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581Y1 - 포장 상자용 덮개 - Google Patents

포장 상자용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581Y1
KR200476581Y1 KR2020140006076U KR20140006076U KR200476581Y1 KR 200476581 Y1 KR200476581 Y1 KR 200476581Y1 KR 2020140006076 U KR2020140006076 U KR 2020140006076U KR 20140006076 U KR20140006076 U KR 20140006076U KR 200476581 Y1 KR200476581 Y1 KR 2004765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folded
reinforcing
upper plate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0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창
Original Assignee
김유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창 filed Critical 김유창
Priority to KR20201400060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5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5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5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held erect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sides being doubled-over to enclose extensions of adjacent s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 포장 상자용 덮개는, 중앙에 위치하는 다각형 상판부(3); 상판부(3)의 전후좌우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경사부(4)(5)(6)(7)와, 경사부(4)(5)와 경사부(6)(7)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경사 절개부(8)(9)(10)(11)와, 경사부(4)(5)(6)(7)의 바깥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접힘부(12)(13)(14)(15)와, 제1 접힘부(12)(13)(14)(15)의 바깥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측 지지부(16)(17)(18)(19)와, 내측 지지부(18)(19)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접힘 보강부(20)(21)(22)(23)와, 내측 지지부(16)(17)(18)(19)의 바깥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접힘부(24)(25)(26)(27)와, 제2 접힘부(24)(25)(26)(27)의 바깥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측 지지부(28)(29)(30)(31)와, 외측 지지부(28)(29)(30)(31)의 바깥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접힘부(32)(33)(34)(35)와, 제3 접힘부(32)(33)(34)(35)의 바깥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강 접힘부(36)(37)(38)(39)와, 보강 접힘부(36)(37)(38)(39)의 양측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보강부(40)(41)(42)(43)(44)(45)(46)(47)와, 내측 지지부(16)(17)와 접힘 보강부(20)(21)(22)(23)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개방부(48)(49)(50)(51)와, 그 바깥측에 형성되는 제2 개방부(52)(53)(54)(5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장 상자용 덮개{Lid for package box}
본 고안은 포장 상자용 덮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장자리 부분과 연결되는 다면형(Polyhedron) 경사 구조에 의해 중앙부가 상승 돌출되면서 내부 수납공간이 확장되어 수납 활용도가 극대화되고, 2중 지지구조에 의해 코너 부분을 포함한 전체 강도가 크게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상자 및 포장 상자용 덮개는 과일, 채소, 야채, 호두(호두살), 잣, 대추, 밤, 수산물, 건어물, 축산물, 육류, 생필품, 공산품 등(이하 '포장물'이라 함)을 수납시켜 보관 또는 운반이 편리하도록 상자 형태로 포장하는 것으로서, 가볍고 운반이 용이하면서 포장물이 보호될 수 있도록 종이 골판지를 접어서 조립하고 있으나, 코너 부분(또는 모서리 부분)의 강도가 비교적 약해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어 포장물을 많이 담을 수 없으며, 또한 조립된 포장상자 및 포장상자 외면에 속지를 풀로 붙인 다음 인쇄된 겉지를 풀로 재차 붙이는 방식이어서 작업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제조원가가 상승 되고, 아울러 전체 미관이 떨어지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포장상자와 포장 상자용 덮개가 수평으로 구성되어 포장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한 구조여서 다량의 포장물(상품)을 수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구성이 복잡하여 조립이 어려울 뿐 아니라, 모서리 부분의 강도가 크게 떨어지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5759호(고안의 명칭: 완성형 포장상자, 2009. 09. 01. 등록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1612호(발명의 명칭: 종이 포장상자, 2007. 12. 05. 특허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9168호(발명의 명칭: 포장상자, 2010. 03. 16. 특허공개)
본 고안은 가장자리 부분과 연결되는 다면형 경사구조에 의해 중앙부가 상승 돌출되면서 내부 수납공간이 확장되고, 2중 지지구조에 의해 코너 부분을 포함한 전체 강도가 크게 향상되는 간단한 구성의 포장 상자용 덮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각형 내지 팔각형이나 다면형의 포장 상자용 덮개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일 예의 포장 상자용 덮개는, 중앙에 위치하는 다각형 상판부(3); 상판부(3)의 전후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전후 경사부(4)(5)와; 상판부(3)의 좌우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좌우 경사부(6)(7)와; 전후 경사부(4)(5)와 좌우 경사부(6)(7) 사이의 경계부분에 위치하고 전개지(2) 두께의 약 1/2 깊이로 절개되어 상판부(3)의 상승을 도우는 경사 절개부(8)(9)(10)(11)와; 전후 경사부(4)(5)와 좌우 경사부(6)(7)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좁은 폭의 제1 접힘부(12)(13)(14)(15)와; 제1 접힘부(12)(13)(14)(15)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내측 지지부(16)(17)(18)(19)와; 좌우측에 위치하는 내측 지지부(18)(19)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접힘 보강부(20)(21)(22)(23)와; 내측 지지부(16)(17)(18)(19)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좁은 폭의 제2 접힘부(24)(25)(26)(27)와; 제2 접힘부(24)(25)(26)(27)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외측 지지부(28)(29)(30)(31)와; 외측 지지부(28)(29)(30)(31)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3 접힘부(32)(33)(34)(35)와; 제3 접힘부(32)(33)(34)(35)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보강 접힘부(36)(37)(38)(39)와; 보강 접힘부(36)(37)(38)(39)의 양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보강부(40)(41)(42)(43)(44)(45)(46)(47)와; 내측 지지부(16)(17)와 접힘 보강부(20)(21)(22)(2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개방부(48)(49)(50)(51)와; 외측 지지부(28)(29)와 접힘 보강부(20)(21)(22)(23) 사이 및 보강 접힘부(36)(37)와 접힘 보강부(20)(21)(22)(2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개방부(52)(53)(54)(55); 를 포함한다.
