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920Y1 - 가공물 안착장치 - Google Patents

가공물 안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920Y1
KR200485920Y1 KR2020160004067U KR20160004067U KR200485920Y1 KR 200485920 Y1 KR200485920 Y1 KR 200485920Y1 KR 2020160004067 U KR2020160004067 U KR 2020160004067U KR 20160004067 U KR20160004067 U KR 20160004067U KR 200485920 Y1 KR200485920 Y1 KR 200485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frame
workpiece
sea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0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265U (ko
Inventor
김용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용현폴리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용현폴리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Priority to KR20201600040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920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2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2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9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6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 B65G57/18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elongated, e.g. sticks, rods,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9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long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6Tubes an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8Impact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 장치에서 가공된 가공물이 충격에 의한 손상 및 파손 없이 이동하여 안착되는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안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이전 단계에서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이 안착되는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전단부에 배치되어 오목한 곡면을 형성하며, 가공물의 안착과정에서 충격을 흡수하는제 1 안착패드; 그리고 상기 제 1 안착패드와 연결되며, 상기 가공물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후단부에 배치되는 제 2 안착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안착패드는 상기 가공물이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유입부, 상기 경사 유입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제 1 패드몸체, 그리고 상기 경사 유입부의 하단에서 돌출되어 안착패드 지지유닛과 결합되는 제 1 돌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공물 안착장치{Apparatus of safe arrival for workpiece}
본 고안은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 장치에서 가공된 가공물이 충격에 의한 손상 및 파손 없이 이동하여 안착되는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안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봉 또는 파이프 등의 가공물은 조관기에 의해서 성형되고, 그 쓰임에 따라 절단 및 연마 등의 가공 과정을 거쳐 제작된다.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가공물은 절단 이후의 가공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별도의 장치에 의해 이송 및 보관되는 중간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가공물은 상기 가공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을 가지는 보관틀에 보관되며, 다수개의 가공물이 상기 보관틀 내 형성된 공간에서 적층되는 방식으로 보관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가공물이 이송장치에서 보관틀로 이동되면서 낙하함으로써 상기 가공물은 낙하에 의한 충격에 의해 손상 및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가공물이 보관되는 공간의 가공물이 진입되는 영역은 일정한 경사를 가지도록 제작함으로써 가공물의 낙하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고, 가공물의 손상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송되는 가공물의 크기, 무게와 이송속도에 의하여 가공물과 보관틀간에 마찰이 발생하여 가공물의 손상이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4-0037833호(고안의 명칭: 금속파이프의 단부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공개일: 2004년 5월 8일)
본 고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공 장치에서 가공된 가공물이 충격에 의한 손상 및 파손 없이 이동하여 안착되는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안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이전 단계에서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이 안착되는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전단부에 배치되어 오목한 곡면을 형성하며, 가공물의 안착과정에서 충격을 흡수하는제 1 안착패드; 그리고 상기 제 1 안착패드와 연결되며, 상기 가공물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후단부에 배치되는 제 2 안착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안착패드는 상기 가공물이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유입부, 상기 경사 유입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제 1 패드몸체, 그리고 상기 경사 유입부의 하단에서 돌출되는 제 1 돌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패드몸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패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돌출프레임에는 외부 구조물과의 결합을 위한 제 1 프레임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안착패드는 적층된 가공물이 손상되지 않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와 연장되어 오목한 곡면이 형성된 제 2 패드몸체, 그리고 상기 경사부 하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과 결합되는 제 2 돌출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패드몸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 2 패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돌출프레임에는 상기 외부 구조물과의 결합을 위한 제 2 프레임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패드와 상기 제 2 안착패드는 우레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고안은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 그리고 상기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과 결합되되, 상기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과 형상이 대응되어 밀착배치되는 안착패드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가공물 안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에는 상기 제 1 패드홀과 대응되는 제 1 패드 결합홀, 상기 제 1 돌출프레임이 삽입되는 제 1 프레임 삽입부, 그리고 상기 제 1 프레임홀과 대응되는 제 1 프레임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 결합홀 및 상기 제 1 프레임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 1 돌출프레임을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에 결합시키는 제 1 프레임 결합부재와, 상기 제 1 패드 결합홀과 상기 제 1 패드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 1 