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468A - 다기능 캐리어 - Google Patents

다기능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468A
KR20190105468A KR1020180026055A KR20180026055A KR20190105468A KR 20190105468 A KR20190105468 A KR 20190105468A KR 1020180026055 A KR1020180026055 A KR 1020180026055A KR 20180026055 A KR20180026055 A KR 20180026055A KR 20190105468 A KR20190105468 A KR 20190105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coupling
type
coupled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미
김태성
Original Assignee
조원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미 filed Critical 조원미
Priority to KR1020180026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5468A/ko
Publication of KR20190105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45Rigid or semi-rigid luggage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ble elements which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45C13/03Means for hold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다기능 캐리어에 있어서, 정장이나 자켓을 걸어서 보관 할 수 있는 인서트 옷걸이(13); 상기 인서트 옷걸이(13)가 구비되어 정장이나 자켓을 접지 않고 보관 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제1 캐리어(100); 탈부착 프레임(50) 또는 파우치(53)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제2 캐리어(200); 상기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의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 분리부(150); 상기 결합 분리부(150)를 통하여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된 캐리어 상측에 결합시 자석 결합부(11)에 결합되는 제3 캐리어(300); 상기 제1,2,3 캐리어(100,200,300)를 일체화하여 한번에 이동이 가능하며 일체화된 캐리어의 가운데에 위치하여 균형있고 안정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 캐리어 손잡이(110); 상기 제1 캐리어 손잡이(110)를 통해 이동시 편리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캐리어 이동 바퀴(120)와 제2 캐리어 이동 바퀴(220); 상기 결합 분리부(150)를 통해 결합된 캐리어를 기내용이나 수화물로 용도에 맞게 독립적으로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제1 캐리어(100) 및 제2 캐리어(200)는 가로 45cm, 세로 22.5cm, 높이 90cm 크기이며; 상기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를 결합시 가로45cm, 세로 45cm, 높이 90cm 크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캐리어{Multifunctional Carrier}
본 발명은 다기능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두 개 혹은 세 개의 캐리어를 결합하여 한 번에 이동하고, 분리하여 여객기 수하물규격에 맞게 체크인하는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세변의 합이 158cm의 사이즈를 넘지 않는 여객기 수하물 규격 안에서 재킷을 접지 않고 수납할 수 있는 A타입 캐리어(45 x 22.5 x 90cm), 다양한 사이즈의 물건을 수납하기에 적당한 B타입 캐리어(45 x 45 x 68cm)는 상기 A타입 캐리어와 상기 B타입 캐리어를 결합하거나 또는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는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품은 이동 중에는 캐리어로, 일상적으로는 수납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재킷을 접지 않고 수납할 수 있는 A타입 캐리어는 옷걸이를 삽입(인서트, Insert)하여 사용하거나, 프레임이나 파우치(Pouch)를 이용해 원하는 수납공간으로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B타입 캐리어는 다양한 사이즈와 용도의 파우치를 활용해 수납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AA타입, BB타입, AB타입 등으로 결합한 다음에, 기내용 C타입 캐리어(35 x 20 x 35cm)도 함께 결합해서 다양한 상황 속에서 자신에게 맞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캐리어들을 연결하거나 손잡이로 사용되는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 재킷을 옷걸이에 걸고 재킷 안쪽으로 옷걸이와 파우치를 연결해서 옷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물건을 수납하는 행거 파우치(hanger pouch), 재킷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Y 밴드, 세워서 사용하면서 수납의 편리함을 극대화하는 다양한 사이즈의 파우치와 프레임을 다기능 캐리어에 적용했다. 이는 이동뿐만 아니라 수납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다기능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회생활과 사업영역이 다변화되면서 여행이나 출장이 빈번해지고 이로 인한 여행과 출장에 필요한 용품을 이송시킬 수 있는 다양한 가방이 요구되고 있고 필요 용품의 양이 증대될 경우 많은 양의 용품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캐리어(Carrier)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적으로 캐리어는 많은 물품을 넣을 수 있는 수납공간과, 끌거나 밀며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저면에 설치한 바퀴와, 이동 시에 편리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게 한 손잡이를 특징으로 하는 가방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여행을 갈 시에 캐리어를 하나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작은 크기의 가방을 추가적으로 이용하거나 캐리어를 기내용이나 수화물용 등으로 여러개 이용한다.
이와 같이 캐리어를 추가로 이용하거나 다른 가방까지 이용하는 경우 이동 시 매우 불편하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9999호공고일 2012.05.02.(이하 [특허문헌1]이라함)에서는 캐리어 가방의 일측 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수납공간에 물품을 수납 할 수 있게 한 것을 공개 하였으나, 특허문헌1은 별도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갖추어야만 하고 캐리어 가방의 크기가 필요 이상으로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9684호, 공고일 2015.11.27.(이하 [특허문헌2]이라함)에서는 캐리어 전면에 다른 종류의 복수 가방을 개별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하는 탈착 가방을 구비한 캐리어 가방을 공개하였다.
상기 특허문헌2에서는 캐리어 가방의 전면에 종 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레일을 구비하여 탈착 가방을 구비하도록 하였으나, 레일 설치로 인한 수납공간의 제한과 외부의 충격에 의해 캐리어가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5671호, 공고일 2018.02.06.(이하 [특허문헌3]이라함)에서는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를 공개하였다.
상기 특허문헌3에서는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여행용 캐리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시킴으로 여행용 보조 가방 등을 적재 가능하도록 하고 동시에 많은 짐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여행용 캐리어 지지대를 제공하였으나, 캐리어 외에 별도의 지지대를 구비하여야만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캐리어는 대부분 2개의 바퀴를 구비하고 손잡이가 캐리어의 바퀴가 위치하는 일측면에 구비되어 기울인 상태에서 이동시키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바퀴가 두 개만 적용되어 이동하는 캐리어에서 360° spinner 바퀴가 적용되어 4개의 바퀴를 사용하는 캐리어가 개발되었다. 4개의 바퀴를 사용하는 캐리어는 무게가 4개의 바퀴로 분산되면서 가방을 가볍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으나 손잡이의 위치는 그대로 캐리어의 일측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캐리어의 무게분산이 불균형적이고 비중이 치우쳐지면서 캐리어의 사용시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9999호, 공고일 2012.05.02. [특허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9684호, 공고일 2015.11.27. [특허문헌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5671호, 공고일 2018.02.06.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짐이 많아 여러 개의 캐리어를 사용하는 경우, 오버사이즈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한 덩어리로 이동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하며, 추가 비용을 지불해도 인권의 문제로 오버사이즈 여객기수하물을 처리 하지 않는 나라로의 여행에도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또한 여행 중에도 정장을 입어야하는 사람들에게 재킷을 구겨지지 않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며, 물건을 편리하게 꺼내고 정리할 수 있는 수납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캐리어를 바닥에 펼치거나, 사용전후에 받침대에 올리고 내리는 불편함을 해소한 다기능 캐리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향상된 다기능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써, 여행 중 여러 개의 캐리어가 필요한 경우, 자신의 필요와 상황에 맞는 두 개의 캐리어를 선택하여 결합 분리부로 결합하고, 이 캐리어의 상부에 기내용 캐리어를 얹고 고정시키는 장치를 한다.
재킷을 접지 않고 수납할 수 있는 A타입 캐리어(45 x 22.5 x 90cm), 다양한 사이즈의 물건을 수납하기에 적당한 B타입 캐리어(45 x 45 x 68cm), 그리고 기내용 C타입 캐리어(35 x 20 x 35cm)는 결합 분리부로 손쉽게 결합하고 분리한다.
AA타입, BB타입, AB타입 등으로 결합한 다음에, 기내용 C타입 캐리어도 함께 결합해서, 다양한 상황 속에서 자신에게 맞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비행기 탑승 시의 수하물 체크인 경우나 자동차에 실을 때는 분리해서 사용한다.
