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487B1 - 접이식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접이식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487B1
KR101666487B1 KR1020150077326A KR20150077326A KR101666487B1 KR 101666487 B1 KR101666487 B1 KR 101666487B1 KR 1020150077326 A KR1020150077326 A KR 1020150077326A KR 20150077326 A KR20150077326 A KR 20150077326A KR 101666487 B1 KR101666487 B1 KR 101666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ut
packaging box
folded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현
정지훈
송의동
백 진 김
Original Assignee
송의동
유하정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의동, 유하정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의동
Priority to KR1020150077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8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closure flaps, by closure flaps or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포장박스의 각 면 상부에 위치한 제 1, 2, 3, 4 상부 판지를 접어 포갠 상태에서 제 2, 4 상부 판지에 형성된 제 1, 2 절취편을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 개방된 절취공으로 제 1. 3 상부 판지에 형성된 제 1, 2 손잡이 편을 삽입 인출하여 수직방향으로 손잡이를 조립할 수 있어 제조업체는 포장박스를 자동화 공정으로 조립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물론 1회용 커피 스틱, 음료, 케익 등 포함한 다양한 물품을 포장하는 것을 특징을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박스{The package box equipped with the retractable handle}
본 발명은 포장박스를 구성하는 좌측면, 정면, 우측면, 배면 상부에는 접철 가능하도록 각각 연장된 제 1, 2, 3, 4 상부 판지중 제 1, 3 상부 판지에는 제 1, 2 손잡이 편이 형성되고, 제 2, 4 상부 판지에는 제 1, 2 절취편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 1 상부 판지를 접은 다음 그 위에 제 3 상부판지를 접어 제 1, 2 손잡이 편이 포개진 상태에서 제 2 상부 판지를 접은 후 그 위에 제 4 상부판지를 접어서 제 1, 2 절취편이 포개지도록 접어 포장박스 상부를 밀폐한 다음, 소비자가 포장박스를 용이하게 들고 다닐 수 있도록 손잡이를 조립하기위해서는 절취선을 따라 제 1, 2 절취편이 접철되도록 절취하여 제 2, 4 상부판지에 형성된 제 2, 4 절취공으로 제 1, 2 손잡이 편을 상부방향으로 인출하여 수직으로 접은 다음 제 1, 2 절취편을 원상태로 복귀시켜 제 2, 4 절취공을 밀폐하고, 제 1, 2 손잡이 편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손잡이를 조립하는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제 1, 2 절취편을 상부 방향으로 접어서 제 2, 4 절취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4 절취공의 하부에서 제 1, 2 손잡이 편을 상부 방향으로 인출하여 수직으로 접는 단계와, 제 1, 2 절취편을 수평으로 원상 복귀시켜 제 2, 4 절취공을 밀폐 및 지지하는 단계로 손잡이를 조립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합성수지 재질의 손잡이를 끼움 결합하거나 비닐 등을 부착하지 않아 포장박스를 자동화 공정으로 조립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1회용 커피 스틱, 음료, 케익 등을 포함한 다양한 물품을 포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는 그 재질에 있어서의 다양성만큼이나 다양한 용도와 형태를 가지며 지(紙)류에 의한 포장박스는 일반적으로 단가와 제조의 용이성 및 중량 대비 효율성이 뛰어나 내부에 1회용 커피 스틱, 음료수 등을 포함한 물품을 일정 수량만큼 담아서 포장하기 위한 용도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포장박스는 휴대나 이동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포장박스로 완성된 이후, 다시 수요자들에 의해 의도한 형태로 변형되어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한편, 종래 실시 예로 손잡이가 구비되는 포장박스를 기술하면, 제 1 실시 예로는 음료수 등을 병이나 팩 형태로 일정 수량만큼 담아서 포장하기 위한 용도로서 많이 사용되는 포장박스는 상단에 절취되거나 절개되어 손잡이를 형성하는 장 측 판체가 대칭되게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장 측 판체는 서로 포개져 있는 형태로 내 측 상단부와 외 측 하단부가 인접한 일면에 접착제나 테이프 등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접착제나 테이프 등으로 접착된 장 측 판체를 분리한 후, 일부를 굳힘 접합하여 손잡이를 형성하는 부분을 맞대게 되면 휴대가 용이한 손잡이가 마련된 포장박스가 완성되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장측 판체와 인접 각을 이루는 단측 판체에 고정공을 파공하여 접합된 장 측 판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다음 고정공에 부분 삽입되는 장 측 판체의 삽입 면에 홈을 형성하여 걸림턱을 마련함으로써, 휴대시에는 고정공으로 삽입된 장 측 판체의 걸림 턱에 고정됨으로써, 손잡이 부분이 분리되지 않고 이동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포장박스는 상부에 장측 판체와 단측 판체가 적층되어 접착된 상태에서 장측 판체와 단측 판체를 분리한 다음 장측 판체 양측에 단측 판체를 사선방향으로 끼움 결합하여 손잡이를 조립하면 포장박스 상부 전체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손잡이를 형성하므로 인해 디자인적으로 단정하지 못해 미려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구조는 소비자가 손잡이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장 