패드몸체를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에 결합시키는 제 1 패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에는 상기 제 2 패드홀과 대응되는 제 2 패드 결합홀, 상기 제 2 돌출프레임이 삽입되는 제 2 프레임 삽입부, 상기 제 2 프레임홀과 대응되는 제 2 프레임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 결합홀 및 상기 제 2 프레임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 2 돌출프레임을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에 결합시키는 제 2 프레임 결합부재와, 상기 제 2 패드 결합홀과 상기 제 2 패드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 2 패드몸체를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에 결합시키는 제 2 패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안착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가공물이 진입되는 영역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가공물이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가공물과 맞닿는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이 탄성력을 가지는 우레탄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가공물이 이송되어 보관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이 우레탄으로 제작됨으로써 가공물의 손상 및 파손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경제적인 손실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공물 안착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과 안착패드 지지유닛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공물 안착장치를 상부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은 제 1 안착패드(2100)와 제 2 안착패드(2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안착패드(2100)는 가공물(p)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전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물(p)이 손상 및 파손 없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공물(p)은 강봉 및 파이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안착패드(2100)는 경사 유입부(2110), 제 1 패드몸체(2130), 그리고 제 1 돌출프레임(2150)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 유입부(2110)는 외부에 배치된 가공물 이송유닛(10)에서 전달되는 가공물(p)이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일정한 경사를 가지며, 상기 가공물(p)이 낙하에 의한 충격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경사 유입부(2110)의 기울기 정도는 상기 가공물 이송유닛(10)의 기울기와, 상기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 곡면형상의 기울기를 고려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니 아니하며, 상기 경사 유입부(2110)는 곡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패드몸체(2130)는 상기 경사 유입부(2110)에서 직선으로 연장형성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제 1 패드몸체(2130)는 수용되는 가공물(p)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곡면을 이루며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패드몸체(2130)에는 외부 구조물, 예를 들면 안착패드 지지유닛(300)과의 결합을 위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패드홀(2131)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패드홀(2131)은 상기 제 1 패드몸체(2130)의 크기 및 두께에 따라 그 갯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프레임(2150)은 상기 경사 유입부(2110)의 하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300)과 결합된다.
상기 제 1 돌출프레임(2150)에는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300)과의 결합을 위한 제 1 프레임홀(2151)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돌출프레임(2150)이 상기 제 1 안착패드(2100)에 포함되어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300)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 안착패드(2100)와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300)과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안착패드(2300)는 상기 제 1 안착패드(2100)와 연결되며, 상기 가공물(p)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후단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안착패드(2300)는 경사부(2310), 제 2 패드몸체(2330), 그리고 제 2 돌출프레임(2350)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부(2310)는 상기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에 적층된 가공물(p)이 일정기준 이상의 높이를 가지며 적층되었을 때, 상기 제 2 안착패드(2300)에 형성된 각에 의하여 상기 가공물(p)이 손상되지 않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패드몸체(2330)는 상기 경사부(2310)에서 연장되어 오목한 곡면을 가지며 형성된다. 상기 제 1 패드몸체(2130)와 상기 제 2 패드몸체(233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측에는 상기 가공물 이송유닛(10)에서 이송되는 가공물(p)이 적층된다.
상기 제 2 패드몸체(2330)에는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300)과의 결합을 위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제 2 패드홀(2331)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패드홀(2331)은 상기 제 2 패드몸체(2330)의 크기 및 두께에 따라 그 갯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돌출프레임(2350)은 상기 경사부(2310) 하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300)과 결합된다.
상기 제 2 돌출프레임(2350)에는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300)과의 결합을 위한 제 2 프레임홀(2351)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돌출프레임(215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돌출프레임(2350)은 상기 제 2 안착패드(2300)에 포함되어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300)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2 안착패드(2300)와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300)과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패드(2100)와 상기 제 2 안착패드(2300)는 우레탄 재질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니 아니하며, 상기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은 이송되어 적층되는 가공물(p)이 받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지며, 일정 충격 및 하중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300)은 상기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과 결합되되, 상기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과 형상이 대응되며 밀착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공물 안착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가공물 안착장치는 가공물 이송유닛(10),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 그리고 안착패드 지지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가공물 이송유닛(10)은 이전 단계에서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p)을 상기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으로 이송한다.