본 고안 다른 예의 포장 상자용 덮개는, 중앙에 위치하는 팔각형 상판부(3a)와, 상판부(3a)의 전후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전후 경사부(4)(5)와, 상판부(3a)의 좌우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좌우 경사부(6)(7)와, 상판부(3)의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경사부(4)(6) 사이에 위치하는 대각 경사부(75)와, 상판부(3a)의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경사부(4)(7) 사이에 위치하는 대각 경사부(76)와, 상판부(3a)의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경사부(5)(6) 사이에 위치하는 대각 경사부(77)와, 상판부(3a)의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경사부(5)(7) 사이에 위치하는 대각 경사부(78)와, 전후 경사부(4)(5)와 좌우 경사부(6)(7)와 대각 경사부(75)(76)(77)(78) 사이의 경계부분에 각각 위치하고 전개지(2) 두께의 약 1/2 깊이로 절개되어 상판부(3a)의 상승을 도우는 경사 절개부(8)(8a)(9)(9a)(10)(10a)(11)(11a)와, 전후 경사부(4)(5)와 좌우 경사부(6)(7)와 대각 경사부(75)(76)(77)(78)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1 접힘부(12)(13)(14)(15)(79)(80)(81)(82)와, 제1 접힘부(12)(13)(14)(15)(79)(80)(81)(82)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내측 지지부(16)(17)(18)(19)(83)(84)(85)(86)와, 내측 지지부(16)(17)(18)(19)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삼각 형상의 접힘 보강부(20)(21)(22)(23)(71)(72)(73)(74)와, 접힘 보강부(20)(21)(22)(23)(71)(72)(73)(74)의 단부에 각각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0a)(21a)(22a)(23a)(71a)(72a)(73a)(74a)와, 내측 지지부(16)(17)(18)(19)(83)(84)(85)(86)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2 접힘부(24)(25)(26)(27)(87)(88)(89)(90)와, 제2 접힘부(24)(25)(26)(27)(87)(88)(89)(90)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외측 지지부(28)(29)(30)(31)(91)(92)(93)(94)와, 외측 지지부(28)(29)(30)(31)(91)(92)(93)(94)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3 접힘부(32)(33)(34)(35)(95)(96)(97)(98)와, 제3 접힘부(32)(33)(34)(35)(95)(96)(97)(98)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보강 접힘부(36)(37)(38)(39)(99)(100)(101)(102)와, 보강 접힘부(36)(37)(38)(39)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경사면(40a)(41a)(42a)(43a)(44a)(45a)(46a)(47a)와, 보강 접힘부(99)(100)(101)(10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보강부(99a)(99b)(100a)(100b)(101a)(101b)(102a)(102b)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용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상판부(3)와 경사부(4)(5)(6)(7)의 이면에 보강지(57)(57a)(57b)를 풀로 접착시켜 보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조립되어 포장물을 담을 수 있는 포장 상자용 덮개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구성하고 조립이 간편할 뿐 아니라, 경사부(4)(5)(6)(7)의 경사면 외관과, 제1 접힘부(12)(13)(14)(15)의 경사면 외관에 의한 다면형(Polyhedron) 외관 구성에 의해 전체 미감과 전체강도가 향상될 뿐 아니라 수납공간이 확장되어 수납 활용도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코너부분의 2중 지지구조에 의해 코너 부분을 포함한 전체 강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포장물이 수납된 포장 상자용 덮개가 여러 층으로 적층되더라도 다면형 구조에 의해 외면 가장자리 부분에 손가락이 출입할 수 있는 틈이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적층된 포장상자를 쉽게 잡을 수 있거나 들어올릴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한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사시도.
도 2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3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측면도.
도 4 : 본 고안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5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평면도.
도 6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저면도.
도 7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전개지 사시도.
도 8 ~ 도 10: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접는 과정 사시도.
도 11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조립틀을 이용하여 접는 상태의 단면도.
도 12 : 본 고안 다른 예로 도시한 전개지 사시도.
