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586Y1 -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586Y1
KR200486586Y1 KR2020160003680U KR20160003680U KR200486586Y1 KR 200486586 Y1 KR200486586 Y1 KR 200486586Y1 KR 2020160003680 U KR2020160003680 U KR 2020160003680U KR 20160003680 U KR20160003680 U KR 20160003680U KR 200486586 Y1 KR200486586 Y1 KR 200486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portion
control unit
ticket
termin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067U (ko
Inventor
신동호
김지원
김백진
Original Assignee
대구도시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도시철도공사 filed Critical 대구도시철도공사
Priority to KR2020160003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586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0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0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5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에 관한 것으로서, 도시철도 역사 내의 개표구간(I)과 집표구간(O) 사이에 구비되어 승차권 정보를 판독 및 기록하고 승객의 통행을 제한하는 교통카드 개집표기(100)에 있어서; 장방형 육면체로 형성하고 내부에는 일 측면 커버(111)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개집표기(100)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12) 및 전원공급유닛(113)을 탑재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일정 높이의 입면체로 형성하되, 상측 면의 개표구간(I) 및 집표구간(O) 측 모서리 부에는 제1경사부(121)와 제2경사부(122)를 상호 대칭하도록 형성하고, 상측 중심부에는 이동용 손잡이(123)를 구비하는 지지부(120)와; 제1경사부(121) 및 제2경사부(122)의 사면에 각각 장착하여 상기 제어유닛(112) 및 전원공급유닛(113)과 연동하도록 구비하고, 상측에는 표시부(131,141) 및 감지부(132,142)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RF모듈을 탑재하여 승차권을 감지하는 개표단말기(130) 및 집표단말기(140)와; 제어유닛(112)과 개표단말기(130) 및 집표단말기(140)를 제어하는 펌웨어로 이루어지고; 본체(110)는 경량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고 지지부(120)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소형 경량화에 의해 개집표기의 이동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간이로 이용 가능한 교통카드 개집표기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PORTABLE TRANSPORTATION CARD AUTOMATIC GATE MACHINE}
본 고안은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시철도 역사 내에 설치되는 종래의 교통카드 개집표기를 구조적으로 개선하여 소형 및 간소화와 무게의 경량화를 실현함에 따라 휴대가 가능하면서 필수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된 개집표기의 고장, 점검 시 이를 대체하여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철도 역사 내의 개표구간(I)과 집표구간(O) 사이에는 승차권 정보를 판독 및 기록하고 승객의 통행을 제한하는 교통카드 개집표기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교통카드 개집표기는 개표구간에서 진입하거나 또는 집표구간에서 진출하는 승객이 마그네틱 선 또는 IC칩을 탑재하는 카드타입 또는 토큰타입의 승차권을 개집표기에 근접 또는 투입하면 자동으로 이를 감지하여 운임 지불 및 플랩도어의 개폐 여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도시철도 역사에 설치되는 개집표기는 복수로 설치되어 승객이 출입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각 단위별 개집표기는 플랩도어, 방향표시부, 승차권감지부 및 그 밖에도 승객을 검지하는 센서 및 경고등이 기본적으로 구비되며 이들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MCU를 탑재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개집표기의 일례로서 등록특허 제10-0956175호에 공지된 개집표기의 구성을 통해 구조 및 기능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하철 역사의 인입출구에 설치된 슬림형 자동개·집표기에 있어서, 상기 개·집표기는 받침프레임의 양측에 상향으로 도어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도어부는 지지케이싱의 상부에 도어프레임의 하단이 결합되며,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에 플랩도어가 여닫히는 구성으로 힌지로 결합되고, 타측에 방향표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부에 승차권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플랩도어는 우레탄폼으로 형성되되 플랩도어의 전후면 양측에 각각 요철무늬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편,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주로 이용하는 역사 내 엘리베이터 전방에는 장애인용 개집표기를 별도로 단독 설치하여 진출입하는 승객의 통행을 관리하도록 운영하고 있다.