상기 가공물(p)은 강봉 및 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 가공물(p)이 상기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공물 이송유닛(10)은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공물(p)은 A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경사 유입부(2110)를 지나 상기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으로 안착된다.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300)에는 상기 제 1 패드홀(2131)과 대응되는 제 1 패드 결합홀(350), 상기 제 2 패드홀(2331)과 대응되는 제 2 패드 결합홀(37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300)에는 상기 제 1 돌출프레임(2150)이 삽입되는 제 1 프레임 삽입부(310)와, 상기 제 2 돌출프레임(2350)이 삽입되는 제 2 프레임 삽입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프레임 삽입부(310)가 형성된 영역의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300)에는 상기 제 1 프레임홀(2151)과 대응되는 제 1 프레임 결합홀(3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프레임 삽입부(330)가 형성된 영역의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300)에는 상기 제 2 프레임홀(2351)과 대응되는 제 2 프레임홀(2351)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가공물 안착장치는 제 1 패드 결합부재(410), 제 2 패드결합부재, 제 1 프레임 결합부재 및 제 2 프레임 결합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패드 결합부재(410)는 상기 제 1 패드 결합홀(350) 및 상기 제 1 패드홀(2131)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 1 안착패드(2100)를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300)에 밀착되도록 결합시킨다.
상기 제 1 패드 결합부재(410)는 상기 제 1 패드 결합홀(350) 및 상기 제 1 패드홀(2131)을 관통하는 제 1 볼트(411)와,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300) 외부에 배치되되,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300)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 1 볼트(411)와 결합하는 제 1 너트(41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볼트(411)와 상기 제 1 너트(413)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 1 안착패드(2100)와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300)이 결합된다.
상기 제 2 패드 결합부재(430)는 제 2 볼트(431)와 제 2 너트(433)를 포함하며, 이는 각각 상술한 제 1 볼트(411) 및 제 1 너트(413)와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1 프레임 결합부재는 상기 제 1 프레임 결합홀(311) 및 상기 제 1 프레임 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 1 돌출프레임(2150)을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300)에 결합시킨다.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에 대하여 상기 제 1 돌출프레임(2150)과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300)이 서로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상기 제 1 돌출프레임(2150)과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300)이 맞닿는 영역에 완충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제 1 돌출프레임(2150)과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300)의 결합을 진행함으로써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의 전달을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돌출프레임(2150)과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300)간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2 프레임 결합부재는 상술한 제 1 프레임 결합부재와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은 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300)에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의 마모 및 손상 등이 발생할 경우에 상기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만을 별도로 교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10: 가공물 이송유닛 2100: 제 1 안착패드
2110: 경사 유입부 2130: 제 1 패드몸체
2131: 제 1 패드홀 2150: 제 1 돌출프레임
2151: 제 1 프레임홀 2300: 제 2 안착패드
2310: 경사부 2330: 제 2 패드몸체
2331: 제 2 패드홀 2350: 제 2 돌출프레임
2351: 제 2 프레임홀 300: 안착패드 지지유닛
310: 제 1 프레임 삽입부 311: 제 1 프레임 결합홀
330: 제 2 프레임 삽입부 331: 제 2 프레임 결합홀
350: 제 1 패드 결합홀 370: 제 2 패드 결합홀
410: 제 1 패드 결합부재 411: 제 1 볼트
413: 제 1 너트 430: 제 2 패드 결합부재
431: 제 2 볼트 433: 제 2 너트
p: 가공물

Claims (9)

  1.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 그리고
    상기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과 결합되되, 상기 가공물 안착 패드유닛과 형상이 대응되어 밀착배치되는 안착패드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가공물 안착패드유닛은,
    가공물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전단부에 배치되어 오목한 곡면을 형성하며, 가공물의 안착과정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제 1 안착패드; 그리고