도 13, 도 14 : 본 고안 다른 예로 도시한 포장 상자용 덮개의 접는 과정 사시도.
도 15 : 본 고안 다른 예로 도시한 포장 상자용 덮개의 저면 사시도.
도 16 :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하며,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 일 예로 도시한 포장 상자용 덮개(1)의 외관 사시도로, 도 2는 접은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접은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접은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전개지(2)의 사시도이고, 도 8 ~ 도 10은 전개지(2)를 이용하여 포장 상자용 덮개(1)를 접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 포장 상자용 덮개(1)는, 지류 또는 골판지로 가공된 도 7과 같은 구성의 전개지(2)를 접으면서 풀로 붙여 완성된다.
상기 전개지(2)는, 중앙에 위치하는 다각형(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상판부(3)와, 상판부(3)의 전후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전후 경사부(4)(5)와, 상판부(3)의 좌우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좌우 경사부(6)(7)과, 전후 경사부(4)(5)와 좌우 경사부(6)(7) 사이의 경계부분에 위치하고 전개지(2) 두께의 약 1/2 깊이로 절개되어 상판부(3)의 상승을 도우는 경사 절개부(8)(9)(10)(11)와, 전후 경사부(4)(5)와 좌우 경사부(6)(7)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좁은 폭의 제1 접힘부(12)(13)(14)(15)와, 제1 접힘부(12)(13)(14)(15)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내측 지지부(16)(17)(18)(19)와, 좌우측에 위치하는 내측 지지부(18)(19)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접힘 보강부(20)(21)(22)(23)와, 내측 지지부(16)(17)(18)(19)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좁은 폭의 제2 접힘부(24)(25)(26)(27)와, 제2 접힘부(24)(25)(26)(27)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외측 지지부(28)(29)(30)(31)와, 외측 지지부(28)(29)(30)(31)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3 접힘부(32)(33)(34)(35)와, 제3 접힘부(32)(33)(34)(35)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보강 접힘부(36)(37)(38)(39)와, 보강 접힘부(36)(37)(38)(39)의 양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보강부(40)(41)(42)(43)(44)(45)(46)(47)와, 전개지(2)가 접힐 수 있도록 내측 지지부(16)(17)와 접힘 보강부(20)(21)(22)(2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개방부(48)(49)(50)(51)와, 외측 지지부(28)(29)와 접힘 보강부(20)(21)(22)(23) 사이 및 보강 접힘부(36)(37)와 접힘 보강부(20)(21)(22)(23) 사이에 각각 형성되고 제1 개방부(48)(49)(50)(51)보다 넓은 폭의 제2 개방부(52)(53)(54)(55)로 구성된다.
상기 전개지(2)에 도시된 점선은 본 고안 포상 상자용 덮개(1)를 접을 때 접는 선에 해당하고, 실선은 가장자리선 및 접은 후의 선 및 절개선 등에 해당한다.
도 8 ~ 도 10은 도 7의 전개지(2)를 이용하여 포장 상자용 덮개(1)를 접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도 8과 같이 반칼 절단 작업에 의해 전개지(2) 두께의 약 1/2 이상 깊이로 절개된 경사 절개부(8)(9)(10)(11)를 접어 도 11과 같이 조립틀(65)의 사각 경사홈(66)에 넣어 경사부(4)(5)(6)(7)가 하향 경사지도록 함으로써 상판부(3)가 하향 돌출된다.
상기 전개지(2)로 포장 상자용 덮개(1)를 접을 때, 도 11과 같이 경사부(4)(5)(6)(7)가 결합되어 경사지게 기울어질 수 있도록 조립홈(66)이 형성된 조립틀(65)을 이용하여 접게 되면, 사각형 상판부(3)의 돌출을 쉽게 달성할 수 있으면서 상판부(3)의 고른 돌출을 기대할 수 있다.
즉, 반칼 절단 작업에 의해 전개지(2) 두께의 약 1/2 이상 깊이로 절개된 경사 절개부(8)(9)(10)(11)를 접어 경사부(4)(5)(6)(7)가 하향 경사지도록 조립틀(65)의 조립홈(66)에 결합함으로써 상판부(3)가 하향 돌출된다.
