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708Y1 - 과일용 포장재 - Google Patents
과일용 포장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5708Y1 KR200485708Y1 KR2020170003481U KR20170003481U KR200485708Y1 KR 200485708 Y1 KR200485708 Y1 KR 200485708Y1 KR 2020170003481 U KR2020170003481 U KR 2020170003481U KR 20170003481 U KR20170003481 U KR 20170003481U KR 200485708 Y1 KR200485708 Y1 KR 20048570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partition wall
- folding
- body portion
- w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65D85/34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having a meshed or apertured closure to allow contents to breath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 접이식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제품 정보(여기서, 제품 정보는 제품명, 표장, 상표, 제품 설명문구, 인증마크, 인증정보, 개수, 생산자, 연락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함)을 갖는 원자재를 접어서, 포장하려는 제품을 담기 위해서 상부가 개방된 용기 또는 트레이 형상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원자재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커버 체결 구멍부; 및 상기 본체부에 제공되는 한 쌍의 격벽 절개선 사이의 원자재 부위가 눌러질 때, 격벽 접이선을 기준으로 상기 원자재 부위가 접혀짐에 따라서 만들어지는 접이식 격벽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원터치 접이식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레이, 바스켓, 패키지, 용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만들어져서, 과일을 격리하면서 소포장 또는 개별 포장 형태로 보관할 수 있는 과일용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숭아, 사과, 배와 같은 과일들은 상자에 담긴 상태로 보관되거나 운반된다. 한편, 상술한 과일들이 그대로 상자에 담겨 보관 혹은 운반되면 그 과정에서 상호 인접한 과일들끼리 서로 접촉하거나 부딪힐 수 있으며, 접촉 또는 부딪힌 부위가 손상되어 과일의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소포장 패키지에 담긴 과일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숭아, 사과, 배와 같은 과일들은 종이 혹은 망사 형태의 스티로폼 등으로 개별적으로 감싸진 상태로 소포장 패키지에 담긴다.
이에, 최근에는 과일들이 서로 접촉하거나 부딪히는 것에 의한 과일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자 내부에 과일 안치대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합성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되는 과일 안치대는 통상 복숭아, 사과 또는 배와 같은 과일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반구 형상의 과일 안치홈이 일정 배열로 배치된다.
그러나, 상술한 과일 안치대에 형성되는 과일 안치홈은 그 크기가 성형 당시의 지름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안치홈 보다 크거나 작은 크기를 가지는 과일의 경우에, 과일이 안치홈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없어서 과일이 안치홈의 입구에 걸치거나 안치홈에서 놀기 때문에, 과일이 짓눌림 또는 부딪힘으로 인한 손상 및 손상에 따른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다.
본 고안은 커버부와 본체부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본체부의 내부에서 과일을 격리시키기 위한 접이식 격벽부를 원터치식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과일용 포장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품 정보(여기서, 제품 정보는 제품명, 표장, 상표, 제품 설명문구, 인증마크, 인증정보, 개수, 생산자, 연락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함)를 갖는 골판지를 접어서, 완충재에 의해 감싸진 과일을 담기 위해서 상부가 개방된 용기 또는 트레이 형상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골판지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커버 체결 구멍부; 및 상기 본체부에 제공되는 한 쌍의 격벽 절개선 사이의 골판지 부위가 눌러질 때, 격벽 접이선을 기준으로 상기 골판지 부위가 접혀짐에 따라서 만들어지는 접이식 격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커버 체결 구멍부에 커버부의 테두리 돌기부를 끼워서, 상기 본체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개방된 본체부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이식 격벽부는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바닥 접이선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위쪽 경사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 1 서브 격벽부; 상기 제 1 서브 격벽부의 끝단에 해당하는 상기 격벽 접이선으로부터 상기 바닥면과 평행한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 2 서브 격벽부; 및 상기 제 2 서브 격벽부와 상기 본체부의 측면의 측면 접이선 사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서브 격벽부의 폭에 