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671Y1 -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 - Google Patents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671Y1
KR200485671Y1 KR2020170002807U KR20170002807U KR200485671Y1 KR 200485671 Y1 KR200485671 Y1 KR 200485671Y1 KR 2020170002807 U KR2020170002807 U KR 2020170002807U KR 20170002807 U KR20170002807 U KR 20170002807U KR 200485671 Y1 KR200485671 Y1 KR 2004856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support portion
support
travel
travel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미연
Original Assignee
류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미연 filed Critical 류미연
Priority to KR2020170002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6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6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6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8Luggag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여행용 캐리어 본체의 배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밀착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일 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여행용 캐리어 본체의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밀착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 2지지부의 일 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여행용 캐리어 본체의 정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밀착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일 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여행용 캐리어 본체의 정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배치되는 안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Support fixture of carrier}
본 고안은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행용 캐리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시킴에 따라 다른 여행용 캐리어 또는 보조 가방 등을 적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동시에 많은 짐을 보다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소득 증대에 따라 여가 생활이 많이 늘어나면서 국내 여행뿐만 아니라 해외 여행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해외 여행의 경우 주로 공항을 이용하고, 비교적 장 기간 체류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의류를 비롯하여 각종 물품들을 많이 준비해야 하는바, 이러한 의류와 각종 물품 등을 수납하기 위한 용도로서 여행용 캐리어가 많이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에 제공되는 여행용 캐리어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여행용 캐리어(10)는 개폐가 가능한 본체(20)와, 이 본체(20)의 일 측에 구비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손잡이(30)와, 본체(20)의 하측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는 구동 휠(미도시됨)로 구성된다.
따라서, 여행자는 여행용 캐리어(10)의 본체(20) 내에 의류를 비롯한 각종 물품들을 내재시킨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0)를 신장시킨 후, 손잡이(30)를 잡아 당김에 따라 구동 휠이 바닥 면을 구르도록 하여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최근에는 의류를 비롯하여 각종 물품, 예를 들어 스쿠버 다이빙 물품, 스노우 쿨링 물품, 골프 용품 등과 같이 해외에서 즐기고자 하는 취미 활동에 필요로 하는 각종 물품 등을 여행용 캐리어(10)에 담기도 하고, 또한 자녀나 부모님 등과 같이 가족 동반 여행을 떠나는 경우 많은 양의 각종 물품을 여행용 캐리어(10)에 담기도 한다.
이에, 대부분 비교적 사이즈가 큰 여행용 캐리어와 함께 비교적 사이즈가 작은 여행용 캐리어를 세트로 묶어 구비한 후, 운반하는 경우가 많고 이 외에도 별도의 옷 가방이나 각종 물품 가방 등을 별도로 구비하여 운반하는 경우가 많게 된다.
따라서, 어린이나 노약자 등과 함께 여행을 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성인이 양 손으로 각각 하나 씩의 여행용 캐리어를 운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어린이나 노약자 등도 별도의 가방을 직접 들고 운반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는바, 여행용 캐리어를 비롯한 각종 가방 등의 운반에 에로 사항을 겪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서 도면 부호 (40)은 본체(20)의 배면, 도면 부호 (50)은 본체(20)의 상면, 도면 부호 (60)의 본체(20)의 전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후술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다시 언급될 것임을 밝혀둔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69652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248466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행용 캐리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시킴에 따라 다른 여행용 캐리어 또는 보조 가방 등을 적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동시에 많은 짐을 비교적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길이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여행용 캐리어 및 각종 보조 가방 등을 용이하게 적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동시에 많은 짐을 비교적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행용 캐리어의 본체와 직접 접촉하게 되는 내면 부위는 탄성재질의 밀착 패드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여행용 캐리어가 하중에 의해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는, 여행용 캐리어 본체의 배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밀착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일 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여행용 