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3496A -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용 상자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3496A
KR20090103496A KR1020080029145A KR20080029145A KR20090103496A KR 20090103496 A KR20090103496 A KR 20090103496A KR 1020080029145 A KR1020080029145 A KR 1020080029145A KR 20080029145 A KR20080029145 A KR 20080029145A KR 20090103496 A KR20090103496 A KR 20090103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ackaging box
corner
edge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9184B1 (ko
Inventor
이기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은테크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은테크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은테크팩
Priority to KR1020080029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184B1/ko
Publication of KR20090103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1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held erect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sides being doubled-over to enclose extensions of adjacent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 B65D5/001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 B65D5/003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having ledges formed by extensions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1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entral panel having a non rectang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95Ventilating arrangements, e.g. openings, spac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내용물을 담기 위한 상자형상을 이루는 용기의 전체적인 상하부 모습이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용기의 상부측에는 상자 단위의 적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적층된 상품이 보관 및 유통 과정에서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더라도 상부에 적층된 것이 이탈되거나 일측으로 미끄러져 이동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채소나 과일을 일정량씩 담아 상자 단위로 유통되도록 하기 위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사각형의 모서리부분에 일정 크기의 모따기 가공이 이루어진 팔각형 형상의 바닥부재; 바닥부재의 외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그 경계선에서 상부를 향해 접혀 사방의 테두리를 형성하며 내용물을 가둘 수 있도록 하되 전체적으로는 상광하협의 형태인 테두리부재; 테두리부재의 일부를 이루되 그 사방의 코너부분이 바닥부재의 모따기된 부분의 형태처럼 용기의 내측을 향해 대각선으로 접힌 형태의 코너부재; 테두리부재의 마주하는 방향의 양측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그 경계선에서 용기 내측을 향해 수평상으로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 덮개부재; 덮개부재가 덮혔을 경우 마주하게 되는 코너부재의 상측단 도중에 일정 크기로 돌출형성되어 그 상부측에 적층된 상자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 및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과 대응되는 덮개부재의 위치에 일정 크기의 홈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한편 덮개부재를 덮을 경우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에 끼워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포장용 상자{Boxes}
본 발명은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도, 복숭아 등과 같이 일정 크기를 갖는 내용물을 유통시키기 위하여 일정량씩 분류하여 상자 단위로 포장한 후 적층하는 작업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송차량 등을 통한 유통과정이나 창고 등에 보관하는 과정에서 여러 층으로 적층하였을 경우에 상측에 올려진 상자가 어느 일측으로 미끄러져 이동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서 유통산업의 비약적인 발달과 함께 대부분의 농수산물은 품질 및 크기 별로 분류한 후 일정한 크기의 상자 등에 담아 유통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특히, 과일의 경우에는 상품의 품질이 오랜동안 지속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품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목적 등으로 1차적으로는 낱개로 포장한 상태에서 일정량씩 계량하거나 계수한 후 2차적으로는 골판지,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 등으로 제작된 포장용 상자에 담겨진 후 전체적으로는 상자 단위로 유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과일 포장상자는 단순한 사각형상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포장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과일 포장상자의 상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품을 가지런히 넣어 담은 후 상자의 상부측에 마련된 덮개를 덮은 상태에서 덮개가 마주하는 부분에 비닐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마감함으로서 포장작업이 마무리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의 과일 포장용 상자에 담긴 상품은 상자 단위로 유통 및 거래되는데, 해당 상품을 운송차량 등을 이용하여 유통시키는 과정에서 또는 저온창고 등에 보관하는 과정에서는 상자 단위의 상품이 몇 개의 층으로 적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포장용 상자의 외측 표면에 취급주의 등의 안내문구와 함께 포장상자의 파손 및 내용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몇 단 이상으로는 상자를 적층하는 것은 금하도록 안내하는 표시가 표시되기도 한다.