비하여 점차적으로 증가된 폭을 갖는 부채꼴 형태의 제 3 서브 격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접이식 격벽부에 대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과 측면 사이의 코너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절개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접이식 격벽부가 쌍을 이루어서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접이식 격벽부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는 접이식 격벽부의 쌍은 제품 개수에 대응하게 단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 해당하고, 포장하려는 제품의 개수 및 배치 간격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고, 상기 접이식 격벽부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8각형 중심판부; 상기 본체부의 좌 측면 또는 우 측면이 되도록, 상기 중심판부의 좌우측 코너 접이선과 경계를 이루고, 상기 접이식 격벽부의 타측 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 1 날개부; 상기 본체부의 정면 또는 배면이 되도록, 상기 중심판부의 전후측 코너 접이선과 경계를 이루고, 상기 제 1 날개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제 2 날개부; 상기 제 1 날개부의 양측변에 마련된 일측 벽면 접이선과 경계를 이루고, 상기 커버 체결 구멍부를 각각 구비하는 제 3 날개부; 상기 제 3 날개부 각각의 외측변에 마련된 타측 벽면 접이선과 경계를 이루고, 상기 제 1 날개부의 내표면에 접착되는 제 4 날개부; 및 상기 중심판부의 경사변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날개부의 끝단부에 제공되는 아치형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 접이선, 측면 접이선, 코너 접이선, 벽면 접이선 및 격벽 접이선은 V자 홈단면 형상의 패턴 홈부를 가지며, 상기 커버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환형 올레핀 중합체(cyclo olefin polymer, COP), 폴리카보네이트(PC) 및 폴리프로필렌(PP)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격벽 절개선 및 커버 체결 구멍부는 상대적으로 거친 표면 구조물 또는 버(burr) 형태의 뾰족한 부위를 가지고 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레이저 커팅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용 포장재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원터치 접이식 포장재에 의하면, 손가락으로 밀어 누르듯이 원터치 방식으로 접이식 절개부를 본체부에 형성함으로써, 별도로 격벽을 만들거나 결합시키거나 부착할 필요 없이 제품을 서로 격리할 수 있는 포장류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절개홀부 및 아치형 홈부가 본체부의 외부 또는 내부 공기를 교환시키는 벤트홀 또는 드레인홀이 되어서, 과일, 채소류 등의 제품에 대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커버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서, 제품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체결구멍부 및 테두리 돌기부에 의해서 커버부가 본체부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접이식 포장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부를 만들기 위한 원자재의 패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체부에서 접이식 격벽부를 형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부 및 커버부를 이용하여 제품을 포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응용예에 따른 다른 본체부를 만들기 위한 다른 원자재의 패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다른 본체부와 컵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부를 만들기 위한 원자재의 패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체부에서 접이식 격벽부를 형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부 및 커버부를 이용하여 제품을 포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응용예에 따른 다른 본체부를 만들기 위한 다른 원자재의 패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다른 본체부와 컵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접이식 포장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부를 만들기 위한 원자재의 패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체부에서 접이식 격벽부를 형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부 및 커버부를 이용하여 제품을 포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포장재(10)는 본체부(100), 커버 체결 구멍부(110), 접이식 격벽부(120), 아치형 홈부(130), 커버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장재(10)는 접어서 만들 수 있는 트레이, 바스켓, 패키지, 용기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대응한 패턴을 갖는 포장용 원자재로 만든 본체부(100)와, 본체부(100)에 착탈 가능한 커버부(2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100) 및 커버부(200)는 각각 해당 소재 또는 원료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만들어 진 후 단순 끼움 방식과 같은 조립을 통해서 완성품이 될 수 있다.