    상기 제 1 안착패드와 연결되며, 상기 가공물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후단부에 배치되는 제 2 안착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안착패드는 상기 가공물이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유입부, 상기 경사 유입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제 1 패드몸체, 그리고 상기 경사 유입부의 하단에서 돌출되는 제 1 돌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드몸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패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돌출프레임에는 외부 구조물과의 결합을 위한 제 1 프레임홀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에는 상기 제 1 패드홀과 대응되는 제 1 패드 결합홀, 상기 제 1 돌출프레임이 삽입되는 제 1 프레임 삽입부, 그리고 상기 제 1 프레임홀과 대응되는 제 1 프레임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프레임 결합홀 및 상기 제 1 프레임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 1 돌출프레임을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에 결합시키는 제 1 프레임 결합부재, 상기 제 1 패드 결합홀과 상기 제 1 패드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 1 패드몸체를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에 결합시키는 제 1 패드 결합부재 및 상기 제 1 돌출프레임과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이 맞닿는 영역에 삽입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안착패드와 상기 제 2 안착패드는 우레탄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안착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착패드는 적층된 가공물이 손상되지 않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와 연장되어 오목한 곡면이 형성된 제 2 패드몸체, 그리고 상기 경사부 하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과 결합되는 제 2 돌출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패드몸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 2 패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돌출프레임에는 상기 외부 구조물과의 결합을 위한 제 2 프레임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안착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에는 상기 제 2 패드홀과 대응되는 제 2 패드 결합홀, 상기 제 2 돌출프레임이 삽입되는 제 2 프레임 삽입부, 상기 제 2 프레임홀과 대응되는 제 2 프레임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안착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 결합홀 및 상기 제 2 프레임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 2 돌출프레임을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에 결합시키는 제 2 프레임 결합부재와, 상기 제 2 패드 결합홀과 상기 제 2 패드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 2 패드몸체를 상기 안착패드 지지유닛에 결합시키는 제 2 패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물 안착장치.
KR2020160004067U 2016-07-14 2016-07-14 가공물 안착장치 KR200485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067U KR200485920Y1 (ko) 2016-07-14 2016-07-14 가공물 안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067U KR200485920Y1 (ko) 2016-07-14 2016-07-14 가공물 안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265U KR20180000265U (ko) 2018-01-25
KR200485920Y1 true KR200485920Y1 (ko) 2018-03-13

Family

ID=61280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067U KR200485920Y1 (ko) 2016-07-14 2016-07-14 가공물 안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920Y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1595A (ja) * 1993-08-24 1995-03-07 Jujo Higashi Dan Board Kk 管体の収納装置
KR100457014B1 (ko) 2002-10-30 2004-11-10 주식회사 디엠씨테크 금속파이프의 단부 가공장치
JP2006273464A (ja) * 2005-03-28 2006-10-12 Toyoda Suchiirusentaa Kk 積付情報作成装置、これを用いる積付情報作成方法、輸送容器への搬送物搬入方法、流通管理システム、並びにそれらに用いる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265U (ko)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3479B1 (ko) 피가공물 이송 장치
KR101397636B1 (ko) 연삭반
US11000903B2 (en) Blade, tool and method of grooving a metallic workpiece
KR101481053B1 (ko) 가공 장치 및 버 제거 장치
KR200485920Y1 (ko) 가공물 안착장치
CN205437203U (zh) 弹簧夹头
KR200477443Y1 (ko) 칩 이송용 스크류
CZ301931B6 (cs) Protahovací nástroj a protahovací desticka
CN114713867B (zh) 刀片座
JP7015937B2 (ja) シュート
KR102248023B1 (ko) 머시닝 센터
CN211866624U (zh) 夹紧支架
CN213003747U (zh) 一种基于数控加工中心用缓冲底座
JP5845315B2 (ja) チップコンベアを備えた工作機械
CN111055186B (zh) 一种搓球自动上料装置
KR101459221B1 (ko) 깊은 홀 가공을 위한 드릴
KR102313466B1 (ko) 승용차용 서스펜션에 장착되는 미들튜브 제조 설비
JP7138449B2 (ja) 部品集積装置
JP5822438B2 (ja) 保持具
CN218798417U (zh) 一种螺旋钢管自动弯曲设备
KR101508113B1 (ko) 팁 일체형 바이트
KR102553333B1 (ko) 금속 가공 장치용 고정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 가공장치
CN215035692U (zh) 一种锯床加工的液压固定工装
KR102266635B1 (ko) 스테인레스 스틸 디-커팅을 위한 브로치 커터 시스템
JP6351031B2 (ja) ワーク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