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220Y1 -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 - Google Patents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220Y1
KR200485220Y1 KR2020170004277U KR20170004277U KR200485220Y1 KR 200485220 Y1 KR200485220 Y1 KR 200485220Y1 KR 2020170004277 U KR2020170004277 U KR 2020170004277U KR 20170004277 U KR20170004277 U KR 20170004277U KR 200485220 Y1 KR200485220 Y1 KR 200485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upper case
groove
quiz
pag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용
Original Assignee
오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용 filed Critical 오상용
Priority to KR2020170004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2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2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18Question-and-answer g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2Games, e.g. card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64Quiz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퀴즈나 문제에 대한 교체가 용이함에 따라 재활용성을 높이고, 스위치 조작에 따른 퀴즈 또는 문제의 변경이 가능함에 따라 응용성을 높이며, 선물 등의 보상품을 수납 및 잠금 상태로 유지하다가 해당 퀴즈나 문제를 모두 해결하면 선물 상자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큰 흥미와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된 상부 케이스와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된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부;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간을 잠그기 위한 잠금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고, 서로 반대 방향인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각각 스위칭되는 스위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스위치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고,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퀴즈 문항이 기재되고, 상기 스위치에 의해 걸리되 상기 퀴즈 문항의 정답에 따른 상기 스위치의 방향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한 페이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페이지 보드부; 및 상기 페이지 보드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로부터 모두 분리되는 경우 노출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의 바닥면에 배치되며, 상기 잠금부를 열기 위한 열쇠를 포함하는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QUIZ GAME NOTE BOOK FOR LEARNING}
본 고안의 실시예는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학습을 위한 퀴즈 또는 문제 형태의 다양한 교재 또는 교구가 시판되고 있다. 특히, 오프라인 형태의 교재의 경우, 해당 퀴즈 또는 문제를 모두 맞히더라도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제공하는 것이 쉽지 않은 형태로 제작되어 있다.
또한, 해당 교재는 미리 인쇄된 문항을 푸는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한번 풀었던 퀴즈나 문제에 대하여 다시 사용하는 경우 흥미가 재미가 없을 수 밖에 없으므로, 해당 교재에 대한 재활용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5607호(등록일자: 2011년09월06일)
본 고안은, 퀴즈나 문제에 대한 교체가 용이함에 따라 재활용성을 높이고, 스위치 조작에 따른 퀴즈 또는 문제의 변경이 가능함에 따라 응용성을 높이며, 선물 등의 보상품을 수납 및 잠금 상태로 유지하다가 해당 퀴즈나 문제를 모두 해결하면 선물 상자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큰 흥미와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은, 상부가 개방된 상부 케이스와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된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부;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간을 잠그기 위한 잠금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고, 서로 반대 방향인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각각 스위칭되는 스위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스위치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고,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퀴즈 문항이 기재되고, 상기 스위치에 의해 걸리되 상기 퀴즈 문항의 정답에 따른 상기 스위치의 방향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한 페이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페이지 보드부; 및 상기 페이지 보드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로부터 모두 분리되는 경우 노출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의 바닥면에 배치되며, 상기 잠금부를 열기 위한 열쇠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덮개; 상기 덮개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손잡이;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바닥면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스위치 손잡이가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으로 각각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에는, 상기 스위치 손잡이를 각각 돌출시키며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으로 각각 이동할 수 있도록 라인 형태로 개방된 개구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스위치 