특히, 본체부(100)는 과일, 야채 등의 제품을 격리하면서 소포장 또는 개별 포장 형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본체부(100)를 형성하는 원자재는 골판지, 종이, 직물, 합성수지, 피비(PB; PARTICLE BOARD), 엠디에프(MDF; MEDIUM DENSITH FIBERBOARD), 에이치디에프(HDF; HIGH DENSITH FIBERBOARD), 하드폼 패널, 합판, 목재 집성판 및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체부(100)는 설명의 용이성 및 명확성을 위해서 과일 소포장 원터치 패키지의 형태로 제작된 것일 수 있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본체부(100)를 기준으로 본 실시예가 설명될 수 있을 뿐, 상기 형태의 패키지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예컨대, 본체부(100)는 1개 제품 포장인 경우, 폭과 길이가 동일하여, 평면 기준 정사각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체부(200)는 2개 또는 3개 제품 포장인 경우, 폭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제작되어서, 평면 기준 직사각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원자재의 접힘 또는 접착에 의해서, 본체부(100)가 만들어질 수 있다. 본체부(100)의 원자재의 외표면에는 제품 정보(여기서, 제품 정보는 제품명, 표장, 상표, 제품 설명문구, 인증마크, 인증정보, 개수, 생산자, 연락처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본체부(100)는 도 2에 도시된 패턴도와 같이 미리 절단 또는 재단된 원자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포장하려는 제품을 담기 위해서, 본체부(100)의 상부가 개방된 용기 또는 트레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부(100)의 원자재 패턴 또는 커버 체결 구멍부(110)는 레이저 커팅 또는 일반적인 프레스 커팅 등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특히, 격벽 절개선(101, 102)은 레이저 커팅에 의해서 만들어짐으로써, 상대적으로 거친 표면 구조물 또는 버(burr) 형태의 뾰족한 부위를 가지고 있지 않음으로써, 포장하려는 과일(20) 등의 제품 표면, 혹은 과일을 감싸고 있는 완충재(30)의 표면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4에소 복수개(예: 2개)의 과일(20)은 접이식 격벽부(120)를 기준으로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의 양측(예: 전방측 및 후방측)에 놓여질 수 있다.
커버 체결 구멍부(110)는 본체부(100)의 원자재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것으로서, 본체부(100)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 체결 구멍부(110)는 본체부(100)의 개방된 테두리의 아래쪽에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이때, 본체부(100)의 코너 부위 마다 형성되거나, 혹은 커버부(200)의 테두리 돌기부(210)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호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본체부(100)의 천공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접이식 격벽부(120)는 본체부(100)에 제공되는 한 쌍의 격벽 절개선(101, 102) 사이의 원자재 부위(예: 격벽 접이선(103)의 바깥쪽 부위)가 본체부(100)의 내측 방향으로 눌러질 때(도 3의 도면부호 F 참조), 격벽 접이선(103)을 기준으로 접이식 격벽부(120)를 구성하는 원자재 부위가 접혀짐에 따라서 만들어질 수 있다. 즉, 접이식 격벽부(120)는 본체부(100)를 기반으로 일체형으로 만들어지는 일종의 팝업형(pop-up type) 구조물 혹은 제품 격리 및 소포장으로 제품을 구획하기 위한 접이식 구조물일 수 있다.
본체부(100)는 포장재(10)를 완성하기 위한 탈부착 구성요소로서 커버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커버부(200)를 사출 성형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커버부(200)를 사출 성형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재는 투명 재질 또는 반투명 재질에 해당하는 광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커버부의 소재 또는 재질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환형 올레핀 중합체(cyclo olefin polymer, CO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커버부는 포장 업계에 널리 알려진 열가소성 플라스틱류, 실리콘 류, 합성수지재 군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정해질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언급된 재질은 단순히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언급된 것일 뿐, 접을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포장용 소재 또는 포장용 원자재라도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커버부(200)는 본체부(100)의 커버 체결 구멍부(110)에 커버부(200)의 테두리 돌기부(210)를 끼워서, 상기 본체부(10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커버부(200)는 개방된 본체부(100)의 상부를 덮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커버부(200)는 본체부(100)의 내부 또는 그 곳에 보관할 제품을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투명 재질 또는 반투명 재질로 사출 성형되어서, 해당 재질에 대응한 광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각각의 접이식 격벽부(120, 120a)는 본체부(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바닥 접이선(124)으로부터 상기 본체부(100)의 위쪽 경사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 1 서브 격벽부(121)를 포함한다.
