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641Y1 -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641Y1
KR200484641Y1 KR2020150006728U KR20150006728U KR200484641Y1 KR 200484641 Y1 KR200484641 Y1 KR 200484641Y1 KR 2020150006728 U KR2020150006728 U KR 2020150006728U KR 20150006728 U KR20150006728 U KR 20150006728U KR 200484641 Y1 KR200484641 Y1 KR 200484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charge chute
supply unit
plate
floccu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448U (ko
Inventor
강봉찬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6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641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4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4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6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belt or ban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6Sludge reduction, e.g. by 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는: 슬러지공급부와 응집제공급부를 통해 슬러지와 응집제를 각각 공급받아 혼합하는 혼합조와, 혼합조에서 응집된 슬러지를 탈수기 벨트에 공급하는 챠지슈트와, 챠지슈트를 통해 탈수기 벨트에 공급된 슬러지가 탈수기 벨트의 측면으로의 유출을 방지하는 과유입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SLUDGE EXCESSIVE OVERFLOW PREVENTION DEVICE}
본 고안은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유입방지부를 이용하여 탈수기 벨트 측면으로 다량 유출되는 슬러지를 최소화함으로써 설비 오염을 예방하고, 벨트 세척수의 재활용을 향상시키는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에 함유된 슬러지(sludge)에서 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폐수탈수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 폐수탈수기는 물이 함유된 슬러지에 응집보조제(이하, 응집제라 함)를 공급하여 혼합한 후 슬러지를 응집한 후 벨트를 통해 이송하면서 중력 또는 가압하여 물을 분리하면서 케이크 형태의 응집된 슬러지를 분리하여 처리하는 장치이다.
그런데, 기존의 폐수탈수기는 운전시 슬러지가 과유입되는 경우, 슬러지가 벨트 측면으로 다량으로 유출되어 설비 오염에 따른 수시로 청소할 필요성이 있고, 현장을 항상 감시해야 함으로써 설비 운영이 효율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측면으로 흘러내리는 슬러지로 인해 벨트 세척수 사용량이 많고 재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005086호(고안의 명칭: 폐수슬러지 처리용 탈수 건조장치, 2010.12.23: 등록)가 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과유입방지부를 이용하여 탈수기 벨트 측면으로 다량 유출되는 슬러지를 최소화함으로써 설비 오염을 예방하고, 벨트 세척수의 재활용을 향상시키는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는, 슬러지공급부와 응집제공급부를 통해 슬러지와 응집제를 각각 공급받아 혼합하는 혼합조; 상기 혼합조에서 응집된 슬러지를 탈수기 벨트에 공급하는 챠지슈트; 및 상기 챠지슈트를 통해 상기 탈수기 벨트에 공급된 슬러지의 측면 유출을 방지하는 과유입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러지공급부는, 슬러지를 공급하는 슬러지공급펌프; 상기 슬러지공급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조로 슬러지를 이송하는 슬러지이송파이프; 및 상기 슬러지이송파이프에 설치되어 슬러지의 이송을 개폐하는 슬러지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집제공급부는,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공급펌프; 상기 응집제공급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조로 응집제를 이송하는 응집제이송파이프; 및 상기 응집제이송파이프에 설치되어 응집제의 이송을 개폐하는 응집제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챠지슈트는, 상기 혼합조와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챠지슈트; 및 상기 수평챠지슈트의 단부에서 굴곡지게 연결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챠지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챠지슈트의 단부에는 슬러지확산차단부가 구비되어 상기 슬러지의 확산시켜 응집을 방지하면서 측방으로 튀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러지확산차단부는, 상기 챠지슈트의 단부 둘레에 구비되는 상면차단판; 상기 상면차단판의 전면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전면차단판; 상기 상면차단판의 후면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후면차단판; 상기 상면차단판의 측면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차단판; 및 기 전면, 후면, 측면차단판의 하측 단부 저면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배출되는 상기 슬러지를 확산시켜 응집을 방지하는 하부경사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유입방지부는, 상기 챠지슈트의 전측에 구비되고, 상기 탈수기 벨트의 상면에서 슬러지가 통과하는 진입홈부를 구비하는 통과플레이트; 및 상기 진입홈부의 양측 단부에서 상기 챠지슈트 측으로 한 쌍 연결되어 상기 슬러지의 측면유출을 방지하는 한 쌍의 유출방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러지차단플레이트는 상기 챠지슈트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진입홈부로 갈수록 상기 슬러지를 모아주도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챠지슈트에서 배출되는 슬러지의 량을 감지하여 상기 슬러지공급와 상기 응집제공급부를 정지하거나 기동하는 레벨감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벨감지부는, 상기 슬러지 량에 따라 작동하는 레벨스위치; 및 상기 레벨스위치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슬러지공급부와 상기 응집제공급부를 정지하거나 기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는, 과유입방지부를 이용하여 탈수기 벨트 측면으로 다량 유출되는 슬러지를 최소화하도록 슬러지 공급을 조절함으로써 설비 오염을 예방하고, 탈수기 벨트 세척수의 재활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레벨감지부를 구비하여 슬러지 공급량의 높이가 높은 경우, 장치를 정지하고, 슬러지 공급량의 높이가 낮은 경우, 장치를 가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차지슈트의 단부 둘레에 슬러지확산차단부를 구비하여 슬러지를 확산시켜 응집을 방지하면서 측면방향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에서 통과플레이트의 진입홈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에서 통과플레이트의 진입홈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는, 혼합조(100), 챠지슈트(200) 및 과유입방지부(300)를 포함한다.
