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221Y1 - 접이식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접이식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221Y1
KR200482221Y1 KR2020160001447U KR20160001447U KR200482221Y1 KR 200482221 Y1 KR200482221 Y1 KR 200482221Y1 KR 2020160001447 U KR2020160001447 U KR 2020160001447U KR 20160001447 U KR20160001447 U KR 20160001447U KR 200482221 Y1 KR200482221 Y1 KR 2004822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xtending
plates
sides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4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창
Original Assignee
김유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창 filed Critical 김유창
Priority to KR20201600014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2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2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2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5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means of a tongue integral with one of th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41Reinforcements
    • B65D5/443Integral reinforcements, e.g. folds,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9/00Envelopes, wrappers, and paperboard boxes
    • Y10S229/939Container made of corrugated paper or corrugated paper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이 간편하고 강도가 크게 향상되며, 덮개의 양측이 얹혀 지지되는 받침부에 덮개의 걸림판이 결합되어 걸림되게 함으로써 측판의 분리가 방지되는 접이식 포장상자(1)에 관한 것으로, 사각형의 바닥판(3)과, 바닥판(3)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좌,우 측판(4)(5)과, 제1 좌,우 측판(4)(5)의 바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받침부(6)(7)와, 바닥판(3)의 전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접착부(8)와, 바닥판(3)의 후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면판(9)과, 후면판(9)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면 보강판(10)(11)과, 후면판(9)에 연장 형성되는 상부판(12)과, 상부판(12)의 중앙에 형성되는 덮개(13)와, 상부판(12)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좌,우측판(14)(15)과, 제2 좌,우측판(14)(15)의 바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판(16)(17)과, 상부판(12)의 후면에 연장 형성되는 전면판(18)과, 전면판(18)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면 보강판(19)(20)과, 결합판(16)(17)이 결합되고 제1 좌,우 측판(4)(5)과 바닥판(3)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공(21)(2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덮개(13)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판(23)(24)과, 상기 걸림판(23)(24)이 각각 결합되어 걸림되는 받침부(6)(7)의 걸림공(25)(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포장상자{Packaging box of folding type}
본 고안은 접이식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부판 양측에 받침부를 구성하여 덮개의 양측이 얹혀 지지되도록 하고, 덮개 양측의 걸림판이 받침부의 홈에 결합되어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측판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상자는 과일, 채소, 야채, 호두(호두살), 잣, 대추, 밤 등의 청과물이나 수산물, 건어물, 축산물, 육류, 생필품, 공산품 등(이하 '포장물'이라 함)을 수납시켜 보관 또는 운반이 편리하도록 상자 형태로 포장하는 것으로서, 가볍고 운반이 용이하면서 포장물이 보호될 수 있도록 종이 골판지를 접어서 조립하고 있으나, 측면 강도가 비교적 약해 운송중이거나 이동중에 포장물이 움직이는 경우 측판이 쉽게 분리되거나 벌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조립된 포장상자 외면에 속지를 풀로 붙인 다음 인쇄된 겉지를 풀로 재차 붙이는 방식이어서 작업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제조원가가 상승 되고, 아울러 전체 미관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완성형 포장상자는 농산물이나 임산물을 소량으로 포장시켜 유통 및 보관할 수 있도록 상용화되어 있으나, 한편으로는 부피가 커서 운송과 보관 및 관리비용이 과다한 실정이며, 이에 따라 유통센터 및 농가에서는 포장상자를 사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예컨대, 5톤 화물차량을 기준으로 2㎏용 완성형 포장상자의 경우 4,000~6,000개 정도 적재되고, 운송파레트 비용도 개당 10원 전후로 소요되어 비용부담이 매우 크다.