각각의 접이식 격벽부(120, 120a)는 제 2 서브 격벽부(122), 및 제 3 서브 격벽부(123)를 포함한다.
제 2 서브 격벽부(122)는 제 1 서브 격벽부(121)의 끝단에 해당하는 상기 격벽 접이선(103)으로부터 상기 본체부(100)의 바닥면과 평행한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 3 서브 격벽부(123)는 제 2 서브 격벽부(122)와 본체부(100)의 측면의 측면 접이선(125) 사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 3 서브 격벽부(123)는 제 2 서브 격벽부(122)의 폭에 비하여 점차적으로 증가된 폭을 갖는 부채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 3 서브 격벽부(123)는 확장된 형상에 의해 본체부(100)의 측면에 대한 지지력 기반을 증대시켜서, 접이식 격벽부(120, 120a)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 3 서브 격벽부(123) 쪽에 해당하는 격벽 절개선(101, 102)의 곡선 부분은, 그의 절개 방향을 본체부(100)의 높이 방향에서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완만하게 변경시키기 때문에, 크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응력을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분산시켜서, 결과적으로 접이식 격벽부(120)의 구조적 파손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100)에 대한 도 3에 표기된 (a) 상태의 경우, 접이식 격벽부(120)가 팝업되어 본체부(100)의 내부로 돌출되기 전 상태일 수 있다. (b) 상태의 경우, 제작자의 손가락 또는 기타 누를 수 있는 기계적 수단에 의해서 접이식 격벽부(120)에 해당하는 원자재 부위가 검정색 작은 화살표(F)와 같은 방향으로 눌러질 수 있다. 이때, 눌러진 원자재 부위는 격벽 절개선(101, 102)에 의해 접힐 수 있는 상태이므로, 그 결과, 격벽 접이선(103)을 기준으로 접이식 격벽부(120)가 본체부(100)의 내부로 접혀서 돌출된 상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는 단순히 본체부(100)의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누르는 것만으로도, 접이식 격벽부(12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포장재의 제작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포장재의 제작 단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예컨대, 격벽 형성을 위하여 별도의 부자재를 부착하거나 별도로 결합할 필요가 없게 될 수 있다.
즉, 접이식 격벽부(120)는, 원자재 부위가 눌러질 때(도 3의 도면부호 F 참조), 격벽 접이선(103)을 기준으로 상기 원자재 부위가 접혀짐에 따라 만들어지는 팝업형(pop-up type) 제품 격리 또는 소포장 구획용 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이때, 본체부(100)는 접이식 격벽부(120)의 접힘 및 돌출에 대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100)의 바닥면과 측면 사이의 코너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절개홀부(140)를 포함한다.
절개홀부(140)의 구멍 형상은 접이식 격벽부(120)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절개홀부(140)의 구멍 형상은 접이식 격벽부(120)의 제 3 서브 격벽부(123)의 부채꼴 형태를 따르기 때문에, 부채꼴 형태 또는 곡선 형태의 미려한 디자인적 기능도 발휘할 수 있다.