예컨대, 공개특허 제10-2004-0039347호에 공지된 장애인용 자동 개집표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자동 개집표기의 통로 내 인체 유무와 복수 승객의 통과 여부를 감시하는 복수의 인체감지센서와 근접센서를 구비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며 개표기 및 집표기와 플랩 신호 및 센서 신호를 송수신하며 랜(LAN)을 통해 역무실내의 역전산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플랩도어를 제어하는 개·집표기 인터커넥션 보드와, 상기 개·집표기 인터커넥션 보드의 제어에 따라 승차권 및 교통카드의 사용 가능 유무를 표시해주고 통로 사용 유무 및 할인/특수 승차권 여부를 표시해주는 승객방향 표시기와, 상기 개·집표기 인터커넥션 보드의 제어에 따라 비상 및 할인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비상/할인 램프와, 상기 승객이 투입한 승차권의 이송을 제어하고 그 투입한 승차권의 정보를 판독 및 처리하는 승차권 이송장치와, 상기 승차권 이송장치와 연결되며 승객이 사용하는 RF카드의 정보를 판독하여 개·집표기 인터커넥션 보드에 전달해주며 주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RF리더기와, 상기 RF리더기와 연결되어 승차권 및 RF 카드의 유효 여부를 표시해주고 잔여 금액, 횟수, 일자를 표시해주는 승객정보 표시기와, 상기 개·집표기 인터커넥션 보드의 제어에 따라 플랩도어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플랩도어 제어기와, 상기 플랩도어 제어기에서 발생하는 플랩도어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플랩도어를 구동시키는 플랩도어 구동장치와, 비상용 전원을 공급해주는 배터리로 구성된다.
등록특허 제 10 - 0956175 호 공개특허 제 10 - 2004 - 0039347 호 등록특허 제 10 - 0261066 호 등록실용신안 제 20 - 0431484 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교통카드 개집표기에는 플랩도어와, 방향표시부와, 승차권감지부와, 센서부 및 경고등이 기본적으로 구비되며 이들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MCU를 탑재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또한, 도시철도 역사 내에서 일반 개집표 구간과는 별도로 엘리베이터 전방 구역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장애인용 개집표기 역시 상술한 일반 개집표기와 마찬가지의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교통카드 개집표기, 특히 장애인용 개집표기의 경우 역사 내 엘리베이터 전방에 단독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해당 개집표기의 고장이나 점검 시에는 엘리베이터의 이용 자체가 불가피하게 제한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반드시 이용해야 하는 장애인이나 노약자 승객에게는 큰 불편을 주게 됨은 물론이고 이에 따른 민원 발생 역시 끊이지 않고 있어 역무원들 역시 고충을 토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도시철도 역사 내의 개표구간(I)과 집표구간(O) 사이에 구비되어 승차권 정보를 판독 및 기록하고 승객의 통행을 제한하는 교통카드 개집표기(100)에 있어서;
장방형 육면체로 형성하고 내부에는 일 측면 커버(111)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개집표기(100)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12) 및 전원공급유닛(113)을 탑재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일정 높이의 입면체로 형성하되, 상측 면의 개표구간(I) 및 집표구간(O) 측 모서리 부에는 제1경사부(121)와 제2경사부(122)를 상호 대칭하도록 형성하고, 상측 중심부에는 이동용 손잡이(123)를 구비하는 지지부(120)와;
상기 제1경사부(121) 및 제2경사부(122)의 사면에 각각 장착하여 상기 제어유닛(112) 및 전원공급유닛(113)과 연동하도록 구비하고, 상측에는 표시부(131,141) 및 감지부(132,142)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RF모듈을 탑재하여 승차권을 감지하는 개표단말기(130) 및 집표단말기(140)와;
상기 제어유닛(112)과 개표단말기(130) 및 집표단말기(140)를 제어하는 펌웨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10)는 경량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120)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소형 경량화에 의해 개집표기의 이동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된 개집표기의 고장이나 점검 시 이를 대체하여 간이로 이용 가능한 교통카드 개집표기를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종래의 교통카드 개집표기를 개선하여 이동성 및 휴대성을 확보하고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한 휴대용 간이 개집표기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교통카드 개집표기에 탑재되는 플랩도어 및 센서부, 경고등, 방향표시기와 같이 엘리베이터 전방에 단독으로 설치되는 장애인용 교통카드 개집표기에는 굳이 요구되지 않은 구성 및 기능을 과감하게 배제하면서 필수 기능만을 탑재하여 구조적·기능적 간소화 및 소형화를 실현하고, 아울러 본체 및 지지부의 소재를 경량 스틸 및 플라스틱으로 구성하여 무게를 경량화함에 따라 상기 목적에 부합하는 휴대용 간이 개집표기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에 설치된 일반용 개집표기에 탑재된 구성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신규 장비 구축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비용편익을 고려할 때 산업상 이용가능성 역시 현저히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의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a) 및 측면도(b).