세워서 사용하기 편리한 수납시스템을 구성하여 수납의 문제뿐만 아니라, 캐리어를 받침대에 올리거나 내릴 때의 부담을 피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캐리어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기능 캐리어를 통하여 첫째, 여러개의 캐리어를 결합 후 일체화하여 한 번에 이동이 가능하여 여행 시 필요한 짐을 한 덩어리로 이동할 수 있어서 카트를 별도로 사용할 필요가 없고 많은 짐을 가지고 여행할 때에도 오버사이즈로 인한 추가 요금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내용이나 수화물용 등 용도에 맞게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사용하도록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며, 둘째, 결합 또는 분리시 결합 분리부를 통하여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며, 셋째, 자신에게 적합한 수납을 맞춤형으로 구성할 수 있어 편리하며, 넷째, 여행용 캐리어에 수납시스템을 적용하여 세워서 이동하고 사용하는 다기능 캐리어는 수납장의 기능도 충분히 하여 일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다기능 캐리어 제1 전체 구성도
도 2는 다기능 캐리어 커버 개방 타입(Type) 구성도
도 3은 B타입(Type) 캐리어 구성도
도 4는 C타입(Type) 캐리어 크기 및 구성도
도 5는 A타입(Type)캐리어와 B타입(Type)캐리어의 결합 실시예
도 6은 다기능 캐리어 전체 결합도
도 7는 다기능 캐리어 제2 전체 구성도
도 8은 다기능 캐리어의 크기 구성도
도 9는 다기능 캐리어의 분리도
도 10은 다기능 캐리어의 결합 실시예
도 11은 결합 분리부의 분리 순서도
도 12는 결합 분리부의 결합 순서도
도 13은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 방식 결합 분리부 (제1 구성도)
도 14는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 방식 결합 분리부 (제2 구성도)
도 15는 결합부와 체결부의 결합 구성도
도 16은 결합부와 체결부의 분리 구성도
도 17은 결합부와 체결부의 결합 상세 구성도
도 18은 결합부와 체결부의 분리 상세 구성도
도 19는 다기능 캐리어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저면도
도 20은 다기능 캐리어 수납공간 구성 (제1 실시예)
도 21은 다기능 캐리어 수납공간 구성 (제2 실시예)
도 22는 다기능 캐리어 수납공간 구성 (제3 실시예)
도 23은 캐리어 탈부착 프레임(Frame)결합 구성 실시예
도 24는 캐리어 파우치(Pouch) 구성 실시예
도 25는 인서트(Insert) 옷걸이 구성 및 결합 실시예
도 26은 행거 파우치(hanger pouch)구성 실시예
도 27은 다기능 캐리어 수납공간 구성 (제4 실시예)
도 28은 Y밴드 동작 구성도
도 29는 Y밴드 장착 실시예
도 30은 삼선(三線)밴드 동작 구성도
도 31은 자바라 덮개 동작 구성도(제1 실시예)
도 32는 자바라 덮개 동작 구성도(제2 실시예)
도 33은 푸시 결합 분리부의 구성도
도 34는 푸시 결합 분리부의 정단면도와, 평면도
도 35는 다기능 캐리어 푸시 결합 분리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다기능 캐리어 제1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a)는 다기능 캐리어의 A타입(Type)캐리어 분리상태, 도 1(b)는 A타입(Type)캐리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며, 도 1(C)는 두 개의 캐리어가 결합상태에서 캐리어를 이동이 편리하도록 하는 캐리어 손잡이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d)는 A타입(Type)제1, 2 캐리어와 C타입(Type)제 3 캐리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e)는 A타입(Type) 캐리어 수납공간과 A타입(Type)캐리어의 커버 개방 방법이 양문형으로 가운데에서 캐리어 바깥쪽으로 양쪽으로 열리는 방법으로 커버가 개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다기능 캐리어 커버 개방 타입(Type)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다기능 캐리어의 커버가 단문형 방식으로 개방되는 형태를 단문형 타입(Type)을 나타내며, 도 2(b)는 다기능 캐리어 커버가 가운데에서 커버를 당겨서 캐리어 바깥쪽으로 개방하는 양문형 타입(Type)을 나타내고, 도 2(c)는 다기능 캐리어 커버를 상층과 하층으로 구분하여 개방하는 분리 개방형 타입(Type)으로 구성되어 있어 원하는 방식으로 캐리어 커버 개방 타입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B타입(Type) 캐리어 구성도를 나타낸다.
상기 B타입(Type) 캐리어 구성도에서 B타입(Type) 제1 캐리어와 B타입(Type) 제2 캐리어가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을 통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1 페어링 핸들(141)이 제1 페어링 핸들 결합부(143)와 결합되고, 제2 페어링 핸들(142)이 제2 페어링 핸들 결합부(144)와 결합되어 B타입(Type) 제1 캐리어와 B타입(Type) 제2 캐리어가 결합되어 B타입 제1 캐리어 손잡이를 통해 결합된 캐리어를 한번에 이동이 가능하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B타입 제1 캐리어 수납공간(135)과 B타입 제2 캐리어 수납공간(235)을 이용하여 세워서 수납장으로 이용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C타입(Type) 캐리어 크기 및 구성도를 나타낸다.
C타입 제3 캐리어(301)은 가로 x 세로 x 높이(35cm x 20cm x 35cm)사이즈로 구성되고 도시된 도 4(a)는 정면도, 도 4(b)는 우측면도, 도 4(c)는 배면도, 도 4(d)는 좌측면도, 도 4(e)는 평면도, 도 4(f)는 저면도를 나타내며 기내용으로 사용하기에 알맞은 크기로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A타입(Type)캐리어와 B타입(Type)캐리어의 결합 실시예를 나타낸다.
A타입 캐리어(45 x 22.5 x 90cm)와 B타입 캐리어(45 x 45 x 68cm)가 서로 다른 크기일 경우에도 결합 분리부(150)인 결합 또는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는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을 통해 결합이 가능하며 결합시 B타입 제1 캐리어(105)와 A타입 제2 캐리어(201)가 제1 페이링 핸들(141)과 제2 페어링 핸들(142)을 통해 결합이 된다.
도 5(b)에서 결합된 AB타입 캐리어[A타입 캐리어 + B타입 캐리어의 결합]는 제1, 2 페어링 핸들(141, 142)을 통해 결합되어 있고 B타입 제1 캐리어 손잡이(115)를 통해 편리하게 이동이 가능하다.
도 6은 다기능 캐리어의 전체 결합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제1, 2, 3 캐리어의 전체 결합도를 나타낸다.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에 제3 캐리어(300)가 결합이 되고 이를 제1 캐리어 손잡이(110)를 통해 일체화된 캐리어를 가운데에 있는 손잡이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무게가 균형적으로 분산되어 있어 안정되고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2개 혹은 3개의 캐리어를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다기능 캐리어 제2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7(a)는 다기능 캐리어의 전체 결합도를 나타내며, 도 7(b)는 분리된 제1 캐리어(100)의 내부 수납공간을 도시하고 있으며 인서트 옷걸이(13)가 구비되어 정장이나 자켓을 접지 않고 보관 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있고, 도 7(c)는 분리된 제2 캐리어(200)의 내부 수납공간을 도시하고 있으며 탈부착 프레임(50) 또는 파우치(53)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d)는 기내용이나 휴대용으로 이용이 가능한 제3 캐리어(300)를 나타내고 있으며 캐리어를 여러개 사용하는 경우 결합하여 일체화하여 한번에 이동 가능하여 편리하고 안정감을 제공하며, 기내용 또는 수화물용과 같이 캐리어를 용도에 맞게 구분하고자 하는 경우 독립적으로 분리가 가능하고, 결합 분리부(150)를 통해 결합 또는 분리 조작이 간편하여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도록하며 수납공간도 필요한 크기나 형태에 맞춰서 사용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다기능 캐리어의 크기 구성도를 나타낸다.
상기 다기능 캐리어는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가 결합 분리부(150)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고 해당 캐리어 상측에 자석 결합부(11)가 배치되어 있고 제3 캐리어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캐리어는 개별 캐리어 이동 바퀴를 통하여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각 캐리어별 치수는 수화물 크기 및 짐보관 락커 크기를 고려하여 제1 캐리어와 제2캐리어가 각각 가로 45cm, 세로 22.5cm, 높이 90cm로 구성되며 이를 결합시 가로 45cm, 세로 45cm, 높이 90cm가 된다.
도 9는 다기능 캐리어의 분리도를 나타낸다.
다기능 캐리어를 각각의 용도에 맞게 독립적으로 분리하였을 때의 분리도이다.
캐리어를 기내용이나 수화물용 등 용도에 맞게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하며 제1 캐리어(100), 제2 캐리어(200), 제3 캐리어(300)로 분리된다. 이는 각 캐리어별 이동이 가능하도록 손잡이 제1, 2, 3 캐리어 손잡이(110, 210, 310)와 제1, 2, 3 캐리어 이동바퀴(120, 220, 32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0은 다기능 캐리어의 결합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는 결합 분리부(150)에 의해 결합이 되고 제3 캐리어(300)는 결합된 제1, 2 캐리어 상측의 자석 결합부(11)에 의해 결합되어 움직임이 제한되어 안정감이 있다. 또한 캐리어가 일체화 되어 한번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1은 결합 분리부의 분리 순서도를 나타낸다.