판체에 의해 단측 판체에 형성된 고정공이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제 2 실시 예로 포장박스는 각 면 상부에 위치한 제 1, 2, 3, 4 상부 판지를 순차적으로 접어서 포갠 상태로 접착하고, 상기 적층된 상부 판지 상면 양쪽으로 통공되게 걸이공을 형성한 다음 합성수지 재질에 띠 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를 별도로 마련한 다음 걸이공으로 손잡이 양측으로 끼움 결합한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판지에 밀착된 손잡이를 잡아당겨 포장박스를 들고다닐 수 있으며 포장박스 상면에서 손잡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평면 상태를 유지하여 디자인적으로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포장박스는 자동화공정으로 포장박스를 제조한 다음 합성수지 재질에 띠 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를 별도로 마련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손잡이 양단을 걸이공에 끼움 조립하기 때문에 작업공정이 추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제 3 실시 예로 포장박스의 상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게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포장박스 상판 중앙에서 좌우 대칭되게 손잡이 편을 형성하도록 일부를 절개한 다음 손잡이 편을 마주하게 수직으로 접어서 손잡이를 형성하고, 손잡이 편을 상판에서 수직으로 접으면 상판에는 손잡이 편을 따라 형성된 절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공에는 포장박스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위하여 비닐을 부착하여 밀폐한다.
그러나 상기 포장박스는 상판에서 일부만 한 쌍의 손잡이 편이 접어지고 나머지는 부분은 평면 상태를 유지하여 디자인으로 심플하여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으나 절개공을 밀폐하기 위해 별도로 비닐을 부착하는 공정이 추가되어 작업성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제1999 -0025410호 "제품 포장용 포장박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손잡이를 조립할 수 있는 포장박스를 자동화공정으로 조립한 다음, 소비자가 필요에 따라 간단한 방식으로 직접 손잡이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제조업체는 손잡이를 포함한 포장박스의 제조공정이 자동화되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와 달리 합성수지 재질의 손잡이와 비닐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인 제품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포장박스는 각 면 상부 판지를 포개어 적층한 다음 접착 고정한 상태에서 소비자가 직접 손잡이를 조립하기 때문에 조립성,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제품에 적용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포장박스를 구성하는 좌측면, 정면, 우측면, 배면 상부에는 접철 가능하도록 각각 연장된 제 1, 2, 3, 4 상부 판지중 제 1, 3 상부 판지에는 제 1, 2 손잡이 편이 형성되고, 제 2, 4 상부 판지에는 제 1, 2 절취편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 1 상부 판지를 접은 다음 그 위에 제 3 상부판지를 접어 제 1, 2 손잡이 편이 포개진 상태에서 제 2 상부 판지를 접은 후 그 위에 제 4 상부판지를 접어서 제 1, 2 절취편이 포개지도록 접어 포장박스 상부를 밀폐한 다음, 소비자가 포장박스를 용이하게 들고 다닐 수 있도록 손잡이를 조립하기위해서는 절취선을 따라 제 1, 2 절취편을 접철되도록 절취하여 제 2, 4 상부판지에 형성된 제 2, 4 절취공으로 제 1, 2 손잡이 편을 상부방향으로 인출하여 수직으로 접은 다음 제 1, 2 절취편을 수평인 원상태로 복귀시켜 제 2, 4 절취공을 밀폐하고, 제 1, 2 손잡이 편을 지지하는 접이식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박스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조업체가 손잡이를 조립할 수 있는 포장박스를 자동화공정으로 생산하고, 소비자가 직접 필요에 따라 포장박스에서 손잡이를 조립하여 사용함으로써 포장박스의 제조공정이 자동화되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박스 각 면 상부에 위치한 제 1, 2, 3, 4 상부 판지를 포개어 적층한 다음 접착제로 고정한 후 제 2, 4 상부 판지에 형성된 절취편을 들어올려 형성된 제 2, 4 절취공으로 제 1, 3 상부 판지에 형성된 제 1, 2 손잡이 편을 삽입 인출하여 수직으로 접어서 손잡이를 형성하고, 제 1, 2 절취편을 원래대로 수평으로 복귀시켜 제 2, 4 절취공을 밀폐한 다음 제 1, 2 손잡이 편을 지지함으로 인해 포장박스 내부에 위치한 물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손잡이의 내구성 및 견고함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포장박스는 합성수지의 손잡이와 비닐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 포장박스를 사용 후에는 폐기가 용이하여 환경친화적인 제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 포장박스는 1회용 커피 스틱, 음료, 케익 등 포함한 다양한 물품을 포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포장박스를 도시해 보인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 포장박스의 조립되는 순서를 도시해 보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 포장박스에서 손잡이를 조립하는 순서를 도시해 보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 포장박스에서 손잡이가 조립된 후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포장박스에서 손잡이의 조립된 상태를 확대해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포장박스에서 개구부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포장박스의 다른 실시 예로 덮개기능과 한 개의 절취편이 형성된 포장박스를 도시해 보인 전개도.