도 3은 본 고안의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의 실시 예에 따른 내부구성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도.
이하, 본 고안의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의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a) 및 측면도(b), 도 3은 본 고안의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의 실시 예에 따른 내부구성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100)는 도시철도 역사 내에 설치되는 종래의 교통카드 개집표기를 개선하여 소형 및 간소화된 구조 및 무게를 경량화하는 구성을 통해 이동 및 휴대가 가능하면서 교통카드 개집표에 필수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도록 구성하여 기존에 설치된 개집표기의 고장, 점검 시 이를 대체하여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100)에 관한 기술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철도 역사 내의 개표구간(I)과 집표구간(O) 사이에 구비되어 승차권 정보를 판독 및 기록하고 승객의 통행을 제한하는 교통카드 개집표기(100)에 있어서 본체(110)와 지지부(120)와 개표단말기(130) 및 집표단말기(140)를 일체로 구성하고 펌웨어에 의해 작동하는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100)를 구성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는 장방형 육면체로 형성하고 내부에는 일 측면 커버(111)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싱으로써 수용공간 내에는 개집표기(100)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12) 및 전원공급유닛(113)을 탑재한다.
상기 제어유닛(112)은 개집표기(100) 전반을 제어하고 개표단말기(130) 및 집표단말기(140)를 통해 거래되는 지불 거래 데이터를 중앙 통제실 및 역단위 전산 시스템과 연동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MCU(Main Controller Unit)이다.
상기 제어유닛(112)은 CPU와 메모리칩 등으로 이루어지며 펌웨어가 ROM에 설치되어 제어유닛(112)과 개표단말기(130) 및 집표단말기(140)와 같은 하드웨어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전원공급유닛(113)은 통상의 직류 전원 장치로써 역사 내 구비된 AC 교류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개집표기(100)에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별도의 배터리를 추가 구성할 필요없이 언제 어디서든지 본 고안의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100)를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본체(110) 하단의 개표구간(I) 및 집표구간(O) 측 모서리 부에는 제3경사부(114)와 제4경사부(115)를 상호 대칭하도록 형성하고, 본체(110)의 하측 면에는 일정 높이의 받침부(116)를 장착하여 설치 및 이용상 안전성을 확보한다.
본 고안의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100)는 그 크기를 특정하지는 않았으나 이동성 및 휴대성과 기능성을 고려하여 개략 데스크톱 컴퓨터 본체와 유사한 크기(W400 x H400 x D150mm)의 치수 범위에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치 여건을 고려할 때 바닥 또는 일정 높이의 선반 상에 임시 비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본체(110)의 하단 양측에는 제3경사부(114) 및 제4경사부(115)를 형성하여 설치 및 이용상의 용이성 및 안전성을 가지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제3경사부(114) 또는 제4경사부(115)에는 전원공급유닛(113)과 연결되어 제어유닛(112)의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치(117)를 구비하여 온·오프 방식의 신속한 작동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지지부(120)는 본체(110)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일정 높이의 입면체로 형성하되, 상측 면의 개표구간(I) 및 집표구간(O) 측 모서리 부에는 제1경사부(121)와 제2경사부(122)를 상호 대칭하도록 형성하고, 상측 중심부에는 이동용 손잡이(123)를 구비한다.
