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215Y1 - 비닐하우스의 트러스 조립체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의 트러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215Y1
KR200485215Y1 KR2020170002281U KR20170002281U KR200485215Y1 KR 200485215 Y1 KR200485215 Y1 KR 200485215Y1 KR 2020170002281 U KR2020170002281 U KR 2020170002281U KR 20170002281 U KR20170002281 U KR 20170002281U KR 200485215 Y1 KR200485215 Y1 KR 200485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surface
extending
truss assembly
surface por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2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석수
Original Assignee
(주)현대금속농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금속농공 filed Critical (주)현대금속농공
Priority to KR20201700022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2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2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8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agricultural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현재, 상·하현재 수용부재 및 상·하현재 수용부재를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의 트러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비닐하우스의 트러스 조립체는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견고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의 트러스 조립체{Truss assembly of greenhouse}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트러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현재, 상·하현재 수용부재 및 상·하현재 수용부재를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의 트러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작지 않은 규모의 비닐하우스에는 폭설, 강풍 등 자연재해로부터 비닐하우스를 보호하기 위해 트러스 조립체를 설치해 왔는데, 종래에는 트러스 조립체의 부재들을 일일이 용접으로 연결하여 트러스 조립체를 만들었으나 시공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용접을 하지 않고 트러스 조립체의 부재들을 조립으로 연결하여 트러스 조립체를 만드는 기술도 개시되어 있다. 도 1에는 다수열의 지주(1)열 중 중간의 지주(1)는 하단부를 절단한 단지주로 하고, 지상에서 입설되는 지주(1)와 단지주(1') 간에는 트러스(3)를 설치하며, 여기서 트러스(3)는 상하로 대향하는 상하단 횡보(31, 32)와, 이들 간을 크랭크 상으로 연결하는 연결로드(33)와, 상기 상하단 횡보(31, 32)를 마감하는 측면(34)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측면(34)이 지주(1)의 상단 및 단지주(1')와 체결되는 트러스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상현재(1100), 하현재(1200), 사재(1300), 제1체결부(1400)를 포함하며, 사재(1300)는 상현재(1100), 및 하현재(1200)와 연결되어 트러스 조립체(1000)를 형성하고, 제1체결부(1400)는 상현재(1100), 하현재(1200)와 사재(1300)의 일단을 각각 연결하고, 제1체결부(1400)는 상하현재 수용부(1410), 사재 수용부(1420) 및 연결부재(1430)를 포함하는 트러스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도 1, 2에 개시된 기술들은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상승되며, 일 지점에 트러스 구조를 만드는 데에도 다수 개의 볼트를 체결해야 하는 등 조립공정이 복잡하여 시공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그 구성이 복잡하여 오히려 트러스 조립체의 견고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460372호 “개량된 비닐하우스”(2004. 11. 29. 등록) 등록특허 제1374604호 “트러스 조립체 및 방풍벽 보강용 조립체를 가진 비닐하우스”(2014. 3. 10. 등록)
본 고안은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견고성을 제고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의 트러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비닐하우스의 트러스 조립체는, 비닐하우스에 설치되는 트러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조립체(100)는 상현재(10) 및 하현재(11), 상기 상현재(10)의 수용부재(20) 및 하현재(11)의 수용부재(40), 상기 상현재 수용부재(20)와 하현재 수용부재(40)를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부재(60)를 포함하며, 상기 상현재 수용부재(20)는 제1부재(21)와 제2부재(31)로 구성되고, 상기 제1부재(21)는
Figure 112017044336215-utm00001
또는
Figure 112017044336215-utm00002
과 같은 형상의 제1체결부(22)가 형성되는 평면부(23), 상기 평면부(23)와 대향하는 저면부(24), 상기 평면부(23) 및 저면부(24)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는 배면부(25), 상기 저면부(24)의 전방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연장부(26)로 구성되며, 상기 제1연장부(26) 중앙에는 제1구멍(27)이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31)는
