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210Y1 - 종이상자에 수납 사용되는 종이쟁반 - Google Patents

종이상자에 수납 사용되는 종이쟁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210Y1
KR200406210Y1 KR2020050029833U KR20050029833U KR200406210Y1 KR 200406210 Y1 KR200406210 Y1 KR 200406210Y1 KR 2020050029833 U KR2020050029833 U KR 2020050029833U KR 20050029833 U KR20050029833 U KR 20050029833U KR 200406210 Y1 KR200406210 Y1 KR 2004062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ide plate
sanitary
cardboard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8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창
Original Assignee
김유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창 filed Critical 김유창
Priority to KR20200500298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2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2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2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이쟁반에 관한 것이다. 종이상자 내부에 수납시켜 사용하는 종래 쟁반은 대부분 나무로 제작되어 외부 충격등에는 비교적 강하지만, 두껍고 무거울 뿐 아니라 제작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특히 쟁반 표면에 도포 및/또는 분사되는 니스ㆍ옻ㆍ도료 등의 마감재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유해가스에 의해 상품 고유의 맛과 향 및 신선도가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상품을 담을 수 있게 상부가 개방된 골판지 표면에 위생지를 접합하거나 감싸는 등의 방법으로 피복시켜 종이상자 내부에 수납 사용할 수 있는 종이쟁반을 구성함으로써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이 말끔히 해소되도록 한 것이다.
Figure 112005059416992-utm00001
종이상자, 내부상자, 피복, 골판지, 위생지, 포장, 상자본체, 덮개, 쟁반

Description

종이상자에 수납 사용되는 종이쟁반{PAPER TRAY RECEIVED IN THE PAPER BOX}
도 1 : 종래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 : 종래 고안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3 :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4 : 본 고안 골판지의 전개도.
도 5 : 본 고안 위생지의 전개도.
도 6 : 본 고안 골판지의 조립 상태 평면도.
도 7 :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단면 구성도.
도 8 내지 도 10 : 본 고안 위생지의 조립 상태 평면도.
도 11 : 본 고안 종이쟁반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2 : 본 고안에서 위생바닥지를 분리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13 : 본 고안에서 위생골판지가 접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4 : 본 고안 격리부재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쟁반 (2)--상자본체
(3)--덮개 (4)(16)--상품
(5)--종이쟁반 (6)--골판지
(7)--위생지 (8)--바닥
(9)--위생골판지 (9a)--위생골심지
(11)(23)(24)(25)(26)(27)(31)--절첩선 (10)--격리부재
(12)--측판 (12a)--모서리면
(13)--개방부 (14)(32a)(34a)--경사면
(15)--접착테이프 (17)(21)--바닥부
(18)--바깥 측판부 (19)--모서리부
(20)--안쪽 측판부 (22)(37)--보강부
(28)--절단선 (29)--절단면
(30)--위생바닥지 (32)--가로부재
(33)(35)--결합홈 (34)--세로부재
(36)--칸막이