또한 완성형 포장상자의 경우 포장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부만 개봉되어 있으며, 따라서 개봉된 상부로 적당량의 포장물을 수납한 다음 투명 비닐창으로 덮은 후 접착제(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투명 비닐창의 양측면을 완성형 포장상자의 양측면에 접착시켜 포장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운송/보관하고 있으나, 투명 비닐창 사용에 따른 비용 상승이 초래되며, 투명 비닐창을 떼어낼 때에도 접착제에 의해 완성형 포장상자의 표면이 일어나면서 미관이 크게 저하될 뿐 아니라, 투명 비닐창을 재사용할 수 없어서 폐기되므로 환경폐기물이 양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완성형 포장상자는 대부분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골판지의 골심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므로(수직 골판지의 경우 골심지가 상부로 노출된다) 미관이 크게 저하될 뿐 아니라, 투명 비닐창을 사용함에 따라 포장물(상품)에 대한 자세한 안내문(설명)을 인쇄할 수 있는 지면이 부족한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실용신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5759호(고안의 명칭: 완성형 포장상자, 2009. 09. 01. 등록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1612호(발명의 명칭: 종이 포장상자, 2007. 12. 05. 특허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9168호(발명의 명칭: 포장상자, 2010. 03. 16. 특허공개)
본 고안은 조립이 간편하고 강도가 향상된 접이식 포장상자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부판 양측에 덮개의 양측이 얹혀 지지되는 받침부를 형성하여 덮개의 처짐이 방지되고, 비닐창 필요없이도 외관이 미려한 접이식 포장상자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덮개의 양측이 얹혀 지지되는 받침부에 덮개의 걸림판이 결합되어 걸림되게 함으로써 측판의 분리가 방지되는 접이식 포장상자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일 예의 접이식 포장상자는, 사각형 바닥판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좌,우 측판과, 상기 제1 좌,우 측판의 바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바닥판의 전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접착부와, 상기 바닥판의 후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면 보강판과, 상기 후면판에 연장 형성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중앙에 형성되는 개폐형 덮개와, 상기 상부판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좌,우측판과, 상기 제2 좌,우측판의 바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판과, 상기 상부판의 후면에 연장 형성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면 보강판과, 상기 결합판이 결합되고 제1 좌,우 측판과 바닥판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공,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는 상부판과 제1, 2 측면 보강판 사이 틈으로 밀어 넣어 수납실 상부 양측에 위치하도록 하되 상부판보다 내측 방향으로 돌출시켜 덮개의 양측 단부가 얹혀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덮개의 처짐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덮개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판, 상기 걸림판이 각각 결합되는 받침부의 걸림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의 이면에 인쇄되는 광고 내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이식 포장상자의 양측부가 제1 좌,우 측판과 제1, 2 측면 보강판 및 제2 좌,우 측판에 의한 3중 지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접이식 포장상자의 양측 상부면, 또는 양측 하부면, 또는 양측 상하부면 중 어느 하나에 대칭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의 중앙에 개봉부가 형성되고, 덮개의 이면에 상기 개봉부를 커버하도록 접착되는 투명 비닐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 일측에 형성되는 손가락 삽입홈과, 상부판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 삽입홈이 결합되는 요입홈을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부판(12) 양측에 덮개의 양측이 얹혀 지지되는 받침부(6)(7)가 구성되어 덮개(13)의 처짐이 방지되고, 비닐창 없이도 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개폐형 덮개(13)에 의해 포장상자(1)(1a)(1b)(1c)의 개봉부가 닫히고, 받침부(6)(7)에 의해 덮개(13)의 처짐이 방지되므로 택배와 같은 물류 이동시 별도의 보강이 불필요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덮개(13)의 양측이 얹혀 지지되는 받침부(6)(7)에 의해 덮개(13)의 처짐이 방지될 뿐 아니라, 받침부(6)(7)에 형성되는 걸림공(25)(26)에 덮개(13)의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판(23)(24)이 각각 결합되어 걸림되면서 제1, 2 좌,우 측판(4)(5)(14)(15)의 분리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덮개(13)의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판(23)(24)의 걸림구조에 의해 운송중이거나 이동중에 수납실(33)의 포장물이 움직이더라도 제1, 2 좌,우 측판(4)(5)(14)(15)의 분리되거나 벌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접착부(8)의 1개소만 풀칠한 다음 접이식으로 조립하면 접이식 포장상자(1)(1a)(1b)(1c)가 완성되므로 작업성이 우수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며, 조립과 취급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덮개(13)의 이면에 각종 광고내용을 인쇄하거나, 광고 내용이 인쇄된 광고지를 쉽게 접착할 수 있어서 광고효과가 부가되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바닥판(3)과 상부판(12)이 접하도록 접게 되면 접이식 포장상자(1)의 부피(두께)를 크게 줄일 수 있어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며, 이에 따라 완성형 포장상자에 비하여 보관비용과 물류비용 등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조립이 간편하고 강도가 향상되어 포장물이 수납된 접이식 포장상자가 여러 층으로 적층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전개지 사시도.
도 2 내지 도 6 : 본 고안 일 예의 전개지를 이용하여 접이식 포장상자를 접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접이식 포장상자의 사시도.
도 8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접이식 포장상자의 단면도.