캐리어 본체의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밀착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 2지지부의 일 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여행용 캐리어 본체의 정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밀착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일 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여행용 캐리어 본체의 정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배치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지지대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대가 상기 여행용 캐리어의 본체에 대하여 양 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어 장착되는 경우, 상기 지지대의 안착부에는 연결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고리에 의해 매쉬 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내면에는 탄성 재질의 밀착 패드가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착 패드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촉 돌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에 의하면, 여행용 캐리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에 따라 다른 여행용 캐리어 또는 보조 가방 등을 적재 가능하게 됨으로써, 동시에 많은 짐을 비교적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여행용 캐리어 및 각종 보조 가방 등을 용이하게 적재 가능하게 됨으로써, 동시에 많은 짐을 보다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에 의하면, 여행용 캐리어의 본체와 직접 접촉하게 되는 내면 부위에 탄성재질의 밀착 패드 배치됨으로써, 여행용 캐리어가 하중에 의해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이 예방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여행용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손잡이가 길이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가 여행용 캐리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지지대에 다른 여행용 캐리어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에서 안착부 길이가 신장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지지대의 길이 조절에 따라 다른 여행용 캐리어 및 보조 가방이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여행용 캐리어를 여행자가 손잡이를 잡고 운반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가 다른 크기의 여행용 캐리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여행용 캐리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서 한 쌍의 지지대에 다른 여행용 캐리어 및 보조 가방이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서 한 쌍의 지지대에 매쉬 망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서 한 쌍의 지지대에 장착된 매쉬 망에 보조 가방이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가 절첩되는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가 여행용 캐리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지지대에 다른 여행용 캐리어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10)의 지지대(100)는, 여행용 캐리어(10) 본체(20)의 배면(40)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밀착되는 제1 지지부(110)와, 제1 지지부(110)의 일 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여행용 캐리어(10) 본체(20)의 상면(50)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밀착되는 제2 지지부(120)와, 제 2지지부의 일 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여행용 캐리어(10) 본체(20)의 정면(60)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밀착되는 제3 지지부(130)와, 제3 지지부(130)의 일 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여행용 캐리어(10) 본체(20)의 정면(60)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배치되는 안착부(1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10)의 지지대(100)는, 제1 지지부(110)의 내면은 여행용 캐리어(10) 본체(20)의 배면(40)과 밀착되고, 제2 지지부(120)의 내면은 여행용 캐리어(10) 본체(20)의 상면(50)과 밀착되며, 제3 지지부(130)의 내면은 여행용 캐리어(10) 본체(20)의 정면(60)과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여행용 캐리어(10)의 지지대(100)는 소정의 강성을 갖도록 철재를 비롯한 목재,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작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여행용 캐리어(10)의 지지대(100)는 제1 지지부(110)와 제2 지지부(120) 및 제3 지지부(130)의 내면에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밀착 패드(160)가 일정 두께만큼 적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밀착 패드(160)는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횡 방향을 이루고,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촉 돌부(162)가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지지대(100)에 대한 탄성을 제공함은 물론 여행용 캐리어(10) 본체(20)에 대한 밀착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여행용 캐리어(10) 본체(20)에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에 대한 작용 관계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10)의 지지대(100)는, 연접하는 지지대(100)들과 안착부(140)의 각 연결부위가 절곡되어 마치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됨에 따라 여행용 캐리어(10)에 안착되어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120)가 여행용 캐리어(10) 본체(20)의 상면(50)에 수평 방향으로 안착되도록 하고, 제1 지지부(110)는 여행용 캐리어(10) 본체(20)의 배면(40)에 수직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하며, 제3 지지부(130)는 여행용 캐리어(10) 본체(20)의 정면(60)에 