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060Y1 - 문서 케이스 - Google Patents

문서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060Y1
KR200486060Y1 KR2020160005817U KR20160005817U KR200486060Y1 KR 200486060 Y1 KR200486060 Y1 KR 200486060Y1 KR 2020160005817 U KR2020160005817 U KR 2020160005817U KR 20160005817 U KR20160005817 U KR 20160005817U KR 200486060 Y1 KR200486060 Y1 KR 2004860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ocument
lower cover
upper cov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명진
Original Assignee
황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명진 filed Critical 황명진
Priority to KR2020160005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0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0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0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04Covers with reten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06Filing appliances comprising a plurality of pockets or compartments, e.g. portfolios or cases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서를 보관하는 문서 케이스의 모서리 부분이 피로 하중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문서를 편리하게 넣고 뺄 수 있도록 하는 문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문서 케이스(100)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의 상/하 부 영역(101, 102)에 상부 커버(130) 및 하부 커버(140)가 일정 폭과 두께를 가지는 스페이서(150, 160)를 통해 면 접촉된 상태로 접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베이스(110)의 좌우 측면에는 일부가 절개된 형상의 오목부(112)가 형성되고, 상부 커버(130)는 상기 하부 커버(140)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부 커버(130) 및 하부 커버(140)를 쉽게 뜯을 수 있어 문서를 쉽게 넣고 뺄 수 있다.