도 9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접이식 포장상자의 덮개를 열어 젖힌 상태의 사시도.
도 10 : 본 고안 다른 예로 도시한 전개지 사시도.
도 11 : 본 고안 다른 예로 도시한 접이식 포장상자의 사시도.
도 12 : 본 고안 다른 예로 도시한 접이식 포장상자의 단면도.
도 13 : 본 고안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전개지 사시도.
도 14 : 본 고안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접이식 포장상자의 사시도.
도 15 : 본 고안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접이식 포장상자의 단면도.
도 16 : 본 고안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전개지 사시도.
도 17 내지 도 21 : 본 고안 또 다른 예의 전개지를 이용하여 접이식 포장상자를 접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2 : 본 고안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접이식 포장상자의 사시도.
도 23 : 본 고안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접이식 포장상자에서 덮개의 양측 결합판을 결합공에 결합하기 위하여 들어올린 상태의 사시도.
도 24 : 본 고안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접이식 포장상자에서 덮개의 양측 결합판을 꺾은 상태의 사시도.
도 25 : 본 고안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접이식 포장상자에서 덮개의 양측 결합판을 결합공에 끼워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
도 26 : 본 고안 또 다른 예로 도시한 평면도.
도 27 : 본 고안 또 다른 예로 도시한 도 26의 A-A`선 단면도.
도 28 : 본 고안 또 다른 예로 도시한 도 26의 B-B`선 단면도.
도 29 : 본 고안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하며,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접이식 포장상자(1)의 전개지(2)이고, 도 2~도 6은 상기 전개지(2)를 이용하여 접이식 포장상자(1)를 접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접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 접이식 포장상자(1)는, 도 1과 같이 지류 또는 골판지로 가공된 전개지(2)의 양측 끝 부분을 풀로 붙이면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접을 수 있는 접이식 포장상자(1)가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개지(2)는, 크게 사각형 바닥판(3)과, 바닥판(3)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좌,우 측판(4)(5)과, 제1 좌,우 측판(4)(5)의 바깥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받침부(6)(7)와, 바닥판(3)의 전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접합부 또는 접착부(8)와, 바닥판(3)의 후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면판(9)과, 후면판(9)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면 보강판(10)(11)과, 후면판(9)에 연장 형성되는 상부판(12)과, 상부판(12) 중앙에 형성되는 개폐형 덮개(13)와, 상부판(12)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좌,우측판(14)(15)과, 제2 좌,우측판(14)(15)의 바깥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결합판(16)(17)과, 상부판(12)의 후면에 연장 형성되는 전면판(18)과, 전면판(18)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면 보강판(19)(20)과, 제2 좌,우 측판(14)(15)에 형성되는 결합판(16)(17)이 결합될 수 있도록 바닥판(3)과 제1 좌,우 측판(4)(5)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공(21)(22)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3)은 조립 완료시 포장물이 담기는(적재되는) 바닥면을 이루는 장방형의 사각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전개지(2)에 도시된 복수의 점선은 접히는 부분으로 접지선(4a)(5a)(6a)(7a)(8a)(9a)(10a)(11a)(12a)(13a)(14a)(16a)(17a)(18a)(19a)(20a)이다.