Figure 112017044336215-utm00003
또는
Figure 112017044336215-utm00004
와 같은 형상의 제2체결부(32)가 형성되는 평면부(33), 상기 평면부(33)와 대향하는 저면부(34), 상기 평면부(33) 및 저면부(34)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는 정면부(35), 상기 저면부(34)의 후방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연장부(36)로 구성되며, 상기 제2연장부(36) 중앙에는 제2구멍(37)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21)는 상현재(10)의 후방에 위치하고 제2부재(31)는 상현재(10)의 전방에 위치하여 서로 결합되어 상현재 수용부재(20)가 되며, 상기 하현재 수용부재(40)는 제3부재(41)와 제4부재(51)로 구성되고, 상기 제3부재(41)는 평면부(42), 상기 평면부(42)와 대향하며
Figure 112017044336215-utm00005
또는
Figure 112017044336215-utm00006
와 같은 형상의 제3체결부(43)가 형성되는 저면부(44), 상기 평면부(42) 및 저면부(44)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는 배면부(45), 상기 평면부(42)의 전방 중앙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연장부(46)로 구성되며, 상기 제3연장부(46)의 중앙에는 제3구멍(47)이 형성되고, 상기 제4부재(51)는 평면부(52), 상기 평면부(52)와 대향하며
Figure 112017044336215-utm00007
또는
Figure 112017044336215-utm00008
와 같은 형상의 제4체결부(53)가 형성되는 저면부(54), 상기 평면부(52) 및 저면부(54)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는 정면부(55), 상기 평면부(52)의 후방 중앙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연장부(56)로 구성되며, 상기 제4연장부(56) 중앙에는 제4구멍(57)이 형성되고, 상기 제3부재(41)는 하현재(11)의 후방에 위치하고 제4부재(51)는 하현재(11)의 전방에 위치하여 서로 결합되어 하현재 수용부재(40)가 되며, 상기 상현재 수용부재(20)와 하현재 수용부재(40)를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부재(60)의 양단은 압착하여 평면이 되도록 평면부(61)가 형성되고, 양 평면부(61) 중앙에는 제5, 6구멍(62, 63)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21)의 제1연장부(26)와 제2부재(31)의 제2연장부(36) 사이에 2개의 연결부재(60)의 평면부(61)가 끼워져 제2부재(31)의 제2구멍(37), 2개의 연결부재(60)의 2개의 제5구멍(62), 제1부재(21)의 제1구멍(27)을 관통하여 볼트(70)가 체결되고, 상기 제3부재(31)의 제3연장부(46)와 제4부재(51)의 제4연장부(56) 사이에 2개의 연결부재(60)의 평면부(61)가 끼워져 제4부재(51)의 제4구멍(57), 2개의 연결부재(60)의 2개의 제6구멍(63), 제3부재(41)의 제3구멍(47)을 관통하여 볼트(70)가 체결되며, 상기와 같은 구조의 반복을 통해 트러스 조립체(100)가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60)의 길이는 동일하게 만들고, 연결부재(60)는 상현재 수용부재(20)와 하현재 수용부재(40)에 사선으로 지그재그식으로 결합되며, 이와 같은 구조의 반복을 통해 트러스 조립체(100)가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60)의 길이는 일 연결부재(64)는 다른 연결부재(65)보다 길게 만들며, 길이가 긴 연결부재(64)는 상현재 수용부재(20)와 하현재 수용부재(40)에 사선으로 지그재그식으로 결합되고 길이가 긴 연결부재(64)가 지그재그식 결합된 중간에 길이가 짧은 연결부재(65)가 수직으로 결합되고, 이와 같은 구조의 반복을 통해 트러스 조립체(100)가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비닐하우스의 트러스 조립체는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견고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트러스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다른 트러스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상현재 수용부재와 하현재 수용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상현재 수용부재의 제1부재의 사시도, (b)는 상현재 수용부재의 제2부재의 사시도, (c)는 하현재 수용부재의 제3부재의 사시도, (d)는 하현재 수용부재의 제4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상현재 수용부재와 하현재 수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상현재 수용부재의 제1부재의 사시도, (b)는 상현재 수용부재의 제2부재의 사시도, (c)는 하현재 수용부재의 제3부재의 사시도, (d)는 하현재 수용부재의 제4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트러스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상현재 수용부재와 하현재 수용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상현재 수용부재의 제1부재의 사시도, (b)는 상현재 수용부재의 제2부재의 사시도, (c)는 하현재 수용부재의 제3부재의 사시도, (d)는 하현재 수용부재의 제4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상현재 수용부재와 하현재 수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상현재 수용부재의 제1부재의 사시도, (b)는 상현재 수용부재의 제2부재의 사시도, (c)는 하현재 수용부재의 제3부재의 사시도, (d)는 하현재 수용부재의 제4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비닐하우스의 트러스 조립체(100)는 상현재(10) 및 하현재(11), 상기 상현재(10)의 수용부재(20) 및 하현재(11)의 수용부재(40), 상기 상현재 수용부재(20)와 하현재 수용부재(40)를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부재(60)를 포함한다.