상기 개표단말기(130) 및 집표단말기(140)는 지지부(120)의 제1경사부(121) 및 제2경사부(122)의 사면에 각각 장착하여 상기 제어유닛(112) 및 전원공급유닛(113)과 연동하도록 구비한다. 각각의 개표단말기(130) 및 집표단말기(140) 상측에는 금액을 표시하는 표시부(131,141) 및 승차권을 감지하는 감지부(132,142)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RF모듈(133,143)을 탑재하여 승차권과 통신한다.
상기 펌웨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유닛(112)의 ROM에 설치되어 하드웨어의 작동을 제어하며,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개집표기에 탑재되는 플랩도어 및 센서부, 경고등, 방향표시기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을 배제하므로 상기 펌웨어 역시 불필요한 기능을 사용하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고안의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100)는 상기 펌웨어를 포함해 상술한 제어유닛(112)과 개표단말기(130) 및 집표단말기(140)를 종래의 일반형 개집표기에서 사용하는 모듈을 활용하여 상기 본체(110) 및 지지부(120)에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펌웨어의 경우 일반형 개집표기에 사용되는 동일 버전의 펌웨어를 본 고안의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100)용으로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개발함으로써 상기 제어유닛(112)에 설치하여 이용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표단말기(130) 및 집표단말기(140) 역시 RF모듈이 탑재된 일반형 개집표기용 단말기(Latent)를 상기 지지부(120)의 제1경사부(121) 및 제2경사부(122)에 장착하고 본체(110) 내부의 제어유닛(112)과 결선하여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100)는 이동성, 휴대성, 및 간이 이용성이 고안의 주된 핵심 사안이므로 상기 본체(110)는 경량 스틸 소재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부(120)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함에 따라 소형, 경량화를 실현하여 작업자가 단독으로 휴대, 이동, 및 설치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100)는 작업자가 본체(110)의 상측 지지부(120)에 형성된 손잡이(123)를 파지하여 한 손으로 휴대 및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 및 무게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사 내 엘리베이터 전방에 단독으로 설치되어 운영되는 장애인용 교통카드 개집표기와 같이 일시 점검이나 고장으로 인해 승객 이용이 불가피하게 제한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작업자는 신속하게 본 고안의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100)를 해당 장소에 이동시켜 비치하고 전원 연결 후 스위치(117)를 켜는 것만으로 신속하게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100)를 정상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교통카드 개집표기의 필수 기능만을 탑재하여 구조적·기능적 간소화 및 소형화를 실현하고, 본체(110) 및 지지부(120)의 소재를 경량 스틸 및 플라스틱으로 구성하여 무게를 경량화함에 따라 이동성 및 휴대성을 확보하고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한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100)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의 일반용 개집표기에 사용해오던 일부 구성을 적극 활용하여 장착 가능한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신규 장비 구축에 따른 비용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비용편익이 우수한 등의 다양한 이점이 있다.