도 2 내지 도 6은 전개지(2)를 이용하여 접이식 포장상자(1)를 접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도 2와 같이 접착부(8)를 수직이나 수직에 가깝도록 접어 그 이면(8b)에 풀칠을 한 다음 후면판(9)과 상부판(12)과 전면판(18)을 접어 전면판(18)의 표면(18b) 일부를 풀칠된 접착부(8)의 이면(8b)에 접착시키면 도 3과 같이 바닥판(3)과 후면판(9)과 상부판(12)과 전면판(18)이 사각형으로 접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바닥판(3)과 상부판(12)이 접하도록 접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바닥판(3)과 후면판(9)과 상부판(12)과 전면판(18)이 사각형으로 접어진 상태에서 비스듬히(경사방향으로) 눌러 바닥판(3)과 상부판(12)이 접하도록 하면 부피(두께)를 크게 줄일 수 있어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며, 따라서 보관비용 및 물류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접착부(8)를 통하여 접합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풀칠없이 간편하게 접어 접이식 포장상자(1)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3)과 후면판(9)과 상부판(12)과 전면판(18)이 사각형으로 접어지면, 도 4와 같이 후면판(9)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측면 보강판(10)(11)을 직각으로 접어 서로 가까워지도록 하고, 또한 전면판(18)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측면 보강판(19)(20)을 직각으로 접어 서로 가까워지도록 한 다음 받침부(6)(7)를 안쪽방향으로 꺾으면서 제1 좌,우 측판(4)(5)을 수직으로 접어 제1, 2 측면 보강판(10)(11)(19)(20)의 바깥면에 접하도록 하되 상기 받침부(6)(7)가 상부판(12)과 제1, 2 측면 보강판(10)(11)(19)(20) 사이에 형성되는 틈(31)(32)으로 밀어 넣어 도 8, 도9와 같이 받침부(6)(7)가 수납실(33) 상부 양측에 위치하도록 하되 상부판(12)보다 내측 방향으로 돌출시켜 덮개(13)의 양측 단부가 얹혀 지지되도록 하고, 도 6과 같이 상부판(12)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좌,우 측판(14)(15)을 밑으로 접어 제1 좌,우 측판(4)(5)의 바깥면에 접하도록 하되 결합판(16)(17)을 접어 결합공(21)(22)에 끼워 결합하면 도 7과 같은 접이식 포장상자(1)가 조립되며, 덮개(13)의 양측부(양측 단부)는 도 8과 같이 받침부(6)(7)의 상부면에 얹혀 지지되므로 덮개(13)의 처짐이 방지된다.
본 고안에서 도 9와 같이 덮개(13)의 이면에 광고 내용(30)을 인쇄하거나 광고지를 접착하게 되면 광고효과를 겸할 수 있다. 예컨대, 덮개(13)를 열어젖히면 덮개(13) 이면의 광고 내용(30)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훌륭한 광고가 달성된다. 상기 광고 내용(30)에는 포장물(상품)에 대한 특징이나 효능(약효), 먹는 방법, 구입처, 판매자, 교환안내, 보상안내 등을 표기할 수 있어서 광고를 위한 별도의 지면을 할애하거나 광고비용이 추가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접이식 포장상자(1)의 양측부가 제1 좌,우 측판(4)(5)과 제1, 2 측면 보강판(10)(11)(19)(20) 및 제2 좌,우 측판(14)(15)에 의한 3중 지지 구조이므로 측면 강도가 크게 보강된다.
본 고안은 접착부(8)의 이면(8b)에 풀칠을 한 다음 전면판(18)의 표면(18b) 일부를 접착시킨 후 접이식으로 조립하면 되며, 1개소만 풀칠하면 되므로 조립과 취급이 용이하다.
본 고안은 제1, 2 좌,우 측판(4)(5)(14)(15)과 받침부(6)(7)에 의해 측판이 3겹으로 크게 보강되는 3중 구조여서 적재하중이 크며, 따라서 다단(다층)으로 적재하더라도 접이식 포장상자(1)의 손괴나 찌그러짐 등이 방지된다.
본 고안 접이식 포장상자(1)는, 바닥판(3)과 상부판(12)이 접하도록 접게 되면 접이식 포장상자(1)의 부피(두께)를 크게 줄일 수 있어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며, 이에 따라 완성형 포장상자에 비하여 보관비용과 물류비용 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종래의 완성형 포장상자는 무거운 적재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두꺼운 골판지를 이용하고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얇은 골판지를 이용하면서 그 이상의 적재하중에 견딜 수 있어서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제조가 용이하다. 골판지의 면적은 약 10% 더 증가하지만 비용면에서는 약 20% 저렴하다.
도 10 내지 도 12는 접이식 포장상자를 여러 층으로 적재할 때 적재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접이식 포장상자(1a)의 양측에 상부면, 또는 양측 하부면, 또는 양측 상하부면에 걸림부재(27)(28)를 대칭 구성하여 접이식 포장상자(1)를 적재시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접이식 포장상자(1a)의 적재 상태가 와해되지 않도록(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도 10은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접이식 포장상자(1)의 전개지(2a)이고, 도 11은 상기 전개지(2)를 이용하여 접이식 포장상자(1a)를 접어 완성한 상태이고, 도 12는 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덮개(13)를 절첩식으로 사용하거나, 덮개(13)를 절취시켜 완전히 제거할 수도 있으며, 또한 덮개(13)가 결합되는 부분에 구멍(개봉부)을 형성한 다음 덮개(13)의 이면에 상기 개봉부를 커버하도록 투명 비닐지(29)를 접착시켜 수납된 포장물 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접이식 포장상자(1b)의 덮개(13) 중앙을 개봉한 다음 저부면에 투명 비닐지(29)를 접합시켜 덮개(13)를 열지 않고도 수납실(33)에 수납된 포장물의 상태를 외부에서 편하게 관망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도 13은 전개지(2b)이고, 도 14는 상기 전개지(2b)를 접어 접이식 포장상자(1b)를 완성한 상태이고, 도 15는 그 단면도이다.