본 고안은 종이상자 내부에 수납 사용되는 종이쟁반에 관한 것으로, 상품을 담을 수 있게 상부로 개방된 골판지 표면에 위생지를 접합하거나 감싸는 등의 방법으로 피복시켜 종이상자에 수납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곶감ㆍ송이버섯ㆍ인삼ㆍ장뇌삼 등과 같이 변형이 쉽거나 고부가 상품(또는 식품)은 상품성이 유지될 수 있게 도 1과 같이 견고한 재질, 이를테면 나무로 제작된 사각형 쟁반(四角盤)(1)에 담은 다음 상자본체(2)와 덮개(3)로 구성되는 종이상자에 넣어 포장함으로써 상품(4)의 처짐이나 외부 충격 및 유동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위생수지 필름, 이를테면 랩으로 상품(4)과 쟁반(1)을 감싸 상품(4)의 유동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쟁반(1)은 나무로 제작되므로 충격등에 강한 반면, 두껍고 무거울 뿐 아니라 제작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쟁반(1) 표면에 도포 및/또는 분사되는 니스ㆍ옻ㆍ도료 등의 마감재로부터 지속하여 발생되는 유해가스가 밀폐된 상자 내부로 유출될 뿐 아니라, 상품(4) 속으로 까지 침투하여 상품 고유의 맛과 향 및 신선도를 떨어뜨리면서 상품성을 크게 훼손시키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 유해가스가 거의 제거되는 1년후에나 쟁반(1)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유해가스가 거의 제거되는 기간동안 쟁반(1)을 보관하는 장소와 관리에도 무척 고민이 따르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된 골판지 표면에 위생지를 접합하거나 감싸는 등의 방법으로 피복시켜 상품을 담은 다음 종이상자 내부에 수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말끔히 해소시킨 종이쟁반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종이쟁반 바닥에 위생골판지를 깔아 상품을 보다 위 생적으로 보관 및 포장할 수 있도록 종이상자에 수납 사용되는 종이쟁반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종이쟁반 내부에 복수의 칸막이를 갖는 격리부재 또는 봉지(레토르트 파우치 등)를 설치하여 상품 끼리의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접촉에 의한 상품성 저하를 방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골판지를 제조할 때, 나노크기의 숯가루 또는 나노크기의 은(銀) 클로이드(colloid) 또는 나노 크기의 토르말린을 소정량 첨가 혼합하여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로 개방된 골판지 표면에 위생지를 접합하거나 감싸는 방법으로 피복시켜 종이상자 내부에 수납 사용할 수 있는 종이쟁반을 구성하도록 한다. 상기 위생지는 고급지, 씨씨피(CCP)지, 아이보리지, 마닐라지, 로얄 아이보리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종이쟁반 전체가 골판지 및 위생지 등의 지류(紙類)로 구성되므로 제작이 쉽고 비용이 저렴할 뿐 아니라, 위생지 표면이 유광 또는 무광상태로 위생 코팅되므로 별도의 다른 포장이 불필요하며, 유해가스의 발생이 없으므로 상품 고유의 맛과 향 및 신선도가 오래 유지된다.
또한 본 고안은 종이쟁반 바닥에 위생골판지를 깔아 상품을 보다 위생적, 안정적으로 포장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상품이 포장되는 종이쟁반 내부에 복수의 칸막이를 갖는 격리부재 또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를 설치하여 상품 끼리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접촉에 의한 상품성 저하가 방지되도록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도록 하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종이쟁반(5)은 뼈대 역활을 하는 골판지(6)와, 상기 골판지(6) 표면에 풀로 접합되거나 또는 접어 피복되는 위생지(7)와, 위생지(7)가 피복된 바닥(8) 부분에 설치되는 위생바닥지(30) 또는 위생골판지(9) 또는 위생 격리부재(10)로 구성되며, 도 3은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골판지(6)의 전개도이고, 도 5는 위생지(7)의 전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골판지(6)는 도 4와 같이 대체로 사각형인 바닥(8)의 가장자리 부분에 절첩선(11)이 각각 형성되고, 절첩선(11)의 바깥쪽에는 장방형의 측판(12)이 각각 형성되고, 이웃하는 측판(12)이 만나는 꼭지 부분에는 바깥방향으로 향 할수록 점차적으로 벌어지는 각각의 개방부(13)에 의해 측판(12)의 끝부분에 경사면(14)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이웃하는 경사면(14)들이 서로 접하도록 측판(12)들을 접게되면 도 6과 같이 절첩선(11)을 중심으로 측판(12)들이 소정 기울기(θ1)로 상승하여 테두리 부재로서의 기능을 하게되며, 상기 경사면(14)들이 접하는 부분은 접착제로 접합하거나 또는 경사면(14)들이 접하는 부분의 앞뒤로 접착테이프(15)를 접합시켜 고정하면 상품(16)을 담을 수 있는 쟁반구조가 갖추어진다.
상기 측판(12)의 기울기(θ1)는 개방부(13)의 개방각도(θ2)에 따라 달라지 지만 40°~ 70°범위로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울기(θ1)가 너무 크거나 작은 경우 미감이 저하될 뿐 아니라, 상품(16)이 비효율적으로 포장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측판(12)의 높이는 상품(16)의 높이와 상기 기울기(θ1) 및 종이상자의 내부 높이를 감안하여 결정된다.