여하튼, 종래의 일반적인 포장용 상자에 포도, 복숭아 등과 같이 과육이 쉽게 상하기 쉬운 내용물을 담아 상자 단위로 유통시키는 과정에서는 최하층의 포장용 상자에 담긴 내용물이 손상되지 않은 정도 내에서 포장용 상자를 복수층으로 적층한 상태로 운송차량 등에 적재된 상태로 물류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일반적인 사각 형상의 포장용 상자에는 상자 단위의 포장용 상자가 복수 층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운송차량 등의 기울기가 기울어졌을 경우에 상층의 포장용 상자가 원래의 적층된 영역 내에 있도록 구속시켜 주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마련되어 있지 않음으로서 운송차량의 운행 중에 차체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될 경우에 적층된 상태의 포장용 상자가 넘어 쓰러질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에는 포장용 상자 내부에 담겨진 내용물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그 포장용 상자 내부에 담겨진 내용물이 포도, 복숭아 등과 같이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쉽게 과육이 상하게 되는 것일 경우에는 상품의 포장과정이나 유통과정에서 상품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 보다 더 세밀한 주위가 요구될 수 밖에 없었다.
한편, 일반적인 사각형상의 포장용 상자는 상부면 전체가 덮개부재로써 덮어 쒸어진 채로 유통이 이루어짐에 따라 소비자가 내부의 담겨진 내용물의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내용물을 담기 위해 일정한 크기의 상자형상을 이루는 용기의 전체적인 상하부 모습이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그 용기의 상부측에는 상자 단위의 적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적층된 상품이 보관 및 유통 과정에서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더라도 상부에 적층된 것이 이탈되거나 일측으로 미끄러져 이동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이탈방지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 포장용 상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상품의 포장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간단한 동작만으로서 포장작업의 마무리 단계인 덮개부재가 측면벽을 이루는 테두리부재 또는 코너부재에 결속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그 결속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결속과정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과일 등의 신선도를 위한 통공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포장된 상품의 상태가 소비자 등의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는 과일이란 채소를 일정량씩 담아 상자 단위로 보관 및 유통되도록 하기 위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사각형의 모서리부분에 일정 크기의 모따기 가공이 이루어진 팔각형 형상의 바닥부재; 바닥부재의 외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그 경계선에서 상부를 향해 접혀 사방의 테두리를 형성하며 내용물을 가둘 수 있도록 하되 전체적으로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된 테두리부재; 테두리부재의 일부를 이루되 그 사방의 코너부분이 바닥부재의 모따기된 부분의 형태처럼 용기의 내측을 향해 대각선으로 접힌 형태의 코너부재; 테두리부재의 마주하는 방향의 양측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그 경계선에서 용기 내측을 향해 수평상으로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 덮개부재; 덮개부재가 덮혔을 경우 마주하게 되는 코너부재의 상측단 도중에 일정 크기로 돌출형성되어 그 상부측에 적층된 상자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 및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과 대응되는 덮개부재의 위치에 일정 크기의 홈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한편 덮개부재를 덮을 경우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에 끼워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테두리부재가 이루는 전체적인 평면형상은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구분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부재는 폭방향의 테두리부재의 상단에 연장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부재 또는 코너부재의 도중에는 통풍을 위한 일정 크기의 통공이 관통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통공은 바닥부재의 하부면으로부터 코너부재의 상부측을 향하여 그 상부가 둥근 호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코너부재의 일측에는 테두리부재와의 조립을 위한 측벽조립날개가 일정한 크기로 연장형성되어 결합수단에 의해서 테두리부재와 일체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덮개부재는 그 평면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바닥부재, 테두리부재, 코너부재, 덮개부재 및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은 종이재질의 골판지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골판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일 등의 상품을 일정량씩 담아 상자 단위로 보관 및 유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있어서 운송차량 또는 저온창고 등에 상자 단위로 포장된 상품이 복수 층으로 적재된 상태에서 어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지게 되더라도 하층의 포장용 상자에 형성된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에 의해서 상층에 적층된 포장용 상자들이 어느 일측으로 밀리거나 넘어 쓰러지게 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효과로는 과일 등의 내용물을 일정량씩 담은 후에 상자의 상부면을 이루는 덮개부재를 덮거나, 그 덮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결속시키는 과정이 비교적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가능하게 됨으로서 상자를 포장하는 데 걸리는 시간 및 노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에 내용물이 보관된 상태에서 포장용 상자를 개봉하는 과정이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현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효과로는 포장용 상자에 담기는 내용물이 과일 등일 경우에 신선도의 유지를 위한 통풍이 유지될 수 있는 통공이 상자의 테두리부재 또는 덮개부재에 일정 크기로 형성됨에 따라 상품의 품질이 보다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현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상부면을 덮는 덮개부재가 용기의 상부면 전영역을 덮도록 구성된 것이 아니라 좌우 양측의 일부분만을 덮도록 구성됨으로서 상자 단위로 상품을 진열하게 되는 경우에 소비자는 쉽게 포장용 상자 내부에 담겨진 내용물의 상태 등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한 후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개봉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닫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에 내용물이 담긴 상태에서 여러 층으로 적층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에 내용물이 담긴 상태에서 여러 층으로 적층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가 적층된 상태에서 어느 일측으로 기울기가 기울어졌을 경우 상부층 포장용 상자의 이탈이 방지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포장용 상자 110. 바닥부재
120. 테두리부재 122. 길이방향 테두리부재
124. 폭방향 테두리부재 130. 코너부재
140. 측벽조립날개 150. 덮개부재
160.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 170. 결합홈
180. 통공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구성 및 사용상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개봉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닫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 중에 표시된 도면부호 100 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를 지시하는 것이다.