결합 분리부(150)의 분리 순서는 도 11(a)에서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때, 제1 결합부(151)와 제1 체결부(153)가 결합되어 있고 제2 결합부(152)와 제2 체결부(154)가 결합되어 있어 캐리어가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11(b)에서 제1,2 체결부에 위치한 원터치(One Touch) 분리부(157)를 누르면 제1결합부(151)와 제1 체결부(153)가 분리되고 제2 결합부와(152)와 제2 체결부(154)가 분리된다. 이때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가 분리가 되며 각각의 분리된 제1 결합부(151)와 제2 체결부(154)를 결합시키고, 제2 결합부(152)와 제1 체결부(153)를 결합시키면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에 결합 분리부가 각각 고정되며 분리된 제1 캐리어(100)는 제1 캐리어 손잡이(110)를 통해 제2 캐리어(200)는 제2 캐리어 손잡이(210)을 통해 편리하게 이동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2는 결합 분리부의 결합 순서도를 나타낸다.
결합 분리부(150)의 결합 순서는 도 12(a)에서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가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이를 결합하기 위해 세로로 배치되어 있는 제1 결합부(151)와 제2 결합부(152)가 각각 제2체결부(154)와 제1체결부(153)와 결합되어 있다가 제1, 2 체결부(153, 154)에 위치한 원터치 분리부(157)를 누르면 제1결합부(151)와 제2체결부(154)가 분리되고 제2결합부(152)와 제1체결부(153)가 분리된다.
각각의 분리된 제1 결합부(151)와 제1 체결부(153)가 결합하고, 제2 결합부(152)와 제2체결부(154)가 결합하면 가로로 제1 결합부(151)와 제2 결합부(152)가 배치된다. 이때 제1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가 결합되며 결합된 캐리어는 제1 캐리어 손잡이(110)을 통해 편리하게 이동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3은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 방식 결합 분리부 (제1 구성도)를 나타낸다.
상기 결합 분리부(150)는 상기 제1 캐리어(100)와 상기 제2 캐리어(200)를 결합 또는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는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인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3(a)는 캐리어가 결합 되어 있을 때 결합 분리부(150)가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방식으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제1 페어링 핸들(141)과 제1 페어링 핸들 결합부(143)가 결합되어 있고, 제2 페어링 핸들(142)와 제2 페어링 핸들 결합부(144)가 결합되어 있으며 도 13(d)에서와 같이 제1 페어링 핸들(141)의 일측(一側)에 배치된 제1 페어링 핸들 회전 이동부(145)를 통해 제1 페어링 핸들(141)의 움직임이 가능하며, 타측(他側)에 배치된 페어링 핸들 C형 고리(147)를 통해 제1 페어링 핸들 결합부(143)와 결합이 된다. 이때 페어링 핸들에 내장된 페어링 핸들 스프링(148)을 통해서 페어링 핸들의 텐션(tension)이 유지되어 페어링 핸들이 페어링 핸들 결합부를 당기는 역할을 하여 결합상태를 유지하려고 한다. 즉 도 13(e)와 같이 결합된 캐리어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려고 한다.
또한, 이를 분리시에는 도 13(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페어링 핸들(141) 일측(一側)에 배치된 제1 페어링 핸들 회전 이동부(145)를 통해 움직임이 가능하므로 타측(他側)에 배치된 페어링 핸들 C형 고리(147)를 홈이 있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 제1 페어링 핸들 결합부(143)와 분리되며, 분리된 제1 페어링 핸들(141)을 회전 이동시켜 제2 페어링 핸들 결합부(144)에 결합시키고 제2 페어링 핸들(142)도 이와 같이 분리하여 제1 페어링 핸들 결합부(143)에 결합시키면 도 13(c)와 같이 배치되며 이때 결합된 캐리어는 각각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되었을 때 페어링 핸들은 도 13(c)와 같이 페어링 핸들 스프링이 수축된 상태로 결합이 되고 제1 페어링 회전 이동부(145)와 제2 페어링 핸들 결합부(144)와의 거리가 도 13(a)에서 도시된 캐리어 결합시 제1 페어링 회전 이동부(145)와 제1 페어링 핸들 결합부(143)와의 거리 보다 짧아 도 13(f)와 같이 페어링 핸들이 캐리어에 밀착되지 않고 손잡이로 사용 할 수 있도록 여유 공간이 발생된다.
따라서 캐리어 결합시에는 캐리어 결합시키는 연결 장치로 캐리어 분리시에는 손잡이로 사용 할 수 있는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결합 분리부를 구비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4는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 방식 결합 분리부 (제2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결합 분리부(150)의 또 다른 방식을 나타낸다.
14(a)는 캐리어가 결합 되어 있을 때 제3 페어링 핸들(181)이 제3 페어링 핸들 결합부(183)와 제5 페어링 핸들 결합부(185)와 결합되어 있고, 제4 페어링 핸들(182)은 제4 페어링 핸들 결합부(184)와 제6 페어링 핸들 결합부(186)와 결합되어 있으며 도 14(d)에서와 같이 제3 페어링 핸들(181)의 일측(一側)에 배치된 페어링 핸들 결합 고리(187)를 통해 제3 페어링 핸들 결합부(183)와 결합이 되고, 타측(他側)에 배치된 페어링 핸들 결합 고리는 제5 페어링 핸들 결합부(185)와 결합이 된다.
또한 상기 방식 결합 분리부는 페어링 핸들 결합 고리(187)가 양측 모두 결합시 “O” 형 형태로 구성되며 분리시 고리 형태로 구성되어 페어링 핸들을 캐리어에서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5는 결합부와 체결부의 결합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5(a)는 개별 캐리어가 분리 되어 있을때의 결합 분리부(150)를 나타낸다. 제1 결합부(151)는 제2 체결부(154)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원터치 분리부(157)를 누르면 고정부(158)가 안으로 들어가 결합 돌기부(159)를 지지하지 않아 분리가 가능하고 되고 제1 체결부(153)와 결합이 가능하게 되며, 이를 결합시켜 결합 분리부(150)의 결합부와 체결부의 결합상태가 가로 방향이 되었을 때 제1, 2 캐리어가 결합이 된다. 상기 제1캐리어(100)와 제2캐리어(200)를 단단히 조이는 경우 결합부와 체결부가 가까워지도록 하면 고정부(158)가 결합 돌기부(159)를 이동하면서 조여지게 된다.
도 16는 결합부와 체결부의 분리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6(a)는 캐리어가 결합 되어 있을때의 결합 분리부(150)를 나타낸다. 제 1결합부(151)와 제1 체결부(153)가 결합되어 있고, 제2 결합부(152)와 제2 체결부(154)가 결합되어 있다. 이를 도 15(b)에서 원터치 분리부(157)를 통해 제2결합부(152)가 제2체결부(154)와 분리되고 제2 회전 이동부(156)를 통해 움직임이 가능하며 도 15(c)와 같이 제1체결부(153)와 결합이 가능하다. 이때 결합 분리부(150)의 결합부와 체결부의 결합상태가 세로 방향이 되었을 때 제1, 2 캐리어는 분리가 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7은 결합부와 체결부의 결합 상세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7(a)에서 제2결합부(152)와 제2 체결부(154)가 도시된다. 결합시 화살표 방향으로 제2 체결부(154)에 제2 결합부(152)를 결합시키고 고정부(158)가 결합 돌기부(159)를 지지한다. 단단히 조이는 경우 결합부와 체결부가 가까워지도록 하면 고정부(158)가 결합 돌기부(159)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조여지게 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8은 결합부와 체결부의 분리 상세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8(a)와 같이 제2 체결부(154)와 제2 결합부(152)가 결합된 상태에서 원터치 분리부(157)를 누르게 되면 고정부(158)가 안으로 들어가 결합 돌기부(159)를 지지하지 않아 분리가 가능하고 화살표 방향으로 제2 결합부가 분리가 되며 제2 체결부(154)와 제2 결합부(152)는 완전히 분리되며 결합된 캐리어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9는 다기능 캐리어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19(a)는 다기능 캐리어의 정면도를 나타내며, 도 19(b)는 측면도를 나타내며 결합분리부(150)를 통해 제1캐리어와 제2캐리어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9(c)는 캐리어 결합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캐리어 상단에 제3 캐리어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자석 결합부(11)가 배치되어 있고 캐리어 손잡이(110)가 가운데 위치하고 있으며, 도 19(d)는 저면도를 나타내며 결합 후 이동시 제1 캐리어 이동 바퀴(120)와 제2 캐리어 이동 바퀴(220), 총 8개의 이동 바퀴가 편리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캐리어의 크기는 각각 가로 45cm, 세로 22.5cm, 높이 90cm로 구성되며 이를 결합시 가로 45cm, 세로 45cm, 높이 90cm가 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20은 다기능 캐리어 수납공간 구성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1 캐리어(100)는 정장이나 자켓과 같은 옷을 접지 않고 보관 할 수 있으며, 제2 캐리어(200)에는 탈부착 프레임(50)을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의 수납공간은 보관하는 물품에 따라 제1 캐리어(100)의 형태로 2개를 구성하거나 제2 캐리어(200) 형태로 2개를 구성하여 원하는 형태로 캐리어 수납공간을 조절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21은 다기능 캐리어 수납공간 구성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인서트 옷걸이(13)를 통해서 정장이나 자켓을 접지 않고 보관 할 수 있으며, 도 21(b)와 같이 길지 않은 옷은 인서트 옷걸이에 걸어서 보관 할 수 있고, 탈부착 프레임(50)을 이용하여 수납 공간을 조절하여 공간도 활용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22는 다기능 캐리어 수납공간 구성 (제3 실시예)를 나타낸다.