상기 골판지(6)는 파상의 골을 갖는 골심지의 양쪽에 라이너(Liner)를 접합한 양면골판지의 일종으로 평면 압축강도(Flat Crush Strength)와 완충성이 높은 편이며, 골심지를 1개의 층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여러층으로 구성하여 완충효과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골판지(6)는 종이쟁반(5)의 전체 크기와 포장되는 상품(16)의 중량이나 크기 등의 특성에 따라 그 종류가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A, B, C, E골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골판지의 A골(A-flute)은 KS규격에서 30cm당 골의 수는 34 ±2이고, 골의 높이는 4.5 ~ 5.0mm로서 가장 높은 편이며, 다른 골에 비하여 내압강도(수직압축강도)와 완충 흡수력면에서 우수하다.
또한 B골(B-flute)은 골의 수가 50 ±2골이고, 골의 높이는 보통 2.5 ~ 3.0mm이며, 압축강도와 완충성은 A골에 비하여 떨어지지만 절곡의 상태가 좋고, 평면 압축강도가 강하며 표면 평활도가 좋다.
또한 C골(C-flute)은 골의 수가 40 ±2골이고, 골의 높이는 보통 3.5 ~ 4.0mm로 A골과 B골의 중간이며, 골조율(단조율)은 A골보다 적어, 골심지의 사용량이 절약될 수 있고, 압축강도와 물성이 A골과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A골로부터 C골 로 전환되고 있다.
또한 E골(E-flute)은 골의 수가 93 ±5정도이고, 골의 높이도 1.1 ~ 1.4mm 정도로 얇다. E골은 주로 낱포장 또는 내장상자의 재료로 사용되지만, 판지 상자, 지기상자 분야에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E골보다 높이가 낮은 미니 골판지로서 F골, G골, N골, O골 등이 있으며, A골보다 골의 높이가 높은 J골, K골, S골 등의 골판지가 개발 보급되고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로 도시한 위생지(7)의 전개 상태 평면도로, 도 6에 도시된 쟁반 구조의 골판지(6)를 피복할 수 있게 재단되며, 또한 복수의 절첩선과 절단선이 형성된다.
이를테면, 골판지의 바닥(8) 저부면에 접하는 바닥부(17)와, 골판지의 측판(12) 바깥면에 각각 접하는 바깥 측판부(18)와, 골판지의 측판(12) 모서리면(12a)에 접하는 모서리부(19)와, 골판지의 측판(12) 안쪽면에 접하는 안쪽 측판부(20)와, 골판지의 바닥(8) 상부면에 접하는 바닥부(21)와, 바깥 측판부(18)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보강부(37)와, 안쪽 측판부(20)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보강부(22)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바닥부(17)와 바깥 측판부(18), 바깥 측판부(18)와 모서리부(19), 모서리부(19)와 안쪽 측판부(20), 안쪽 측판부(20)와 바닥부(21) 사이에는 절첩선(23)(24)(25)(26)이 각각 형성되어 이들을 쉽게 접을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보강부(37)와 바깥 측판부(18) 사이 및 안쪽 측판부(20)와 보강부 (22) 사이에도 절첩선(27)(31)이 각각 형성되어 이들을 쉽게 접을 수 있게 구성되며, 바닥(8)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바깥 측판부(18)와 보강부(37) 사이는 절단선(28)에 의해 보강부(37)를 쉽게 접을 수 있게 구성된다.
모서리부(19)의 길이와 폭은 골판지(6)에 형성된 모서리(12a)와 같은 길이이면서 모서리(12a) 부분을 감쌀 수 있게 조금 큰 폭이며, 바깥 측판부(18) 및 안쪽 측판부(20)는 골판지(6)에 형성된 골판지의 측판(8)과 같은 형상이며, 안쪽 측판부(20)의 골판지(6)를 감쌀 때 골판지(6)의 두께를 감안하여 길이가 조금 줄어든 상태이다. 그리고 바닥부(21)의 길이는 골판지(6)의 두께를 감안하여 바닥부(17)의 길이 및 폭보다 작아진 길이이다.
그리고 바닥부(17)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모서리부(19)의 양끝 부분은 45° 방향의 절단면(29)이 대칭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위생지(7)를 정교하게 접을 수 있으며, 도 10과 같이 종이쟁반(5)의 4개 모서리 부분에 상기 절단면(29)이 노출된다.