수직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하여 장착시키게 되면, 여행용 캐리어(10)의 지지대(100)는 여행용 캐리어(10)에 대하여 안정적인 자세로 안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3 지지부(130)에 대하여 여행용 캐리어(10) 본체(20)의 정면(60)으로부터 전방으로 안착부(140)가 연장되어 형성되는바, 이 안착부(140)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사이즈 즉, 작은 사이즈의 다른 여행용 캐리어(10a)를 적재시키게 되면, 한 번에 2개의 여행용 캐리어(10,10a)를 용이하게 운반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10)의 지지대(100)는, 다양한 크기의 여행용 캐리어(10)에 장착되거나, 또는 지지대(100)의 안착부(140)에 다양한 크기의 여행용 캐리어(10a) 및 보조 가방(10b)이 적재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2 지지부(120)와 안착부(140) 즉,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지지부(120)와 안착부(140)는 텔레스코프 타입(Telescope type)으로 형성됨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100)에서 안착부(140) 길이가 신장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지지대(100)의 길이 조절에 따라 다른 여행용 캐리어(10a) 및 보조 가방(10b)이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여행용 캐리어(10)를 여행자가 손잡이(30)를 잡고 운반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100)가 다른 크기의 여행용 캐리어(10-1)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100)가 비교적 사이즈가 큰 여행용 캐리어(10-1)에 장착되는 경우, 캐리어 본체(20)의 정면(60)과 배면(40) 사이의 간격 즉 상면(50)의 간격이 크게 되는바, 이 경우 제2 지지부(120)의 길이를 신장시킴으로써, 그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2 지지부(120)는 제1 로드(122)와, 제1 로드(122)에 대하여 수납이 이루어지는 제2 로드(124)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로드(122)의 외측에 조임나사(126)가 구비됨에 따라 조임나사(126)의 풀림 및 조임에 의해 제1 로드(122)에 대하여 제2 로드(124)가 선택된 위치에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A-A선 단면도로서, 도 6a는 제2 지지부(120)의 제1 로드(122)에 대하여 제2 로드(124)가 수납된 상태에서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6b는 제2 지지부(120)의 제1 로드(122)에 대하여 제2 로드(124)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나사(126)를 풀어주게 되면 제1 로드(122)에 대한 제2 로드(124)의 단속이 해제됨으로써, 제2 로드(124)가 제1 로드(122)에 대하여 수납이 가능하게 되는바, 길이 조절 즉, 길이 신장 또는 길이 축소가 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제1 로드(122)에 대하여 제2 로드(124)를 수납시킨 상태에서 선택된 길이로 조정한 다음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나사(126)를 조여 조임나사(126)의 끝 단이 제2 로드(124)의 측면 부위에 밀착되도록 하면, 제2 로드(124)가 제1 로드(122)에 대하여 수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선택된 위치에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10)의 지지대(100)에 적재되는 다른 여행용 캐리어(10a)나 보조 가방(10b) 등의 사이즈도 제 각각일 수 있기 때문에, 안착부(140) 또한 앞서 설명한 제2 지지부(120)와 마찬가지로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안착부(140) 또한 제1 안착 로드(142)와, 이 제1 안착 로드(142)에 대하여 수납이 이루어지는 제2 안착 로드(144)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안착 로드(142)의 외측에 조임나사(146)가 구비됨에 따라 조임나사(146)의 풀림 및 조임에 의해 제1 안착 로드(142)에 대하여 제2 안착 로드(144)가 선택된 위치에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부(140)의 제1 안착 로드(142) 및 제2 안착 로드(144)의 길이 조절에 따른 작동 관계는 앞서 설명한 제2 지지부(120)의 길이 조절과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10)의 지지대(100)에서, 제2 지지부(120) 및 안착부(140)가 서로 다른 로드로 구성되고, 어느 하나의 로드에 대하여 다른 하나의 로드가 수납됨에 따라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행용 캐리어(10)의 손잡이(30)와 같이 잠금 수단을 해제시킴에 따라 단계적으로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선택된 길이에서 잠금 수단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안착부(140)를 제1 안착 로드(142)에 대하여 제2 안착 로드(144)의 길이를 신장 또는 축소시킴에 따라 다른 크기의 여행용 캐리어(10a)를 적재시키거나 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크기의 여행용 캐리어(10a)와 함께 보조 가방(10b) 등을 동시에 적재시킬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손잡이(30)를 잡고 운반하게 되면 한 손으로 여러 개의 캐리어(10,10a)와 함께 다른 보조 가방(10b)도 매우 손쉽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10)의 지지대(100)는, 일정 폭으로 이루어져서 단품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여행용 캐리어(10)의 중앙 부위에 장착시킴으로써, 하중에 의한 쏠림 현상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여행용 캐리어(10)는 본체(20)의 상면(50)과 배면(40) 사이에 수납 가능한 손잡이(30)가 배치되는바, 손잡이(30)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손잡이(30)의 내측 공간으로 지지대(100)의 제1 지지부(110)가 통과되도록 하여 본체(20)의 배면(40)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여행용 캐리어(10)의 중앙 부위에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10)의 지지대(100)는, 안착부(140)의 끝 단에 상향 돌출된 걸림 턱(150)이 형성됨으로써, 안착부(140)에 적재된 다른 여행용 캐리어(10a)나 보조 가방(10b) 등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10)의 지지대(100)를 여행용 캐리어(10)에 장착시키고, 지지대(100)에 다른 여행용 캐리어(10a)나 보조 가방(10b) 등을 적재시키게 되면, 적재된 다른 여행용 캐리어(10a)나 보조 가방(10b)의 하중이 지지대(100)에 그대로 전달되게 된다.
특히, 지지대(100)의 제1 지지부(110)는 여행용 캐리어(10) 본체(20)의 배면(40)과 하중에 의해 밀착력이 커지게 되고, 제2 지지부(120) 또한 여행용 캐리어(10) 본체(20)의 상면(50)과 하중에 의해 밀착력이 커지게 되며, 제3 지지부(130)도 여행용 캐리어(10) 본체(20)의 정면(60)과 하중에 의해 밀착력이 커지게 된다.