버튼; 상기 스위치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 손잡이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기계적인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스위칭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지 보드부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퀴즈 문항이 기재된 용지가 삽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페이지 보드; 및 상기 페이지 보드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의 방향 조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와 각각 대응되는 탈착홈이 형성된 스위치 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홈은,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홈; 및 상기 제1 홈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가 상기 스위치 탈착부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제1 홈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탈착홈은, 상기 제2 홈이 상기 제1 홈의 윗부분과 연결된 제1 탈착홈; 및 상기 제2 홈이 상기 제1 홈의 아랫부분과 연결된 제2 탈착홈으로 각각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지 보드부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1 홈을 따라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홈에 모두 위치할 경우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퀴즈나 문제에 대한 교체가 용이함에 따라 재활용성을 높이고, 스위치 조작에 따른 퀴즈 또는 문제의 변경이 가능함에 따라 응용성을 높이며, 선물 등의 보상품을 수납 및 잠금 상태로 유지하다가 해당 퀴즈나 문제를 모두 해결하면 선물 상자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큰 흥미와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의 구성과 동작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의 동작에 따른 페이지 보드부의 분리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상부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한 열쇠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수납공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온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스위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고안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의 구성과 동작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의 동작에 따른 페이지 보드부의 분리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상부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한 열쇠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수납공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1000)은, 본체 케이스부(1100), 잠금부(1200), 스위치부(1300), 페이지 보드부(1400) 및 열쇠(15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케이스부(1100)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 상부 케이스(1110)와 하부 케이스(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110)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 일측에는 스위치부(1300)가 삽입되고, 타측에는 페이지 보드부(1400)가 삽입될 수 있으며, 바닥면에는 열쇠(1500)가 수납되어 있을 수 있다. 상부 케이스(1100)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스위치부(1300)와 페이지 보드부(1400)는 외부로 노출되며, 열쇠(1500)는 스위치부(1300)와 페이지 보드부(1400)에 의해 은폐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케이스(1110)는 나무, 플라스틱, 금속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더욱 다양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120)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 케이스(1110)에 의해 해당 개방부가 덮여 있다. 즉, 상부 케이스(1110)는 하부 케이스(1120)의 뚜껑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120)의 내부에는 소정의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112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110)와 하부 케이스(1120) 간에는 경첩이 연결되어 본체 케이스부(1100)에서 상부 케이스(1110)가 열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잠금부(1200)는 본체 케이스부(1100)에서 상부 케이스(1110)가 열리지 못하도록 잠그기 위한 수단으로, 자물쇠(1210), 자물쇠 경첩(1120)과 고리(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열쇠(1500)는 자물쇠(1210)를 열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1300)는 상부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고, 서로 반대 방향인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각각 스위칭되는 스위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스위치를 '온' 시키는 방향으로 위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제2 방향은 스위치를 '오프' 시키는 방향으로 아래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으나, 그 반대로 정의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부(1300)는 덮개(1310), 스위치 손잡이(1320) 및 가이드 레일(1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1310)는 스위치 손잡이(1320)와 가이드 레일(1330)를 커버하며, 상부 케이스(1110)에서 스위치부(1300)의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1310)에는 스위치 손잡이(1320)를 외부로 각각 돌출시키며, 제1 및 제2 방향(온/오프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라인 