탈부착 프레임(50)을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캐리어를 나타낸다. A, B, C, D는 크기별 캐리어 수납공간을 나타내며, A는 캐리어 수납공간을 9등분으로 나눈 크기이며 B는 A크기의 2배 크기이고, C는 A크기의 3배 크기이며, D는 C의 1/2 크기이다. 또한, 캐리어 수납공간을 가로 방향으로 위에서부터 3등분 하여 상층, 중층, 하층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때 한층을 다시 3등분하여 한층의 1/3 크기가 A크기, 2/3 크기가 B크기, 3/3 크기가 C크기이며 한층의 1/2 크기는 D크기이다. 도 22(a)는 상층에 A와B로 나뉘며 중층에는 D와D 하층에는 B와 A크기로 나뉘어져 있다. 도 22(b)의 경우 상층은 D와 D로 중층에는 C로 하층에는 B와 A크기로 나뉘어져 있으며, 도 22(c)의 경우 상층은 B와 A로 중층에는 D와 D로 하층에는 C크기로 나뉘어져 있으며, 도 22(d)의 경우 상층은 A와 B로 중층과 하층은 C의 2배 크기로 이용 할 수 있도록 크기나 형태가 조절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23는 캐리어의 탈부착 프레임(Frame)결합 구성 실시예를 나타낸다.
다기능 캐리어에 결합 홈(51)이 배치되어 있어 탈부착 프레임(50)을 결합하여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캐리어를 나타낸다.
결합 홈(51)에는 탈부착 프레임(50)을 결합하여 조절이 가능하며, 가로로 층을 나눌 수 있도록 하는 제2 탈부착 프레임(50-2)과 세로로 칸을 나눌 수 있는 제1 탈부착 프레임(50-1)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도 2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0 결합홈(51-10)과 제4 결합홈(51-4)에 제2탈부착 프레임(50-2)를 결합하고 제9 결합홈(51-9)과 제5 결합홈(51-5)에 제2 탈부착 프레임(50-2)를 결합하여 상,중,하 층으로 나눌 수 있으며, 결함홈(51)과 제2 탈부착 프레임(50-2)의 결합으로 나누어진 층에 제1 탈부착 프레임(50-1)을 결합하여 칸을 나누어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24은 캐리어의 파우치(pouch)구성 실시예를 나타낸다.
다기능 캐리어에 딱 맞는(fit) 파우치(pouch)를 통하여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캐리어를 나타낸다. 상기 파우치(53)의 소재는 고무를 주재료로 합성한 네오플랜 소재를 사용하여 수납공간을 나누는 부분이 유연하고 캐리어가 흔들리거나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4에서 도시된 A, B, C, D는 크기별 캐리어 수납공간을 나타내며, A크기는 캐리어 수납공간을 9등분으로 나눈 크기이며 B크기는 A크기의 2배 크기이고, C크기는 A크기의 3배 크기이며, D크기는 C크기의 1/2 크기이다. 또한, 캐리어 수납공간을 가로 방향으로 위에서부터 3등분 하여 상층, 중층, 하층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때 한층을 다시 3등분하여 한층의 1/3 크기가 A크기, 2/3 크기가 B크기, 3/3 크기가 C크기이며 한층의 1/2 크기는 D크기이다.
또한,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수납공간을 파우치(53)를 활용하여 조절이 가능하고, A크기 파우치(53-1), B크기 파우치(53-2), C크기 파우치(53-3), D크기 파우치(53-4)로 나누어져 있으며 이를 통하여 캐리어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가 조절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25는 인서트(Insert) 옷걸이 구성 및 결합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인서트(Insert) 옷걸이(13)는 도 25(a)와 같이 인서트 옷걸이 고리부(13-1)를 구비하여 일반적인 옷걸이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의류를 걸어서 거치하거나 행거 파우치를 걸어서 이용할 수 있는 인서트 옷걸이 걸이부(13-2)가 있고, 도 25(b)와 같이 인서트 옷걸이 고리부(13-1)는 변경이 가능하여 캐리어의 내부 상측 중앙에 위치하는 고리 결합부(15)에 끼워서 사용하며 걸이형태의 옷걸이 보다 적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정장이나 자켓을 접지 않고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26는 행거 파우치(hanger pouch)구성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6(a)는 제1 행거 파우치 측면도를, 도 26(b)는 제1 행거 파우치 정면도를 나타내며, 제1 행거 파우치(16)는 행거 파우치 고리부(16-1)를 캐리어에 구비 되어 있는 고리 결합부(15)에 끼워서 결합하여 사용하고 캐리어에서 꺼내었을 경우에 일반적인 옷걸이 형태로 행거 파우치 고리부(16-1)를 변경하여 걸어서 사용이 가능하며, 도 26(c)는 인서트 옷걸이(13)와 의류 보호 겸용 소형 파우치(18)를 나타내고, 도 26(d)는 제2 행거 파우치(17) 측면도를, 도 26(e)는 제2 행거 파우치(17) 정면도를 나타내며 제2 행거 파우치(17)는 인서트 옷걸이(13)의 인서트 옷걸이 걸이부(13-2)에 행거 파우치 결합부(17-1)를 걸어서 사용한다.