절개홀부(140)는 벤트홀 또는 드레인홀로서 별도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접이식 격벽부(120)의 제작 또는 팝업에 의해 자동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홀일 수 있고, 기존에 통기홀 등을 별도로 만드는 포장재 제작 비용에 비하여, 본 실시예의 제작 비용은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이런 본체부(100)에 따르면, 접이식 격벽부(120)는 쌍(couple)을 이루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2에 보이듯이,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접이식 격벽부(120)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응용예에 따른 다른 본체부를 만들기 위한 다른 원자재의 패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다른 본체부와 컵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본체부(100a)의 사이즈가 큰 규격인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100a)에 마련되는 접이식 격벽부(120, 120a)의 쌍은 제품 개수에 대응하게 단수 또는 복수(예: 접이식 격벽부(120, 120a) 4개에 의한 2개 쌍)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접어 만드는 제조 방식에서 정의하는 것과 유사하게, 도 2 또는 도 5에 도시된 점선들은 바닥 접이선(124), 측면 접이선(125), 코너 접이선(104, 105), 벽면 접이선(106, 107) 등과 같이 안쪽 접이선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일점 쇄선은 격벽 접이선(103)과 같은 상기 안쪽 접이선의 접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접기 위한 바깥쪽 접이선을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안쪽 접이선 또는 바깥쪽 접이선은 접어지는 기준 라인 자체를 지칭할 뿐만 아니라, 원자재의 두께를 고려하여서, 원자재를 접을 수 있도록, 미리 가공된 V자 홈단면 형상의 패턴 홈부를 지칭할 수 있다.
본체부(100, 100a)는 그의 바닥면에 해당하고, 포장하려는 제품의 개수 및 배치 간격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 8각형 중심판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부(100, 100a)는 서로 대향 배치된 복수개의 날개부(151, 152, 153, 154)를 포함한다. 중심판부(150)는 바닥 접이선(124)을 기준으로 접이식 격벽부(120)의 일측 단부(예: 제 1 서브 격벽부(121))와 연결되어 있다.
예컨대, 도 2 또는 도 5의 패턴도 평면을 기준으로 할 때, 제 1 날개부(151)는 본체부(100, 100a)의 좌 측면 또는 우 측면이 되도록, 중심판부(150)의 좌우측 코너 접이선(104)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제 1 날개부(151)는 측면 접이선(125)을 기준으로 접이식 격벽부(120)의 타측 단부(예: 제 3 서브 격벽부(123))와 연결되어 있다.
제 2 날개부(152)는 본체부(100, 100a)의 정면 또는 배면이 되도록, 중심판부(150)의 전후측 코너 접이선(105)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제 2 날개부(152)는 제 1 날개부(151)와 동 일한 높이(H)를 가질 수 있다.
제 3 날개부(153)는 제 1 날개부(151)의 양측변에 마련된 일측 벽면 접이선(106)과 경계를 이루고, 커버 체결 구멍부(110)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제 4 날개부(154)는 제 3 날개부(153) 각각의 외측변에 마련된 타측 벽면 접이선(107)과 경계를 이루고, 상기 제 2 날개부(152)의 내표면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 100a)는 중심판부(150)의 경사변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날개부(153)의 끝단부에 제공되는 아치형 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의 포장재 접합 수단에 의해서, 제 4 날개부(154)의 외표면과 제 2 날개부(152)의 내표면의 사이에는 미 도시된 접착제 또는 양면접착제 등이 개재되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제 4 날개부(154)가 제 2 날개부(152)의 내표면에 접착되는 경우에는 아치형 홈부(130)는 중심판부(150)의 표면에 근접함으로써, 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즉, 아치형 홈부(130)는 외부 공기를 본체부(100, 100a)의 내부로 유입 또는 본체부(100, 100a)의 내부 공기를 본체부(100, 100a)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벤트홀 또는 드레인홀이 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는 과일 등을 소포장 하기 위한 포장 용기로서, 종이 또는 골판지로 이루어진 본체부(100, 100a)와 플라스틱 소재 등의 커버부(200)의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200)의 테두리 돌기부(210)는 커버부(200)의 상부 구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는 플랜지 구조물 형태로 제작되어 있다.