형태로 개방된 개구부(13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손잡이(1320)는, 스위치부(1300)의 내부에서 덮개(1310)의 개구부(1311)를 통해 외부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 손잡이(1320)는 돌출 스틱(1321)과 이동 블록(13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 스틱(1321)은 대략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동 블록(1322)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블록(1322)은 단면이 대략 'ㄷ'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13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1330)는, 상부 케이스(1110)의 바닥면에 각각 고정되며, 스위치 손잡이(1320)가 제1 및 제2 방향(온/오프 방향)으로 각각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1330)은 레일(1331)과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1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1332)는 레일(1330)의 측부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동 블록(1322)이 레일(1331)을 따라 이동할 때 이동 블록(1322)의 이동 스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 돌기(1332)는 이동 블록(1322)이 레일(1331)을 따라 쉽게 이동하지 못하도록 이동 블록(1322)을 특정 위치에서 임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특정한 힘 이상으로 돌출 스틱(1321)을 미는 경우 이동 블록(1322)은 걸림 돌기(1332)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스위치 손잡이(1320)와 가이드 레일(1330)이 하나의 스위치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스위치는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4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같은 개수로 스위치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개수의 스위치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스위치는 후술하는 페이지 보드부(1440)의 페이지 보드(1410)에 기재된 각 퀴즈 문항의 정답과 대응되며, 게임 방법과 연관되어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①번 스위치, ②번 스위치, ③번 스위치, ④번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①, ②번 스위치는 제2 방향(오프 방향)으로 이동되어 오프되어 있고, ③, ④번 스위치는 제1 방향(온 방향)으로 이동되어 온되어 있는 경우를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첫 페이지 보드(1410)에 기재된 Q1의 정답은 ①번이고, Q2의 정답은 ②번이므로, 이러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①, ②번 정답에 해당하는 ①, ②번 스위치를 위로 올려 턴온 시키고, 나머지 ③, ④번 스위치는 아래로 내려 턴 오프시킬 수 있다. 이때, 각 스위치가 정답에 따른 위치에 있는 경우 이동(온/오프)시킬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스위치부(1300)의 각 스위치들은 퀴즈를 풀기 전에 임의의 상태로 놓여 있기 때문에 페이지 보드(1410)가 분리되지 못하도록 잠그는 역할을 하며, 페이지 보드부(1400)에 기재된 퀴즈 문항의 정답에 따라 각 스위치들의 온/오프를 위한 방향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각 스위치들이 페이지 보드(14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됨에 따라, 페이지 보드(1410)가 상부 케이스(1110)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지 보드부(1400)는, 상부 케이스(11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퀴즈 문항이 기재되고, 각각의 스위치에 의해 걸리되 해당 퀴즈 문항의 정답에 따른 스위치의 방향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걸림이 해제되어 상부 케이스(1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페이지 보드부(1400)는 페이지 보드(1410)와 스위치 탈착부(1420)로 이루어진 다수의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지 보드(1410)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퀴즈 문항이 기재된 용지가 삽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페이지 보드(1410)는 투명한 비닐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용지를 삽입할 수 있는 봉투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탈착부(1420)는 페이지 보드(1410)의 일측에 형성되고, 스위치의 방향 조작에 따라 스위치부(14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의 스위치와 대응되는 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착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1420A)과 제2 홈(1420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홈(1420A)은 스위치가 제1 및 제2 방향(온/오프 방향)으로 각각 이동할 수 있도록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홈(1420B)은 제1 홈(1420A)의 일측과 연결되고, 해당 스위치가 스위치 탈착부(1420)로부터 분리되도록 제1 홈(1420A)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가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홈(1420A, 1420B)은 'ㄱ' 또는 'ㄴ'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탈착홈은 제2 홈(1420B)이 제1 홈(1420A)의 윗부분과 연결되었는지 또는 아랫부분과 연결되었는지에 따라 제1 탈착홈(1421)과 제2 탈착홈(142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탈착홈(1421)은 제2 홈(1420B)이 제1 홈(1420A)의 윗부분에 연결된 형태고, 제2 탈착홈(1422)은 제2 홈(1420B)이 제1 홈(1420A)의 아랫부분에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페이지 보드(1410)는 용지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스위치 탈착부(1420)에서 각 탈착홈의 구조를 바탕으로, 다양한 퀴즈 문항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스위치 