상판부(3)가 하향 돌출된 상태에서 도 8, 도 9와 같이 좌우측에 위치하는 제1 접힘부(14)(15)를 접어 내측지지부(18)(19)를 수직으로 세운 다음, 도 9와 같이 내측지지부(18)(19)의 전후측에 위치하는 접힘 보강부(20)(21)(22)(23)를 직각으로 접어 하단부가 전후측에 위치하는 제1 접힘부(12)(13)에 위치하도록 하고, 접힘 보강부(20)(21)(22)(23)의 이면 또는 전후에 위치하는 내측지지부(16)(17)의 표면에 풀칠을 한 다음 전후측에 위치하는 제1 접힘부(12)(13)를 접어 접힘 보강부(20)(21)(22)(23)와 내측지지부(16)(17)를 접착(또는 접합) 고정시키고, 전후 양측에 위치하는 보강부(40)(41)(42)(43)의 표면, 또는 전후 양측에 위치하는 보강부(40)(41)(42)(43)와, 전후측에 위치하는 보강 접힘부(36)(37)의 표면에 풀칠을 한 다음 외측지지부(28)(29)의 표면이 접힘 보강부(20)(21)(22)(23)의 표면에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제3 접힘부(32)(33)를 접어 보강 접힘부(36)(37)의 표면이 전후 경사부(4)(5)의 표면에 접착 고정시키고, 보강부(40)(41)(42)(43)의 1/2은 좌우측 경사부(6)(7)의 표면에 삼각형으로 접착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9, 도 10과 같이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보강부(44)(45)(46)(47)의 표면, 또는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보강부(44)(45)(46)(47)와 좌우측에 위치하는 보강 접힘부(38)(39)의 표면에 풀칠을 한 다음 제2 접힘부(26)(27)를 접어 외측지지부(30)(31)의 표면이 내측지지부(18)(19)의 표면에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제3 접힘부(34)(35)를 접어 보강 접힘부(38)(39)의 표면을 좌우 경사부(6)(7)의 표면에 접착 고정시키고, 보강부(44)(45)(46)(47)의 1/2은 보강부(40)(41)(42)(43)의 표면에 삼각형으로 접착되어 2중으로 고정되어 지지되며, 따라서 도 2, 도 6과 같이 모서리부분(코너부분)의 강도를 포함한 전체 강도가 향상되며, 조립이 간편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상기에서 접힘 보강부(20)(21)(22)(23)를 수직으로 접은 상태에서 보강부(44)(45)(46)(47)의 표면, 또는 좌우 보강부(44)(45)(46)(47)와 좌우 보강 접힘부(38)(39)의 표면에 풀칠을 한 다음 제2 접힘부(26)(27)를 접어 외측지지부(30)(31)의 표면이 내측지지부(18)(19)의 표면에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제3 접힘부(34)(35)를 접어 보강 접힘부(38)(39)의 표면을 좌우 경사부(6)(7)의 표면에 접착 고정시키고, 보강부(44)(45)(46)(47)의 1/2은 전후 경사부(4)(5)에 삼각형으로 접착시킨 다음, 접힘 보강부(20)(21)(22)(23)의 이면부 또는 내측지지부(16)(17)의 표면에 풀칠을 한 다음 제1 접힘부(12)(13)를 접어 접힘 보강부(20)(21)(22)(23)와 내측지지부(16)(17)를 접착 고정시키고, 전후 보강부(40)(41)(42)(43)의 표면, 또는 전후 보강부(40)(41)(42)(43)와 전후 보강 접힘부(36)(37)의 표면에 풀칠을 한 다음 외측지지부(28)(29)의 표면이 접힘 보강부(20)(21)(22)(23)의 표면에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제3 접힘부(32)(33)를 접어 보강 접힘부(36)(37)의 표면이 전후 경사부(4)(5)의 표면에 접착 고정시키고, 보강부(40)(41)(42)(43)의 1/2은 보강부(44)(45)(46)(47)의 표면에 삼각형으로 접착되어 2중으로 고정되게 조립할 수도 있다.
즉, 전개지(2)의 전후측을 먼저 접은 다음 좌우측을 나중에 접어 포장 상자용 덮개(1)를 완성하거나, 또는 전개지(2)의 좌우측을 먼저 접은 다음 전후측을 나중에 접어 포장 상자용 덮개(1)를 완성할 수 있다.
조립이 완료된 포상 상자용 덮개(1)를 조립틀(65)로부터 분리시키면, 도 1 ~ 도 3과 같은 포상 상자용 덮개(1)가 얻어지면, 도 4와 같이 경사부(4)(5)(6)(7)에 의해 발생되는 높이(h2)에 의해 상판부(3)가 상승 돌출되면서 덮개(1)의 내부 공간(56)이 크게 확장되므로 과일, 채소, 야채, 호두(호두살), 잣, 대추, 밤, 수산물, 건어물, 축산물, 육류, 생필품, 공산품 등의 포장물(64)을 보다 많이 수납시켜 보관 또는 운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16과 같이 크기가 큰 포장물(64)도 충분히 수납시켜 포장할 수 있게 된다. 도 4의 h1은 내외측 지지부(16)(17)(18)(19)(28)(29)(30)(31)의 높이로 포장상자(58)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또한, 본 고안은 경사부(4)(5)(6)(7)에 의해 전체 미감이 향상될 뿐 아니라, 보강부(40)(41)(42)(43)와 보강부(44)(45)(46)(47)의 2중 접착구조에 의해 모서리부분(코너부분)의 강도가 크게 보강된다.
본 고안에서 도 4와 같이 상판부(3)와 경사부(4)(5)(6)(7)의 이면(저면) 일부 또는 전체에 보강지(57)(57a)(57b)를 풀로 접착시켜 보강할 수 있다.