도 8은 본 발명 포장박스에서 한 개의 손잡이 편과 두 개의 절취편을 도시해 보인 전개도.
도 9는 본 발명 포장박스에서 상판을 접착하지 않을 경우, 접철된 상부판지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편과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도시해 보인 전개도.
도 10은 본 발명 포장박스에서 인출방지 차단판이 형성된 것을 도시해 보인 전개도.
도 11은 도 10 포장박스의 조립되는 순서를 도시해 보인 순서도.
도 12는 도 10 포장박스에서 손잡이를 조립하는 순서를 도시해 보인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 포장박스의 다른 실시 예로 손잡이 편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손잡이를 형성된 것을 도시해 보인 전개도.
도 14는 도 13 포장박스의 조립되는 순서를 도시해 보인 순서도.
도 15는 도 13 포장박스에서 손잡이를 조립하는 순서를 도시해 보인 순서도.
도 16은 도 13 포장박스에 손잡이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포장박스를 도시해 보인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포장박스에서 손잡이가 조립된 후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 포장박스(1)는 하나의 판지를 좌측면, 정면, 우측면, 배면으로 구획하여 사각형상으로 접을 수 있도록 각 면을 형성한 다음, 좌측면 상부에는 제 1 상부 판지(13)와 정면 상부에는 제 2 상부 판지(14)와 우측면 상부에는 제 3 상부 판지(15)와 배면 상부에는 제 4 상부 판지(16)가 접철 가능하도록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 1, 3 상부 판지(13, 15)에는 절취선을 따라 일부가 절취되어 접철 가능한 제 1, 2 손잡이 편(3, 4)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1, 2 손잡이 편(3, 4)을 접철하면 제 1 , 3 상부 판지(13, 15)에는 제 1, 3 절취공(7, 9)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3 상부 판지(13, 15)의 제 1, 3 절취공(7, 9)에는 제 1, 2 받침편(11, 12)이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 손잡이(2)를 조립한 후 제 1, 2 절취편(5, 6)을 원위치시켜 포장박스(1)를 다시 밀폐시킬 때, 제 1, 2절취편(5, 6)이 포장박스(1) 내부까지 들어가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 2, 4 상부 판지(14, 16)에는 절취선을 따라 일부가 절취되어 접철되는 제 1, 2 절취편(5, 6)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2 절취편(5, 6)을 상부방향으로 접철하면 제 2, 4 상부 판지(14, 16)에는 제 2, 4 절취공(8, 10)이 각각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제조공장에서 포장박스(1)의 상부 방향으로 물품을 삽입한 후 각 면 상부에 위치한 제 1, 2, 3, 4 상부 판지(13, 14, 15, 16)를 서로 포개어 접착 고정한 다음 상부가 밀폐된 포장박스(1)를 조립하여 생산하면 소비자가 필요에 따라 포장박스(1)에서 손잡이(2)를 조립하는 구조이다.
도 3은 본 발명 포장박스에서 손잡이를 조립하는 순서를 도시해 보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포장박스에서 손잡이가 조립된 후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포장박스에서 손잡이의 조립된 상태를 확대해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포장박스에서 개구부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포장박스(1) 내부에서 물품을 인출하기 위해 손잡이(2)가 형성된 상부를 개봉하거나, 포장박스(1)의 정면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17)에서 절취편을 제거하여 개방된 개구부(17)를 통해 물품을 인출한다.
따라서 포장박스(1)는 좌측면, 정면, 우측면, 배면의 각 면을 수직으로 접어 사각형상으로 형성한 다음 배면 일측에 형성된 접착편(22)을 좌측면 내측으로 밀착한 다음 접착제로 접착한다.
상기 포장박스(1) 상부에 위치한 제 1, 2, 3, 4 상부 판지(13, 14, 15, 16)중 제 1, 3 상부 판지(13, 15)에는 제 1, 2 손잡이 편(3, 4)이 형성되고, 제 2, 4 상부 판지(14, 16)에는 제 1, 2 절취편(5, 6)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 1 상부 판지(13)를 접은 다음 그 위에 제 3 상부 판지(15)를 접어 제 1, 2 손잡이 편(3, 4)이 포개진 상태에서 제 2 상부 판지(14)를 접은 후 그 위에 제 4 상부판지(16)를 접어서 제 1, 2 절취편(5, 6)이 포개지도록 접어 포장박스(1) 상부를 밀폐한다.