손잡이(1320)가 순서대로 '온-오프-온-오프'되어야 잠금이 해제되도록 이루어진 경우, 2개의 퀴즈 문항의 정답이 ①번과 ③번이 되도록 퀴즈 문항의 내용을 바꿀 수 있으며, 퀴즈 문항 개수 또한 조절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학습용 퀴즈 게임 방법과 관련된 스위치부(1300)와 페이지 보드부(1400)의 분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스위치 손잡이(1320)는 페이지 보드(1410)에 기재된 각 퀴즈 문항의 정답과 대응되며, 게임 방법과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①번 스위치, ②번 스위치, ③번 스위치, ④번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①, ②번 스위치는 제2 방향(오프 방향)으로 이동되어 오프되어 있고, ③, ④번 스위치는 제1 방향(온 방향)으로 이동되어 온되어 있는 경우, 해당 페이지 보드(1410)에 기재된 Q1의 정답은 ①번이고, Q2의 정답은 ②번이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①, ②번 정답에 해당하는 ①, ②번 스위치를 위로 올려 턴온 시키고, 나머지 ③, ④번 스위치는 아래로 내려 턴 오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치부(1300)의 각 돌출 스틱(1321)들은 퀴즈를 풀기 전에 임의의 상태로 놓여 있기 때문에 스위치 탈착부(1420)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잠그는 역할을 하며, 각 퀴즈 문항의 정답에 따라 각 돌출 스틱(1321)들이 온/오프 방향으로 조작되면, 돌출 스틱(1321)들이 각각 제2 홈(1420B)을 통해 빠져 나갈 수 있는 위치에 놓여 있기 때문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페이지 보드(1410)는 스위치부(1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열쇠(1500)는, 페이지 보드부(1400)가 상부 케이스(1110)로부터 모두 분리되는 경우 노출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10)의 바닥면에 배치되며, 잠금부(1200)의 자물쇠(1210)를 열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케이스(1120)의 수납공간(1121)에 소정의 선물이 보관되어 있는 경우, 해당 퀴즈 문항을 모두 해결하면 상부 케이스(1110) 내부에 숨겨 놓은 열쇠(1500)를 획득할 수 있어, 해당 선물을 퀴즈 해결에 대한 보상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스위치부(1300)는 아날로그 방식의 스위치로서, 이하에서는 전자식 스위치에 대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온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스위치부(1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전자식 스위치부(1300')는 상술한 아날로그 방식의 스위치부(1300)에서 스위치 버튼(1340), 스위칭 소자(1350) 및 배터리(1360)이 추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버튼(1340)은 덮개(1310) 상에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환 스위치 형태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누름 스위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소자(1350)는 스위치 버튼(1340)의 조작에 따라 스위치 손잡이(1320)가 가이드 레일(1330)을 따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온 또는 오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기계적인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360)는 스위칭 소자(1350)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건전지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별도의 충방전 수단을 통해 외부의 전력이 충전되는 이차전지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전자식 스위치부(1300')는 아날로그 방식의 스위치부(1300)와 달리 스위치 버튼(1340)의 누름이나 터치 등과 같은 조작에 따라 스위치 손잡이(1320)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은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된 기구 또는 장치 수단이나, 이러한 형태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이나 테블릿 PC 등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의한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 1100: 본체 케이스부
1110: 상부 케이스 1120: 하부 케이스
1121: 수납공간 1200: 잠금부
1210: 자물쇠 1220: 자물쇠 경첩
1230: 고리 1300: 스위치부
1310: 덮개 1311: 개구부
1320: 스위치 손잡이 1321: 돌출 스틱
1322: 이동 블록 1330: 가이드 레일
1331: 레일 1332: 걸림 돌기
1340: 스위치 버튼 1350: 스위칭 소자
1360: 배터리 1400: 페이지 보드부
1410: 페이지 보드 1420: 스위치 탈착부
1421: 제1 탈착홈 1422: 제2 탈착홈
1420A: 제1 홈 1420B: 제2 홈
1500: 열쇠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된 상부 케이스와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된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부;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간을 잠그기 위한 잠금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고, 서로 반대 방향인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각각 스위칭되는 스위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스위치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고,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퀴즈 문항이 기재되고, 상기 스위치에 의해 걸리되 상기 퀴즈 문항의 정답에 따른 상기 스위치의 방향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한 페이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페이지 보드부; 및