또한, 도 26(f)에서는 행거 파우치 결합 구성도를 나타내는데 인서트 옷걸이(13)와 연결된 제2 행거 파우치(17)는 캐리어에 구비되어 있는 고리 결합부(15)에 끼워서 결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고리 결합부(15)는 인서트 옷걸이(13) 및 제1 행거 파우치(16)를 선택하여 사용 하거나 제1행거 파우치(16)와 제2 행거 파우치(17)가 결합된 인서트 옷걸이(13)를 모두 끼워서 결합하여 사용 가능하고, 행거 파우치가 결합된 인서트 옷걸이(13)에 자켓을 걸치고 자켓 안쪽에 제2 행거 파우치(17)를 배치하고 인서트 옷걸이(13)의 양 끝단의 상측(上側)에는 정장이나 자켓의 흔들림 방지를 위한 의류 보호 겸용 소형 파우치(pouch)(18)가 배치되어 옷 형태가 유지 되도록 하며 수납공간으로 이용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27은 다기능 캐리어 수납공간 구성 (제4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 수납공간 구성으로 제1 캐리어(100) 인서트 옷걸이(13)를 통하여 정장이나 자켓을 접지 않고 수납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제2 캐리어(200)는 파우치(53)를 통하여 수납공간을 나누어 도시된 바와 같이 A크기 파우치(53-1), B크기 파우치(53-2), C크기 파우치(53-3)로 배치하여 구성 할 수 있으며, 제1 캐리어(100)에 파우치를 장착 할 수 있고, 제2 캐리어(200)에 인서트 옷걸이를 장착할 수 있어 상호 교환이 가능하며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하여 사용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28과 도 29는 Y밴드 동작 구성도 및 장착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8(a)에 Y밴드(56)를 거치 할 수 있는 Y밴드 결합부(55)가 위치 하고 있다. 캐리어 상측 중간에 Y밴드 제1 결합부(55-1)와 상측 일측(一側)에 Y밴드 제2 결합부(55-2), 하측 일측(一側)에 Y밴드 제3 결합부(55-3)과 하측 타측(他側)에 Y밴드 제4 결합부(55-4)를 구비하고 있으며, Y밴드(56)는 평소에는 제1 결합부(55-1)와 제2 결합부(55-2) 및 제3 결합부(55-3)에 거치(据置)되어 있어 수납물품을 넣고 꺼내기에 용이하며, 정장이나 자켓을 보관하는 경우 Y밴드(56)를 체결시 상기 Y밴드(56)의 제2 Y밴드 고리(56-4)를 잡아당겨서 제4 Y밴드 결합부(55-4)에 결합시킴을 통하여 정장이나 자켓을 고정시키며, 동작 순서는 상기 거치(据置)되어 있는 Y밴드(56)를 제2 결합부에서 탈거(脫去)하여 제1 결합부(55-1)과 제3 결합부(55-3)가 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측 타측(他側)에 구비되어 있는 Y밴드 제4 결합부(55-4)에 거치하여 밴드를 “Y”자 형태로 만들어진 Y밴드(56)가 수납물품이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옷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도 29(a)에 도시된 Y밴드(56)는 제1 Y밴드(56-1)와 제2 Y밴드(56-2)로 구분되며 제1 Y밴드 고리(56-3)는 제1 Y밴드(56-1)와 제2 Y밴드(56-2)가 결합하여 밴드를 Y모양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했으며 제1 Y밴드(56-1)는 제1 Y밴드 고리(56-3)에 결합되고 제2 Y밴드(56-2)는 제2 Y밴드 고리(56-4)에 결합되어 거치 및 탈거가 용이 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30은 삼선(三線)밴드 동작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0(a)는 삼선 밴드(58)체결 전 상태도를 나타내며, 삼선 밴드(58)가 각각 제1 밴드 결합부(57-1), 제2 밴드 결합부(57-2), 제3 밴드 결합부(57-3), 제4 밴드 결합부(57-4)에 거치되어 있다가 수납물품을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제1 밴드 결합부(57-1)와 제2 밴드 결합부(57-2)에 거치되어 있던 제1 삼선 밴드(58-1)를 제1 밴드 결합부(57-1)에서 탈거하여 제5 밴드 결합부(57-5)에 체결하고 제2 밴드 결합부(57-2)와 제3 밴드 결합부(57-3)에 거치되어 있던 제2 삼선 밴드(58-2)를 제2 밴드 결합부(57-2)에서 탈거하여 제6 밴드 결합부(57-6)에 체결하고, 제3 밴드 결합부(57-3)와 제4 밴드 결합부(57-4)에 거치되어 있던 제3 삼선 밴드(58-3)를 제3 밴드 결합부(57-3)에서 탈거하여 제7 밴드 결합부(57-7)에 체결하여 상층, 중층, 하층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이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거치되어 있는 삼선 밴드(58)는 각 층에 있는 물품에 따라 거치 또는 체결을 선택해서 이용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31은 자바라 덮개 동작 구성도(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자바라 덮개는 다기능 캐리어를 수납장으로 이용시 도 31과 같이 캐리어 커버를 열어 놓거나 커버를 제거하고 이용이 가능하며 이때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바라 덮개를 이용하여 먼지를 차단한다. 또한, 자바라 덮개는 이동시나 정지시 수납공간에 수납된 물품이 외부로 돌출하려는 부분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32는 자바라 덮개 동작 구성도(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자바라 덮개(250)가 캐리어 하측에 감겨져 있는 상태로 있다가 당겨서 사용하며 상기 자바라 덮개(250)의 일측(一側)에 위치하는 자바라 걸림쇠(251)를 자바라 걸림 홈(252)에 배치시킴을 통하여 상기 제1 캐리어(100) 또는 상기 제2 캐리어(200)에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해제시 자바라 걸림쇠(251)를 자바라 걸림 홈(252)에서 빼서 아래쪽으로 내리면 자연스럽게 자바라가 감기면서 캐리어 하측에 감겨져 보관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33은 푸시 결합 분리부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3(a)는 상기 푸시 결합 분리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며, 푸시 결합부(160)의 푸시 결합 버튼(161)을 푸시하면 제3 결합부(166)가 푸시 체결부(170) 방향으로 이동하며 결합 너트(165)를 푸시 체결부(170)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때 푸시 체결부(170)의 푸시 체결 버튼(171)을 푸시하게 되면 제3 체결부(173)가 아래로 내려가며 이동축(176)을 통하여 체결 볼트(175)를 상승 시키며 체결 볼트(175)와 결합 너트(165)가 결합되고 체결볼트 접촉부(177)가 체결 볼트(175)의 홈에 맞게 배치되어 결합 너트(165)와 체결 볼트(175)의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체결부 접촉부(178)도 체결부의 푸시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결합되고, 분리시 도 33(b)와 같이 푸시 체결부(170)의 푸시 체결 버튼(171)을 누르면 아래로 내려가 되어 있던 제3 체결부(173)가 상승되며 이동축(176)을 통하여 체결 볼트(175)를 하강 시키며 결합 너트(165)와 분리되고 돌출되어 있던 결합 너트(165)는 푸시 복원 버튼(162)를 통해 복원되며 캐리어 푸시 결합 분리부(350)를 통해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가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34는 푸시 결합 분리부의 정단면도와,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4(a)는 푸시 결합 분리부의 결합시 정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34(b)는 푸시 결합 분리부의 결합시 평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34(c)는 푸시 결합 분리부의 분리시 정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34(d)는 푸시 결합 분리부의 결합시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5은 다기능 캐리어 푸시 결합 분리부를 나타낸다.
도 35(a)는 푸시 결합 분리부의 결합시를 나타내며, 푸시 결합 버튼(161)이 제2 캐리어 방향으로 푸시되어 있으며 결합 너트를 제2 캐리어(200)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지지부(167)에 의하여 푸시된 상태로 지지된다. 이때 푸시 체결 버튼(171)을 누르게 되면 이동축(176)을 통하여 체결 볼트(175)가 결합 너트(165)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36(a)의 A와 같이 결합 너트(165)와 체결 볼트(175)가 결합되어 푸시 결합 분리부(350)를 통하여 제1 캐리어(100)과 제2 캐리어(200)가 결합되며, 상기 도 35(a)의 “A” 경우는 결합되는 부분을 예시로 나타낸 것이며 실제 캐리어 내측으로 결합 너트(165)와 체결 볼트(175)가 결합되어 도 36(a)의 “B” 처럼 외부로는 보이지 않는다.
또한, 도 35(b)는 푸시 결합 분리부의 분리시를 나타내며, 푸시 체결 버튼(171)을 눌러 체결 볼트와(175) 결합 너트(165)를 분리하고 돌출 되어 있던 결합 너트(165)는 푸시 복원 버튼(162)을 눌러 제1 캐리어(100) 내부로 복원시킨다. 이때 푸시 결합 버튼도 같이 푸시 전(前) 위치로 복원되어 제1 캐리어(100)와 제2캐리어(200)가 분리되며 결합 분리부(350)를 통해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가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기능 캐리어에 있어서, 정장이나 자켓을 걸어서 보관 할 수 있는 인서트 옷걸이(13); 상기 인서트 옷걸이(13)가 구비되어 정장이나 자켓을 접지 않고 보관 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제1 캐리어(100); 탈부착 프레임(50) 또는 파우치(53)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제2 캐리어(200); 상기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의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 분리부(150); 상기 결합 분리부(150)를 통하여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된 캐리어 상측에 결합시 자석 결합부(11)에 결합되는 제3 캐리어(300); 상기 제1,2,3 캐리어(100,200,300)를 일체화하여 한번에 이동이 가능하며 일체화된 캐리어의 가운데에 위치하여 균형있고 안정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 캐리어 손잡이(110); 상기 제1 캐리어 손잡이(110)를 통해 이동시 편리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캐리어 이동 바퀴(120)와 제2 캐리어 이동 바퀴(220); 상기 결합 분리부(150)를 통해 결합된 캐리어를 기내용이나 수화물로 용도에 맞게 독립적으로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제1 캐리어(100) 및 제2 캐리어(200)는 가로 45cm, 세로 22.5cm, 높이 90cm 크기이며; 상기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를 결합시 가로45cm, 세로 45cm, 높이 90cm 크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기능 캐리어에 있어서, 정장이나 자켓을 걸어서 보관 할 수 있는 인서트 옷걸이(13); 상기 인서트 옷걸이(13), 탈부착 프레임(50), 파우치(53)를 선택해서 구성하여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수납공간을 구비한 A타입(Type) 캐리어; 상기 A타입(Type) 캐리어는 가로 45cm, 세로 22.5cm, 높이 90cm 크기로 구성되며, 탈부착 프레임(50) 또는 파우치(53)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조절이 가능한 수납공간이 구비된 B타입 캐리어; 상기 B타입(Type) 캐리어는 가로 45cm, 세로 45cm, 높이 68cm 크기로 구성되며; 수납이 가능한 C타입 캐리어; 상기 C타입(Type) 캐리어는 가로 35cm, 세로 20cm, 높이 35cm 크기로 구성되며; 상기 A타입(Type) 캐리어와 상기 B타입(Type) 캐리어를 결합하고 분리하는 결합 분리부(150); 상기 결합 분리부(150)를 이용하여 AA타입 캐리어[A타입 캐리어 + A타입 캐리어의 결합], BB타입 캐리어[B타입 캐리어 + B타입 캐리어의 결합], AB타입 캐리어[A타입 캐리어 + B타입 캐리어의 결합]으로 상기 A타입(Type) 캐리어와 상기 B타입(Type) 캐리어가 선택적으로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를 제안한다.