한편, 제 1 상부 판지(13)를 접은 다음 마주하는 제 3 상부 판지(15)를 제 1 상부 판지(13)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포개지게 접은 다음 제 2 상부 판지(14)를 제 3 상부 판지(15)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포개지게 접은 다음 제 4 상부 판지(16)를 제 2 상부 판지(14)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포개지게 접거나 또는 제 2 상부 판지(14)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제 4 상부 판지(16)의 하면을 접착한다.
또한, 제 1, 3 상부 판지(13, 15)는 좌우 방향으로 마주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접철되어 적층되기 때문에 좌우 방향으로 무게 및 힘을 분산하고, 제 1, 3 상부 판지(13, 15)의 상부에 위치한 제 2, 4 상부 판지(14, 16)는 전면과 배면에 마주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적층되기 때문에 제 1, 3 상부 판지(13, 15)와 교차되어 무게 및 힘을 분산하여 내구성 및 견고함을 향상시켜 지지력을 확보한다.
그러면 포장박스(1)의 뚜껑을 구성하는 제 1, 2, 3, 4 상부 판지(13, 14, 15, 16)가 접철되어 적층된 상태에서 제 4 상부 판지(16)의 상면은 평면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소비자가 직접 포장박스(1)에서 손잡이(2)를 조립하기 위해 제 2, 4 상부 판지(14, 16)에 형성된 제 1, 2 절취편(5, 6)을 절취선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들어 올려 접으면 제 1, 2 절취편(5, 6)이 절취된 자리에는 제 2, 4 절취공(8, 10)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4 절취공(8, 10)으로 제 1, 2 손잡이 편(3, 4)을 인출하여 수직으로 접은 다음 제 1, 2 절취편(5, 6)을 원래대로 복귀시켜 제 2, 4 절취공(8, 10)을 밀폐함과 동시에 제 1, 2 손잡이 편(3, 4)을 지지하는 손잡이(2)가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2)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제 2, 4 상부판지(14, 16)에 위치한 제 1, 2 절취편(5, 6)을 원래대로 복귀시켜 제 2, 4 절취공(8, 10)에 다시 수평하게 결합할 때에 제 1, 3 상부 판지(13, 15)의 제 1, 2 손잡이 편(3, 4)의 하부에 위치하여 돌출된 제 1, 2 받침편(11, 12)은 그 상면에 제 1, 2 절취편(5, 6)을 안착하게 하여 지지함으로써 포장박스(1) 내부로 제 1, 2 절취편(5, 6)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1, 2 절취편(5, 6)을 원상 복귀시켜 제 1, 2, 3, 4 절취공(7, 8, 9, 10)을 밀폐하면 포장박스(1) 내부에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 1, 2 손잡이 편(3, 4)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또한, 제 1, 3 상부 판지(13, 15)에 제 1, 2 손잡이 편(3, 4)을 형성하는 것은 제 2, 4 상부 판지(14, 16)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이거나 또는 접착 고정된 상태이므로 물품의 하중에 의해 손잡이(2)가 찢어지지 않도록 지지력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포장박스(1)는 상부에 위치한 제 1, 2, 3, 4 상부판지(13, 14, 15, 16)를 개폐하여 1회용 커피 스틱, 음료, 케익 등을 포함한 다양한 물품을 내부에 삽입하고, 포장박스(1)를 들고 다니기 위해서는 제 1, 2 절취편(5, 6)을 상부방향으로 접은 다음 형성된 제 2, 4 절취공(8, 10)에는 하부에 위치한 제 1, 2 손잡이 편(3, 4)을 상부방향으로 꺼내어 수직으로 접어서 손잡이(2)를 형성하고, 제 1, 2 절취편(5, 6)을 원래대로 복귀시켜 제 1, 2, 3, 4 절취공(7, 8, 9, 10)을 밀폐하고 제 1, 2 손잡이 편(3, 4)을 지지하도록 조립하면 포장박스(1)는 손잡이(2)를 제외한 나머지는 평면상태를 유지하여 단정함을 유지하는 구조이다.
도 6은 본 발명 포장박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로서, 내부에 삽입된 물품을 인출하기위해서는 포장박스(1)의 전면 또는 측면 하부에 개구부(17)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7)는 절취선에 따라 절취되는 개폐편이 부착된다.
따라서 개폐편을 제거한 다음 개구부(17)를 통해 포장박스(1) 내부에 삽입된 물품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포장박스의 다른 실시 예로 덮개 기능과 한 개의 절취편이 형성된 포장박스를 도시해 보인 전개도이다.