상기 상현재(10) 및 하현재(11)는 단면이 사각형인 관으로 구성되는데, 상현재(10) 및 하현재(11)의 단면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현재 수용부재(20)와 하현재 수용부재(40)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상현재 수용부재(20)는 제1부재(21)와 제2부재(31)로 구성된다. 상기 제1부재(21)는
Figure 112017044336215-utm00009
과 같은 형상의 제1체결부(22)가 형성되는 평면부(23), 상기 평면부(23)와 대향하는 저면부(24), 상기 평면부(23) 및 저면부(24)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는 배면부(25), 상기 저면부(24)의 전방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연장부(26)로 구성되며, 상기 제1연장부(26) 중앙에는 제1구멍(27)이 형성된다.
상기 제2부재(31)는
Figure 112017044336215-utm00010
와 같은 형상의 제2체결부(32)가 형성되는 평면부(33), 상기 평면부(33)와 대향하는 저면부(34), 상기 평면부(33) 및 저면부(34)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는 정면부(35), 상기 저면부(34)의 후방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연장부(36)로 구성되며, 상기 제2연장부(36) 중앙에는 제2구멍(37)이 형성된다.
상기 제1부재(21), 제2부재(31)는 그 형상이 동일하며, 제1부재(21)는 상현재(10)의 후방에 위치하고 제2부재(31)는 상현재(10)의 전방에 위치하여 서로 결합되어 상현재 수용부재(20)가 된다.
상기 제1부재(21)는 상현재(10)의 후방을 감싸면서 상현재(10)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2부재(31)를 상현재(10)의 전방을 감싸면서 제1부재(2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현재(10)의 전방에 위치시켜 제1부재(21) 측으로 밀면 제1체결부(22)와 제2체결부(32)가 서로 맞물리도록 쉽게 결합되며,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제1부재(21), 제2부재(31)의 형상은 상기
Figure 112017044336215-utm00011
,
Figure 112017044336215-utm00012
와 같은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는 형상이면 된다.
상기 하현재 수용부재(40)는 제3부재(41)와 제4부재(51)로 구성된다. 상기 제3부재(41)는 평면부(42), 상기 평면부(42)와 대향하며
Figure 112017044336215-utm00013
와 같은 형상의 제3체결부(43)가 형성되는 저면부(44), 상기 평면부(42) 및 저면부(44)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는 배면부(45), 상기 평면부(42)의 전방 중앙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연장부(46)로 구성되며, 상기 제3연장부(46)의 중앙에는 제3구멍(47)이 형성된다.
상기 제4부재(51)는 평면부(52), 상기 평면부(52)와 대향하며
Figure 112017044336215-utm00014
와 같은 형상의 제4체결부(53)가 형성되는 저면부(54), 상기 평면부(52) 및 저면부(54)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는 정면부(55), 상기 평면부(52)의 후방 중앙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연장부(56)로 구성되며, 상기 제4연장부(56) 중앙에는 제4구멍(57)이 형성된다.
상기 제3부재(41), 제4부재(51)는 그 형상이 동일하며, 제3부재(41)는 하현재(11)의 후방에 위치하고 제2부재(51)는 하현재(11)의 전방에 위치하여 서로 결합되어 하현재 수용부재(40)가 된다.