또한, 다기능 캐리어에 있어서, 탈부착 프레임(50) 또는 파우치(53)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A타입 제1 캐리어(101); 탈부착 프레임(50) 또는 파우치(53)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A타입 제2 캐리어(201); 상기 A타입 제1 캐리어(101)와 A타입 제2 캐리어(201)의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 분리부(150); 상기 결합 분리부(150)를 통하여 A타입 제1 캐리어(101)와 A타입 제2 캐리어(201)를 결합하여 AA타입 캐리어[A타입 캐리어 + A타입 캐리어의 결합]의 상측에 결합되는 C타입 제3 캐리어(301); 상기 A타입 제1, 2 캐리어(101. 201)와 C타입 제3 캐리어(301)를 일체화하여 한번에 이동이 가능하며 일체화된 캐리어의 가운데에 위치하여 균형있고 안정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A타입 제1 캐리어 손잡이(111); 상기 A타입 제1 캐리어 손잡이(111)를 통해 이동시 편리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A타입 제1 캐리어 이동 바퀴(121)와 A타입 제2 캐리어 이동 바퀴(221)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분리부(150)를 통해 결합된 캐리어를 기내용이나 수화물로 용도에 맞게 독립적으로 분리 및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를 제안한다.
또한, 다기능 캐리어에 있어서, 탈부착 프레임(50) 또는 파우치(53)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제1 캐리어(100); 탈부착 프레임(50) 또는 파우치(53)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제2 캐리어(200); 상기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의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 분리부(150); 상기 결합 분리부(150)를 통하여 제1 캐리어와 제2 캐리어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된 캐리어 상측에 결합이 가능한 제3 캐리어(300); 상기 제1,2,3 캐리어를 일체화하여 한번에 이동이 가능하며 일체화된 캐리어의 가운데에 위치하여 균형있고 안정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 캐리어 손잡이(110); 상기 제1 캐리어(100) 및 제2 캐리어(200)는 가로 45cm, 세로 22.5cm, 높이 90cm 크기이며; 상기 제3 캐리어(300)는 가로 35cm, 세로 20cm, 높이 35cm 크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를 제안한다.
또한, 다기능 캐리어에 있어서, 정장이나 자켓을 걸어서 보관 할 수 있는 인서트 옷걸이(13);
상기 인서트 옷걸이(13)가 구비되어 정장이나 자켓을 접지 않고 보관 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제1 캐리어(100); 탈부착 프레임(50) 또는 파우치(53)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제2 캐리어(200); 상기 제1 캐리어(100)에 위치하는 푸시 결합부(160); 상기 제2 캐리어(200)에 위치하는 푸시 체결부(170); 상기 푸시 결합부(160)의 푸시 결합 버튼(161)을 밀면, 결합 너트(165)가 상기 제2 캐리어(200)에 위치하는 푸시 체결부(170)로 이동하며, 상기 푸시 체결부(170)의 푸시 체결 버튼(171)을 누르면, 체결 볼트(175)가 상승(上昇)하여 상기 결합 너트(165)와 결합됨을 통하여 상기 제1 캐리어(100)와 상기 제2 캐리어(200)가 결합되는 푸쉬 결합 분리부(350); 상기 푸쉬 결합 분리부(350)를 통하여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된 캐리어 상측에 결합시 자석 결합부(11)에 결합되는 제3 캐리어(300); 상기 제1 캐리어(100) 및 제2 캐리어(200)는 가로 45cm, 세로 22.5cm, 높이 90cm 크기이며; 상기 제3 캐리어(300)는 가로 35cm, 세로 20cm, 높이 35cm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를 제안한다.
끝으로 다기능 캐리어에 있어서, 탈부착 프레임(50) 또는 파우치(53)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제1 캐리어(100); 탈부착 프레임(50) 또는 파우치(53)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제2 캐리어(200); 상기 제1 캐리어(100)에 위치하는 푸시 결합부(160); 상기 제2 캐리어(200)에 위치하는 푸시 체결부(170); 상기 푸시 결합부(160)의 푸시 결합 버튼(161)을 밀면, 결합 너트(165)가 상기 제2 캐리어(200)에 위치하는 푸시 체결부(170)로 이동하며, 상기 푸시 체결부(170)의 푸시 체결 버튼(171)을 누르면, 체결 볼트(175)가 상승(上昇)하여 상기 결합 너트(165)와 결합됨을 통하여 상기 제1 캐리어(100)와 상기 제2 캐리어(200)가 결합되는 푸쉬 결합 분리부(350); 상기 제1 캐리어(100) 및 제2 캐리어(200)는 가로 45cm, 세로 22.5cm, 높이 90cm 크기이며; 상기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를 결합시 가로45cm, 세로 45cm, 높이 90cm 크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다양한 변형에 의하여 다기능 캐리어에 적용시킬 수 있으며, 기술적으로 용이하게 변형시키는 기술의 범주도 본 특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인정해야 할 것이다.
11 : 자석 결합부
13 : 인서트(Insert) 옷걸이
13-1 : 인서트 옷걸이 고리부
13-2 : 인서트 옷걸이 걸이부
15 : 고리 결합부
16 : 제1 행거 파우치(hanger pouch)
16-1 : 행거 파우치 고리부
17 : 제2 행거 파우치(hanger pouch)
17-1 : 행거 파우치 결합부
18 : 의류 보호 겸용 소형 파우치(pouch)
50 : 탈부착 프레임(Frame)
50-1 : 제1 탈부착 프레임(Frame)
50-2 : 제2 탈부착 프레임(Frame)
51 : 탈부착 프레임 결합 홈
51-1 : 제1 결합홈
51-2 : 제2 결합홈
51-3 : 제3 결합홈
51-4 : 제4 결합홈
51-5 : 제5 결합홈
51-6 : 제6 결합홈
51-7 : 제7 결합홈
51-8 : 제8 결합홈
51-9 : 제9 결합홈
51-10 : 제10 결합홈
53 : 파우치(pouch)
53-1 : A크기 파우치
53-2 : B크기 파우치
53-3 : C크기 파우치
53-4 : D크기 파우치
55 : Y밴드 결합부
55-1 : 제1 Y밴드 결합부
55-2 : 제2 Y밴드 결합부
55-3 : 제3 Y밴드 결합부
55-4 : 제4 Y밴드 결합부
56 : Y밴드
56-1 : 제1 Y밴드
56-2 : 제2 Y밴드
56-3 : 제1 Y밴드 고리
56-4 : 제2 Y밴드 고리
57 : 삼선(三線)밴드 결합부
57-1 : 제1 밴드 결합부
57-2 : 제2 밴드 결합부
57-3 : 제3 밴드 결합부
57-4 : 제4 밴드 결합부
57-5 : 제5 밴드 결합부
57-6 : 제6 밴드 결합부
57-7 : 제7 밴드 결합부
58 : 삼선(三線)밴드
58-1 : 제1 삼선 밴드
58-2 : 제2 삼선 밴드
58-3 : 제3 삼선 밴드
100 : 제1 캐리어(Carrier)
101 : A타입 제1 캐리어
105 : B타입 제1 캐리어
110 : 제1 캐리어 손잡이
111 : A타입 제1 캐리어 손잡이
115 : B타입 제1 캐리어 손잡이
116 : B타입 제1 캐리어 보조 손잡이
120 : 제1 캐리어 이동 바퀴
121 : A타입 제1 캐리어 이동 바퀴
130 : 제1 캐리어 수납공간
135 : B타입 제1 캐리어 수납공간
141 : 제1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
142 : 제2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
143 : 제1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 결합부
144 : 제2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 결합부
145 : 제1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 회전 이동부
146 : 제2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 회전 이동부
147 :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 C형 고리
148 :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 스프링
150 : 결합 분리부
151 : 제1 결합부
152 : 제2 결합부
153 : 제1 체결부
154 : 제2 체결부
155 : 제1 회전 이동부
156 : 제2 회전 이동부
157 : 원터치(One Touch) 분리부
158 : 고정부
159 : 결합 돌기부
160 : 푸시 결합부
161 : 푸시 결합 버튼(button)
162 : 푸시 복원 버튼(button)
163 : 제1 복원 스프링(Spring)
164 : 푸시 스프링(Spring)
165 : 결합 너트
166 : 제3 결합부
167 : 지지부
170 : 푸시 체결부
171 : 푸시 체결 버튼(button)
172 : 토션 스프링(Spring)
173 : 제3 체결부
174 : 제2 복원 스프링(Spring)
175 : 체결 볼트
176 : 이동축
177 : 체결 볼트 접촉부
178 : 체결부 접촉부
181 : 제3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
182 : 제4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
183 : 제3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 결합부
184 : 제4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 결합부
185 : 제5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 결합부
186 : 제6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 결합부
187 :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 결합 고리
200 : 제2 캐리어(Carrier)
201 : A타입 제2 캐리어
205 : B타입 제2 캐리어
210 : 제2 캐리어 손잡이
211 : A타입 제2 캐리어 손잡이
215 : B타입 제2 캐리어 손잡이
216 : B타입 제2 캐리어 보조 손잡이
220 : 제2 캐리어 이동 바퀴
221 : A타입 제2 캐리어 이동 바퀴
230 : 제2 캐리어 수납공간