    상기 페이지 보드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로부터 모두 분리되는 경우 노출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의 바닥면에 배치되며, 상기 잠금부를 열기 위한 열쇠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덮개; 상기 상부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덮개 위로 각각 돌출되는 다수의 스위치 손잡이;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바닥면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스위치 손잡이가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여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에는, 상기 스위치 손잡이를 각각 돌출시키며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으로 각각 이동할 수 있도록 라인 형태로 개방된 개구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페이지 보드부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퀴즈 문항이 기재된 용지가 삽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페이지 보드; 및 상기 페이지 보드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손잡이의 방향 조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 손잡이와 각각 대응되는 탈착홈이 형성된 스위치 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홈은, 상기 스위치 손잡이가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홈; 및 상기 제1 홈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손잡이가 상기 스위치 탈착부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제1 홈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홈이 상기 제1 홈의 윗부분과 연결된 제1 탈착홈; 및 상기 제2 홈이 상기 제1 홈의 아랫부분과 연결된 제2 탈착홈으로 각각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스위치 버튼;
    상기 스위치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 손잡이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기계적인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스위칭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보드부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1 홈을 따라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홈에 모두 위치할 경우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
KR2020170004277U 2017-08-11 2017-08-11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 KR200485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277U KR200485220Y1 (ko) 2017-08-11 2017-08-11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277U KR200485220Y1 (ko) 2017-08-11 2017-08-11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220Y1 true KR200485220Y1 (ko) 2017-12-08

Family

ID=61259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277U KR200485220Y1 (ko) 2017-08-11 2017-08-11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220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6275A (en) * 1974-05-31 1976-10-19 Kleine Horst Lothar Apparatus for self-instruction
KR200238991Y1 (ko) * 2001-04-27 2001-10-12 안대벽 유아용 인지·언어 학습놀이기구
KR20040055607A (ko) 2002-12-16 2004-06-26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동적 wan 포트 검출
JP2006212266A (ja) * 2005-02-04 2006-08-17 Benetsuse Corp:Kk 学習用具
JP2007076338A (ja) * 2005-09-16 2007-03-29 Fumitaka Hayashi 書類ファイルの収納構造、書類ファイル、及び書類ファイル用係止具
US20080138784A1 (en) * 2006-12-12 2008-06-12 Adler Mitchell L Motivational and educational tool
KR20110026717A (ko) * 2009-09-08 2011-03-16 김영식 수학 학습도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6275A (en) * 1974-05-31 1976-10-19 Kleine Horst Lothar Apparatus for self-instruction
KR200238991Y1 (ko) * 2001-04-27 2001-10-12 안대벽 유아용 인지·언어 학습놀이기구
KR20040055607A (ko) 2002-12-16 2004-06-26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동적 wan 포트 검출
JP2006212266A (ja) * 2005-02-04 2006-08-17 Benetsuse Corp:Kk 学習用具
JP2007076338A (ja) * 2005-09-16 2007-03-29 Fumitaka Hayashi 書類ファイルの収納構造、書類ファイル、及び書類ファイル用係止具
US20080138784A1 (en) * 2006-12-12 2008-06-12 Adler Mitchell L Motivational and educational tool
KR20110026717A (ko) * 2009-09-08 2011-03-16 김영식 수학 학습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495B1 (ko) 슬라이딩형 한글 학습 교구
US20030108854A1 (en) Book that can read languages and sentences
KR200485220Y1 (ko) 학습용 퀴즈 게임 노트북
CA2887158C (en) Learning aid
CN204410000U (zh) 一种政治教学用可移动讲桌
CN206025518U (zh) 一种带有学习机手机和报警功能的文具盒
CN207306302U (zh) 一种英语教学专用便携式教具收纳箱
KR101817461B1 (ko) 조립식 종이필통
CN105321387A (zh) 一种多功能电子学习机
CN215303599U (zh) 一种多功能文具盒
CN202800475U (zh) 一种语言学习文具盒
KR200341576Y1 (ko) 전자게임기가 부설된 필통의 구조
KR200345568Y1 (ko) 점토교재 보관함
KR200219260Y1 (ko) 퍼즐 게임용 블럭의 힌지장치
CN208460246U (zh) 一种新型百变英语单词教具
CN203894985U (zh) 一种用于儿童思维阶梯训练的操作板
CN207833734U (zh) 英语单词助记器
CN203931257U (zh) 英语时态教学用具
CN210348899U (zh) 一种新型的小学语文拼音训练教具
WO2015063586A1 (en) Instrument case
CN208491094U (zh) 一种高中数学用具多功能放置盒
CN202999682U (zh) 带插笔盒的文具盒
CN207790167U (zh) 一种小学美术课专用画板
CN208031916U (zh) 磁吸玩具
CN206880300U (zh) 一种具有提醒功能的小学生用文具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