도 8 내지 도 10은 골판지(6) 표면에 위생지(7)를 피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위생지(7)의 바닥부(17)에 골판지(6)를 얹어 놓은 다음 바깥 측판부(18)를 골판지의 측판(12) 바깥면에 각각 접하도록 접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절단선(28)을 갖는 보강부(37)는 길이가 짧은 양측 바깥 측판부(18)와 골판지의 측판(12)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도 9는 길이가 긴 바깥 측판부(18)를 접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모서리부(19)를 접어 골판지의 측판(12) 모서리면(12a)에 접하도록 하고, 안쪽 측 판부(20)는 골판지의 측판(12) 안쪽면에 접하도록 접고, 길이가 긴 안쪽 측판부(20)에 형성되는 보강부(22)는 길이가 짧은 골판지의 측판(12) 안쪽면에 접하도록 접고, 바닥부(21)는 골판지(6)의 바닥(8) 상부에 접하도록 접은 상태이다. 상기 도 9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긴 길이의 모서리부(19)와, 안쪽 측판부(20)와, 바닥부(21)와, 보강부(22)는 완전히 접은 상태이며, 상부에 위치하는 긴 길이의 모서리부(19)와, 안쪽 측판부(20)와, 바닥부(21)와, 보강부(22)는 접기 전의 상태이다.
도 10은 길이가 짧은 일측 모서리부(19)와, 안쪽 측판부(20)와, 바닥부(21)를 접기 전의 상태이며, 위생지(7)를 전부 접게되면 도 12와 같이 길이가 긴 바닥부(21)의 양측에 길이가 짧은 바닥부(21)가 얹혀 접히는 상태로 된다.
도 12는 위생지(7)가 피복된 종이쟁반(5) 바닥(8)에 위생바닥지(30)를 깔거나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설치하여 상품(16)을 담아 포장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고, 도 13은 위생지(7)가 피복된 종이쟁반(5) 바닥(8)에 통기성(통풍성)과 완충성 등이 우수한 위생골판지(sanitation corrugated cardboard)(30)를 깔거나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설치하여 상품(16)의 유동이나 미끄러짐없이 보다 위생적으로 장기간 보관 및 유통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위생골판지(9)는 파상의 골을 갖는 골심지(9a)의 한 쪽에 라이너(Liner)가 접합된 편면골판지의 일종으로 평면 압축강도(Flat Crush Strength)가 감각적으로 유연하여 완충성이 높은 편이며, 골심지를 1개의 층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골심지를 여러층으로 구성하여 완충효과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위생골판지(9)는 전체(라이너와 골심지) 또는 상품(16)이 직접 접촉되 는 골심지(9a) 부분이 펄프로 구성되어 위생적이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A, B, C, E골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즉, 상품(16)의 크기가 작은 경우 좁은골의 위생골판지를 사용하고, 상품(16)의 크기가 크거나 보다 효과적인 통기를 원하는 경우 넓은 골의 위생골판지를 사용하면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위생지(7)를 제조할 때, 나노크기의 숯가루 또는 나노크기의 은(銀) 클로이드(colloid) 또는 나노크기의 토르말린을 소정량 첨가 혼합하거나 또는 표면에 인쇄, 전사, 코팅 등의 방법으로 피복시켜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즉, 숯의 경우, 강한 흡착력과 음식의 이물질 및 독소를 제거하는 기능이 있어서 간장과 된장에 넣어 각종 이물질과 독소를 제거하는데 사용하였으며, 음용수에도 참숯을 띄워 정화하고 있다.
또한 숯은 습기를 제거하고, 냄새를 없애는 데에도 효과가 탁월하며, 각종 유해 미생물로부터 나오는 유해가스를 중화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최근 숯은 인체의 각종 독소를 흡수하는 약재로도 관심을 끌고 있다. 숯이 인체의 각종 독소를 흡착, 배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오랫동안 내장에 탈이 생겼을 데 숯을 복용해 왔으며, 서양에서도 숯을 의학용으로 사용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숯은 자장의 움직임에 의해 공기 중의 음이온을 모아 주며, 이러한 음이온을 다시 배출해 공기를 맑게 해 준다. 보통 미생물의 번식이 심하면 미생물로부터 발생한 가스로 대기 중에 양이온이 많아지게 된다. 이런 경우 숯을 놓아 두면, 숯에서 발산되는 음이온이 양이온을 중화시켜 공기를 맑게 해 주며, 나무가 많 은 숲에서 상쾌함을 느끼는 것도 모두 이 음이온 때문이다.