상기 투명 비닐지(29)는 중앙이 개봉된 덮개(13) 이면에 접합함으로써 종래 완성형 포장상자처럼 포장물을 끄집어내기 위하여 투명 비닐지를 완성형 포장상자로부터 분리시키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에 따라 폐기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덮개(13)를 열어 젖히면 상부가 개방되므로 투명 비닐지(29)를 분리할 필요가 없으며, 포장물은 덮개(13)에 의해 당연히 보호된다.
도 16 내지 도 28은 본 고안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접이식 포장상자(1c)의 도면으로, 덮개(13)의 양측이 얹혀 지지되는 받침부(6)(7)에 의해 덮개(13)의 처짐이 방지될 뿐 아니라, 받침부(6)(7)에 형성되는 걸림공(25)(26)에 덮개(13)의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판(23)(24)이 각각 결합되어 걸림되는 걸림구조에 의해 운송중이거나 이동중에 수납실(33)의 포장물이 움직이더라도 제1, 2 좌,우 측판(4)(5)(14)(15)의 분리나 벌어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접이식 포장상자(1c)의 전개지(2)는, 크게 사각형 바닥판(3)과, 바닥판(3)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좌,우 측판(4)(5)과, 제1 좌,우 측판(4)(5)의 바깥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받침부(6)(7)와, 바닥판(3)의 전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접합부 또는 접착부(8)와, 바닥판(3)의 후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면판(9)과, 후면판(9)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면 보강판(10)(11)과, 후면판(9)에 연장 형성되는 상부판(12)과, 상부판(12) 중앙에 연장 형성되는 개폐형 덮개(13)와, 상부판(12)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좌,우측판(14)(15)과, 제2 좌,우측판(14)(15)의 바깥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결합판(16)(17)과, 상부판(12)의 후면에 연장 형성되는 전면판(18)과, 전면판(18)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면 보강판(19)(20)과, 제2 좌,우 측판(14)(15)에 형성되는 결합판(16)(17)이 결합될 수 있도록 바닥판(3)과 제1 좌,우 측판(4)(5)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공(21)(22)과, 덮개(13)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판(23)(24)과, 상기 걸림판(23)(24)이 각각 결합되는 받침부(6)(7)의 결림공(25)(26)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3)은 조립 완료시 포장물이 담기는(적재되는) 바닥면을 이루는 장방형의 사각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전개지(2)에 도시된 복수의 점선은 접히는 부분으로 접지선(4a)(5a)(6a)(7a)(8a)(9a)(10a)(11a)(12a)(13a)(14a)(16a)(17a)(18a)(19a)(20a)이다.
도 17 내지 도 21은 전개지(2)를 이용하여 접이식 포장상자(1c)를 접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도 17과 같이 접착부(8)를 수직이나 수직에 가깝도록 접어 그 이면(8b)에 풀칠을 한 다음 후면판(9)과 상부판(12)과 전면판(18)을 접어 전면판(18)의 표면(18b) 일부를 풀칠된 접착부(8)의 이면(8b)에 접착시키면 도 18과 같이 바닥판(3)과 후면판(9)과 상부판(12)과 전면판(18)이 사각형으로 접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바닥판(3)과 상부판(12)이 접하도록 접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바닥판(3)과 후면판(9)과 상부판(12)과 전면판(18)이 사각형으로 접어진 상태에서 비스듬히(경사방향으로) 눌러 바닥판(3)과 상부판(12)이 접하도록 하면 부피(두께)를 크게 줄일 수 있어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며, 따라서 보관비용 및 물류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접착부(8)를 통하여 접합되어 있어서 별도의 풀칠없이 간편하게 접어 접이식 포장상자(1c)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3)과 후면판(9)과 상부판(12)과 전면판(18)이 사각형으로 접어지면, 도 19와 같이 후면판(9)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측면 보강판(10)(11)을 직각으로 접어 서로 가까워지도록 하고, 또한 전면판(18)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측면 보강판(19)(20)을 직각으로 접어 서로 가까워지도록 한 다음 받침부(6)(7)를 안쪽방향으로 꺾으면서 제1 좌,우 측판(4)(5)을 수직으로 접어 제1, 2 측면 보강판(10)(11)(19)(20)의 바깥면에 접하도록 하되 상기 받침부(6)(7)가 상부판(12)과 제1, 2 측면 보강판(10)(11)(19)(20) 사이에 형성되는 틈(31)(32)으로 밀어 넣어 도 27, 도 28과 같이 받침부(6)(7)가 수납실(33) 상부에 양측 위치하도록 하되 상부판(12)보다 내측 방향으로 돌출시켜 덮개(13)의 양측 단부가 얹혀 지지되도록 하고, 도 21과 같이 상부판(12)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좌,우 측판(14)(15)을 밑으로 접어 제1 좌,우 측판(4)(5)의 바깥면에 접하도록 하되 결합판(16)(17)을 접어 결합공(21)(22)에 끼워 결합하면 도 22와 같은 접이식 포장상자(1c)가 조립된다.