상기 제3부재(41)는 하현재(11)의 후방을 감싸면서 하현재(11)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4부재(51)를 하현재(11)의 전방을 감싸면서 제3부재(4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하현재(11)의 전방에 위치시켜 제3부재(41) 측으로 밀면 제3체결부(43)와 제4체결부(53)가 서로 맞물리도록 쉽게 결합되며,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제3부재(41), 제4부재(51)의 형상은 상기
Figure 112017044336215-utm00015
,
Figure 112017044336215-utm00016
와 같은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는 형상이면 된다.
상기 상·하현재 수용부재(20, 40)에서 제1, 2, 3, 4부재(21, 31, 41, 51)의 형상은 서로 동일하며, 제1부재(21)는 상현재(10)의 후방에 위치하고 제2부재(31)는 상현재(10)의 전방에 위치하여 서로 결합되고, 제3부재(41)는 하현재(11)의 후방에 위치하고 제4부재(51)는 하현재(11)의 전방에 위치하여 서로 결합되는 것이며, 제1부재(21)만 다수 개 만들면 상현재(10), 하현재(11)의 전후방 중 어느 방향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제1, 2, 3, 4부재(21, 31, 41, 51)가 되는 것이다.
상기 상현재 수용부재(20)와 상기 하현재 수용부재(40)의 다른 실시예는 제1부재(21)는
Figure 112017044336215-utm00017
과 같은 형상의 제1체결부(22)가 형성되는 평면부(23)를 가지며, 제2부재(31)는
Figure 112017044336215-utm00018
와 같은 형상의 제2체결부(32)가 형성되는 평면부(33)를 가지고, 제3부재(41)는 평면부(42)와 대향하며
Figure 112017044336215-utm00019
와 같은 형상의 제3체결부(43)가 형성되는 저면부(44)를 가지며, 제4부재(51)는 평면부(52)와 대향하며
Figure 112017044336215-utm00020
와 같은 형상의 제4체결부(53)가 형성되는 저면부(54)를 가지는 것 외에는 전기한 일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 제1부재(21), 제2부재(31), 제3부재(41), 제4부재(51)의 형상은 상기
Figure 112017044336215-utm00021
,
Figure 112017044336215-utm00022
,
Figure 112017044336215-utm00023
,
Figure 112017044336215-utm00024
와 같은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는 형상이면 된다.
상기 상현재 수용부재(20)와 하현재 수용부재(40)를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부재(60)는 단면이 원형인 관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연결부재(60)의 단면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결부재(60)의 양단은 압착하여 평면이 되도록 평면부(61)를 형성하며, 양 평면부(61) 중앙에는 제5, 6구멍(62, 63)이 각각 형성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트러스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현재(10)를 감싸면서 상현재 수용부재(20)의 제1부재(21)와 제2부재(31)가 결합되며, 제1부재(21)의 제1연장부(26)와 제2부재(31)의 제2연장부(36) 사이에 2개의 연결부재(60)의 평면부(61)가 끼워져 제2부재(31)의 제2구멍(37), 2개의 연결부재(60)의 2개의 제5구멍(62), 제1부재(21)의 제1구멍( 27)을 관통하여 볼트(70)가 체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하현재(11)를 감싸면서 하현재 수용부재(40)의 제3부재(41)와 제4부재(51)가 결합되며, 제3부재(31)의 제3연장부(46)와 제4부재(51)의 제4연장부(56) 사이에 2개의 연결부재(60)의 평면부(61)가 끼워져 제4부재(51)의 제4구멍(57), 2개의 연결부재(60)의 2개의 제6구멍(63), 제3부재(41)의 제3구멍(47)을 관통하여 볼트(70)가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반복을 통해 본 고안의 트러스조립체(100)가 완성되는데, 상기 연결부재(60)의 길이는 동일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일 연결부재(60)는 다른 연결부재(60)보다 길게 만들 수도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연결부재(60)의 길이는 동일하게 만드는 경우를 살펴본다. 연결부재(60)의 길이는 상·하현재(10, 11) 간 거리를 감안하여 동일하게 만들며, 연결부재(60)는 상현재 수용부재(20)와 하현재 수용부재(40)에 사선으로 지그재그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60)의 일측 평면부(61)를 상현재 수용부재(20)의 제1, 2연장부(26, 36) 사이에 끼우고 제2구멍(37), 제5구멍(62), 제1구멍(27)을 관통하여 볼트(70)를 체결한다. 도 2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서는 1지점의 트러스 구조를 만드는 데에 5개의 볼트 또는 피스를 체결해야 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1개의 볼트 체결만으로 1지점의 트러스 구조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60)의 타측 평면부(61)를 하현재 수용부재(40)의 제3, 4연장부(46, 56) 사이에 끼우고 제4구멍(57), 제6구멍(63), 제3구멍(47)을 관통하여 볼트(70)를 체결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반복을 통해 본 고안의 일 트러스 조립체(100)가 완성된다.
