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390Y1 - 자동 회전 밥주걱 - Google Patents

자동 회전 밥주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390Y1
KR200485390Y1 KR2020150003598U KR20150003598U KR200485390Y1 KR 200485390 Y1 KR200485390 Y1 KR 200485390Y1 KR 2020150003598 U KR2020150003598 U KR 2020150003598U KR 20150003598 U KR20150003598 U KR 20150003598U KR 200485390 Y1 KR200485390 Y1 KR 2004853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housing
button
ric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282U (ko
Inventor
서용석
Original Assignee
서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용석 filed Critical 서용석
Priority to KR20201500035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390Y1/ko
Publication of KR201600042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2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3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8Spatulas; Scrapers; Multi-purpose hand imp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자동 회전 밥주걱이 개시된다. 자동 회전 밥주걱은,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와,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마운트부재와, 회전 마운트부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 밥주걱과,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밥주걱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회전 밥주걱{AUTO ROTATION RICE SPATULA}
본 고안은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되는 자동 회전 밥주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걱은 밥을 조리한 후 밥을 뒤집고 골고루 섞어 주면서 그릇에 담을 때 사용되며. 쌀밥, 볶음밥, 국 또는 카레 소스 등과 같은 조리물을 조리하는 경우 조리물을 교반하거나 다양한 용도로도 사용된다. 특히, 밥솥을 이용하여 밥을 하는 경우, 밥주걱을 이용하여 뒤집고 골고루 섞어줄 수 있다.
이러한 밥주걱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와, 파지부로부터 넓은 면적으로 돌출되어 밥과 접촉되는 조리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밥주걱을 이용하여 밥을 뒤집고 휘저어 골고루 섞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밥을 보온 상태에서 주걱을 이용하여 밥을 그릇에 담는 경우에도 밥주걱을 이용하여 밥을 뒤집고 섞어준 후에 그릇에 담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러나 처음으로 밥솥에서 밥을 조리후 뚜껑을 열고 뒤집고 골고루 섞어 줄 경우, 보온후 시간이 경과되어 밥이 약간 굳었을 경우, 밥의 양이 많을 경우등 밥주걱을 이용하여 뒤집고 골고루 섞어줄때, 사용자 특히 가정주부 들의 팔과 손목에 무리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1-0032441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회전 밥주걱이 설정된 속도로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밥을 조리 과정에서 팔과 손목 등에 피로감이 발생되지 않고, 조리된 밥을 뒤집고 섞어 주는 것이 효과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 회전 밥주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와,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마운트부재와, 회전 마운트부재에 일단이 탈착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 밥주걱과,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밥주걱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회전 밥주걱은 회전 마운트부재에 고정되는 부분에서 외표면에 복수개의 인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마운트부재의 내부에는 인입홈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볼플런저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 모터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며 전원선이 연결되는 제어 기판과, 제어 기판에 연결되고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버튼은, 구동 모터를 제1 회전수로 회전 제어하는 제1 버튼과, 구동 모터를 제2 회전수로 회전 제어하는 제2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버튼은 회전 밥주걱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정역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구동 제어에 따라 회전 밥주걱이 설정된 속도로 자동으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팔과 손목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밥을 효과적으로 뒤집고 섞어주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밥주걱이 정역 버튼의 작동에 의해 설정된 회전수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밥주걱은 밥의 뒤집고 섞어주는 작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회전 밥주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 회전 밥주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자동 회전 밥주걱을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회전 밥주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회전 밥주걱이 회전 마운트부재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회전 밥주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회전 밥주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 회전 밥주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자동 회전 밥주걱을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회전 밥주걱(100)은, 내부에 설치 공간(11)이 형성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20)와, 구동 모터(2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마운트부재(30)와, 회전 마운트부재(3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어 구동 모터90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 밥주걱(40)과, 하우징(10)에 설치되어 회전 밥주걱(40)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하우징(10)은 원통형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다각형의 외표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설치 공간(11)이 형성된다. 이러한 설치 공간(11)에는 구동 모터(20)가 설치된다.
구동 모터(2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선택적인 작동 제어에 따라 작동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모터(20)의 회전축(21)에는 회전 마운트부재(30)가 설치된다.
회전 마운트부재(30)는 회전축(21)에 고정되어 구동 모터(20)의 구동에 따라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회전 마운트부재(30)는 회전축(21)이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부재(31)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마운트부재(30)는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회전축(21)의 회전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회전 마운트부재(30)는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원활한 회전을 위해 원통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마운트부재(30)에는 회전 밥주걱(40)이 고정된다.