100: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 I: 개표구간
O: 집표구간 110: 본체
111: 커버 112: 제어유닛
113: 전원공급유닛 114: 제3경사부
115: 제4경사부 116: 받침부
117: 스위치 120: 지지부
121: 제1경사부 122: 제2경사부
123: 손잡이 130: 개표단말기
140: 집표단말기 131,141: 표시부
132,142: 감지부

Claims (2)

  1. 도시철도 역사 내의 개표구간(I)과 집표구간(O) 사이에 구비되어 승차권 정보를 판독 및 기록하고 승객의 통행을 제한하는 교통카드 개집표기(100)에 있어서;
    장방형 육면체로 형성하고 내부에는 일 측면 커버(111)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개집표기(100)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12) 및 전원공급유닛(113)을 탑재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일정 높이의 입면체로 형성하되, 상측 면의 개표구간(I) 및 집표구간(O) 측 모서리 부에는 제1경사부(121)와 제2경사부(122)를 상호 대칭하도록 형성하고, 상측 중심부에는 이동용 손잡이(123)를 구비하는 지지부(120)와;
    상기 제1경사부(121) 및 제2경사부(122)의 사면에 각각 장착하여 상기 제어유닛(112) 및 전원공급유닛(113)과 연동하도록 구비하고, 상측에는 표시부(131,141) 및 감지부(132,142)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RF모듈을 탑재하여 승차권을 감지하는 개표단말기(130) 및 집표단말기(140)와;
    상기 제어유닛(112)과 개표단말기(130) 및 집표단말기(140)를 제어하는 펌웨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10)는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120)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소형화에 의해 이동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 하단의 개표구간(I) 및 집표구간(O) 측 모서리 부에는 제3경사부(114)와 제4경사부(115)를 상호 대칭하도록 형성하고, 본체(110)의 하측 면에는 일정 높이의 받침부(116)를 장착하여 설치 및 이용상 안전성을 확보하고;
    상기 제3경사부(114) 또는 제4경사부(115)에는 전원공급유닛(113)과 연결되어 제어유닛(112)의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치(117)를 구비하여 신속한 작동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
KR2020160003680U 2016-06-27 2016-06-27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 KR200486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680U KR200486586Y1 (ko) 2016-06-27 2016-06-27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680U KR200486586Y1 (ko) 2016-06-27 2016-06-27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067U KR20180000067U (ko) 2018-01-05
KR200486586Y1 true KR200486586Y1 (ko) 2018-06-11

Family

ID=61275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680U KR200486586Y1 (ko) 2016-06-27 2016-06-27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58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6182A (ja) 2003-08-29 2005-03-24 Fuyo Denshi:Kk 簡易設置型ゲート装置
JP2015055932A (ja) 2013-09-10 2015-03-23 株式会社東芝 自動改札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359U (ko) * 1997-08-20 1999-03-15 전주범 자동개집표기의 승차권이송유니트 장.탈착 구조
KR100261066B1 (ko) 1997-12-30 2000-07-01 윤종용 자동 집/개표기
US6764869B2 (en) 2001-09-12 2004-07-20 Formfactor, Inc. Method of assembling and testing an electronics module
KR100474263B1 (ko) 2002-10-07 2005-03-0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쵸크방지용 챔버를 갖는 기화기
KR100956175B1 (ko) 2008-08-27 2010-05-06 서울메트로 슬림형 자동집·개표기
KR20150019388A (ko) * 2013-08-13 2015-02-25 주식회사 에이텍 출입 게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6182A (ja) 2003-08-29 2005-03-24 Fuyo Denshi:Kk 簡易設置型ゲート装置
JP2015055932A (ja) 2013-09-10 2015-03-23 株式会社東芝 自動改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067U (ko) 2018-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1746B2 (ja) 改札機及び改札方法
CN207469138U (zh) 自助检票闸机设备
JP2007047960A (ja) 媒体処理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改札機
CN102693555A (zh) 实名制进站检票系统
CN207147608U (zh) 一种无人值守称重系统
KR20090104166A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3164216U (ja) 自動入退場ゲート装置
KR200486586Y1 (ko) 휴대용 간이 교통카드 개집표기
JP2006221275A (ja) 駐車場の管理制御装置
TW200535738A (en) Automatic ticket checker
JP2013164876A (ja) 読取り装置
JP5214780B2 (ja) 読取り装置
JP2005242959A (ja) 通行人に所定の位置を踏ませるだけで、身分や資格を識別する方法
JP2014170589A (ja) 読取り装置
JP5398899B2 (ja) 読取り装置
JP3702634B2 (ja) 自動改札機
JP2010073049A (ja) 案内情報制御システム及び案内情報制御方法
CN216249371U (zh) 一种具有社保卡识别功能的抗干扰检票闸机
JP7516178B2 (ja) 自動改札機、及びプログラム
JP4528408B2 (ja) 自動改札システム
JP2023092127A (ja) 自動改札機
KR20140114572A (ko) 부정승차 관리시스템
JP2000099776A (ja) 自動改札装置
JP4731944B2 (ja) 自動改札機
JP5292488B2 (ja) 読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