단에는 니들(200)이 장착된 허브(100)를 장착하는 허브 장착부(54)가 있다. 허브 장착부(54)에는 나사산이 나선형태를 이루며 수나사 역할을 하는 주사기 나사부(55)가 구비되어 있으며, 주사기 나사부(55)는 허브(100)의 내측에 구비된 허브 나사부(150)와 결합되어, 주사기 본체(50) 상단부에 니들(200)을 구비한 허브(100)가 체결된다.
도 3에서 주사기 본체(50)는 눈금부를 구비한 펜주사기의 본체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로써 본 고안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주사기 본체(50)는 여러가지 형태의 펜주사기의 본체일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허브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허브에 니들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도 3의 허브의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허브에서 니들 고정용 몸통부(120)가 보이도록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허브에서 허브 나사부(150)가 보이도록 나타낸 사시도이다.
허브(100)는 허브 하부 몸통부(140)의 상단(130) 중앙에 니들 고정용 몸통부(120)가 위치되며, 니들 고정용 몸통부(120)의 외측에는 니들고정용 몸통돌기(121)를 구비하며, 니들고정용 몸통돌기(121)는 소캡(250)의 허브 대응부(251)에 삽입되며, 제1링형 소캡볼록부(254)에 접촉되어 제1링형 소캡볼록부(254)에 의해 지지된다. 허브 하부 몸통부(140)와 니들 고정용 몸통부(120)는 단차를 이룬다. 니들 고정용 몸통부(120)의 상단 중앙에는 니들(200)을 삽입하기 위한 니들 삽입 통공(110)이 구비된다. 니들 삽입 통공(110)의 입구부는, 깔대기와 같이, 점차적으로 반경이 줄어드는 형태로, 입구부의 주변이 사선형태를 이루어, 주사바늘의 삽입시에 주사바늘이 입구부의 주변의 사선형태에 따라 미끄려져, 상기 통공에 잘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허브 하부 몸통부(140)의 내측에는 나사산이 나선형태를 이루며 암나사 역할을 하는 허브 나사부(150)가 구비되어, 주사기 나사부(55)와 결합된다. 니들(200)을 장착한 허브(100)에서, 니들 고정용 몸통부(120) 및 니들(200)은 소캡(250)으로 덮여져 있다. 이렇게 소캡(250)이 장착된 허브(100)의 위에 대캡(270)이 장착된다.
허브 하부 몸통부(140)의 외벽에는 막대모양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허브 하부몸통 돌기(141)와, 허브(100)2개의 허브 하부몸통 돌기(141)의 사이에 형성된 다수개의 허브몸통 홈(142)을 구비한다. 허브 하부몸통 돌기(141)는 12개일 수 있다. 허브 하부몸통 돌기(141)는 대캡(270)의 내측 하부에 있는 대캡 내측 홈(274) 에 삽입되되, 대캡 내측 홈(274)들 중에는 내측에 대캡 홈내 돌기(275)가 있는 것이 있어, 대캡(270)이 허브(100)와 결합시, 보다 더 조여주는 역할을 하며, 대캡 홈내 돌기(275)가 허브(100)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며, 허브(100)를 동시에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니들(200)은, 도 4에서와 같이, 허브(103) 중심부에 있는 니들 삽입 통공(110)에 관통되도록 삽입되며, 일반적으로 삽입 통공(110)과 니들(200)의 사이의 틈은 UV본드로 마감 처리하여 니들(200)이 니들 고정용 몸통부(120)에 고정장착되게 한다. 니들(200)은 니들 삽입 통공(110)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들어나 있는 니들 부분을 앞 니들(210)이라 구분할 수 있으며, 허브(100) 내부에 배치되게 되는 니들 부분은 뒷 니들(220)로 구분할 수 있다. 인체나 동물에 삽입되는 매우 얇고 예리한 앞 니들(210)의 첨단은 통상적으로 3회 연마 또는 5회 연마 처리되어 지며 통상적으로 허브(100)뒷 니들(220)은 1회 연마로 처리되어진다. 뒷 니들(220)의 길이는 허브(100)의 하단부를 넘지않는 길이를 가지며, 앞 니들(210)은 사용자의 피부두께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니들(200)의 평균 두께는 약 0.3±0.1 mm 정도가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주사기 본체(50)의 상부에 씌워져 있는 덮개(300)를 분리하고 주사기 본체(50)의 상단의 주사기 나사부(55)에 허브(100)의 허브 나사부(150)를 결합시키되, 허브 나사부(150)를 2~3회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사기 나사부(55)와 나사결합하게 하며, 이렇게 하여 주사기 본체(50)에 허브(100)를 장착한다. 그 후에 대캡(270) 및 소캡(250)을 제거하고, 니들(200)을 인체나 동물의 피부에 찌른 다음, 주사약제 투입용 누름판(51)을 눌러 주사하되, 정해진 주사 약제만큼 주입하도록 눈금부(53)를 통해 주입량 확인하면서 약제를 주사한다.