특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100)는 그 특성상 과피 및 과육의 손상이 비교적 쉽게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 포도 또는 복숭아 등의 과일을 주로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 설명이 이루어지겠지만,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 및 그것을 이해하는 과정에서의 편의를 돕기 위한 것에 불과한 것일 뿐,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가 과일을 포장하는 데에만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100)의 전체적인 평면 및 저면의 형상은 길이방향으로 긴 팔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다 간단히 그 구조를 설명한다면, 사각형상의 네 코너부분이 일정 길이로 모따기된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설명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포장용 상자(100)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부재(110)의 형태가 우선 사각형의 네 모서리 부분이 일정 크기로 모따기 가공된 형태의 팔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팔각형 형상의 바닥부재(110)의 사방 외측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일정 높이를 가지는 측면이 울타리 형태로 연장형성됨으로서, 전체적인 포장용 상자의 형태가 역팔각뿔대 형상과 유사하게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포장용 상자(100)의 측면은 정면을 기준으로 전후좌우 측에 위치된 테두리부재(120)와 네 코너 부분에 위치된 코너부재(130)로 이루어지는데, 코너부재(130)는 서로 이웃하게 되는 테두리부재(120) 사이를 연결 및 마감하여 팔각형 형상의 바닥부재(110)의 전둘레에 걸쳐 상부측으로 일정 높이 연장된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특히, 테두리부재(120)는 그 형성과정에서 바닥부재(110)와 테두리부재(120)를 구분하는 경계선을 기준으로 하여 테두리부재(120)를 상부측으로 접히도록 하는 제작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공정과정에서 사방의 테두리부재(120)는 바닥부재(110)에 대하여 수직상으로 세워지는 것이 아니라 테두리부재의 상부단 측이 이루는 길이 및 폭이 바닥부재(110)의 길이 및 폭보다 일정 길이 이상 크게 형성됨으로서 전체적으로는 상광하협의 구조의 역팔각뿔대형의 용기형태가 제공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부재(120)를 설명하는 이하의 일부 과정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테두리부재(120)를 길이방향 테두리부재(122)와 폭방향 테두리부재(124)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면상 좌우측면에 위치된 폭방향 테두리부재(124)의 전후단에는 각각 코너부재(130)를 이루기 위한 부분이 연장형성되는 한편, 폭방향 테두리부재(124)와 코너부재(130)를 구분하는 경계선을 기준으로 길이방향 테두리부재(122) 및 폭방향 테두리부재(124)와 마찬가지로 바닥부재(110)에 대하여 수직상으로 세워지는 것이 아니라 일정 각도 경사진 형태로 접히게 되는 제작공정을 통해 그 형태의 완성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각 코너부재(130)의 끝단부에는 도면상 전후방향에 위치된 길이방향 테두리부재(122)와의 결합을 위한 측벽조립날개(140)가 연장형성됨으로서 해당 길이방향 테두리부재(122)에 대하여 별도의 결속수단에 의해서 마감됨으로서 전체적으로는 역팔각뿔대 형상의 측벽이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코너부재(130)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된 측벽조립날개(140)와 길이방향 테두리부재(122) 사이를 결속시키는 결속수단으로는 접착제가 이용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지함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철심이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100)의 상부를 덮기 위한 덮개부재(150)가 도면상 폭방향의 양측 측벽을 이루는 폭방향 테두리부재(124)의 상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형성되는데, 덮개부재(150)가 덮혀졌을 경우에 해당 방향의 코너부재(130)의 상단을 충분히 덮을 수 있을 크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덮개부재(1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치 사다리꼴 형태를 이루게 되는데, 도면상 좌우 양측에 위치된 측방향 테두리부재(124)와 덮개부재(150) 사이에 형성된 경계선이 접혀졌다 펼쳐졌다 할 수 있도록 가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덮개부재(150)는 도 6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다리꼴의 넓은변 측이 일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각각의 코너부재(130)의 상단 도중과 덮개부재(150)의 양측 끝부분 도중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100)에서의 가장 핵심적인 특징이 되는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160)과 결합홈(170)이 각각 형성된다.