본 발명 포장박스(1)는 내부에 삽입되는 물품의 하중과 밀폐성의 요구정도에 따라 제 1, 2, 3, 4 상부 판지(13, 14, 15, 16)에 제 1, 2 손잡이 편(3, 4)과 제 1, 2 절취편(5, 6)의 숫자를 가변적으로 변경하여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 포장박스(1)는 좌측면 상부에 위치한 제 1 상부 판지(13)와 우측면 상부에 위치한 제 3 상부판지(15)에 제 1, 2 손잡이 편(3, 4)을 각각 형성하고, 정면 상부에 위치한 제 2 상부 판지(14)에 제 1 절취편(5)을 형성한 다음 포장박스(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덮개 기능을 갖는 제 4 상부 판지(16)가 위치한다.
따라서 포장박스(1)의 상부에 제 4 상부판지(16)를 먼저 접어 덮개로 활용하고 제 1 상부 판지(13)를 접은 후, 제 1 상부 판지(13)의 상면에 제 3 상부 판지(15)를 접으면 제 1, 3 상부 판지(13, 15)에 형성된 제 1, 2 손잡이 편(3, 4)이 포개진 상태에서 제 3 상부 판지(15) 위에 제 2 상부 판지(14)를 접은 상태로 완성하거나 또는 절단면(20, 21)에 의해 노출되는 제 4 상부 판지(16)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 2 상부(14)의 밑면과 접착하여 고정한다.
상기 포장박스(1)의 상부에 손잡이(2)를 조립하기 위해 제 1 절취편(5)을 절취선을 따라 일부 절취하여 들어 올린 다음 제 2 상부 판지(14)에 형성된 제 2 절취공(8)으로 제 1, 2 손잡이 편(3, 4)을 삽입 인출하여 수직으로 접은 다음 제 1 절취편(5)을 원상태로 복귀시켜 제 2 절취공(8)을 밀폐한다.
상기 포장 박스는(1)는 제 4 상부 판지(16)를 덮개로 이용하여 제일 먼저 접어줌으로써 포장박스(1)의 밀폐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손잡이(2) 조립과정에서 종이의 지분가루가 제 1, 2, 3 상부판지(13, 14, 15)을 통하여 포장박스(1)안 물품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제 1, 2, 3, 절취공(7, 8, 9 )을 통해 포장박스(1)안에 수납된 물품을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인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도 8은 본 발명 포장박스에서 한 개의 손잡이 편과 두 개의 절취편을 도시해 보인 전개도이다.
본 발명 포장박스(1)는 내부에 삽입되는 제품의 하중은 가볍고, 더 높은 밀폐성이 요구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상부에는 두 개의 제 1, 2 절취편(5, 6)과 한 개의 제 1 손잡이 편(3)과, 덮개 기능을 갖는 제 4 상부 판지(16)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장박스(1)는 좌측면 상부에 위치한 제 1 상부 판지(13)에는 제 1 손잡이 편(3)과, 정면 상부에 위치한 제 2 상부 판지(14)에는 제 1 절취편(5)과, 우측면 상부에 위치한 제 3 상부 판지(15)에는 제 2 절취편(6)과, 배면 상부에는 제 4 상부 판지(16)가 위치한다.
따라서 포장박스(1)의 상부에 손잡이(2)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포장박스(1) 상부에 제 4 상부 판지(16)를 접은 다음, 제 4 상부 판지(16)의 상부로 제 1 상부 판지(13)를 접은 후, 그 위에 제 3 상부 판지(15)를 접은 다음 그 위에 제 2 상부 판지(14)를 접어서 완성하거나 또는 제 4 상부 판지(16) 상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제 2 상부 판지(14)를 접착 고정한다.
상기 완성된 포장박스(1)에서 손잡이(2)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제 1, 2 절취편(5, 6)을 절취선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들어 올려 형성된 제 2, 3 절취공(8, 9)으로 제 1 손잡이 편(3)을 삽입 인출하여 수직으로 접은 다음 제 1, 2 절취편(5, 6)을 원상 복귀시켜 제 2, 3 절취공(8, 9)을 밀폐하여 손잡이(2)를 완성한다.
또한, 포장박스(1)의 상부 판지들중 맨 위에 위치한 상부 판지를 접착제에 의해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두 번째와 또는 세 번째에 위치한 상부 판지의 일측을 절단한 절단면(20, 21)을 형성하여 하부에 위치한 상부판지에 용이하게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 포장박스에서 접철된 상부판지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편과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도시해 보인 전개도이다.
상기 본 발명 포장박스(1)는 제품을 담고 제 1, 2, 3, 4 상부판지를 접어서 상부를 밀폐할 때, 접착제를 쓰지않는 경우에 해당한다.