도 23 내지 도 25는 덮개(13)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판(23)(24)을 받침부(6)(7)의 걸림공(25)(26)에 끼워 결합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즉, 덮개(13)의 양측 걸림판(23)(24)을 받침부(6)(7)에 형성된 걸림공(25)(26)에 결합하기 위하여 도 23과 같이 접이선(13a)을 기준으로 덮개(13)를 접어 올린 다음, 도 24와 같이 양측 걸림판(23)(24)이 하향하도록 수직으로 접은 다음, 도 25, 도 27과 같이 양측 걸림판(23)(24)을 받침부(6)(7)의 걸림공(25)(26)에 각각 끼워 결합하면 덮개(13)의 열림이 방지될 뿐 아니라, 덮개(13)의 양측 단부가 받침부(6)(7)의 상부면에 얹혀 지지되므로 덮개(13)의 처짐이 방지된다.
본 고안은 접이식 포장상자(1)의 양측부가 제1 좌,우 측판(4)(5)과 제1, 2 측면 보강판(10)(11)(19)(20) 및 제2 좌,우 측판(14)(15)에 의한 3중 지지 구조이므로 측면 강도가 크게 보강된다.
본 고안은 제1 좌,우 측판(4)(5)과 제1, 2 측면 보강판(10)(11)(19)(2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좌,우 측판(14)(15)은 덮개(13) 걸림판(23)(24)의 걸림구조에 의해 분리가 방지된다. 예컨대, 제1 좌,우 측판(4)(5)의 일측(하부)은 바닥판(3)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좌,우 측판(4)(5)의 타측(상부)에 연결되는 받침부(6)(7)의 일단에는 걸림공(25)(26)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공(25)(26)에는 덮개(13)의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판(23)(24)이 도 27과 같이 각각 결합되어 걸림되므로 제1 좌,우 측판(4)(5)의 벌어짐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고안 접이식 포장상자(1)를 운송중이거나 이동중에 수납실(33)의 포장물이 움직이더라도 제1, 2 좌,우 측판(4)(5)(14)(15)이 분리되거나 벌어지는 문제점이 해소되며, 종래 처럼 포장상자의 외면을 랩핑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접착부(8)의 이면(8b)에 풀칠을 한 다음 전면판(18)의 표면(18b) 일부를 접착시킨 후 접이식으로 조립하면 되며, 1개소만 풀칠하면 되므로 조립과 취급이 용이하다.
본 고안은 바닥판(3)과 상부판(12)이 접하도록 하면 부피를 줄일 수 있어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며, 이에 따라 보관비용 및 물류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은 제1, 2 좌,우 측판(4)(5)(14)(15)과 받침부(6)(7)에 의해 측판이 3겹으로 크게 보강되는 3중 구조여서 다단(다층)으로 적재하더라도 접이식 포장상자(1)의 손괴나 찌그러짐 등이 방지된다.
본 고안 접이식 포장상자(1)는, 바닥판(3)과 상부판(12)이 접하도록 접게 되면 접이식 포장상자(1)의 부피(두께)를 크게 줄일 수 있어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며, 이에 따라 완성형 포장상자에 비하여 보관비용과 물류비용 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종래의 완성형 포장상자는 무거운 적재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두꺼운 골판지를 이용하고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얇은 골판지를 이용하면서 그 이상의 적재하중에 견딜 수 있어서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제조가 용이하다. 골판지의 면적은 약 10% 더 증가하지만 비용면에 약 20% 저렴하다.