우선,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170)은 상부를 향해 세워진 코너부재(130)의 상단 도중에 일정한 크기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높이는 덮개부재(150)를 이루는 부재의 두께보다 큰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170)의 높이를 덮개부재(150)의 두께보다 크게 하는 주된 이유는 상자 단위로 보관 및 유통이 이루어지는 상품이 담긴 포장용 상자가 여러 층으로 적층되었을 경우에도 상측에 위치된 포장용 상자가 하측에 위치된 포장용 상자에 대하여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져 미끄러지거나 넘어져 쓰러지는 등의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포장용 상자(100)의 덮개부재(150)를 덮은 상태에서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160)이 덮개부재(150)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게 됨으로서, 그 상부측에 놓인 포장용 상자의 하단부가 전술한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160)에 걸리게 됨으로서 상층의 포장용 상자가 어느 일측으로 쏠리게 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결합홈(170)은 각각의 코너부재(130)의 상단에 돌출형성된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16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포장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어렵지 않게 덮개부재(150)를 덮음과 동시에 결합홈(170)이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160)에 끼워지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의 공차를 갖는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160)의 넓이로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홈(170)이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160)에 끼워진 상태에서 쉽게 결합이 해제되지 않은 범위 내의 공차를 갖는 크기로 결합홈(170)의 관통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홈(170)이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160)에 끼워진 상태에서 덮개부재(150)는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가 되는데, 이 덮개부재(150)는 그 상부측으로는 적층된 포장용 상자들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점을 고려하여 덮개부재(150)의 크기나 두께 등이 적당히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100)의 테두리부재(120) 또는 코너부재(130)의 도중에는 충분한 통풍이 이루어져 내용물의 신선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공(18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통공(180)이 설치되는 위치가 코너부재(130)의 하부측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과에 불과할 뿐 이 역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구조를 그로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통공(180)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부재(130)의 하부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둥근 호형상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통공(180)의 하부는 개구된 형태를 이루게 됨으로서 전체적인 통공(180)은 바닥부재(110)와 코너부재(130)의 조합에 의해서 반원형상의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바닥부재(110), 테두리부재(120), 코너부재(130), 측벽조립날개(140), 덮개부재(150) 및 상자이탈방지 결합편(160)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100)는 일반적인 종래의 지함의 경우와 같이 종이재질로 된 골판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합성수지재질로 된 골판지로도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그것이 종이재질이 되었건 합성수지재질이 되었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100)가 제작되는 원단이 골판지형태의 것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 중의 하나인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160)은 골판지의 골방향이 세로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160)의 어느 일측면으로 해당 포장용 상자(100)의 상층에 위치된 포장용 상자로부터 측면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보다 강한 강도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160)으로써 해당 포장용 상자의 상부측에 적층된 포장용 상자들의 하중이 전달되더라고 충분히 지지될 수 있도록 골판지의 강도가 충분히 큰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가 제작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100)를 설명하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포장용 상자의 제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가 제작되는 과정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포장용 상자를 제작하기 위한 원단으로부터 전개도 또는 프레스가공(일반적으로는 톰슨가공 또는 도무송가공이라고도 함) 상의 형태 등에 따라서 일정 부분 차이점이 있게 되더라도 완성된 포장용 상자의 구성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범주 내에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용 상자(100)가 사용되는 상태 및 적층이 이루어지는 상태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도시된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에 내용물이 담긴 상태에서 여러 층으로 적층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에 내용물이 담긴 상태에서 여러 층으로 적층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가 적층된 상태에서 어느 일측으로 기울기가 기울어졌을 경우 상부층 포장용 상자의 이탈이 방지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 상태로 과수 농가 등에 공급될 수 있는데, 포도 또는 복숭아 등의 과일을 분류, 계량 또는 계수하여 상자 단위로 포장을 수행하는 작업자에 의해서 포장용 상자(100)의 용기 내부에는 해당 내용물이 담기게 된다.