도 7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펜주사기의 덮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의 덮개(300)는 밀대 누름판부(310), 스프링(330), 칼라(collar) 하우징부(340), 덮개몸통 하우징부(370), 니들 압착부(3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칼라 하우징부(340)의 중앙부에 있는 제2 원통형 몸체(350)의 상부(351)에 밀대 누름판부(310)가 장착되고 제2 원통형 몸체(350)의 하부(352)에 니들 압착부(380)가 장착된다. 이때, 밀대 누름판부(310)의 밀대부(314)의 일단은 제2 원통형 몸체의 통공(357)을 통해 삽입된 니들 압착부(380)의 고리형 결합부(387)과 결합되며, 스프링(330)은 제2 원통형 몸체의 상부(351)와 칼라 하우징 테두리(341)의 사이의 홈인, 칼라 하우징 외측홈(353)에 삽입된다. 이렇게, 밀대 누름판부(310)와 니들 압착부(380)가 삽입된 칼라 하우징부(340)는 덮개몸통 하우징부(370)의 상단(374)과 결합하고, 덮개몸통 하우징부(370)의 하단(377)은 주사기 본체(50)의 주사기본체 턱부(57)와 결합된다. 여기서, 주사기본체 턱부(57)는 주사기 본체(50)의 중간부분에 위치되는 턱으로, 덮개(300)의 내측에 있는 하우징 홈부(378)와 결합한다.
도 8은 도 7의 밀대 누름판부(310)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밀대 누름판부(310)의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밀대 누름판부(310)의 상단부를 볼 수 있는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밀대 누름판부(310)의 하단부를 볼 수 있는 사시도이다.
밀대 누름판부(310)는 이중 원주벽을 가진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은 평평한 원형판으로 이루어진 누름판(311)을 구비하며, 누름판(311)의 외측 원주 둘레를 따라 벽을 형성한 누름판 측벽(312)이 있다. 밀대 누름판부(310)의 중앙부에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밀대부(314)가 있으며, 밀대부(314)의 하부에 다수개의 밀대부 통공(315)를 구비한다. 밀대부 통공(315)은 4개 일 수 있으며, 밀대부 통공(315)에는 니들 압착부(380)의 고리형 결합부(387)의 고리부(389)가 삽입되어, 밀대 누름판부(310)와 니들 압착부(380)를 결합하게 한다. 누름판 측벽(312)의 내측에는 단차를 이루는 측벽 내측 단차면(317)을 구비한다. 측벽 내측 단차면(317)은 스프링(330)의 상면과 접촉된다. 즉, 스프링(300)은 누름판 측벽(312)의 내측에 삽입되되, 스프링(330)의 상면은 측벽 내측 단차면(317)에 접촉되며, 결과적으로 스프링(330)은 측벽 내측 단차면(317)과 원통형 몸체 연결판(342)의 사이에 위치되어, 측벽 내측 단차면(317)과 원통형 몸체 연결판(342)에 의해 그 탄성력이 제한된다.