그런데,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대(100)의 제1 지지부(110)와, 제2 지지부(120) 및 제3 지지부(130)의 내면에는 탄성재질의 밀착 패드(160)가 배치되어 있는바, 적재된 다른 여행용 캐리어(10a)나 보조 가방(10b) 등의 하중에 의한 밀착력 증대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밀착 패드(160)가 여행용 캐리어(10) 본체(20)에 대하여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소정의 탄성을 발휘하게 되어 하중에 의한 스크래치나 찌그러짐 등의 손상의 우려가 불식될 수 있다.
특히, 밀착 패드(160)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접촉 돌부(162)들을 포함하는 바, 여행용 캐리어(10) 본체(20)의 각 면(40,50,60)에 직접 접촉하여 밀착되는 부위는 상기 복수의 접촉 돌부(162)들인바, 더욱 탄성을 갖게 되어 여행용 캐리어(10) 본체(20)의 손상 우려가 더욱 불식됨은 물론, 다른 여행용 캐리어(10a)나 보조 가방(10b) 등의 하중에 의해 더욱 밀착력이 증대됨으로써, 여행자가 손잡이(30)를 잡고 운반시키는 여행용 캐리어(10)와, 이 여행용 캐리어(10)에 지지대(100)에 의해 추가적으로 적재된 다른 여행용 캐리어(10a)나 보조 가방(10b)는 분리의 우려가 불식될 수 있다.
또한, 밀착 패드(160)는 캐리어 본체(20)의 각 면(40,50,60)들에 대한 마찰력을 증대시키게 됨으로써, 지지대(100)가 여행용 캐리어(10) 본체(20)와 미끄럼 발생이 불식되는바, 더욱이 다른 여행용 캐리어(10a)나 보조 가방(10b) 등이 안정적으로 적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10)의 지지대(100)의 경우, 여행용 캐리어(10) 본체(20)의 상면(50)과 밀착되는 제2 지지부(120)와, 안착부(140)만 텔레스코프 타입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여행용 캐리어(10) 본체(20)의 배면(40)과 밀착되는 제1 지지부(110)와 여행용 캐리어(10) 본체(20)의 정면(60)과 밀착되는 제3 지지부(130)의 경우에도 텔레스코프 타입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100)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여행용 캐리어(10)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한 쌍의 지지대(100)에 다른 여행용 캐리어(10a) 및 보조 가방(10b)이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10)의 지지대(1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여행용 캐리어(10)의 양 측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앞선 실시 예의 경우 여행용 캐리어(10)의 중앙 부위에 단품의 지지대(100)가 장착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행용 캐리어(10)의 양 측에 나란하게 한 쌍으로 지지대(100)들을 장착시킨 후, 한 쌍을 이루는 지지대(100)들의 안착부(140)에 다른 여행용 캐리어(10a)나 보조 가방(10b) 등을 적재시키게 되면 보다 안정적으로 여러 개의 캐리어(10,10a)나 가방(10b) 등을 운반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여행용 캐리어(10)의 양 측에 한 쌍의 지지대(100)를 장착시키는 경우,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40)들에 연결 고리(170)를 형성하고, 이 연결 고리(170)를 통해 매쉬 망(180) 등을 설치함으로써, 다른 여행용 캐리어(10a) 외의 보조 가방(10b)이나 기타 다른 물품 들을 적재시킨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운반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가 절첩되는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1 지지부(110)와, 이 제1 지지부(100)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지지부(120)와, 이 제2 지지부(120)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 지지부(130)와, 이 제3 지지부(130)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4 지지부(140) 및 이 제4 지지부(140)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걸림 턱(150)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바, 여행용 캐리어(10)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부피가 커짐으로써, 보관이나 별도의 운반이 용이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100)의 경우,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지부(110,120,130,140)들 및 걸림 턱(150)을 절첩시킴에 따라 그 부피를 줄임으로써,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120)의 절곡 부위에 제1 힌지(111)를 구성함으로써, 제2 지지부(120)에 대하여 제1 지지부(110)가 직각을 이루거나 또는 나란한 방향으로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120)의 제2 로드(124) 상에도 제2 힌지(121)를 구성함으로써, 제3 지지부(130)에 대하여 제2 지지부(120)가 직각을 이루거나 또는 나란한 방향으로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4 지지부(140)의 제2 안착 로드(144) 상에도 제3 힌지(141)를 구성함으로써, 제3 지지부(130)에 대하여 제4 지지부(120)가 직각을 이루거나 또는 나란한 방향으로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4 지지부(140)와 걸림 턱(150)의 절곡 부위에도 제4 힌지(151)를 구성함으로써, 제4 지지부(140)에 대하여 걸림 턱(150)이 직각을 이루거나 또는 나란한 방향으로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 힌지(111,121,141,151)들에 의해 각 지지부(110,120,130,140) 및 걸림 턱(150)을 접이시키게 되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100) 부피가 현저히 줄어들게 되는바, 보관 및 운반이 매우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100)는 힌지들에 의해 직각을 이루거나 또는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설정 각도 범위로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라면 경첩을 비롯한 종래에 공지된 다양한 수단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10a, 10-1 : 여행용 캐리어 10b : 보조 가방
20 : 본체 30 : 손잡이
40 : 본체의 배면 50 : 본체의 상면