본 고안은 덮개(13)를 붙여 사용하거나, 덮개(13)를 절취시켜 완전히 제거할 수도 있으며, 또한 덮개(13)가 결합되는 부분에 구멍을 형성한 다음 투명 비닐지를 접착시켜 내부 포장물 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미 설명부호 (23b)(24b)는 걸림판(23)(24)이 수직으로 접어지면서 상부판(12)에 형성되는 홈이다.
도 29는 본 고안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접이식 포장상자의 사시도로, 덮개(13) 일측에 손가락 삽입홈(13b)을 형성하고 상부판(12) 일측에 상기 손가락 삽입홈(13b)이 결합되는 요입홈(12b)을 형성함으로써 덮개(13)를 보다 쉽게 열어 젖힐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측면으로 삽입되는 판지가 상부 덮개를 고정시키고 하단으로 내려 앉는 문제점이 해결되고, 덮개에 의해 수납된 포장물이 덮여 보호되므로, 종래 비닐창 사용이 배제되고, 덮개 이면에 포장물에 대한 정보와 미감을 향상시키는 디자인 및 광고 등을 인쇄할 수 있어서 상품 이미지가 상승되고 덮개를 열어 젖히면 포장물이 노출되므로 소비자가 육안으로 바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완성형 포장상자와는 달리 측면을 조립해야 하는 불편성은 있으나 비닐창을 덮고 접착하는 시간보다 짧게 소요되며, 비닐창을 덮고 접착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조립되는 양측면이 강하게 보강되고, 불필요한 부분의 재질 약화가 방지되어 원자재값과 비닐창/운송비용/보관비 등에서 종래보다 20% 이상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크기가 작으면서 간단한 조립구조에 의해 일반 농가에서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비닐 등의 환경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고안은 덮개로 포장물이 보호되므로 별도의 포장없이 택배와 같은 물류 이동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화물을 이동할 때에도 편리하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1)(1a)(1b)(1c)--접이식 포장상자 (2)(2a)(2b)(2c)--전개지
(3)--바닥판 (4)(5)--제1 좌,우 측판
(4a)(5a)(6a)(7a)(8a)(9a)(10a)(11a)(12a)(13a)(14a)(16a)(17a)(18a)(19a)(20a)--접지선
(6)(7)--받침부 (8)--접착부
(8b)--이면 (9)--후면판
(10)(11)--제1 측면 보강판 (12)--상부판
(12b)--요입홈 (13)--덮개
(13b)--손가락 삽입홈 (14)(15)--제2 좌,우 측판
(16)(17)--결합판 (18)--전면판
(18b)--표면 (19)(20)--제2 측면 보강판
(21)(22)--결합공 (23)(24)--걸림판
(25)(26)--걸림공 (27)(28)--걸림부재
(29)--투명 비닐지 (30)--광고 내용
(31)(32)--틈 (33)--수납실

Claims (5)

  1. 사각형 바닥판(3);
    상기 바닥판(3)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좌,우 측판(4)(5);
    상기 제1 좌,우 측판(4)(5)의 바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받침부(6)(7);
    상기 바닥판(3)의 전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접착부(8);
    상기 바닥판(3)의 후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면판(9);
    상기 후면판(9)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면 보강판(10)(11);
    상기 후면판(9)에 연장 형성되는 상부판(12);
    상기 상부판(12)의 중앙에 형성되는 개폐형 덮개(13);
    상기 상부판(12)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좌,우측판(14)(15);
    상기 제2 좌,우측판(14)(15)의 바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판(16)(17);
    상기 상부판(12)의 후면에 연장 형성되는 전면판(18);
    상기 전면판(18)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면 보강판(19)(20);
    상기 결합판(16)(17)이 결합되고 제1 좌,우 측판(4)(5)과 바닥판(3)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공(21)(22);
    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6)(7)는 상부판(12)과 제1, 2 측면 보강판(10)(11)(19)(20) 사이 틈(31)(32)으로 밀어 넣어 수납실(33) 상부 양측에 위치하도록 하되 상부판(12)보다 내측 방향으로 돌출시켜 덮개(13)의 양측 단부가 얹혀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덮개(13)의 처짐이 방지되도록 한 접이식 포장상자.