도 4는 도 1의 회전 밥주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회전 밥주걱이 회전 마운트부재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밥주걱(40)은 일단은 회전 마운트부재(30)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회전 밥주걱(40)은 회전 마운트부재(3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밥주걱(40)은 구동 모터(2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밥솥 등의 내부로 삽입되어 쌀밥을 용이하게 뒤집고 섞어주는 것이 가능하다.
즉, 회전 밥주걱(40)은 사용자가 팔과 손목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 밥주걱(40)을 밥솥 등의 내부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구동 모터(20)의 구동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쌀밥 등을 뒤집고 섞어주는 것을 사용자의 팔과 손목을 이용하여 밥주걱으로 뒤집고 섞어주는 것을 대체하여, 구동 모터(20)의 회전 구동력을 이용한 회전 밥주걱(40)을 회전시켜 쌀밥을 뒤집고 섞어주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쌀밥을 뒤집고 섞어주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팔과 손목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여, 조리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밥주걱(40)은 쌀밥을 뒤집고 섞어주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섞어주는 것이 필요한 소정의 조리물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회전 밥주걱(40)은 밥의 종류에 따라 크기를 달리하도록 회전 마운트부재(30)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밥주걱(40)은 회전 마운트부재(30)에 볼플런저(33)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회전 밥주걱(40)에는 볼플런저(33)의 단부가 걸림 고정될 수 있는 인입홈(41)이 형성된다. 인입홈(41)은 회전 밥주걱(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이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입홈(41)은 회전 밥주걱(40)의 마주하는 양측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이 등간격의 복수개로 형성된다.
볼플런저(33)는 회전 마운트부재(30)의 내부에서 회전 밥주걱(40)의 일단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볼플런저(33)는 회전 밥주걱(40)의 인입홈(41)에 걸림 고정된 상태로 회전 밥주걱(40)의 일단을 양측에서 가압하여 회전 밥주걱(40)을 회전 마운트부재(30)의 내부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회전 밥주걱(40)은 볼플런저(33)의 단부가 인입홈(41)에 가압력에 의해 걸림 고정되는 바, 회전 마운트부재(3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회전 밥주걱(40)은 주걱에 밥알이 묻었을때 주걱 세척을 위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며 뒤집고 섞어주고자 하는 밥의 양이 많을 경우 보다 큰 주걱으로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회전 밥주걱(40)을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 마운트부재(30)로부터 이격시키면, 회전 밥주걱(40)은 볼플런저(33)의 가압력을 극복하면서 회전 마운트부재(30)로부터 분리되도록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밥주걱(40)을 적절한 크기로 종류를 달리하여 회전 마운트부재(30)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하우징(10)에는 회전 밥주걱(4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50)가 설치된다.
제어부(5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 모터(2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며 전원선(51a)이 연결되는 제어 기판(51)과, 제어 기판(51)에 연결되고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동 모터(2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버튼(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기판(51)은 하우징(10)의 내부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으로서, 구동 모터(20)에 회전 구동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기판(51)에는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되는 전원선(51a)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기판(51)은 제어 버튼(53)의 조작에 의해 구동 모터(20)의 회전 구동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버튼(53)은, 구동 모터(20)를 제1 회전수로 회전 제어하는 제1 버튼(53a)과, 구동 모터(20)를 제2 회전수로 회전 제어하는 제2 버튼(5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튼(53a)은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누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구동 모터(20)를 제1 회전수를 회전되도록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제2 버튼(53b)은 제1 버튼(53a)이 설치된 근접 위치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제1 회전수와 상이한 제2 회전수로 구동 모터(20)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회전수는 제1 회전수 보다 큰 회전수인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제어 버튼(53)은 제1 버튼(53a)과 제2 버튼(53b)으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 모터(20)의 구동 단계를 더욱 세분화하는 경우 2개를 초과하여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어 버튼(53)에는 정지 버튼(미도시)이 설치되어, 밥을 그릇에 담는 경우 회전 밥주걱(40)을 정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자동 회전 밥주걱(100)은, 사용자의 구동 제어에 따라 회전 밥주걱(40)이 설정된 속도로 자동으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팔과 손목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밥을 효과적으로 뒤집고 섞어주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밥의 조리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회전 밥주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회전 밥주걱(200)의 제어 버튼(153)은 회전 밥주걱(4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회전시키는 정역 버튼(153a)이 설치된다.
정역 버튼(153a)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누름 작동되도록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 밥주걱(40)을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즉, 회전 밥주걱(40)은 정역 버튼(153a)의 작동에 의해 구동 모터(20)의 회전 작동에 의해, 설정된 회전수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밥주걱(40)은 조리된 밥을 뒤집고 섞어주는 작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0...하우징 11...설치 공간
20...구동 모터 21...회전축
30...회전 마운트부재 31...볼트부재
33...볼플런저 40...회전 밥주걱
41...인입홈 50...제어부
51...제어 기판 51a..전원선
53, 153...제어 버튼 53a..제1 버튼
53b..제2 버튼 153a..정역 버튼