60 : 본체의 정면 100 : 지지대
110 : 제1 지지부 120 : 제2 지지부
122 : 제1 로드 124 : 제2 로드
126 : 조임나사 130 : 제3 지지부
140 : 안착부 142 : 제1 안착 로드
144 : 제2 안착 로드 146 : 조임나사
150 : 걸림 턱 160 : 밀착 패드
162 : 접촉 돌부 170 : 연결 고리
180 : 매쉬 망 111,121,141,151 : 힌지

Claims (4)

  1. 여행용 캐리어 본체의 배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밀착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일 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여행용 캐리어 본체의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밀착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 2지지부의 일 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여행용 캐리어 본체의 정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밀착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일 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여행용 캐리어 본체의 정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배치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지지대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대가 상기 여행용 캐리어의 본체에 대하여 양 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어 장착되는 경우,
    상기 지지대의 안착부에는 연결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고리에 의해 매쉬 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내면에는 탄성 재질의 밀착 패드가 적층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패드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촉 돌부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
  4. 삭제
KR2020170002807U 2017-06-05 2017-06-05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 KR2004856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807U KR200485671Y1 (ko) 2017-06-05 2017-06-05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807U KR200485671Y1 (ko) 2017-06-05 2017-06-05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671Y1 true KR200485671Y1 (ko) 2018-02-06

Family

ID=61282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807U KR200485671Y1 (ko) 2017-06-05 2017-06-05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6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468A (ko) 2018-03-05 2019-09-17 조원미 다기능 캐리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7952A (ja) * 1994-01-18 1996-08-27 サムソナイト コーポレイション 格納可能な補助かばん装着機構および方法
KR100248466B1 (ko) 1997-07-07 2000-03-15 홍건희 타이어용성형드럼
KR101247797B1 (ko) * 2012-06-28 2013-03-26 이종식 파티션용 화분 거치 장치
KR101269652B1 (ko) 2011-07-12 2013-06-04 윤민지 여행용 가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7952A (ja) * 1994-01-18 1996-08-27 サムソナイト コーポレイション 格納可能な補助かばん装着機構および方法
KR100248466B1 (ko) 1997-07-07 2000-03-15 홍건희 타이어용성형드럼
KR101269652B1 (ko) 2011-07-12 2013-06-04 윤민지 여행용 가방
KR101247797B1 (ko) * 2012-06-28 2013-03-26 이종식 파티션용 화분 거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468A (ko) 2018-03-05 2019-09-17 조원미 다기능 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1948B2 (en) Bicycle transport bag
US9033361B2 (en) Foldable trolley
US20080012399A1 (en) Folding chair with detachable storage bag
US20230059483A1 (en) Adjustable tailgate pad
ITBO20020093U1 (it) Valigia a trolley utilizzabile anche con funzione provvisoria di passeggino, per il trasporto di un infante particolarmente durante gli spostamenti negli aeroporti o nelle stazioni ferroviarie
US20100133309A1 (en) Basket
CA2674689A1 (en) Traveling case
US10357097B1 (en) Configurable backpack
US20140312585A1 (en) Stroller with a receiving frame and support straps for receiving car seats
KR200485671Y1 (ko)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
KR100571018B1 (ko) 카트형 가방
JP2009165598A (ja) バッグ、バッグの製造方法及びバッグの使用方法
US20140132037A1 (en) Portable seat with storage
KR101219152B1 (ko) 의자 겸용 배낭
KR102074262B1 (ko) 물건을 들어 운반하기에 편리한 조끼
US20210284219A1 (en) Shopping bag
US20200121051A1 (en) Travel bag retractable handle assembly for hanging items
JP2010509152A (ja) 梱包布
US10485315B2 (en) Article of luggage
JP3240186U (ja) ゴルフサブバッグ筒型ハンガー
US9610485B2 (en) Golf bag clamping apparatus
JP7188771B2 (ja) 受け台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キャリーカート
KR20090028488A (ko) 측면 해제 버클
JP4345991B1 (ja) 車いす用物品収納かご
JP3225837U (ja) サイドバッグ用取付テーブルおよびサイド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