Description

문서 케이스{Document Case}
본 고안은 문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피로하중으로 발생하는 케이스의 모서리 부분의 파손 방지와 함께 케이스 내에 문서를 쉽게 넣고 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문서 보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문서 케이스는 각종 문서나 서류를 손상 없이 보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회사나 학교, 가정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문서 케이스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은 종래 문서 케이스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문서 케이스는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1)의 상단 부분과 하단 부분이 각각 구부려져서 형성되는 상부 커버(2)와 하부 커버(3)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부 커버(2)와 하부 커버(3)의 끝 부분은 일부가 서로 겹쳐지게 위치되도록 하여 하부 커버(3)의 단부가 상부 커버(2)의 아래쪽에 끼워지거나 빠지도록 하여 문서를 넣고 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문서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먼저, 문서 케이스에 문서를 보관하거나 뺄 때 상부 커버(2)와 하부 커버(3)를 열어젖히는 동작을 하는데, 이때 이러한 반복적인 동작에 따라 베이스(1)와 연결된 상부 커버(2)와 하부 커버(3)의 모서리 부분(5,6)에 피로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피로 하중은 실질적으로 상기 모서리 부분(5,6)을 손상시키거나 절단되게 하여 문서 케이스의 사용 연한을 단축시키는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문서를 빼고 넣을 때 상부 커버(2) 및 하부 커버(3)를 베이스(1)에서 이격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작업이 쉽지 않았다. 즉, 베이스(1), 상부 커버(2) 및 하부 커버(3)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얇게 제조되어 달라붙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1)에서 상부 커버(2)나 하부 커버(3)를 뜯는 것이 쉽지 않았고, 정전기 등의 이유로 잘 안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종래의 문서케이스는 모서리 부분의 파손 염려, 그리고 밀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커버들을 떼어내는 것이 불편하여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문서를 넣고 빼내는 작업이 쉽지 않았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문서 케이스의 장시간 사용에도 그 문서 케이스의 모서리 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문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문서 케이스에 문서를 쉽게 넣고 빼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문서 케이스는, 사각 형상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영역 및 하부영역에 접착되는 소정 폭을 가지는 상부 스페이서와 하부 스페이서; 상기 상부 스페이서 및 하부 스페이서와 접착되는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좌우 측면에 상기 하부 커버의 저면 일부를 일부 노출시키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스페이서 및 하부 스페이서는 상기 베이스와 상부커버, 베이스와 하부 커버 사이를 각각 일정 간격 이격시키고,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하부 커버와 일부가 겹쳐지도록 형성되면서 일측 단부는 상기 하부 커버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스페이서 및 상부 커버의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은 종래 문서 케이스의 모서리 부분이 피로하중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하부 커버와 밀착된 상부 커버를 쉽게 개방할 수 있어 문서를 쉽게 넣고 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문서 케이스는,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여, 외부에서 문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문서 케이스에 의하면, 문서 케이스의 베이스와, 그 베이스의 상/하부 영역에 소정 폭을 가지는 스페이서를 접착하고 그 위에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문서를 넣고 빼기 위해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를 젖히는 동작을 오랜 시간 동안 반복하더라도 모서리 부분에 가해지는 피로하중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문서 케이스의 상/하부 모서리부분이 파손되거나 끊어지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베이스의 측면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하부 커버의 일부가 노출되게 형성하였고, 또한 상부 커버는 하부 커버의 일부와 겹쳐지도록 하면서 하부 커버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일측 단부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오목부와 상부 커버에 의해 사용자는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를 더 쉽게 젖일 수 있어 문서를 편리하게 넣고 뺄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커버의 단부는 실질적으로 하부 커버의 일부와 서로 겹쳐져서 하부 커버가 베이스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문서 케이스 내부에 보관된 문서를 훼손시키지 않고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투명 재질로 형성하고 있어 문서 케이스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문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역시 투명한 재질로 할 수 있음은 당연하기 때문에, 문서 케이스의 전면 및 후면을 통해 문서 내용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문서 케이스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문서 케이스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문서 케이스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문서 케이스의 측면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서 케이스(100)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0)가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110)의 크기는 다양하게 만들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인쇄나 복사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지 크기를 기초로 하여 만들어질 것이다. 물론 문서 케이스(100)의 전체적인 크기는 내부에 수납된 용지를 완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용지 사이즈보다는 커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베이스(110)에는 그 좌우 측면에 그 측면 일부가 요입된 오목부(112)가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오목부(112)는 베이스(110)의 측면 일부가 실질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부분을 말하며, 따라서 그 위에 위치하는 하부 커버(140)의 저면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오목부(112)에 의해 노출된 하부 커버(140)를 이용하면 그 하부 커버(140)를 쉽게 일 방향으로 젖힐 수 있게 된다.
베이스(110)의 상부 영역(101)과 하부 영역(102)에는 소정 크기를 가지는 상부 커버(130)와 하부 커버(140)가 각각 결합한다. 이때 상부 커버(130)와 하부 커버(140)는 베이스(110)와 각각 일정 폭과 두께로 형성된 스페이서(150, 160)를 통해 서로 결합되고 있다. 즉 스페이서(150, 160)의 양면에 베이스(110)와 상기 커버(130, 140)가 각각 위치하여 서로 면접촉 상태로 접착되는 것이다. 이처럼 스페이서(150, 160)는 베이스(110)의 상/하부 영역(101, 102)에서 베이스(110)와 커버(130, 140)를 각각 면 접촉상태로 접착시키고 있어, 문서를 넣고 빼기 위해 상부 커버(130)와 하부 커버(140)를 반복하여 젖히는 동작을 하더라도 피로하중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스페이서(150, 160)는 베이스(110)와 커버(130, 140) 사이의 부분을 일정 부분 이격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는바, 베이스(110) 상에 문서를 쉽게 안착시킬 수도 있다.
상부 커버(130)와 하부 커버(140)는 문서 케이스(100)의 상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커버(140)가 실질적으로 문서 케이스(100)의 상면을 대부분 덮도록 형성되고, 상부 커버(130)는 하부 커버(140)의 끝 부분과 일부 겹쳐질 정도의 크기면 된다.
이러한 상부 커버(130)는 실질적으로 하부 커버(140)에서 쉽게 뜯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래서 사용자가 상부 커버(130)의 일부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부 커버(140)와 마주보는 일 측 단부(131)는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상부 커버(130)는 하부 커버(140)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하부 커버(140)와 밀착된 상태에서 그 상부 커버(130)를 쉽게 잡아 젖힐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문서 케이스(100)에 문서를 빼고 넣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문서 케이스(100) 내에 문서가 보관된 상태에서 문서를 빼기 위해서는 상부 커버(130)와 겹쳐져 있는 하부 커버(140)를 빼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 문서 케이스(100)를 잡은 상태에서 상부 커버(130)의 일 측 단부(131)를 잡아 위로 들어올린다. 그리고 다른 손으로는 오목부(112)를 통해 노출되어 있는 하부 커버(140)를 잡고 앞쪽으로 잡아당긴다.
이렇게 하면, 상부 커버(130)의 아래에 겹쳐져 있는 하부 커버(140)를 그 상부 커버(130)의 바깥쪽으로 빼낼 수 있게 되고, 나아가 하부 영역(102)을 중심으로 하부 커버(140)를 베이스(110)에서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베이스(110)와 하부 커버(140)가 떨어진 상태가 되면 그 사이에 문서를 쉽게 넣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상기 문서 케이스(100)에 문서가 수납된 후에는 상기 문서가 수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보관되어야 한다. 문서 보관은 실질적으로 하부 커버(140)와 상부 커버(130)가 겹쳐져서 하부 커버(140)가 베이스(110)와 벌어지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부 커버(140)를 상부 커버(130)의 아래쪽으로 끼워서 하부 커버(140)의 외면에 상부 커버(130)의 일 측 단부(131)가 포개지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하부 커버(140)는 상부 커버(130)의 내측에 위치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내부에 문서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문서 케이스(100)는 상부 커버(130)와 하부커버(140)를 투명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케이스(100)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문서 케이스(100) 내에 보관중인 문서의 내용을 손쉽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문서 케이스(100)의 베이스(110)도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문서 케이스(100)의 베이스(110)에 상부 커버(130)와 하부 커버(140)가 소정 폭과 두께를 가지는 스페이서(150, 160)를 통해 서로 결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110)의 측면에 오목부(112) 및 일 측 단부(131)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부 커버(130)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문서 케이스(100)의 모서리가 피로 하중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문서를 쉽게 넣고 빼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 다른 변형이 가능함을 물론이고,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문서 케이스 101 : 상부 영역
102 : 하부 영역 110 : 베이스
112 : 오목부 130 : 상부 커버
140 : 하부 커버 150 : 상부 스페이서
160 : 하부 스페이서