  2. 사각형 바닥판(3);
    상기 바닥판(3)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좌,우 측판(4)(5);
    상기 제1 좌,우 측판(4)(5)의 바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받침부(6)(7);
    상기 바닥판(3)의 전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접착부(8);
    상기 바닥판(3)의 후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면판(9);
    상기 후면판(9)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면 보강판(10)(11);
    상기 후면판(9)에 연장 형성되는 상부판(12);
    상기 상부판(12)의 중앙에 형성되는 개폐형 덮개(13);
    상기 상부판(12)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좌,우측판(14)(15);
    상기 제2 좌,우측판(14)(15)의 바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판(16)(17);
    상기 상부판(12)의 후면에 연장 형성되는 전면판(18);
    상기 전면판(18)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면 보강판(19)(20);
    상기 결합판(16)(17)이 결합되고 제1 좌,우 측판(4)(5)과 바닥판(3)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공(21)(22);
    을 포함하고,
    덮개(13)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판(23)(24);
    상기 걸림판(23)(24)이 각각 결합되는 받침부(6)(7)의 걸림공(25)(26);
    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6)(7)는 상부판(12)과 제1, 2 측면 보강판(10)(11)(19)(20) 사이 틈(31)(32)으로 밀어 넣어 수납실(33) 상부 양측에 위치하도록 하되 상부판(12)보다 내측 방향으로 돌출시켜 덮개(13)의 양측 단부가 얹혀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덮개(13)의 처짐이 방지되도록 한 접이식 포장상자.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60001447U 2016-03-17 2016-03-17 접이식 포장상자 KR2004822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447U KR200482221Y1 (ko) 2016-03-17 2016-03-17 접이식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447U KR200482221Y1 (ko) 2016-03-17 2016-03-17 접이식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221Y1 true KR200482221Y1 (ko) 2016-12-30

Family

ID=57708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447U KR200482221Y1 (ko) 2016-03-17 2016-03-17 접이식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221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9121U (ko) * 1976-04-13 1977-10-21
JPH0280528U (ko) * 1988-12-02 1990-06-21
KR200433677Y1 (ko) * 2006-09-29 2006-12-13 주식회사 삼일칼라팩 청과물 포장상자
KR100781612B1 (ko) 2006-11-06 2007-12-05 주식회사 제일산업포장 종이 포장상자
KR200445759Y1 (ko) 2009-03-18 2009-09-01 김유창 완성형 포장상자
KR20100029168A (ko) 2008-09-06 2010-03-16 홍석기 포장상자
JP2011230837A (ja) * 2010-04-30 2011-11-17 Nippon Tokan Package Kk 包装用箱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9121U (ko) * 1976-04-13 1977-10-21
JPH0280528U (ko) * 1988-12-02 1990-06-21
KR200433677Y1 (ko) * 2006-09-29 2006-12-13 주식회사 삼일칼라팩 청과물 포장상자
KR100781612B1 (ko) 2006-11-06 2007-12-05 주식회사 제일산업포장 종이 포장상자
KR20100029168A (ko) 2008-09-06 2010-03-16 홍석기 포장상자
KR200445759Y1 (ko) 2009-03-18 2009-09-01 김유창 완성형 포장상자
JP2011230837A (ja) * 2010-04-30 2011-11-17 Nippon Tokan Package Kk 包装用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9974B2 (en) Mattress package
US7913629B2 (en) Collapsible pallet system and methods
AU2006201372A1 (en) Corrugated board packaging assembly
KR101126340B1 (ko) 상부적층이 용이한 포장용 종이박스
US20120132562A1 (en) Shipping And Display Container With Removable Panel
WO2002018227A1 (en) Intermediate tray for container
US20210061513A1 (en) Folding panel packaging with tab locks
KR200438405Y1 (ko) 절첩식 포장상자
KR200482221Y1 (ko) 접이식 포장상자
EP2630056B1 (de) Umverpackung zur transportsicherung mindestens eines packstücks
GB2463881A (en) Fold-flat paper-based container
US8827078B2 (en) Container with kick-back
KR20110012742A (ko) 수납구조를 개선시킨 물품 포장용 상자
US9145226B2 (en) Foldable packaging with locking system in folded position
KR101735937B1 (ko) 포장용 박스
KR200476581Y1 (ko) 포장 상자용 덮개
KR200482222Y1 (ko) 접이식 포장상자
CN209275080U (zh) 一种啤酒饮料多瓶/听装包装箱
KR20130029497A (ko) 포장용 박스
KR200394927Y1 (ko) 포장박스
KR20100001848U (ko) 물품 보관용 상자
KR200330178Y1 (ko) 세트 포장용 접은 종이상자
KR101691003B1 (ko) 포장용 상자
KR20080114121A (ko) 상부개방 포장상자
KR200453474Y1 (ko) 포장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