제 4 상부 판지(16)의 좌우 양측 일부에는 내측으로 고정홈(19)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19)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부 판지들을 접어서 적층할 경우 맨 위에 위치하는 제 2 상부 판지(14)의 좌우 양측에는 하부방향으로 고정편(18)이 형성되어 상부 판지들을 접어서 적층할 때 고정편(18)이 고정홈(19)에 끼움 결합되어 임의로 상부 판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도 10은 본 발명 포장박스에서 인출방지 차단판이 형성된 것을 도시해 보인 전개도 이고, 도 11은 도 10 포장박스의 조립되는 순서를 도시해 보인 순서도이며, 도 12는 도 10 포장박스에서 손잡이를 조립하는 순서를 도시해 보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 포장박스(1)는 하나의 판지를 좌측면, 정면, 우측면, 배면과, 상기 배면 일측에는 접착편을 형성하도록 순서대로 구획하여 사각형상으로 접을 수 있게 각 면을 형성한 다음, 상기 좌측면, 정면, 우측면, 배면을 사각형으로 접은 다음 접착편(22)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좌측면의 내주면에 접착한다.
상기 접착편(22) 상부에는 포장박스(1) 상부로 접철 가능한 인출방지 차단판(23)이 형성되고, 상기 인출 방지 차단판(23)은 제 1 상부 판지(13) 하부로 접철되어 제 1, 2, 3, 4 절취공(7, 8, ,9, 10)을 통해 포장박스(1)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인출하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또한, 인출 방지 차단판(23)의 크기와 모양은 제 1 상부 판지(13)와 동일한 크기 이하로 하여 필요로 하는 크기와 모양으로 자유로이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좌측면 상부에는 제 1 상부 판지(13)와 정면 상부에는 제 2 상부 판지(14)와 우측면 상부에는 제 3 상부 판지(15)와 배면 상부에는 제 4 상부 판지(16)와 접착편(22) 상부에는 인출방지 차단판(23)이 접철 가능하도록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 1, 3 상부 판지(13, 15)에는 절취선을 따라 일부가 절취되어 접철 가능한 제 1, 2 손잡이 편(3, 4)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1, 2 손잡이 편(3, 4)을 접철하면 제 1 , 3 상부 판지(13, 15)에는 제 1, 3 절취공(7, 9)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4 상부 판지(14, 16)에는 절취선을 따라 일부가 절취되어 접철되는 제 1, 2 절취편(5, 6)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2 절취편(5, 6)을 상부방향으로 접철하면 제 2, 4 상부 판지(14, 16)에는 제 2, 4 절취공(8, 10)이 각각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좌측면, 정면, 우측면, 배면을 사각형으로 접은 다음 접착편(22)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좌측면의 내주면에 접착하면, 좌측면 내주면에 인출 방지 차단판(23)이 위치한 상태에서 제 1 상부 판지(13)를 가압하여 접으면 인출방지 차단판(23)도 함께 접어져 제 1 상부 판지(13)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제 1 상부 판지(13)의 상부에는 제 3 상부 판지(15)가 접어진 다음, 상기 제 3 상부 판지(15)의 상부에는 제 2, 4 상부 판지(14, 16)가 순서대로 접어져 적층된다.
그러면 인출 방지 차단판(23)은 제 1 상부 판지(13) 하부에 위치하여 제 1 절취공(7)을 밀폐하도록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포장박스 내부에 수납된 물품이 제 1 절취공(7)을 통해 노출되지않기 때문에 포장박스(1)에 수납된 물품을 구매하지않고 비정상적인 방법에 의해 인출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따라서 제 1, 2 손잡이 편(3, 4)과 제 1, 2 절취편(5, 6)을 절취한 다음 형성된 제 1, 2, 3, 4 절취공(7, 8, 9, 10)을 통해 포장박스(1)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강제 인출할 수 없도록 차단한다.
도 13은 본 발명 포장박스의 다른 실시 예로 손잡이 편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손잡이를 형성된 것을 도시해 보인 전개도이고, 도 14는 도 13 포장박스의 조립되는 순서를 도시해 보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 포장박스는 좌측면, 정면, 우측면, 배면과 배면 일측에 접착편(22)이 순서대로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 정면, 우측면, 배면을 사각형으로 접은 다음 접착편(22)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좌측면 내주면에 접착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포장박스(1)는 좌측면, 정면, 우측면, 배면 상부에 접철 가능하도록 각각 연장된 제 1, 2, 3, 4 상부 판지(13, 14, 15, 16)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상부 판지(13)에는 절취선을 따라 일부가 절취되어 접철되는 제 1 손잡이 편(3)이 형성되며, 제 2 상부 판지(14)에는 이격되게 마주한 상태에서 절취선을 따라 일부가 절취되어 접철되는 한 쌍의 제 1 절취편(5)이 형성되고, 제 3 상부 판지(15)에는 통공된 인출공(24)과, 상기 인출공(24)과 마주하는 위치에는 제 2 손잡이편(4)이 형성되며, 상기 4 상부 판지(16)에는 이격되게 마주한 상태에서 절취선을 따라 일부가 절취되어 접철되는 한 쌍의 제 2 절취편(6)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편(22)의 상부에는 포장박스(1) 내부로 접철되는 인출방지 차단판(23)이 형성된 상태에서, 포방박스(1) 상부를 밀폐하기위해 인출방지 차단판(23)을 수평하게 접은 다음 인출방지 차단판(23)의 상부로 접철되는 제 1 상부 판지(13)와, 상기 제 1 상부 판지(13)의 상부로 접철되는 제 3 상부 판지(13)와, 상기 3 상부 판지(13)의 상부에 접철되는 제 4 상부 판지(16)와, 상기 제 4 상부 판지(16)의 상부로 제 2 상부 판지(14)를 접철하여 적층한다.