Claims (2)

  1. 사각 형상의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서 끝단 일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상부커버(130) 및 하부커버(140);
    상기 베이스(110)의 양 끝단에서 상기 베이스(110) 및 커버(130,140)와 각각 면 접촉상태로 접착되는 스페이서(150,160);
    상기 베이스(110)의 측면에 상기 하부커버(140)의 저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112);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140)가 오목부(112)를 통해 들어질 때 상기 상부커버(130)가 하부커버(140)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커버(130)의 중앙으로 갈수록 경사지면서 폭이 좁아지는 단부(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130) 및 하부 커버(14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문서 케이스.
KR2020160005817U 2016-10-10 2016-10-10 문서 케이스 KR2004860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817U KR200486060Y1 (ko) 2016-10-10 2016-10-10 문서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817U KR200486060Y1 (ko) 2016-10-10 2016-10-10 문서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060Y1 true KR200486060Y1 (ko) 2018-03-28

Family

ID=61801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817U KR200486060Y1 (ko) 2016-10-10 2016-10-10 문서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06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7764A (ja) * 2001-03-15 2001-10-10 Kokuyo Co Ltd ホルダー
KR200380413Y1 (ko) * 2005-01-12 2005-03-30 정창운 문서 케이스
JP2007283736A (ja) * 2006-04-12 2007-11-01 Ioko Arita 巻回し可能なホルダー
KR200455784Y1 (ko) * 2009-10-08 2011-09-27 정창운 문서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7764A (ja) * 2001-03-15 2001-10-10 Kokuyo Co Ltd ホルダー
KR200380413Y1 (ko) * 2005-01-12 2005-03-30 정창운 문서 케이스
JP2007283736A (ja) * 2006-04-12 2007-11-01 Ioko Arita 巻回し可能なホルダー
KR200455784Y1 (ko) * 2009-10-08 2011-09-27 정창운 문서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060Y1 (ko) 문서 케이스
JP3076819B2 (ja) 開放押圧部を有する包装用容器
US3515268A (en) Device for packaging one or more containers,for instance for clinical samples,and at least one appurtenant information card or the like
EP1457434A2 (en) Container
JPH0228066Y2 (ko)
CN116710370A (zh) 保温保冷用箱
JP6170353B2 (ja) ラップフィルム包装箱
JP6548594B2 (ja) 容器
CN218506553U (zh) 一种方便展示的包装礼盒
KR102510502B1 (ko) 엠보싱분리부가 구비된 포장박스
JP3963844B2 (ja) 筺詰め商品及びその包装筺
JP3047057U (ja)
WO1983000131A1 (en) Packaging article for a stack of gaskets, in particular those made of plastic deformable material
JPS61273338A (ja) 包装箱
JP4108839B2 (ja) 収納ケース
US1969585A (en) Beer crate
JPH0637991Y2 (ja) フロッピーディスク収納体
JP2011191853A (ja) カード型記憶媒体の収納ケース
KR200326483Y1 (ko) 포장용 박스
JP2023153580A (ja) 輸送用包装構造
JP2006341885A (ja) 板状精密品の収容容器
JP3954201B2 (ja) 表示部材ホルダー
JP3140810U (ja) 収納容器
JPH0676031U (ja) 包装用段ボール箱
JP2022075123A (ja) 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