도 12 ~ 도 15는 본 고안 다른 예로 도시한 포장 상자용 덮개의 전개지 및 접는 과정과, 완성된 저면 사시도로, 팔각형으로도 구성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팔각형 포장 상자용 덮개(1a)를 접기 위한 전개지(2a)이고, 도 13, 도 14는 접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접어서 완성된 팔각형 포장 상자용 덮개(1a)의 저면 사시도로, 구성이 팔각형 일뿐 접는 과정이나 작용효과 등은 앞서 설명한 사각형 포장 상자용 덮개(1)와 별반 차이 없으며, 대동소이하다.
예컨대, 상기 전개지(2a)는, 중앙에 위치하는 팔각형 상판부(3a)와, 상판부(3a)의 전후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전후 경사부(4)(5)와, 상판부(3a)의 좌우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좌우 경사부(6)(7)과, 상판부(3)의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경사부(4)(6) 사이에 위치하는 대각 경사부(75)와, 상판부(3a)의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경사부(4)(7) 사이에 위치하는 대각 경사부(76)와, 상판부(3a)의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경사부(5)(6) 사이에 위치하는 대각 경사부(77)와, 상판부(3a)의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경사부(5)(7) 사이에 위치하는 대각 경사부(78)와, 전후 경사부(4)(5)와 좌우 경사부(6)(7)와 대각 경사부(75)(76)(77)(78) 사이의 경계부분에 각각 위치하고 전개지(2) 두께의 약 1/2 깊이로 절개되어 상판부(3a)의 상승을 도우는 경사 절개부(8)(8a)(9)(9a)(10)(10a)(11)(11a)와, 전후 경사부(4)(5)와 좌우 경사부(6)(7)와 대각 경사부(75)(76)(77)(78)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좁은 폭의 제1 접힘부(12)(13)(14)(15)(79)(80)(81)(82)와, 제1 접힘부(12)(13)(14)(15)(79)(80)(81)(82)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내측 지지부(16)(17)(18)(19)(83)(84)(85)(86)와, 내측 지지부(16)(17)(18)(19)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삼각 형상의 접힘 보강부(20)(21)(22)(23)(71)(72)(73)(74)와, 접힘 보강부(20)(21)(22)(23)(71)(72)(73)(74)의 단부에 각각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0a)(21a)(22a)(23a)(71a)(72a)(73a)(74a)와, 내측 지지부(16)(17)(18)(19)(83)(84)(85)(86)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좁은 폭의 제2 접힘부(24)(25)(26)(27)(87)(88)(89)(90)와, 제2 접힘부(24)(25)(26)(27)(87)(88)(89)(90)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외측 지지부(28)(29)(30)(31)(91)(92)(93)(94)와, 외측 지지부(28)(29)(30)(31)(91)(92)(93)(94)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3 접힘부(32)(33)(34)(35)(95)(96)(97)(98)와, 제3 접힘부(32)(33)(34)(35)(95)(96)(97)(98)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보강 접힘부(36)(37)(38)(39)(99)(100)(101)(102)와, 보강 접힘부(36)(37)(38)(39)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경사면(40a)(41a)(42a)(43a)(44a)(45a)(46a)(47a)와, 보강 접힘부(99)(100)(101)(10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보강부(99a)(99b)(100a)(100b)(101a)(101b)(102a)(102b)와, 전개지(2a)가 접힐 수 있도록 내측 지지부(83)(84)(85)(86) 및 (16)(17)(18)(19) 및 접힘 보강부(71)(72)(73)(74)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제3 개방부(103)로 구성된다.
상기 전개지(2a)에 도시된 점선은 본 고안 포상 상자용 덮개(1a)를 접을 때 접는 선에 해당하고, 실선은 가장자리선 및 접은 후의 선 및 절개선 등에 해당한다.
도 13, 도 14는 도 12의 전개지(2a)를 이용하여 포장 상자용 덮개(1a)를 접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도 12와 같이 반칼 절단 작업에 의해 전개지(2a) 두께의 약 1/2 이상 깊이로 절개된 경사 절개부(8)(8a)(9)(9a)(10)(10a)(11)(11a)를 접어 도 11과 같이 조립틀(65)의 팔각 경사홈(66)에 넣어 경사부(4)(5)(6)(7)(75)(76)(77)(78)가 하향 경사지도록 함으로써 팔각형 상판부(3a)가 하향 돌출된다.
상기 전개지(2a)로 포장 상자용 덮개(1a)를 접을 때, 도 11과 같이 경사부(4)(5)(6)(7)(75)(76)(77)(78)가 결합되어 경사지게 기울어질 수 있도록 조립홈(66)이 형성된 조립틀(65)을 이용하여 접게 되면, 팔각형 상판부(3a)의 돌출을 쉽게 달성할 수 있으면서 상판부(3a)의 고른 돌출을 기대할 수 있다.