각각의 포장용 상자(100)에 해당 내용물을 담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포장용 상자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덮개부재(150)가 용기의 내측방향으로 향하여 수평방향이 되도록 접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덮개부재(150)의 일측 및 타측에 관통형성된 결합홈(170)이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160)에 끼워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160)에 끼워진 결합홈(170)은 쉽게 빠지지 않을 정도의 구속력을 가지게 된다.
한편,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덮혀진 덮개부재(150)의 상부측으로는 각각의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160)들이 일정 부분 노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100)를 복수층으로 적층하였을 경우에 최하층에 위치된 포장용 상자(100)를 제외한 나머지 포장용 상자(100)의 일부를 구성하는 코너부재(130)의 외측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는 각각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160)이 위치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자 단위로 포장된 해당 상품이 운송차량 등을 통해서 물류이동되는 과정에서 차량의 흔들림 등으로 인하여 어느 일측으로 기울기가 기울어지게 되더라도 해당방향의 각 코너부재(130)의 외측면이 해당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160)에 걸리게 됨으로서 상층의 상자가 하층의 상자에 대하여 적층된 상태에서 이탈되거나 미끄러지게 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팔각형 형상을 이루는 각 코너부분에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160)이 위치되어 있게 됨으로서 상층의 상자가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더라도 해당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160)에 걸리게 됨에 따라 전체적으로는 상층의 포장용 상자는 어느 방향으로도 이탈되지 못하고 구속되어지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 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선들은 하층에 위치되는 포장용 상자의 상부면 형상을 표현한 것이고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선은 상층에 위치되는 포장용상자의 저면을 표시한 것으로, (a)의 경우는 정상적인 적층상태를 보인 것이고 (b)와 (c)의 경우에는 상층의 포장용 상자가 어느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미끄러졌을 경우에 일정 간격 이동된 후 해당 방향의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160)에 걸리게 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하층의 포장용 상자(100)에 마련된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160)과 상층의 포장용 상자의 저면과의 간격이 과장되게 크게 표현된 것임을 밝혀둔다.
한편, 각각의 포장용 상자(100)의 테두리부재(120) 또는 코너부재(130)에는 통공(180)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포장용 상자의 내부에 담겨진 과일이 상하지 않고 알맞은 환경에서 보다 오랜 기간 동안 보관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100)에서는 덮개부재(150)에 의해서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의 상부 전면이 덮어지는 것이 아니라 덮개부재(150)가 위치된 부분만이 덮어지게 됨에 따라서 포장용 상자(100)에 상품이 담겨진 상태로 진열되더라고 소비자는 내부에 담긴 과일의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100)를 제작하여 과수 농가 등에 공급하는 과정에서는 빈 포장용 상자를 차례로 적층하여 일정 개수 단위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포장용 상자 자체의 물류에 따른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는 부수적인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100)의 덮개부재(150)가 양측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바닥부재(110)와 테두리부재(120) 등에 의해서 그 내측에 마련되는 수납공간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빈 포장용 상자(100)의 일부를 수용시키는 방식으로 여러 개의 빈 포장용 상자(100)를 적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100)는 덮개부재(150)가 펼쳐진 것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이미 조립이 완료된 상태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에 포장을 수행하는 현장에서는 포장용 상자(100)의 수납공간에 내용물을 넣은 상태에서 덮개부재(150)을 덮으며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160)과 결합홈(170)을 조립하는 간단한 작업만 실시하면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Claims (7)

  1. 채소나 과일을 일정량씩 담아 상자 단위로 보관 및 유통되도록 하기 위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사각형의 모서리부분에 일정 크기의 모따기 가공이 이루어진 팔각형 형상의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의 외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그 경계선에서 상부를 향해 접혀 사방의 테두리를 형성하며 내용물을 가둘 수 있도록 하되 전체적으로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된 테두리부재;
    상기 테두리부재의 일부를 이루되 그 사방의 코너부분이 바닥부재의 모따기된 부분의 형태처럼 용기의 내측을 향해 대각선으로 접힌 형태의 코너부재;
    상기 테두리부재의 마주하는 방향의 양측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그 경계선에서 용기 내측을 향해 수평상으로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 덮개부재;