상기 연결부재(60) 중 일 연결부재(64)는 다른 연결부재(65)보다 길게 만드는 경우를 살펴본다. 연결부재(60)의 길이는 상·하현재(10, 11) 간 거리를 감안하여 일 연결부재(64)는 다른 연결부재(65)보다 길게 만들며, 길이가 긴 연결부재(64)는 상현재 수용부재(20)와 하현재 수용부재(40)에 사선으로 지그재그식으로 결합되고 길이가 긴 연결부재(64)가 지그재그식으로 결합된 중간에 길이가 짧은 연결부재(65)가 수직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반복을 통해 본 고안의 다른 트러스 조립체(100)가 완성된다.
예를 들어 길이가 긴 연결부재(64)의 길이를 2로 할 때 길이가 짧은 연결부재(65)의 길이를
Figure 112017044336215-utm00025
으로 하면 길이가 긴 연결부재(64)와 길이가 짧은 연결부재(65)가 이루는 각도가 30°가 된다.
상기 길이가 긴 연결부재(64)는 상현재 수용부재(20)와 하현재 수용부재(40)에 사선으로 지그재그식으로 결합되고 길이가 긴 연결부재(64)가 지그재그식으로 결합된 중간에 길이가 짧은 연결부재(65)가 수직으로 결합되면, 본 고안에 의한 트러스 조립체(100)가 폭설·강풍 등 외부의 힘을 버티는 강도는 크게 증가된다. 특히 규모가 큰 비닐하우스에는 이와 같은 트러스 조립체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현재 수용부재(20, 40)와 길이가 길거나 짧은 연결부재(64, 65)를 연결하는 방법은 도 8을 참고하여 연결부재(60)의 길이를 동일하게 만드는 경우에 상·하현재 수용부재(20, 40)와 연결부재(60)를 연결하는 방법을 감안하면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의한 트러스 조립체(100)는 간단한 구조의 제1부재(21)만 다수 개 만들면 상·하현재 수용부재(20, 40)가 되고, 단면이 원형인 관의 양단을 압착하기만 하면 상·하현재 연결부재(60)가 되며, 상·하현재(10, 11)를 감싸도록 상·하현재 수용부재(20, 40)를 맞추고 상·하현재 연결부재(60)를 끼운 후 구멍들을 관통하여 1지점에 1개의 볼트 체결만으로 트러스 조립체의 구조가 완성된다.