밀대 누름판부(310)는 칼라 하우징부(340)의 상부에 삽입되되, 누름판 측벽(312)의 하부는 칼라 하우징 외측홈(353)에 삽입되고, 밀대부(314)는 제2 원통형 몸체의 통공(357)에 삽입된다. 밀대부(314)의 하부에 니들 압착부(380)의 고리형 결합부(387)가 삽입되어, 밀대부 통공(315)과 고리형 결합부(387)의 고리부(389)가 결합된다.
도 10는 도 7의 칼라 하우징부(340)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7의 칼라 하우징부(340)의 파 단면도이고, 도 12은 도 7의 칼라 하우징부(340)의 단면도(B-B)이다.
칼라 하우징부(340)는 외측에 위치한 원통형 몸체인 제1 원통형 몸체(344)와, 내측에 위치한 원통형 몸체인 제2 원통형 몸체(350)를 구비하며, 제1 원통형 몸체(344)와 제2 원통형 몸체(350)는 원통형 몸체 연결판(34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2 원통형 몸체(350)는 제1 원통형 몸체(344)보다 반경 및 길이(높이)가 작다.
제1 원통형 몸체(344)는 상단의 테두리를 따라 링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된 칼라 하우징 테두리(341)를 가진다. 제1 원통형 몸체(344)의 일측에 클립용 막대(345)가 설치되어 있다. 칼라 하우징 테두리(341)와 제2 원통형 몸체의 상부(351)의 사이의 홈은 칼라 하우징 외측홈(353)이며, 칼라 하우징 외측홈(353)에 스프링(330)이 삽입된다.
원통형 몸체 연결판(342)은 링형태의 수평 판으로, 제1 원통형 몸체(344)와 제2 원통형 몸체(350)를 연결한다. 원통형 몸체 연결판(342)은 칼라 하우징 외측홈(353)의 저면이다.
제2 원통형 몸체(350)는 제2 원통형 몸체의 내측 단차면(358)을 기준으로 제2 원통형 몸체의 상부(351)와 제2 원통형 몸체의 하부(352)로 나뉘며, 제2 원통형 몸체의 상부(351)의 반경은 제2 원통형 몸체의 하부(352)의 반경보다 작다. 제2 원통형 몸체의 통공(357)에는 밀대부(314)와 니들 압착부(380)가 삽입된다. 즉, 제2 원통형 몸체의 상부(351)의 내측에는 밀대부(314)와 니들 압착부(380)의 고리형 결합부(387)가 결합한 것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제2 원통형 몸체의 하부(352)에는 니들 압착부(380)가 삽입되어 있다. 제2 원통형 몸체의 상부(351)의 반경은 제2 원통형 몸체의 하부(352)의 반경보다 작으므로, 즉, 제2 원통형 몸체의 내측 단차면(358)에 의해, 니들 압착부(380)가 제2 원통형 몸체의 상부(351)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제2 원통형 몸체의 하부(352)는 니들을 장착한 허브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허브 삽입부라 할 수 있다.
니들(200)이 제2 원통형 몸체의 하부(352)에 있는 니들 압착부(380)에 삽입되어 압착하기 위한 힘이 가하여 질 때, 잘못되어 제2 원통형 몸체의 하부(352)의 외측벽과 제1 원통형 몸체(344)의 내측벽이 부딪칠 경우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게 하기 위해, 제2 원통형 몸체의 하부(352)의 외측에는 링형태로 돌출된 제2 원통형 몸체 돌출부(354)를 구비한다.
도 13은 도 7의 덮개몸통 하우징부(370)의 사시도이다.