    상기 덮개부재가 덮혔을 경우 마주하게 되는 코너부재의 상측단 도중에 일정 크기로 돌출형성되어 그 상부측에 적층된 상자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 및
    상기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과 대응되는 덮개부재의 위치에 일정 크기의 홈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한편 상기 덮개부재를 덮을 경우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에 끼워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가 이루는 전체적인 평면형상은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구분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부재는 폭방향의 테두리부재의 상단에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 또는 코너부재의 도중에는 통풍을 위한 일정 크기의 통공이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바닥부재의 하부면으로부터 코너부재의 상부측을 향하여 그 상부가 둥근 호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재의 일측에는 테두리부재와의 조립을 위한 측벽조립날개가 일정한 크기로 연장형성되어 결합수단에 의해서 테두리부재와 일체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그 평면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 테두리부재, 코너부재, 덮개부재 및 상자이탈방지용 결합편은 종이재질의 골판지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골판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KR1020080029145A 2008-03-28 2008-03-28 포장용 상자 KR100949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145A KR100949184B1 (ko) 2008-03-28 2008-03-28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145A KR100949184B1 (ko) 2008-03-28 2008-03-28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496A true KR20090103496A (ko) 2009-10-01
KR100949184B1 KR100949184B1 (ko) 2010-03-23

Family

ID=4153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145A KR100949184B1 (ko) 2008-03-28 2008-03-28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1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708Y1 (ko) * 2017-07-05 2018-02-12 지역농업네트워크 협동조합 과일용 포장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104B1 (ko) * 2009-03-13 2011-12-09 (주)오비트 가스배출에 효율적인 통기공을 갖는 과실포장용 박스
KR101878197B1 (ko) 2016-12-05 2018-07-13 김수일 포장용 상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2640A (ja) * 2002-04-25 2003-11-06 Rengo Co Ltd 段ボール製トレイ
KR200320046Y1 (ko) 2003-04-08 2003-07-18 배종수 청과물 상자
KR200344057Y1 (ko) 2003-12-22 2004-03-09 삼성포장(주) 포장박스
KR200358137Y1 (ko) 2004-05-25 2004-08-05 주식회사 삼일칼라팩 과일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708Y1 (ko) * 2017-07-05 2018-02-12 지역농업네트워크 협동조합 과일용 포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184B1 (ko) 201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8273B2 (en) High strength partition box assembly
CA2952391C (en) Shipping container convertible into a display configuration
KR101533801B1 (ko) 절첩식 포장상자
AU2014200873B2 (en) Logistics crate module and method of transporting goods
US3967772A (en) Reusable containers for citrus fruit and the like
US20110180446A1 (en) Container for produce storage, packing & transport
US10414536B2 (en) Portable display contain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6488200B1 (en) Multi-function crate-tray and display
US9090379B2 (en) Pallet device with support ribs
US5566849A (en) Hinge structure for a box
KR100949184B1 (ko) 포장용 상자
US10246215B2 (en) Semiregular polyhedron box and method of assembly
US20230096669A1 (en) A packaging box for fruit, berries and vegetables, and a method for packing fruit, berries and vegetables
EP2630056B1 (de) Umverpackung zur transportsicherung mindestens eines packstücks
US11780639B2 (en) Optimized system, box and bag for packing, shipping, storing and displaying produce
US9205947B1 (en) Multi-component container with air cell end panel reinforcements
KR101883072B1 (ko) 포장용 박스
US3348673A (en) Unitized sealed layer carton load
KR102426598B1 (ko) 녹다운형 카톤박스
KR101717436B1 (ko) 포장용 박스 및 포장용 박스 제작방법
CN103010601A (zh) 果蔬托盘
CN216035668U (zh) 一种包装盒
KR200482222Y1 (ko) 접이식 포장상자
KR200482221Y1 (ko) 접이식 포장상자
KR200319543Y1 (ko) 포장용 종이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