따라서 위생지(7)를 제조할 때, 숯가루(또는 숯분말)를 혼합하거나 표면에 인쇄, 전사, 코팅 등의 방법으로 피복한 경우 상기와 같은 효과가 부여되며, 곶감이나 송이 등의 경우 보다 위생적으로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게된다.
위생지(7)에 은(銀) 클로이드(colloid)가 함유된 경우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오래 전부터 인류는 광범위한 여러 가지 살균 작용을 발견하였으며 또 사용해 왔다. 고대 로마, 고대 페르시아보다도 더 일찍이 사람들은 은(銀)으로 된 기구에 액체를 담아두어 부패를 방지하였다. 그리고, 질산은 용액을 신생아의 눈에 떨구어 결막염을 예방하는 크레드(crede) 예방법은 지금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나노기술의 출현은 보통 은(銀) 제제의 살균력이 약한 병목(bottleneck)을 해결하였다. 과학자들은 은(銀)이 나노 상태에서는 살균 능력이 질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극히 적은 양의 나노 은(銀)이 매우 강력한 살균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나노 은(銀)을 사용하여 살균하고, 세균을 방지하는데 더 없이 좋은 전망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위생지(7)를 제조할 때, 나노(Nano) 크기의 은(銀) 클로이드(colloid : 또는 나노상태의 銀분말)를 적절히 혼합한 다음 위생지(7)를 성형하거나 또는 위생지(7) 표면(외면)에 코팅, 인쇄, 전사하는 등의 방법으로 피복시켜 나노 은(銀)에 의한 항균성과 살균성을 갖도록 한다.
즉, 살균 및 항균이 가능한 나노상태의 은(銀) 콜로이드 용액(또는 분말)과 위생지(7)를 N:1,000(N은 1∼100) 무게비로 혼합하여 성형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조하거나, 또는 적당량의 은(銀) 콜로이드 용액을 위생지(7) 표면에 코팅, 인쇄, 전사하는 등의 방법으로 피복시켜 살균과 항균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각종 세균들에 의한 비위생적인 요인들이 말끔히 제거되어 상품(16)을 보다 신선하게 오래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위생지(7)를 제조할 때, 위생지(7)의 조직과 비슷한 크기이거나 그 이하의 크기(2㎛ ~ 3㎛)의 토르말린 분말을 소정량 혼합하거나 표면에 인쇄, 전사, 코팅등의 방법으로 피복하면 위생지(7)에 물리적으로 잘 결합되어 고착화되며, 주변의 수분과 접촉하면서 전기분해를 일으켜 발생되는 수소를 산화시키고 촉매의 작용에 의해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효율과 탈취효율 등이 10배 이상 크게 향상되며, 수분과 냄새등이 빨리 제거되고,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작용에 의해 상품(16)의 신선도가 오래 유지된다.
그리고, 종이상자 내부의 탈취효과와 항균효과가 있으며, 습기나 곰팡의 기생 번식이 방지되며, 상품(16)의 탈색이나 변색등이 방지되며, 위생골판지(9)가 갖는 완충작용에 종이상자로 작용되는 외압이나 충격으로부터 포장 상품(16)이 보호된다.
도 14는 위생바닥지(30) 또는 위생골판지(9) 등의 바닥부재가 설치된 본 고안 종이쟁반(5) 내에 설치할 수 있는 위생 격리부재(1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격리부재(10)는 결합홈(33)(35)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가로부재(32) 및 세로부재(34)가 수직으로 결합되어 그 사이에 상품(16)를 낱개 또는 소정개수 단위로 수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칸막이(36)가 형성된 구성이며, 상기 가로부재(32)와 세로부재(34)의 양끝 부분에는 골판지의 측판(12) 기울기(θ1)와 같은 기울기의 경사면(32a)(34a)이 각각 형성되어 종이쟁반(5)의 안쪽측면에 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 14와 같이 위생 격리부재(10)를 사용하는 경우 포장된 상품(16), 특히 곶감이나 버섯 등이 서로 닿지 않아 통기성이 양호하고 진물이 나거나 곰팡이등이 발생하지 않아 보존성과 유통기간이 길어지게 되며, 아울러 유통중에 곶감이나 버섯등의 상품(16)이 종이쟁반(5)의 한 쪽으로 쏠리거나 유동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본 고안 종이쟁반(5)은 골판지 및 위생지 등의 지류(紙類)로 제작되므로 제작이 쉬울 뿐 아니라,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규격화할 수 있어서 주문제작에 신속히 응할 수 있으며, 분해 조립할 수 있어서 부피가 적고 무게가 가벼워 보관이 쉽고 물류비용도 절감된다.