도 15는 도 13 포장박스에서 손잡이를 조립하는 순서를 도시해 보인 순서도이고, 도 16은 도 13 포장박스에 손잡이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 포장박스(1)에 손잡이(2)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제 2, 4 상부판지(14, 16)에 형성된 한 쌍의 제 1 절취편(5)과 제 2 절취편(6)을 상부방향을 향해 순차적으로 절취하여 접철한 다음, 제 1 상부 판지(13)에 형성된 제 1 손잡이 편(3)을 제 3 상부 판지(15)에 형성된 인출공(24)으로 삽입 인출하여 제 4 상부 판지(16)에 위치한 제 2 절취편(6)이 절취되며 형성된 제 2 절취공(8)으로 삽입 인출하여 수직방향으로 접은 다음, 상기 제 3 상부 판지(15)에 형성된 제 2 손잡이 편(4)을 제 4, 2 상부 판지(16, 14)에 위치한 제 2, 1 절취편(6, 5)을 절취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제 4, 2 절취공(10, 8)을 통해 삽입 인출하여 제 1 손잡이 편(3)과 마주하게 위치하여 손잡이(2)를 형성하고, 제 2, 1 절취편(6, 5)을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접어서 제 4, 2 절취공(10, 8)을 밀폐하고 제 1, 2 손잡이 편(3, 4)을 지지하여 견고한 손잡이(2)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3 상부 판지(13, 15)에 위치하는 제 1, 2 손잡이편을 절취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제 1, 3 절취공(7, 9)에는 제 1, 2 받침편(11, 12)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2 받침편(11, 12)의 상부에는 제 1, 2 절취편(5, 6)의 일측 단부가 안착되어 1, 2 절취편(5, 6)이 수평을 유지토록 해주고 포장박스 내부까지 들어가지 않도록 지지한다.
1: 포장박스 2: 손잡이
3: 제 1 손잡이 편 4: 제 2 손잡이 편
5: 제 1 절취편 6: 제 2 절취편
7: 제 1 절취공 8: 제 2 절취공
9: 제 3 절취공 10: 제 4 절취공
11: 제 1 받침편 12: 제 2 받침편
13: 제 1 상부 판지 14: 제 2 상부 판지
15: 제 3 상부 판지 16: 제 4 상부 판지
17: 개구부 18: 고정편
19: 고정홈 20, 21: 절단면
22: 접착편 23: 인출방지 차단판
24. 인출공

Claims (11)

  1. 좌측면, 정면, 우측면, 배면과 배면 일측에 접착편(22)이 순서대로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 정면, 우측면, 배면을 사각형으로 접은 다음 접착편(22)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좌측면 내주면에 접착된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포장박스(1)는 좌측면, 정면, 우측면, 배면 상부에 접철 가능하도록 각각 연장된 제 1, 2, 3, 4 상부 판지(13, 14, 15, 16)를 형성한 다음 제 1 상부 판지(13)를 접은 다음, 상기 제 1 상부 판지(13)의 상부에 제 3 상부 판지(15)를 접은 다음, 상기 제 3 상부 판지(15)의 상부에 제 2 상부 판지(14)를 접은 다음, 상기 제 2 상부 판지(14)의 상부에 제 4 상부판지(16)를 접어 포장박스(1)의 상부를 밀폐한 다음 상기 제 1, 3 상부판지(13, 15)에는 절취선을 따라 일부 절취되는 제 1, 2 손잡이 편(3, 4)이 형성되어 포개진 상태이고, 상기 제 2, 4 상부 판지(14, 16)에는 절취선을 따라 일부 절취되는 제 1, 2 절취 편(5, 6)이 형성된 상태에서 손잡이(2)를 조립하기위해서 절취선을 따라 제 1, 2 절취편(5, 6)을 절취하여 접철하고, 제 2, 4 상부 판지(14, 16)에 형성된 제 2, 4 절취공(8, 10)으로 제 1, 2 손잡이 편(3, 4)을 상부방향으로 인출하여 수직으로 접어서 손잡이를 형성한 다음 제 1, 2 절취편(5, 6)을 수평인 상태로 복귀시켜 제 2, 4 절취공(8, 10)을 밀폐하고, 제 1, 2 손잡이 편(3, 4)을 지지하고, 손잡이(2)를 조립하기 전의 상태인 밀폐된 구조로 복원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박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편(22) 상부에는 포장박스(1) 상부로 접철 가능한 인출방지 차단판(23)이 형성되고, 상기 인출 방지 차단판(23)은 제 1 상부 판지(13) 하부로 접철되어 절취공(7, 8, 9, 10)을 통해 포장박스(1)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인출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박스.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077326A 2015-06-01 2015-06-01 접이식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박스 KR101666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326A KR101666487B1 (ko) 2015-06-01 2015-06-01 접이식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326A KR101666487B1 (ko) 2015-06-01 2015-06-01 접이식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487B1 true KR101666487B1 (ko) 2016-10-17