100 : 본 고안에 의한 트러스조립체
10 : 상현재 11 : 하현재
20 : 상현재 수용부재 21 : 제1부재
22 : 제1체결부 23 : 평면부
24 : 저면부 25 : 배면부
26 : 제1연장부 27 : 제1구멍
31 : 제2부재 32 : 제2체결부
33 : 평면부 34 : 저면부
35 : 정면부 36 : 제2연장부
37 : 제2구멍 40 : 하현재 수용부재
41 : 제3부재 42 : 평면부
43 : 제3체결부 44 : 저면부
45 : 배면부 46 : 제3연장부
47 : 제3구멍 51 : 제4부재
52 : 평면부 53 : 제4체결부
54 : 저면부 55 : 정면부
56 : 제4연장부 57 : 제4구멍
60 : 연결부재 61 : 평면부
62 : 제5구멍 63 : 제6구멍
64 : 길이가 긴 연결부재 65 : 길이가 짧은 연결부재
70 : 볼트

Claims (3)

  1. 비닐하우스에 설치되는 트러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조립체는 상현재(10) 및 하현재(11), 상기 상현재(10)의 수용부재(20) 및 하현재(11)의 수용부재(40), 상기 상현재 수용부재(20)와 하현재 수용부재(40)를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부재(60)를 포함하며,
    상기 상현재 수용부재(20)는 제1부재(21)와 제2부재(31)로 구성되고, 상기 제1부재(21)는
    Figure 112017044336215-utm00026
    또는
    Figure 112017044336215-utm00027
    과 같은 형상의 제1체결부(22)가 형성되는 평면부(23), 상기 평면부(23)와 대향하는 저면부(24), 상기 평면부(23) 및 저면부(24)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는 배면부(25), 상기 저면부(24)의 전방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연장부(26)로 구성되며, 상기 제1연장부(26) 중앙에는 제1구멍(27)이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31)는
    Figure 112017044336215-utm00028
    또는
    Figure 112017044336215-utm00029
    와 같은 형상의 제2체결부(32)가 형성되는 평면부(33), 상기 평면부(33)와 대향하는 저면부(34), 상기 평면부(33) 및 저면부(34)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는 정면부(35), 상기 저면부(34)의 후방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연장부(36)로 구성되며, 상기 제2연장부(36) 중앙에는 제2구멍(37)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21)는 상현재(10)의 후방에 위치하고 제2부재(31)는 상현재(10)의 전방에 위치하여 서로 결합되어 상현재 수용부재(20)가 되며,
    상기 하현재 수용부재(40)는 제3부재(41)와 제4부재(51)로 구성되고, 상기 제3부재(41)는 평면부(42), 상기 평면부(42)와 대향하며
    Figure 112017044336215-utm00030
    또는
    Figure 112017044336215-utm00031
    와 같은 형상의 제3체결부(43)가 형성되는 저면부(44), 상기 평면부(42) 및 저면부(44)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는 배면부(45), 상기 평면부(42)의 전방 중앙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연장부(46)로 구성되며, 상기 제3연장부(46)의 중앙에는 제3구멍(47)이 형성되고,
    상기 제4부재(51)는 평면부(52), 상기 평면부(52)와 대향하며
    Figure 112017044336215-utm00032
    또는
    Figure 112017044336215-utm00033
    와 같은 형상의 제4체결부(53)가 형성되는 저면부(54), 상기 평면부(52) 및 저면부(54)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는 정면부(55), 상기 평면부(52)의 후방 중앙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연장부(56)로 구성되며, 상기 제4연장부(56) 중앙에는 제4구멍(57)이 형성되고,
    상기 제3부재(41)는 하현재(11)의 후방에 위치하고 제4부재(51)는 하현재(11)의 전방에 위치하여 서로 결합되어 하현재 수용부재(40)가 되며,
    상기 상현재 수용부재(20)와 하현재 수용부재(40)를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부재(60)의 양단은 압착하여 평면이 되도록 평면부(61)가 형성되고, 양 평면부(61) 중앙에는 제5, 6구멍(62, 63)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21)의 제1연장부(26)와 제2부재(31)의 제2연장부(36) 사이에 2개의 연결부재(60)의 평면부(61)가 끼워져 제2부재(31)의 제2구멍(37), 2개의 연결부재(60)의 2개의 제5구멍(62), 제1부재(21)의 제1구멍(27)을 관통하여 볼트(70)가 체결되고,
    상기 제3부재(41)의 제3연장부(46)와 제4부재(51)의 제4연장부(56) 사이에 2개의 연결부재(60)의 평면부(61)가 끼워져 제4부재(51)의 제4구멍(57), 2개의 연결부재(60)의 2개의 제6구멍(63), 제3부재(41)의 제3구멍(47)을 관통하여 볼트(70)가 체결되며,
    상기와 같은 구조의 반복을 통해 트러스 조립체가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트러스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60)의 길이는 동일하게 만들고, 연결부재(60)는 상현재 수용부재(20)와 하현재 수용부재(40)에 사선으로 지그재그식으로 결합되며, 이와 같은 구조의 반복을 통해 트러스 조립체가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트러스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60)의 길이는 일 연결부재(64)는 다른 연결부재(65)보다 길게 만들며, 길이가 긴 연결부재(64)는 상현재 수용부재(20)와 하현재 수용부재(40)에 사선으로 지그재그식으로 결합되고 길이가 긴 연결부재(64)가 지그재그식 결합된 중간에 길이가 짧은 연결부재(65)가 수직으로 결합되고, 이와 같은 구조의 반복을 통해 트러스 조립체가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트러스 조립체.