231 : A타입 제2 캐리어 수납공간
235 : B타입 제2 캐리어 수납공간
250 : 자바라 덮개
251 : 자바라 걸림쇠
252 : 자바라 걸림 홈
300 : 제3 캐리어(Carrier)
301 : C타입 제3 캐리어
310 : 제3 캐리어(Carrier)주 손잡이
311 : 제3 캐리어(Carrier)보조 손잡이
320 : 제3 캐리어(Carrier)이동 바퀴
350 : 푸시 결합 분리부

Claims (20)

  1. 다기능 캐리어에 있어서,
    정장이나 자켓을 걸어서 보관 할 수 있는 인서트 옷걸이(13);
    상기 인서트 옷걸이(13)가 구비되어 정장이나 자켓을 접지 않고 보관 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제1 캐리어(100);
    탈부착 프레임(50) 또는 파우치(53)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제2 캐리어(200);
    상기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의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 분리부(150);
    상기 결합 분리부(150)를 통하여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된 캐리어 상측에 결합시 자석 결합부(11)에 결합되는 제3 캐리어(300);
    상기 제1,2,3 캐리어(100,200,300)를 일체화하여 한번에 이동이 가능하며 일체화된 캐리어의 가운데에 위치하여 균형있고 안정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 캐리어 손잡이(110);
    상기 제1 캐리어 손잡이(110)를 통해 이동시 편리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캐리어 이동 바퀴(120)와 제2 캐리어 이동 바퀴(220);
    상기 결합 분리부(150)를 통해 결합된 캐리어를 기내용이나 수화물로 용도에 맞게 독립적으로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제1 캐리어(100) 및 제2 캐리어(200)는 가로 45cm, 세로 22.5cm, 높이 90cm 크기이며;
    상기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를 결합시 가로45cm, 세로 45cm, 높이 90cm 크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
  2. 다기능 캐리어에 있어서,
    정장이나 자켓을 걸어서 보관 할 수 있는 인서트 옷걸이(13);
    상기 인서트 옷걸이(13), 탈부착 프레임(50), 파우치(53)를 선택해서 구성하여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수납공간을 구비한 A타입(Type) 캐리어;
    상기 A타입(Type) 캐리어는 가로 45cm, 세로 22.5cm, 높이 90cm 크기로 구성되며;
    탈부착 프레임(50) 또는 파우치(53)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조절이 가능한 수납공간이 구비된 B타입 캐리어;
    상기 B타입(Type) 캐리어는 가로 45cm, 세로 45cm, 높이 68cm 크기로 구성되며;
    수납이 가능한 C타입 캐리어;
    상기 C타입(Type) 캐리어는 가로 35cm, 세로 20cm, 높이 35cm 크기로 구성되며;
    상기 A타입(Type) 캐리어와 상기 B타입(Type) 캐리어를 결합하고 분리하는 결합 분리부(150);
    상기 결합 분리부(150)를 이용하여 AA타입 캐리어[A타입 캐리어 + A타입 캐리어의 결합], BB타입 캐리어[B타입 캐리어 + B타입 캐리어의 결합], AB타입 캐리어[A타입 캐리어 + B타입 캐리어의 결합]으로 상기 A타입(Type) 캐리어와 상기 B타입(Type) 캐리어가 선택적으로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
  3. 다기능 캐리어에 있어서,
    탈부착 프레임(50) 또는 파우치(53)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A타입 제1 캐리어(101);
    탈부착 프레임(50) 또는 파우치(53)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A타입 제2 캐리어(201);
    상기 A타입 제1 캐리어(101)와 A타입 제2 캐리어(201)의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 분리부(150);
    상기 결합 분리부(150)를 통하여 A타입 제1 캐리어(101)와 A타입 제2 캐리어(201)를 결합하여 AA타입 캐리어[A타입 캐리어 + A타입 캐리어의 결합]의 상측에 결합되는 C타입 제3 캐리어(301);
    상기 A타입 제1, 2 캐리어(101. 201)와 C타입 제3 캐리어(301)를 일체화하여 한번에 이동이 가능하며 일체화된 캐리어의 가운데에 위치하여 균형있고 안정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A타입 제1 캐리어 손잡이(111);
    상기 A타입 제1 캐리어 손잡이(111)를 통해 이동시 편리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A타입 제1 캐리어 이동 바퀴(121)와 A타입 제2 캐리어 이동 바퀴(221)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분리부(150)를 통해 결합된 캐리어를 기내용이나 수화물로 용도에 맞게 독립적으로 분리 및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
  4. 다기능 캐리어에 있어서,
    탈부착 프레임(50) 또는 파우치(53)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제1 캐리어(100);
    탈부착 프레임(50) 또는 파우치(53)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제2 캐리어(200);
    상기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의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 분리부(150);
    상기 결합 분리부(150)를 통하여 제1 캐리어와 제2 캐리어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된 캐리어 상측에 결합이 가능한 제3 캐리어(300);
    상기 제1,2,3 캐리어를 일체화하여 한번에 이동이 가능하며 일체화된 캐리어의 가운데에 위치하여 균형있고 안정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 캐리어 손잡이(110);
    상기 제1 캐리어(100) 및 제2 캐리어(200)는 가로 45cm, 세로 22.5cm, 높이 90cm 크기이며;
    상기 제3 캐리어(300)는 가로 35cm, 세로 20cm, 높이 35cm 크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
  5. 청구항 제1항 내지 청구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캐리어의 커버 개방 타입(Type)에 따라 단문형 타입(Type), 양문형 타입(Type) 및 분리 개방형 타입(Type)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
  6.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의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 분리부150);
    상기 결합 분리부(150)는 상기 제1 캐리어(100)와 상기 제2 캐리어(200)를 결합 또는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는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
  7.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은 상기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의 결합시 텐션(tension)을 유지하기 위하여 페어링 핸들 스프링(148)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
  8.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에서 제1 페어링 핸들(141)은 제1 페어링 핸들 결합부(143) 또는 제2 페어링 핸들 결합부(144)와 탈착 및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
  9.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핸들(pairing handle)에서 제2 페어링 핸들(142)은 제1 페어링 핸들 결합부(143) 또는 제2 페어링 핸들 결합부(144)와 탈착 및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
  10. 청구항 제8항 또는 청구항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핸들은 제1 페어링 핸들(141)의 일측(一側)에 결합되어 회전 움직임이 가능한 제1 페어링 핸들 회전 이동부(145);
    제2 페어링 핸들(142)의 일측(一側)에 결합되어 회전 움직임이 가능한 제2 페어링 핸들 회전 이동부(1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
  11.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100)의 내부 상측(上側) 중앙에 위치하는 고리 결합부(15);
    상기 고리 결합부(15)와 연결되는 행거 파우치 고리부(16-1)가 배치된 제1 행거 파우치(16);
    상기 고리 결합부(15)와 연결되는 인서트 옷걸이 고리부(13-1)가 배치된 인서트 옷걸이(13);
    상기 인서트 옷걸이(13)와 연결된 제2 행거 파우치(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
  12. 청구항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옷걸이(13)의 양 끝단의 상측(上側)에는 정장이나 자켓의 흔들림 방지를 위한 의류 보호 겸용 소형 파우치(pouch)(18)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
  13. 다기능 캐리어에 있어서,
    인서트 옷걸이(13)가 구비되어 정장이나 자켓을 접지 않고 보관 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제1 캐리어(100);
    탈부착 프레임(50) 또는 파우치(53)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제2 캐리어(200);
    상기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의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 분리부(150);