그리고 지류 자체의 특성에 의해 적정습도가 유지되므로 상품(16)의 부패나 산화등이 방지된다. 그리고 1회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 후 분리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된다.
본 고안 종이쟁반(5)은 비단, 곶감ㆍ송이버섯ㆍ인삼ㆍ장뇌삼 등의 상품 뿐 아니라, 소정의 형상을 갖는 식품이나 괘채류, 이를테면 떡이나 과일, 채소 등을 담아 포장 및 유통 보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골판지 표면에 마닐라 인쇄지를 붙여 제작함으로써 종래 나무로 제조된 종래 쟁반에 비하여 무게가 가볍고, 제조가 용이하고, 원가가 저렴하며, 위생적이다.
본 고안 종이상자는 제작이 쉽고 재활용할 수 있으며, 지류(종이)이므로 분리 수거할 수 있으며, 한 번 쓰고 버릴수도 있다. 그리고 위생지(7)의 표면을 코팅하는 경우 다른 포장이 불필요하다.
본 고안에서 위생골판지(9)를 제조할 때, 나노크기의 숯가루 또는 나노크기의 은(銀) 클로이드(colloid) 또는 나노크기의 토르말린을 소정량 첨가 혼합하거나 인쇄, 전사, 코팅등의 방법으로 피복하면 곶감 등의 신선도가 더욱 오래 유지된다.
상기 위생골판지는 100%의 펄프재료로 제조되어 인체에 무해하고 위생적일 뿐 아니라, 숯가루, 은(銀) 클로이드(colloid), 토르말린 등에 의해 기능성이 부여될 뿐 아니라, 골심지의 구조에 의해 완충성 또한 양호하다.
본 고안의 종이쟁반(5)은 꼭히 종이상자에 수납시켜 사용할 필요는 없다. 이를테면, 종이쟁반에 상품을 수납시킨 다음 종이상자에 넣을 필요없이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경우 보조 뚜껑을 사용하거나 또는 랩(비닐수지 필름)으로 감싸 포장된 상품(16)을 보호하고 그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종이쟁반의 형상을 사각형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물론 종이상자의 구조와 형상을 감안하여 6각 8각 등의 다각형이나 이들의 변형 형상으로 다양화 할 수 있으며, 위생지(7), 위생바닥지(30)와 위생골판지(9) 및 위생 격리부재(10) 등은 식품업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위생과 관련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과 모방을 행할 수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종이쟁반은 지류로 제조되므로 얇고 가벼울 뿐 아니라 제작시간과 비용이 크게 절감되며, 유해가스 발생이 없으므로 상품 고유의 맛과 향 및 신선도가 오래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골판지의 완충작용에 의해 상품이 충격등으로부터 보호되는 효과가 있으며, 위생골판지의 경우 골심지를 제조할 때, 나노크기의 숯가루 또는 나노크기의 은(銀) 클로이드(colloid) 또는 나노 크기의 토르말린을 소정량 첨가 혼합하여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종이상자에 수납되는 쟁반을 구성함에 있어서 ; 소정 기울기의 테두리를 갖는 골판지 표면에 위생지를 피복하여서 된 종이상자에 수납되는 종이쟁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 골판지는 바닥 가장자리 부분에 절첩선이 형성되고, 상기 절첩선의 바깥쪽에 장방형의 측판이 형성되고, 측판의 꼭지 부분에 바깥방향으로 향 할수록 점차적으로 벌어지는 개방부에 의해 측판의 끝부분에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상자에 수납되는 종이쟁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위생지는 골판지 바닥 저부에 접하는 바닥부와, 골판지의 측판 바깥면에 접하는 바깥 측판부와, 골판지의 측판 모서리면에 접하는 모서리부(19)와, 골판지의 측판 안쪽면에 접하는 안쪽 측판부와, 골판지 바닥의 상부면에 접하는 바닥부와, 상기 바깥 측판부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보강부와, 상기 안쪽 측판부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보강부와;
    상기 바닥부와 바깥 측판부, 상기 바깥 측판부와 모서리부, 상기 모서리부와 상기 안쪽 측판부, 상기 안쪽 측판부와 상기 바닥부, 상기 보강부와 상기 바깥 측판부, 상기 안쪽 측판부와 보강부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절첩선으로 구성하여서 된 종이상자에 수납되는 종이쟁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골판지 바닥에 위생바닥지, 위생골판지, 격리부재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여서 된 종이상자에 수납되는 종이쟁반.