Claims (5)

  1.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마운트부재;
    상기 회전 마운트부재에 일단이 탈착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 밥주걱;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밥주걱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자동 회전 밥주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밥주걱은 상기 회전 마운트부재에 고정되는 부분에서 외표면에 복수개의 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마운트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인입홈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볼플런저가 설치되는 자동 회전 밥주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모터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며 전원선이 연결되는 제어 기판; 및
    상기 제어 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버튼;
    을 포함하는 자동 회전 밥주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버튼은,
    상기 구동 모터를 제1 회전수로 회전 제어하는 제1 버튼; 및
    상기 구동 모터를 제2 회전수로 회전 제어하는 제2 버튼;
    을 포함하는 자동 회전 밥주걱.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버튼은 상기 회전 밥주걱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정역 버튼을 더 포함하는 자동 회전 밥주걱.
KR2020150003598U 2015-06-04 2015-06-04 자동 회전 밥주걱 KR2004853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598U KR200485390Y1 (ko) 2015-06-04 2015-06-04 자동 회전 밥주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598U KR200485390Y1 (ko) 2015-06-04 2015-06-04 자동 회전 밥주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282U KR20160004282U (ko) 2016-12-14
KR200485390Y1 true KR200485390Y1 (ko) 2018-01-02

Family

ID=5757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598U KR200485390Y1 (ko) 2015-06-04 2015-06-04 자동 회전 밥주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39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731B1 (ko) 2018-12-06 2019-09-06 김민준 다용도 밥주걱
KR20230063784A (ko) 2021-11-02 2023-05-09 김수연 다용도 밥주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894Y1 (ko) * 2006-06-16 2006-08-28 주식회사 셰펠 탈착 가능한 손잡이를 갖는 조리기구
US20070159917A1 (en) * 2006-01-09 2007-07-12 Beesley Brian K Pivoting handheld food preparation appliance and associated method
CN202154583U (zh) 2011-06-28 2012-03-07 大连民族学院 挂夹式锅铲
JP5276729B1 (ja) * 2012-03-08 2013-08-28 株式会社オダジマ 洗米具兼用しゃも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645U (ja) * 1992-02-28 1994-03-08 三佐子 高瀬 衛生杓文字
JP3080570B2 (ja) * 1995-11-10 2000-08-28 三和技研株式会社 しゃもじ
KR101053696B1 (ko) 2009-09-23 2011-08-02 조태억 테프론 주걱부가 형성된 소스주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9917A1 (en) * 2006-01-09 2007-07-12 Beesley Brian K Pivoting handheld food preparation appliance and associated method
KR200424894Y1 (ko) * 2006-06-16 2006-08-28 주식회사 셰펠 탈착 가능한 손잡이를 갖는 조리기구
CN202154583U (zh) 2011-06-28 2012-03-07 大连民族学院 挂夹式锅铲
JP5276729B1 (ja) * 2012-03-08 2013-08-28 株式会社オダジマ 洗米具兼用しゃも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282U (ko)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29276B2 (en) Mixer apparatus and method
US10717060B2 (en) Programmable wireless control system for mixers
US20160256007A1 (en) Control system for mixers
EP2762004B1 (en) A food kneading appliance
US6026735A (en) Self stirring cooking assembly
US10124306B2 (en) Emergency stop system for mixers
US10098506B2 (en) Gear system for mixers and mixer attachments
US20090007802A1 (en) Method and device for multi-purpose applications using interchangeable heads
KR101935922B1 (ko) 자동 조리 장치
KR200485390Y1 (ko) 자동 회전 밥주걱
US9227165B1 (en) Pot lid apparatus including automatic stirrer and vent control
JP6004546B2 (ja) 米飯撹拌装置および米飯撹拌方法
KR100452091B1 (ko) 튀각류의 양념처리용 혼합장치
KR101742441B1 (ko) 음식 교반기를 갖는 조리용 솥
JP2013090890A (ja) 攪拌装置付調理器具及び攪拌装置
CN110973983A (zh) 烹饪设备
KR101399416B1 (ko) 음식물 조리기
KR101613691B1 (ko) 볶음기
JP4534999B2 (ja) 食材混合装置
CN204909166U (zh) 多功能食物处理装置
CN217218754U (zh) 烹饪设备及系统
CN220512186U (zh) 一种香菇酱加工装置
CN107440561A (zh) 一种便于清洁的打蛋机
JP2001000330A (ja) 食品炒め調理器
CN111904288B (zh) 一种翻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7483;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748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217

Effective date: 2017110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