따라서, 테두리 돌기부(210)가 (100, 100a)의 커버 체결 구멍부(110)에 끼워질 경우, 사용자에 의한 커버 분리력이 작용되기 전까지, 본체부(100)와 커버부(200)가 상호 견고한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커버부(200)를 잡고 본체부(100, 100a)의 반대쪽 방향으로 잡아당길 경우, 사용자에 ?覃? 커버 분리력이 커버부(200)에 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200)는 탄성 범위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용이하게 커버부(200)의 테두리 돌기부(210)가 커버 체결 구멍부(110)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고, 그 결과 커버부(200)와 본체부(100)의 분리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접이식 격벽부(120, 120a)는 본체부(100, 100a)의 내부의 제품을 상호 격리 또는 구획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접이식 포장재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 포장재 100, 100a : 본체부
110 : 커버 체결 구멍부 120, 120a : 접이식 격벽부
130 : 아치형 홈부 200 : 커버부
110 : 커버 체결 구멍부 120, 120a : 접이식 격벽부
130 : 아치형 홈부 200 : 커버부
Claims (8)
- 제품 정보(여기서, 제품 정보는 제품명, 표장, 상표, 제품 설명문구, 인증마크, 인증정보, 개수, 생산자, 연락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함)를 갖는 골판지를 접어서, 완충재에 의해 감싸진 과일을 담기 위해서 상부가 개방된 용기 또는 트레이 형상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골판지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커버 체결 구멍부; 및
상기 본체부에 제공되는 한 쌍의 격벽 절개선 사이의 골판지 부위가 눌러질 때, 격벽 접이선을 기준으로 상기 골판지 부위가 접혀짐에 따라서 만들어지는 접이식 격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커버 체결 구멍부에 커버부의 테두리 돌기부를 끼워서, 상기 본체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개방된 본체부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이식 격벽부는,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바닥 접이선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위쪽 경사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 1 서브 격벽부;
상기 제 1 서브 격벽부의 끝단에 해당하는 상기 격벽 접이선으로부터 상기 바닥면과 평행한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 2 서브 격벽부; 및
상기 제 2 서브 격벽부와 상기 본체부의 측면의 측면 접이선 사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서브 격벽부의 폭에 비하여 점차적으로 증가된 폭을 갖는 부채꼴 형태의 제 3 서브 격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접이식 격벽부에 대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과 측면 사이의 코너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절개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접이식 격벽부가 쌍을 이루어서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접이식 격벽부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는 접이식 격벽부의 쌍은 제품 개수에 대응하게 단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 해당하고, 포장하려는 제품의 개수 및 배치 간격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고, 상기 접이식 격벽부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8각형 중심판부;
상기 본체부의 좌 측면 또는 우 측면이 되도록, 상기 중심판부의 좌우측 코너 접이선과 경계를 이루고, 상기 접이식 격벽부의 타측 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 1 날개부;
상기 본체부의 정면 또는 배면이 되도록, 상기 중심판부의 전후측 코너 접이선과 경계를 이루고, 상기 제 1 날개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제 2 날개부;
상기 제 1 날개부의 양측변에 마련된 일측 벽면 접이선과 경계를 이루고, 상기 커버 체결 구멍부를 각각 구비하는 제 3 날개부;
상기 제 3 날개부 각각의 외측변에 마련된 타측 벽면 접이선과 경계를 이루고, 상기 제 1 날개부의 내표면에 접착되는 제 4 날개부; 및
상기 중심판부의 경사변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날개부의 끝단부에 제공되는 아치형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 접이선, 측면 접이선, 코너 접이선, 벽면 접이선 및 격벽 접이선은 V자 홈단면 형상의 패턴 홈부를 가지며,
상기 커버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환형 올레핀 중합체(cyclo olefin polymer, COP), 폴리카보네이트(PC) 및 폴리프로필렌(PP)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격벽 절개선 및 커버 체결 구멍부는,