덮개몸통 하우징부(37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덮개몸통 하우징부(370)의 상단(374)의 일측에는 상단 홈(375)을 구비한다. 상단 홈(375)에는 클립용 막대(345), 보다 상세하게는 칼라 하우징 테두리(341)와 클립용 막대(345)의 연결부가 삽입되기 위한 홈이다.
덮개몸통 하우징부(370)의 하단(377)의 내측에는 하우징 홈부(378)을 구비한다. 하우징 홈부(378)는 주사기 본체(50)에 있는 주사기본체 턱부(57)와 결합된다. 즉, 휴대 등을 할때, 주사기 본체(50)와 덮개(300)를 결합시키는 데, 이때 하우징 홈부(378)와 주사기본체 턱부(57)는 결합되어 있다.
도 14는 도 7의 니들 압착부(380)의 사시도이고, 도 15은 도 7의 니들 압착부(380)의 단면도이다.
도 14의 (a)는 니들 압착부(380)의 상단부를 볼 수 있는 사시도이고, 도 14의 (b)는 니들 압착부(380)의 하단부를 볼 수 있는 사시도이다.
니들 압착부(380)의 하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니들 압착부 벽(381)과 니들 압착면(384)으로 이루어진 허브 상단 삽입홈(382)를 구비한다. 허브 상단 삽입홈(382)은 원통형 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허브 상단 삽입홈(382)에는 허브(100)의 니들 고정용 몸통부(120)와 니들(200)이 삽입된다. 경우에 따라서 니들 압착면(384)에는 작은 돌기들을 가진 요철면(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니들 압착면(384)의 외측에는 압착면 하부 막대부(388)과 고리부(389)로 이루어진 4개의 고리형 결합부(387)가 서로 이격되어 장착되어 있다. 고리부(389)는 압착면 하부 막대부(388)의 끝에 장착되어 있다. 4개의 고리형 결합부(387)는 합쳐져서 원형을 이룬다. 4개의 고리형 결합부(387)는 밀대부(314)에 삽입되되, 밀대부 통공(315)에 고리부(389)가 도출되도록 하여, 밀대부(314)와 고리형 결합부(387)과 결합한다.
도 16은 도 7의 덮개(300)의 단면도이고, 도 17는 도 16의 덮개(300)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18은 도 16의 덮개(300)에 니들이 삽입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19는 도 16의 덮개(300)에서 니들이 압착된 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20는 도 16의 덮개(300)에서 구브러진 니들을 장착한 허브를 제외한 주사기 본체를 제거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21은 도 16의 덮개(300)에서 압착된 니들을 배출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밀대 누름판부(310)의 밀대부(314)가, 니들 압착부(380)의 고리형 결합부(387)와 결합되며, 이와 같이 결합된 것이, 제2 원통형 몸체(350)의 상부(351)에 위치된다. 스프링(330)은 제2 원통형 몸체의 상부(351)와 칼라 하우징 테두리(341)의 사이의 홈인, 칼라 하우징 외측홈(353)에 삽입된다.
제2 원통형 몸체(350)의 하부(351)에 위치된 니들 압착부(380)의 허브 상단 삽입홈(382)에 니들(200)이 삽입된다. 즉, 도 18에서와 같이 기 사용된 니들(200)이 장착된 주사기 본체(50)가 덮개(300)내로 삽입된다.
주사기 본체(50)를 덮개(300) 내로 삽입하되, 니들(200)이 허브 상단 삽입홈(382), 즉, 니들 압착면(384)을 향하도록 삽입하여, 주사기 본체(50)를 회전하여 주사기본체 턱부(57)와 하우징 홈부(378)를 결합시키게 되면, 결과적으로 니들(200)은 허브 상단 삽입홈(382)의 니들 압착면(384)을 향해 압력을 가하면서 삽입되게 된다.