Family

ID=5725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326A KR101666487B1 (ko) 2015-06-01 2015-06-01 접이식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4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659Y1 (ko) 2017-08-25 2018-02-08 웨스트락팩캐징솔루션코리아 주식회사 손잡이가 마련된 포장상자
KR102049057B1 (ko) 2019-07-16 2019-11-26 주식회사 한국에프앤비 손잡이 일체형 포장박스
USD891921S1 (en) 2018-12-20 2020-08-04 Dynalab Corp. Disposable container with handles
US11034515B2 (en) 2019-03-15 2021-06-15 Dynalab Corp. Disposable container with hand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026781Y1 (ko) * 1963-09-20 1965-09-10
US4017019A (en) * 1976-04-05 1977-04-12 Olinkraft, Inc. Paperboard container
JPS60136916U (ja) * 1984-02-23 1985-09-11 広瀬 康男 吊下兼用箱
KR20010004699A (ko) 1999-06-29 2001-01-15 구자홍 제품 포장용 포장박스
KR100965498B1 (ko) * 2009-08-07 2010-06-24 황재훈 손잡이를 구비한 포장상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026781Y1 (ko) * 1963-09-20 1965-09-10
US4017019A (en) * 1976-04-05 1977-04-12 Olinkraft, Inc. Paperboard container
JPS60136916U (ja) * 1984-02-23 1985-09-11 広瀬 康男 吊下兼用箱
KR20010004699A (ko) 1999-06-29 2001-01-15 구자홍 제품 포장용 포장박스
KR100965498B1 (ko) * 2009-08-07 2010-06-24 황재훈 손잡이를 구비한 포장상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659Y1 (ko) 2017-08-25 2018-02-08 웨스트락팩캐징솔루션코리아 주식회사 손잡이가 마련된 포장상자
USD891921S1 (en) 2018-12-20 2020-08-04 Dynalab Corp. Disposable container with handles
US11034515B2 (en) 2019-03-15 2021-06-15 Dynalab Corp. Disposable container with handle
US11472630B2 (en) 2019-03-15 2022-10-18 Dynalab Corp. Waste container
KR102049057B1 (ko) 2019-07-16 2019-11-26 주식회사 한국에프앤비 손잡이 일체형 포장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6837B2 (en) Food tray
US9211970B2 (en) Food tray
US20120261298A1 (en) Food tray
KR101666487B1 (ko) 접이식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박스
US9394066B2 (en) Slide opening box with integral liner
US20190135482A1 (en) Display container
CA2815649A1 (en) Reclosable and stackable food tray and tray blank
JP2009527424A (ja) 平らなブランクカートン
US6216871B1 (en) Package and method for packaging of batches of articles of undetermined volume
CA2966622C (en) A package assembly, a blan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ckage assembly
US20230219733A1 (en) Carrier
US11111052B2 (en) Dual cell, efficient box with top slide openings and view windows
JP2018506484A (ja) 係止構造部を有する構造体
CA2852093C (en) Quick lock flaps for paperboard packaging
KR102520340B1 (ko) 폐쇄 플랩을 구비한 접근 개구부를 포함하는 패키지
WO2014009684A1 (en) Container with tray and lid
US20190367210A1 (en) E-commerce package
US10336481B2 (en) Display pack
KR101883072B1 (ko) 포장용 박스
JPH02233353A (ja) 容器の包装箱
JP2016003048A (ja) 包装用箱
KR200466311Y1 (ko) 핸드백 포장박스
US20040232038A1 (en) Packaging blank
JP6507766B2 (ja) 包装箱
KR20100119046A (ko) 핸드 백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