상대적으로 거친 표면 구조물 또는 버(burr) 형태의 뾰족한 부위를 가지고 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레이저 커팅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용 포장재.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3481U KR200485708Y1 (ko) | 2017-07-05 | 2017-07-05 | 과일용 포장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3481U KR200485708Y1 (ko) | 2017-07-05 | 2017-07-05 | 과일용 포장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5708Y1 true KR200485708Y1 (ko) | 2018-02-12 |
Family
ID=61282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3481U KR200485708Y1 (ko) | 2017-07-05 | 2017-07-05 | 과일용 포장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5708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3614B1 (ko) * | 2019-08-09 | 2019-11-12 | 김유창 | 포장상자 |
KR102314151B1 (ko) * | 2021-04-02 | 2021-10-18 | 최상호 | 임의 구획에 의한 개별 보관형 과일 포장재 |
KR20230128663A (ko) | 2022-02-28 | 2023-09-05 | 곽영철 | 과일 포장 용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60430A (ko) | 2002-12-30 | 2004-07-06 | 전자빔기술센터 주식회사 | 마이크로컬럼의 엑스트렉터 및 엑스트렉터 구경과 전자방출원의 정렬방법 |
JP2006290437A (ja) * | 2005-04-13 | 2006-10-26 | Max Co Ltd | 製品収納用トレー |
KR20090103496A (ko) * | 2008-03-28 | 2009-10-01 | 주식회사 조은테크팩 | 포장용 상자 |
JP2011037507A (ja) * | 2009-08-18 | 2011-02-24 | Taihei Shiki Kk | 食品等の包装容器 |
-
2017
- 2017-07-05 KR KR2020170003481U patent/KR200485708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60430A (ko) | 2002-12-30 | 2004-07-06 | 전자빔기술센터 주식회사 | 마이크로컬럼의 엑스트렉터 및 엑스트렉터 구경과 전자방출원의 정렬방법 |
JP2006290437A (ja) * | 2005-04-13 | 2006-10-26 | Max Co Ltd | 製品収納用トレー |
KR20090103496A (ko) * | 2008-03-28 | 2009-10-01 | 주식회사 조은테크팩 | 포장용 상자 |
JP2011037507A (ja) * | 2009-08-18 | 2011-02-24 | Taihei Shiki Kk | 食品等の包装容器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3614B1 (ko) * | 2019-08-09 | 2019-11-12 | 김유창 | 포장상자 |
KR102314151B1 (ko) * | 2021-04-02 | 2021-10-18 | 최상호 | 임의 구획에 의한 개별 보관형 과일 포장재 |
KR20230128663A (ko) | 2022-02-28 | 2023-09-05 | 곽영철 | 과일 포장 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85708Y1 (ko) | 과일용 포장재 | |
US8596520B2 (en) | Waterproof and anti-wicking corrugated container | |
US2076844A (en) | Collapsible container | |
EP2976268B1 (en) | Manufacturing process of a flexible lightweight container | |
EP3184459B1 (en) | Shipping container convertible into a display configuration | |
CA2635275A1 (en) | Stackable corrugated box | |
KR101752371B1 (ko) | 포장박스 | |
KR101666487B1 (ko) | 접이식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박스 | |
KR102314151B1 (ko) | 임의 구획에 의한 개별 보관형 과일 포장재 | |
US6935557B2 (en) | Separable bowl forming carton | |
CN105775310B (zh) | 一种衬垫一体包装盒 | |
US8875984B2 (en) | Knock-down packaging apparatus | |
KR200402875Y1 (ko) | 식품포장용기 | |
KR101883072B1 (ko) | 포장용 박스 | |
US8413879B2 (en) | Drawer front container and associated container blank | |
KR200476581Y1 (ko) | 포장 상자용 덮개 | |
JP4060933B2 (ja) | 緩衝機能付き包装体 | |
KR101191090B1 (ko) | 포장용 박스 | |
CN210213061U (zh) | 多用途瓦楞纸果蔬包装盒 | |
CN213566965U (zh) | 一种分格隔挡的屋顶式包装盒 | |
JP3225944U (ja) | 環境に優しい食品収納容器。 | |
CN216070983U (zh) | 盲盒及盲盒包装 | |
JP5333055B2 (ja) | 鏡餅セットおよび鏡餅用台 | |
KR20160041656A (ko) | 계란용 포장상자 | |
JP2006224967A (ja) | 積み重ね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