그렇게 하면 도 19에서와 같이 니들(200)은 압력에 의해 구부러져, 허브(100)의 니들 고정용 몸통부(120)가 허브 상단 삽입홈(382)내에 삽입된다. 이렇게 니들 고정용 몸통부(120)가 허브 상단 삽입홈(382)내에 삽입되면, 더 이상 힘을 가해도 주사기 본체(50)는 앞으로 전진하지 않는다. 니들 압착면(384)은 요철면이므로 니들은 구부러진채로 니들 압착면(384)에 고정되어 있다.
그 다음에, 주사기 본체(50)를 덮개(300) 내에 삽입시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주사기 본체(50)를 돌리면, 도 20에서와 같이, 허브(100)의 니들 고정용 몸통부(120)가 허브 상단 삽입홈(382)내에 물려있고, 주사기 본체(50)만을 덮개(300)로부터 분리한다.
그 다음에, 도 21에서와 같이, 덮개(300)의 상단에 있는 밀대 누름판부(310)를 눌러, 구브려진 니들(200)을 가진 허브(100)를 덮개(300)로부터 배출시킨다. 밀대 누름판부(310)을 누르게 되면, 스프링(330)은 축소되어, 도 21에서와 같이, 밀대부(314)의 일부가 제2 원통형 몸체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되며, 제2 원통형 몸체의 내측 단차면(358)과 니들 압착부(380)와의 사이에? 틈(359)이 생기게 된다. 또한 밀대 누름판부(310)을 눌룸에 의한 진동에 의해, 니들 압착면(384)에 물려져 있는 니들을 포함하는 허브(100)는 밑으로 떨어지게 된다.
밀대 누름판부(310)을 누름을 해제하면, 스프링(330)은 탄력성에 의해 복원되며, 따라서 도 16과 같은 상태로 되돌아 간다.
본 고안에서 주사기 본체(50)는 다양한 크기,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50 : 주사기 본체 51 : 주사약제 투입용 누름판
53 : 눈금부 54 : 허브 장착부
55 : 주사기 나사부 57 : 주사기본체 턱부
100,103 : 허브 110 : 니들 삽입 통공
120 : 니들 고정용 몸통부 121 : 니들고정용 몸통돌기
130 : 허브 하부 몸통부 상단 140 : 허브 하부 몸통부
141 : 허브 하부몸통 돌기 142 : 허브몸통 홈
150 : 허브 나사부 200 : 니들
210 : 앞 니들 220 : 뒷 니들
250 : 소캡 254 : 제1링형 소캡볼록부
270 : 대캡 274 : 대캡 내측 홈
275 : 대캡 홈내 돌기 200 : 니들
300 : 덮개 310 : 밀대 누름판부
311 : 누름판 312 : 누름판 측벽
314 : 밀대부 315 : 밀대부 통공
317 : 측벽 내측 단차면 330 : 스프링
340 : 칼라 하우징부 341 : 칼라 하우징 테두리
342 : 원통형 몸체 연결판 344 : 제1 원통형 몸체
345 : 클립용 막대 350 : 제2 원통형 몸체
351 : 제2 원통형 몸체 상부 352 : 제2 원통형 몸체 하부
353 : 칼라 하우징 외측홈 354 : 제2 원통형 몸체 돌출부
357 : 통공 358 : 제2 원통형 몸체 단차면
359 : 틈 370 : 덮개몸통 하우징부
374 : 덮개몸통 하우징부 상단 375 : 상단 홈
377 : 덮개 몸통 하우징부 하단 378 : 하우징 홈부
380 : 니들 압착부 382 : 허브 상단 삽입홈
384 : 니들 압착면 387 : 고리형 결합부
388 : 하부 막대부 389 : 고리부

Claims (18)

  1.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덮개몸통 하우징부;
    일측이 덮개몸통 하우징부의 내에 삽입되며, 다른 일측은 덮개몸통 하우징부의 상단에 위치되며, 내측에 칼라 하우징부 통공을 구비하는, 칼라 하우징부;
    칼라 하우징부 통공에 삽입되며, 상단이 밀대 누름판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밀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며,
    칼라 하우징부는, 2개의 원통형 몸체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되, 외측에 위치한 원통형 몸체인 제1 원통형 몸체와, 내측에 위치한 원통형 몸체인 제2 원통형 몸체는, 원통형 몸체 연결판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칼라 하우징부의 상부에서, 제1 원통형 몸체와 제2 원통형 몸체의 사이에,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주사기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칼라 하우징부 통공에 삽입되며, 일측에 니들 압착면을 가진 허브 상단 삽입홈을 구비하며, 다른 일측은 밀대부와 연결되는, 니들 압착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주사기 덮개.