    상기 결합 분리부(150)를 통하여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된 캐리어 상측에 결합시 자석 결합부(11)에 결합되는 제3 캐리어(300);
    상기 제1 캐리어(100) 및 제2 캐리어(200)는 가로 45cm, 세로 22.5cm, 높이 90cm 크기이며;
    상기 제3 캐리어(300)는 가로 35cm, 세로 20cm, 높이 35cm 크기이며;
    상기 제1 캐리어(100)의 상측 중앙에 위치한 제1 Y밴드 결합부(55-1);
    상기 제1 캐리어(100)의 하측 양 끝단에 위치한 제3,4 Y밴드 결합부(55-3,55-4);
    상기 제1 Y밴드 결합부(55-1) 상기 제3 Y밴드 결합부(55-3) 및 상기 제4 Y밴드 결합부(55-4) 사이에 배치된 “Y”자 형태의 Y밴드(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
  14. 청구항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Y밴드(56)는 상기 제1 캐리어(100)에 정장이나 자켓을 보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Y밴드 결합부(55-1), 제2 Y밴드 결합부(55-2) 및 제3 Y밴드 결합부(55-3)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
  15. 청구항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Y밴드(56)는 상기 제1 캐리어(100)에 정장이나 자켓을 보관하는 경우, 상기 Y밴드(56)의 제2 Y밴드 고리(56-4)를 잡아당겨서 제4 Y밴드 결합부(55-4)에 결합시킴을 통하여 정장이나 자켓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
  16. 청구항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캐리어(200)의 캐리어 수납공간의 일측(一側)에 거치되어 있는 밴드를 타측(他側)으로 체결하여 제1,2,3 삼선 밴드(58-1,58-2,58-3)을 형성하며, 상층, 중층 및 하층을 선택하여 상기 제1,2,3 삼선 밴드(58-1,58-2,58-3)를 고정함으로서 수납함의 수납물품이 외부로 돌출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
  17. 청구항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100) 또는 상기 제2 캐리어(200)의 하측에 감겨져 있는 상태로 있다가 당겨서 사용하는 자바라 덮개(250);
    상기 자바라 덮개(250)의 일측(一側)에 위치하는 자바라 걸림쇠(251)를 자바라 걸림 홈(252)에 배치시킴을 통하여 상기 제1 캐리어(100) 또는 상기 제2 캐리어(200)에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
  18. 다기능 캐리어에 있어서,
    정장이나 자켓을 걸어서 보관 할 수 있는 인서트 옷걸이(13);
    상기 인서트 옷걸이(13)가 구비되어 정장이나 자켓을 접지 않고 보관 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제1 캐리어(100);
    탈부착 프레임(50) 또는 파우치(53)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제2 캐리어(200);
    상기 제1 캐리어(100)에 위치하는 푸시 결합부(160);
    상기 제2 캐리어(200)에 위치하는 푸시 체결부(170);
    상기 푸시 결합부(160)의 푸시 결합 버튼(161)을 밀면, 결합 너트(165)가 상기 제2 캐리어(200)에 위치하는 푸시 체결부(170)로 이동하며, 상기 푸시 체결부(170)의 푸시 체결 버튼(171)을 누르면, 체결 볼트(175)가 상승(上昇)하여 상기 결합 너트(165)와 결합됨을 통하여 상기 제1 캐리어(100)와 상기 제2 캐리어(200)가 결합되는 푸쉬 결합 분리부(350);
    상기 푸쉬 결합 분리부(350)를 통하여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된 캐리어 상측에 결합시 자석 결합부(11)에 결합되는 제3 캐리어(300);
    상기 제1 캐리어(100) 및 제2 캐리어(200)는 가로 45cm, 세로 22.5cm, 높이 90cm 크기이며;
    상기 제3 캐리어(300)는 가로 35cm, 세로 20cm, 높이 35cm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
  19. 다기능 캐리어에 있어서,
    탈부착 프레임(50) 또는 파우치(53)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제1 캐리어(100);
    탈부착 프레임(50) 또는 파우치(53)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조절이 가능한 제2 캐리어(200);
    상기 제1 캐리어(100)에 위치하는 푸시 결합부(160);
    상기 제2 캐리어(200)에 위치하는 푸시 체결부(170);
    상기 푸시 결합부(160)의 푸시 결합 버튼(161)을 밀면, 결합 너트(165)가 상기 제2 캐리어(200)에 위치하는 푸시 체결부(170)로 이동하며, 상기 푸시 체결부(170)의 푸시 체결 버튼(171)을 누르면, 체결 볼트(175)가 상승(上昇)하여 상기 결합 너트(165)와 결합됨을 통하여 상기 제1 캐리어(100)와 상기 제2 캐리어(200)가 결합되는 푸쉬 결합 분리부(350);
    상기 제1 캐리어(100) 및 제2 캐리어(200)는 가로 45cm, 세로 22.5cm, 높이 90cm 크기이며;
    상기 제1 캐리어(100)와 제2 캐리어(200)를 결합시 가로45cm, 세로 45cm, 높이 90cm 크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
  20. 청구항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100)의 내부 상측(上側) 중앙에 위치하는 고리 결합부(15);
    상기 고리 결합부(15)와 연결되는 행거 파우치 고리부(16-1)가 배치된 제1 행거 파우치(16);
    상기 고리 결합부(15)와 연결되는 인서트 옷걸이 고리부(13-1)가 배치된 인서트 옷걸이(13);
    상기 인서트 옷걸이(13)와 연결된 제2 행거 파우치(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캐리어
KR1020180026055A 2018-03-05 2018-03-05 다기능 캐리어 KR201901054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055A KR20190105468A (ko) 2018-03-05 2018-03-05 다기능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055A KR20190105468A (ko) 2018-03-05 2018-03-05 다기능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468A true KR20190105468A (ko) 2019-09-17

Family

ID=68070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055A KR20190105468A (ko) 2018-03-05 2018-03-05 다기능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54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760B1 (ko) * 2019-12-10 2021-04-02 이경임 여행용 캐리어 가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999B1 (ko) 2010-01-28 2012-05-02 김종성 캐리어가방
KR101569684B1 (ko) 2014-11-14 2015-11-27 이상미 탈착 가방을 구비한 캐리어 가방
KR200485671Y1 (ko) 2017-06-05 2018-02-06 류미연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999B1 (ko) 2010-01-28 2012-05-02 김종성 캐리어가방
KR101569684B1 (ko) 2014-11-14 2015-11-27 이상미 탈착 가방을 구비한 캐리어 가방
KR200485671Y1 (ko) 2017-06-05 2018-02-06 류미연 여행용 캐리어의 지지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760B1 (ko) * 2019-12-10 2021-04-02 이경임 여행용 캐리어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6699B1 (en) Stroller/wheelchair accessory
CN104284609B (zh) 改进的手提袋
US20040065518A1 (en) Rolling duffel bag
US20100276241A1 (en) Hanging shelf system and travel organizer for use in combination with a suitcase
US8485327B1 (en) Luggage with integrated eating surface
US20120217773A1 (en) Combination Backpack-Luggage-Chair with Integral Lumbar Support
JP5864924B2 (ja) 取り外し可能ハンドルおよび車輪アセンブリを備えるビジネスケース
US10647340B2 (en) Mobile storage device
US20160037905A1 (en) Portable utility surface
BR102015006807A2 (pt) veículo com conjunto de prateleira traseira, rotativo e retrátil
US20090159385A1 (en) Travel bag with stowable seat
US20090224495A1 (en) Collapsible shopping caddy
WO2017015501A1 (en) Modular luggage and sleeping wedge apparatus
KR101149897B1 (ko) 가방을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다기능 캐리어
KR20190105468A (ko) 다기능 캐리어
ES2760028T3 (es) Un dispositivo para asegurar artículos en un área de carga de un automóvil
CN104554354A (zh) 可隐藏购物袋式多用途手推车
US10098426B2 (en) Foldable bag with rotatable retaining straps
GB2446789A (en) Shopping trolley with selectively deployable load supports
JP2006042906A (ja) 絵画道具一式収納カート並びに該カート用エーゼル、絵具箱及びカバー
CN210018162U (zh) 一种具有拓展收纳空间的硬壳行李箱
CN107021026A (zh) 集成的支架系统
WO2014074098A1 (en) Collapsible stadium seat
KR200443739Y1 (ko) 정리용 접철식 가방
CN202051089U (zh) 一种可变成椅子的行李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