즉, 반칼 절단 작업에 의해 전개지(2) 두께의 약 1/2 이상 깊이로 절개된 경사 절개부(8)(8a)(9)(9a)(10)(10a)(11)(11a)를 접어 경사부(4)(5)(6)(7)(75)(76)(77)(78)가 하향 경사지도록 조립틀(65)의 조립홈(66)에 결합함으로써 상판부(3a)가 하향 돌출된다.
상판부(3a)가 하향 돌출된 상태에서 제1 접힘부(12)(13)(14)(15)를 접어 내측지지부(16)(17)(18)(19)를 수직으로 세운 다음, 내측지지부(16)(17)(18)(19)의 양측에 위치하는 접힘 보강부(20)(21)(22)(23)(71)(72)(73)(74)를 접어 연장부(20a)와 연장부(71a), 연장부(21a)와 연장부(72a), 연장부(22a)와 연장부(73a), 연장부(23a)와 연장부(74a)가 각각 접하거나 근접하도록 하고, 접힘 보강부(20)(21)(22)(23)(71)(72)(73)(74)와 연장부(20a)(21a)(22a)(23a)(71a)(72a)(73a)(74a)의 이면에 각각 풀칠을 한 다음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내측지지부(83)(84)(85)(86)를 수직으로 세우면서 접힘 보강부(20)(21)(22)(23)(71)(72)(73)(74) 및 연장부(20a)(21a)(22a)(23a)(71a)(72a)(73a)(74a)에 접착(또는 접합)시키고, 제2 접힘부(87)(88)(89)(90)를 접어 표면에 풀칠된 외측지지부(91)(92)(93)(94)의 표면이 내측지지부(83)(84)(85)(86)의 일부 표면과 접힘 보강부(20)(21)(22)(23)(71)(72)(73)(74)와 연장부(20a)(21a)(22a)(23a)(71a)(72a)(73a)(74a)의 표면에 접착시키고, 제3 접힘부(95)(96)(97)(98)를 접어 표면에 풀칠된 보강 접힘부(99)(100)(101)(102)를 대각 경사부(75)(76)(77)(78)에 접착시키고, 표면에 풀칠된 보강부(99a)(99b)(100a)(100b)(101a)(101b)(102a)(102b)의 표면은 경사부(4)(5)(6)(7)의 표면에 각각 접착시켜 고정하고, 제2 접힘부(24)(25)(26)(27)를 접어 풀칠된 외측지지부(28)(29)(30)(31)의 표면이 내측지지부(16)(17)(18)(19)의 표면에 접합시킨 상태에서 제3 접힘부(32)(33)(34)(35)를 접어 표면에 풀칠된 보강 접힘부(36)(37)(38)(39)를 접어 경사부(4)(5)(6)(7)의 표면에 접착 고정시키면 도 15와 같은 팔각형 포장 상자용 덮개(1a)가 완성된다.
상기 보강 접힘부(36)(37)(38)(39)의 양측 단부는 보강부(99a)(99b)(100a)(100b)(101a)(101b)(102a)(102b)의 표면에 접합되는 2중 접합 구조이므로, 전체 강도가 향상되며, 조립이 간편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상기 보강 접힘부(36)(37)(38)(39)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경사면(40a)(41a)(42a)(43a)(44a)(45a)(46a)(47a)은 경사 절개부(8)(8a)(9)(9a)(10)(10a)(11)(11a)를 넘어가지 않도록 접합되므로, 접는 작업이 보다 수월하고, 경사부(4)(5)(6)(7)와 대각 경사부(75)(76)(77)(78)의 강도저하가 방지된다.
상기 포장 상자용 덮개(1a)는 정팔각형이거나, 도 15와 같이 장방형의 팔각형일 수 있다.
도 16은 본 고안 사용 상태 단면도로, 바닥판(60)의 상하부에 테두리부(59)와 받침부(61)가 구성되고, 바닥판(60)의 상부에 수납공간(63)이 형성된 별도의 포장 상자(58)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장물(64)을 수납한 다음 본 고안 포장 상자용 덮개(1)를 덮어 포장물(64)의 포장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바닥판(60)에 칸막이 부재(62)가 설치되어 포장물(64)의 유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포장상자(58)에 수납되는 포장물(64)의 높이가 테두리부(59)의 상부면보다 높게 상승 되더라도 본 고안 포장 상자용 덮개(1)의 내부에 확장 형성되는 공간부(56)에 의해 수납 상태가 유지되므로 보다 큰 포장물(64) 또는 보다 많은 양의 포장물(64)을 수납시켜 포장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포장 상자용 덮개(1)는, 도 1, 도 3, 도 16과 같이 경사부(4)(5)(6)(7)의 경사면 외관과, 제1 접힘부(12)(13)(14)(15)의 경사면 외관에 의한 다면형(Polyhedron) 외관 구성에 의해 전체 미감과 전체강도가 향상될 뿐 아니라 수납공간이 확장되어 수납 활용도가 극대화되며, 코너부분의 2중 지지구조에 의해 코너 부분을 포함한 전체 강도가 크게 향상된다.