  3. 제2항에 있어서,
    덮개몸통 하우징부의 밖에 위치되며, 하단이 밀대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구부려진 니들을 가진 허브를 배출시 눌러지는 밀대 누름판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주사기 덮개.
  4. 제3항에 있어서,
    니들 압착부에 니들이 삽입되거나, 밀대 누름판부가 눌러지면, 니들 압착부와 결합된 밀대부가, 칼라 하우징부 통공 안에서, 움직이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주사기 덮개.
  5. 제4항에 있어서,
    칼라 하우징부의 통공의 내벽은 상부의 내측반경과 하부의 내측반경이 단차를 이루는 내측 단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주사기 덮개.
  6. 제2항에 있어서,
    니들 압착부의 다른 일측에는 고리형 결합부를 구비하며,
    밀대부의 하부에 밀대부 통공을 구비하며,
    고리형 결합부가 밀대부에 삽입되고 고리형 결합부의 고리부가 밀대부 통공을 통해 밖으로 튀어나옴에 의해, 니들 압착부와 밀대부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주사기 덮개.
  7. 제1항에 있어서,
    밀대부의 둘레에는 스프링이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주사기 덮개.
  8. 제5항에 있어서,
    칼라 하우징부에서, 제2 원통형 몸체는 제1 원통형 몸체보다 반경 및 높이가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주사기 덮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칼라 하우징부는
    제1 원통형 몸체는 상단의 테두리를 따라 링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된 칼라 하우징 테두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주사기 덮개.
  11. 제6항에 있어서,
    고리형 결합부는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주사기 덮개.
  12. 제2항에 있어서,
    기 사용된 니들이 삽입된 허브를 장착하고 있는 주사기 본체가 덮개몸통 하우징부의 내로 밀어 넣어지되, 니들이 니들 압착면에 압착되도록 밀어 넣어지면,
    허브 상단 삽입홈은 허브의 니들 고정용 몸통부가 삽입되게 되며, 니들이 구부러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주사기 덮개.
  13. 제12항에 있어서,
    니들 압착면은 돌기를 구비하여 요철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주사기 덮개.
  14. 제12항에 있어서,
    허브 상단 삽입홈에 허브의 니들 고정용 몸통부가 삽입되어 있는 주사기 본체를 회전시켜, 주사기 본체만이 제거되고, 허브 상단 삽입홈에 니들 고정용 몸통부가 삽입되어 있는 허브를 제거하기 위해, 밀대 누름판이 눌려진 경우,
    밀대 누름판의 이동에 따라, 밀대부도 이동하면서, 허브 상단 삽입홈으로부터 허브의 니들 고정용 몸통부가 떨어짐에 따라 허브가 덮개로부터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주사기 덮개.
  15. 제5항에 있어서,
    내측 단차면은 니들 압착부의 상부 이동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주사기 덮개.
  16. 제8항에 있어서,
    밀대 누름판부는 이중 원주벽을 가진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은 평평한 원형판으로 이루어진 누름판을 구비하며, 누름판의 외측 원주 둘레를 따라 벽을 형성한 누름판 측벽을 구비하며, 누름판 측벽의 내측에는 단차를 이루는 측벽 내측 단차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주사기 덮개.
  17. 제16항에 있어서,
    스프링이 누름판 측벽의 내측에 삽입되되, 스프링의 상면은 측벽 내측 단차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주사기 덮개.