KR2020170002281U 2017-05-10 2017-05-10 비닐하우스의 트러스 조립체 KR200485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281U KR200485215Y1 (ko) 2017-05-10 2017-05-10 비닐하우스의 트러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281U KR200485215Y1 (ko) 2017-05-10 2017-05-10 비닐하우스의 트러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215Y1 true KR200485215Y1 (ko) 2018-01-11

Family

ID=61275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281U KR200485215Y1 (ko) 2017-05-10 2017-05-10 비닐하우스의 트러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2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278B1 (ko) * 2021-07-16 2022-10-18 한상연 맞춤형 트러스를 가지는 비닐하우스 골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372B1 (ko) 2002-03-06 2004-12-08 정회관 개량된 비닐하우스
KR200425727Y1 (ko) * 2006-06-26 2006-09-06 황재희 볼트(Bolt)로 조립(組立)되고 부재(部材)가 파이프(Pipe)인트러스(Truss) 격점(格点)의 구조(構造).
KR101374604B1 (ko) 2012-07-31 2014-03-17 대한민국 트러스조립체 및 방풍벽 보강용 조립체를 가진 비닐하우스
KR101520033B1 (ko) * 2014-07-17 2015-05-14 우경기술주식회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복합 트러스 거더
KR20170001297U (ko) * 2015-10-06 2017-04-14 황재희 조립식(組立式) 비닐하우스 뼈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372B1 (ko) 2002-03-06 2004-12-08 정회관 개량된 비닐하우스
KR200425727Y1 (ko) * 2006-06-26 2006-09-06 황재희 볼트(Bolt)로 조립(組立)되고 부재(部材)가 파이프(Pipe)인트러스(Truss) 격점(格点)의 구조(構造).
KR101374604B1 (ko) 2012-07-31 2014-03-17 대한민국 트러스조립체 및 방풍벽 보강용 조립체를 가진 비닐하우스
KR101520033B1 (ko) * 2014-07-17 2015-05-14 우경기술주식회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복합 트러스 거더
KR20170001297U (ko) * 2015-10-06 2017-04-14 황재희 조립식(組立式) 비닐하우스 뼈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278B1 (ko) * 2021-07-16 2022-10-18 한상연 맞춤형 트러스를 가지는 비닐하우스 골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604B1 (ko) 트러스조립체 및 방풍벽 보강용 조립체를 가진 비닐하우스
KR200485215Y1 (ko) 비닐하우스의 트러스 조립체
KR101202063B1 (ko) 조립식 격자지보
KR20140134546A (ko) 조립식 앵글 진열대
KR20190083298A (ko) 조립식 천막용 기둥과 지붕 트러스 연결방법 및 장치
JP2008095311A (ja) フェンス用継手
JP6089241B2 (ja) 木材接合部の補強部材および木材の接合構造
CN211019710U (zh) 一种连接结构
JP6655323B2 (ja) 主部材の補強構造
JP6689781B2 (ja) 終端固定具
KR100898007B1 (ko) 메시 펜스용 지주
JP6667273B2 (ja) テンションロッドの取り付け構造
JP7369599B2 (ja) 柵構造物
KR101592083B1 (ko) 식물 재배용 하우스의 시공방법
CN210685717U (zh) 一种钢制门门框拼接结构
JP6535209B2 (ja) 外装すだれ
KR102004041B1 (ko) 철근 콘크리트 보강용 철근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보강 방법
JP2020045724A (ja) 補強対象物の補強構造
CN110213931B (zh) 一种连接结构
JP6220528B2 (ja) 建物用付帯構造物およびユニット建物
CN219931407U (zh) 第一柱、第二柱及组合柱
CN210508484U (zh) 一种建筑结构抗震加固连接装置
JP7454473B2 (ja) フェンスパネル及びフェンス
JP5039014B2 (ja) 二重金網連結金具
KR200461917Y1 (ko) 비닐하우스 골조용 기능성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