본 고안은 포장물이 수납된 포장 상자용 덮개가 여러 층으로 적층되더라도 다면형 구조에 의해 외면 가장자리 부분에 손가락이 출입할 수 있는 틈이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적층된 포장상자를 쉽게 잡을 수 있거나 들어올릴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한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소정 각도의 경사부(4)(5)(6)(7)(75)(76)(77)(78)에 의해 전체 미감이 향상될 뿐 아니라, 보강 접힘부(36)(37)(38)(39)와 보강부(99a)(99b)(100a)(100b)(101a)(101b)(102a)(102b)의 2중 접합 구조에 의해 모서리부분(코너부분)의 강도가 크게 보강된다.
본 고안에서 상판부(3a)와 경사부(4)(5)(6)(7)(75)(76)(77)의 이면(저면) 일부 또는 전체에 보강지(57)(57a)(57b)를 풀로 접착시켜 보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1)(1a)--포장 상자용 덮개
(2)(2a)--전개지(전개 상태의 포장지)
(3)(3a)--상판부
(4)(5)(6)(7)(75)(76)(77)(78)--경사부
(8)(8a)(9)(9a)(10)(10a)(11)(11a)--경사 절개부
(12)(13)(14)(15)(79)(80)(81)(82)--제1 접힘부
(16)(17)(18)(19)(83)(84)(85)(86)--내측 지지부
(20)(21)(22)(23)(71)(72)(73)(74)--접힘 보강부
(24)(25)(26)(27)(87)(88)(89)(90)--제2 접힘부
(28)(29)(30)(31)(91)(92)(93)(94)--외측 지지부
(32)(33)(34)(35)(95)(96)(97)(98)--제3 접힘부
(36)(37)(38)(39)(99)(100)(101)(102)--보강 접힘부
(40)(41)(42)(43)(44)(45)(46)(47)--보강부
(40a)(41a)(42a)(43a)--경사면
(48)(49)(50)(51)--제1 개방부
(52)(53)(54)(55)--제2 개방부
(75)(76)(77)(78)--대각 경사부
(103)--제3 개방부

Claims (3)

  1. 중앙에 위치하는 다각형 상판부(3);
    상판부(3)의 전후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전후 경사부(4)(5);
    상판부(3)의 좌우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좌우 경사부(6)(7);
    전후 경사부(4)(5)와 좌우 경사부(6)(7) 사이의 경계부분에 위치하고 전개지(2) 두께의 약 1/2 깊이로 절개되어 상판부(3)의 상승을 도우는 경사 절개부(8)(9)(10)(11);
    전후 경사부(4)(5)와 좌우 경사부(6)(7)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1 접힘부(12)(13)(14)(15);
    제1 접힘부(12)(13)(14)(15)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내측 지지부(16)(17)(18)(19);
    좌우측에 위치하는 내측 지지부(18)(19)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접힘 보강부(20)(21)(22)(23);
    내측 지지부(16)(17)(18)(19)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2 접힘부(24)(25)(26)(27);
    제2 접힘부(24)(25)(26)(27)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외측 지지부(28)(29)(30)(31);
    외측 지지부(28)(29)(30)(31)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3 접힘부(32)(33)(34)(35);
    제3 접힘부(32)(33)(34)(35)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보강 접힘부(36)(37)(38)(39);
    보강 접힘부(36)(37)(38)(39)의 양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보강부(40)(41)(42)(43)(44)(45)(46)(47);
    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용 덮개.
  2. 중앙에 위치하는 팔각형 상판부(3a);
    상판부(3a)의 전후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전후 경사부(4)(5);
    상판부(3a)의 좌우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좌우 경사부(6)(7);
    상판부(3)의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경사부(4)(6) 사이에 위치하는 대각 경사부(75);
    상판부(3a)의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경사부(4)(7) 사이에 위치하는 대각 경사부(76);
    상판부(3a)의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경사부(5)(6) 사이에 위치하는 대각 경사부(77);
    상판부(3a)의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경사부(5)(7) 사이에 위치하는 대각 경사부(78);
    전후 경사부(4)(5)와 좌우 경사부(6)(7)와 대각 경사부(75)(76)(77)(78) 사이의 경계부분에 각각 위치하고 전개지(2) 두께의 약 1/2 깊이로 절개되어 상판부(3a)의 상승을 도우는 경사 절개부(8)(8a)(9)(9a)(10)(10a)(11)(11a);
    전후 경사부(4)(5)와 좌우 경사부(6)(7)와 대각 경사부(75)(76)(77)(78)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1 접힘부(12)(13)(14)(15)(79)(80)(81)(82);
    제1 접힘부(12)(13)(14)(15)(79)(80)(81)(82)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내측 지지부(16)(17)(18)(19)(83)(84)(85)(86);
    내측 지지부(16)(17)(18)(19)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삼각 형상의 접힘 보강부(20)(21)(22)(23)(71)(72)(73)(74);
    접힘 보강부(20)(21)(22)(23)(71)(72)(73)(74)의 단부에 각각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0a)(21a)(22a)(23a)(71a)(72a)(73a)(74a);
    내측 지지부(16)(17)(18)(19)(83)(84)(85)(86)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2 접힘부(24)(25)(26)(27)(87)(88)(89)(90);
    제2 접힘부(24)(25)(26)(27)(87)(88)(89)(90)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외측 지지부(28)(29)(30)(31)(91)(92)(93)(94);
    외측 지지부(28)(29)(30)(31)(91)(92)(93)(94)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3 접힘부(32)(33)(34)(35)(95)(96)(97)(98);
    제3 접힘부(32)(33)(34)(35)(95)(96)(97)(98)의 바깥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보강 접힘부(36)(37)(38)(39)(99)(100)(101)(102);
    보강 접힘부(36)(37)(38)(39)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경사면(40a)(41a)(42a)(43a)(44a)(45a)(46a)(47a);
    보강 접힘부(99)(100)(101)(10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보강부(99a)(99b)(100a)(100b)(101a)(101b)(102a)(102b);
    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용 덮개.