  18. 제16항에 있어서,
    스프링이 측벽 내측 단차면과 원통형 몸체 연결판의 사이에 위치되어, 측벽 내측 단차면과 원통형 몸체 연결판에 의해 스프링 탄성력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타입 주사기 덮개.









KR2020150008474U 2015-12-24 2015-12-24 니들 폐기처리부를 내장한 펜 타입 주사기 덮개 KR200486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474U KR200486781Y1 (ko) 2015-12-24 2015-12-24 니들 폐기처리부를 내장한 펜 타입 주사기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474U KR200486781Y1 (ko) 2015-12-24 2015-12-24 니들 폐기처리부를 내장한 펜 타입 주사기 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386U KR20170002386U (ko) 2017-07-04
KR200486781Y1 true KR200486781Y1 (ko) 2018-06-29

Family

ID=5931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474U KR200486781Y1 (ko) 2015-12-24 2015-12-24 니들 폐기처리부를 내장한 펜 타입 주사기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7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751A (ko)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필텍바이오 안전 펜 니들
KR20200092148A (ko) 2019-01-24 2020-08-03 주식회사 필텍바이오 안전 니들 허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151A (ko) 2017-12-19 2019-07-16 이은상 어린이용 니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8456A (ja) 2012-07-19 2014-02-03 Terumo Corp 廃棄容器
KR101547444B1 (ko) * 2015-04-24 2015-08-27 주식회사 메덱셀 펜 타입 주사기의 덮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4704B2 (ja) * 1995-07-07 2004-12-02 東郷メディキット株式会社 注射針の廃棄処理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8456A (ja) 2012-07-19 2014-02-03 Terumo Corp 廃棄容器
KR101547444B1 (ko) * 2015-04-24 2015-08-27 주식회사 메덱셀 펜 타입 주사기의 덮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751A (ko)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필텍바이오 안전 펜 니들
KR20200092148A (ko) 2019-01-24 2020-08-03 주식회사 필텍바이오 안전 니들 허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386U (ko)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39170B (zh) 药物输送装置
KR101547444B1 (ko) 펜 타입 주사기의 덮개
US6673044B2 (en) Automatic safety syringe
KR200486781Y1 (ko) 니들 폐기처리부를 내장한 펜 타입 주사기 덮개
CN107405460B (zh) 设置有安全保护系统的笔针
KR101604957B1 (ko) 펜 타입 주사기의 원 터치 결합 및 분리용 펜 니들과 원 터치 분리배출 기능이 구비된 덮개
CN102917738A (zh) 包括反馈信号装置的药物输送设备
TW201509473A (zh) 活塞驅動式自動注射器
KR102209807B1 (ko) 의료용 주입기용 반구형 부분을 구비한 캡
US20040010234A1 (en) Safety device for syringe
KR20160040613A (ko) 철회식 바늘 조립체 및 주사기용 리테이너
JP2020534920A (ja) 薬物送達システム用針シールドプラー
RU2534405C2 (ru) Шприц с убирающейся иглой и режущей коронкой
JP2016187719A (ja) 改良された格納式注射器針
US20050070854A1 (en) Syringe
KR101774165B1 (ko) 안전보호시스템이 구비된 1회용 펜니들
JP6310710B2 (ja) 注射針の廃棄容器
US6409704B1 (en) Retractable safety syringe
CN109432585B (zh) 微针经皮给药进针器
KR101589004B1 (ko) 다용도 펜 타입 주사기의 다기능 덮개
KR200481093Y1 (ko) 펜 니들 안전분리배출기구
US20170028138A1 (en) Push-and-separate safety syringe
KR101879976B1 (ko) 펜 니들 휨 및 분리 기능을 구비하는 펜 타입 주사기용 덮개
JP3196419U (ja) 注射針除去装置
KR101251172B1 (ko) 가축 및 동물용 일회용 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