  5. 청구항 4에 있어서 ; 위생지에 나노크기의 숯가루ㆍ나노크기의 은(銀) 클로이드ㆍ나노크기의 토르말린 중 하나가 소정량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상자에 수납되는 종이쟁반.
KR2020050029833U 2005-10-20 2005-10-20 종이상자에 수납 사용되는 종이쟁반 KR2004062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833U KR200406210Y1 (ko) 2005-10-20 2005-10-20 종이상자에 수납 사용되는 종이쟁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833U KR200406210Y1 (ko) 2005-10-20 2005-10-20 종이상자에 수납 사용되는 종이쟁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210Y1 true KR200406210Y1 (ko) 2006-01-20

Family

ID=41757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833U KR200406210Y1 (ko) 2005-10-20 2005-10-20 종이상자에 수납 사용되는 종이쟁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2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573Y1 (ko) * 2014-01-16 2014-12-11 김유창 포장상자
KR200476581Y1 (ko) 2014-08-13 2015-03-18 김유창 포장 상자용 덮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573Y1 (ko) * 2014-01-16 2014-12-11 김유창 포장상자
KR200476581Y1 (ko) 2014-08-13 2015-03-18 김유창 포장 상자용 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38020B1 (en) Lined and coated corrugated paperboard package systems for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f fresh fruits and vegetables
USD567672S1 (en) Wonton packing tray
US20100127059A1 (en) Packaging systems for the control of relative humidity of fresh fruits, vegetables and flowers with simultaneous regulation of carbon dioxide and oxygen
US20070090172A1 (en) Vegetable and fruit packaging box
CN102405177A (zh) 存储装置和存储系统
CN101690468A (zh) 蜂箱
KR200406210Y1 (ko) 종이상자에 수납 사용되는 종이쟁반
ES2588261A1 (es) Envase de cartón para envasado activo de frutas y hortalizas frescas,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l mismo
CN209553936U (zh) 一种运输饮料的瓦楞纸箱
JP2007137470A (ja) 食品容器
KR20120113438A (ko) 신선 식품 포장용 선도 유지 포장 백
JP2009292536A (ja) シャリ玉容器及びシャリ玉の包装方法
US20140332542A1 (en) Food carrier
CN212891848U (zh) 一种防潮湿的瓦楞纸箱
WO2006125834A1 (es) Método de aplicación de un producto absorbedor de volátiles, para depuración de la atmósfera de conservación de productos hortofrutícolas
KR20050079848A (ko) 황토성분을 이용한 종이포장재
JP3222113U (ja) 簡易包装式収納容器
CN206254578U (zh) 一种耐贮藏包装箱板材
ES2235644B1 (es) Mejoras introducidas en la patente de invencion 200302726 por &#34;metodo de aplicacion de un producto absorbedor de volatiles, para la depuracion en la atmosfera de conservacion de productos hortofruticolas.
CN216186775U (zh) 翻盖式包装纸盒
JP2008155952A (ja) 抗菌防臭効果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段ボール製の容器
JP6419752B2 (ja) 食品包装用塗料、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食品用包装容器
KR101542888B1 (ko) 돈가스 포장용 기능성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돈가스 포장방법
CN207257034U (zh) 一种外控型消毒抗菌片
JP3184531U (ja) 張り合わせた折り畳み蓋付き木製食品収納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