  3.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2항 기재의 구성으로 조립되어 포장물을 담을 수 있는 포장 상자용 덮개.
KR2020140006076U 2014-08-13 2014-08-13 포장 상자용 덮개 KR2004765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076U KR200476581Y1 (ko) 2014-08-13 2014-08-13 포장 상자용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076U KR200476581Y1 (ko) 2014-08-13 2014-08-13 포장 상자용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581Y1 true KR200476581Y1 (ko) 2015-03-18

Family

ID=53051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076U KR200476581Y1 (ko) 2014-08-13 2014-08-13 포장 상자용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5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148A (ko) 2021-06-02 2022-12-09 박예원 폴딩박스에 적용되는 컵홀더용 덮개
KR20230000849U (ko) 2021-10-22 2023-05-02 박예원 다리 구조를 포함하는 폴딩박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5317A (ja) 2002-03-12 2003-11-25 Rengo Co Ltd 包装箱
KR200406210Y1 (ko) 2005-10-20 2006-01-20 김유창 종이상자에 수납 사용되는 종이쟁반
JP2006044715A (ja) 2004-07-07 2006-02-16 Sugita:Kk 包装箱
KR20140004307U (ko) * 2013-01-08 2014-07-16 조준구 포장상자용 덮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5317A (ja) 2002-03-12 2003-11-25 Rengo Co Ltd 包装箱
JP2006044715A (ja) 2004-07-07 2006-02-16 Sugita:Kk 包装箱
KR200406210Y1 (ko) 2005-10-20 2006-01-20 김유창 종이상자에 수납 사용되는 종이쟁반
KR20140004307U (ko) * 2013-01-08 2014-07-16 조준구 포장상자용 덮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148A (ko) 2021-06-02 2022-12-09 박예원 폴딩박스에 적용되는 컵홀더용 덮개
KR20230000849U (ko) 2021-10-22 2023-05-02 박예원 다리 구조를 포함하는 폴딩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9551A1 (en) Hexagon package and configuration of several hexagonal packages
KR100934457B1 (ko) 부피가 절반으로 축소되는 케익 포장 상자
KR200476581Y1 (ko) 포장 상자용 덮개
JP5715650B2 (ja) 特に液体製品に用いられる柔軟な容器
FR2652566A1 (fr) Perfectionnement aux emballages pour le conditionnement de produits notamment alimentaires.
FR2867161A1 (fr) Plateau support et conteneur modulable incorporant un tel plateau
EP0538098A1 (fr) Emballage de carton empilable avec des renforts d'angle
KR20130029497A (ko) 포장용 박스
KR200440979Y1 (ko) 포장용 상자
KR20080005089U (ko)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
KR20130005174U (ko) 개방형 포장박스
KR101717436B1 (ko) 포장용 박스 및 포장용 박스 제작방법
EP3321202B1 (fr) Dispositif d'emballage d'un récipient souple, imitant un tonneau, et procédé de fabrication correspondant
KR20090000631U (ko) 과일상자.
KR200482221Y1 (ko) 접이식 포장상자
KR102425211B1 (ko) 포장상자
JP4814032B2 (ja) 中仕切付き段ボールトレー
KR102020736B1 (ko) 디자인 과일 포장박스
KR200475573Y1 (ko) 포장상자
KR200482222Y1 (ko) 접이식 포장상자
FR2853886A1 (fr) Boite en carton presentoir avec face avant ajouree
KR20100006304U (ko) 포장용 상자
KR101673460B1 (ko) 칸막이와 손잡이가 구비된 개방형 소포장 용기
EP0093682B1 (fr) Emballage en carton muni de renforts
KR200467012Y1 (ko)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