혼합조(100)는 슬러지공급부(110)와 응집제공급부(120)를 통해 슬러지와 응집제를 각각 공급받아 혼합하는 구성이다.
혼합조(100)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러지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슬러지와 응집제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응집제를 교반 등으로 혼합하여 슬러지를 응집함으로써 슬러지에서 물을 용이하게 분리하게 해준다.
혼합조(100)는 사각통 형상으로 도시하지만, 원통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슬러지공급부(110)는 소정의 장소에서 발생된 슬러지를 혼합조(100)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슬러지공급부(110)는 슬러지를 공급하는 슬러지공급펌프(112)와, 슬러지공급펌프(112)에 연결되어 혼합조(100)로 슬러지를 이송하는 슬러지이송파이프(114)와, 슬러지이송파이프(114)에 설치되어 슬러지의 이송을 개폐하는 슬러지개폐밸브(116)를 포함한다.
슬러지개폐밸브(116)는 슬러지이송파이프(114)의 진입측에 구비되어 개방 또는 폐쇄를 통해 슬러지를 공급하거나 차단하게 된다.
슬러지개폐밸브(116)는 후술하는 챠지슈트(200)를 통해 공급되는 슬러지 량이 많은 경우, 레벨감지부(330)가 하이(High)를 감지하여 슬러지공급펌프(112)를 정지시키고, 공급되는 슬러지 량이 적은 경우, 레벨감지부(330)가 로우(Low)를 감지하여 슬러지공급펌프(112)를 기동시킨다.
응집제공급부(120)는 응집제를 혼합조(100)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응집제공급부(120)는 슬러지를 공급하는 응집제공급펌프(122)와, 응집제공급펌프(122)에 연결되어 혼합조(100)로 응집제를 이송하는 응집제이송파이프(124)와, 응집제이송파이프(124)에 설치되어 응집제의 이송을 개폐하는 응집제개폐밸브(126)를 포함한다.
응집제개폐밸브(126)는 응집제이송파이프(124)의 진입측에 구비되어 개방 또는 폐쇄를 통해 슬러지를 공급하거나 차단하게 된다.
슬러지에 응집제를 공급하는 이유는 슬러지는 진흙과 같은 진득한 상태이므로 고체로 응집해야 물이 쉽게 분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탈수기 벨트(10)로 이송하는 응집된 슬러지를 가압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압축함으로써 케이크 형태로 만들어 줄 수 있다.
응집제개폐밸브(126)는 후술하는 챠지슈트(200)를 통해 공급되는 슬러지 량이 많은 경우, 레벨감지부(330)가 하이(High)를 감지하여 응집제공급펌프(122)를 정지시키고, 공급되는 슬러지 량이 적은 경우, 레벨감지부(330)가 로우(Low)를 감지하여 응집제공급펌프(122)를 기동시킨다.
챠지슈트(200)는 혼합조(100)에서 응집된 슬러지를 탈수기 벨트(10)에 공급하는 구성이다.
챠지슈트(200)는 혼합조(100)와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챠지슈트(210)와, 수평챠지슈트(210)의 단부에서 굴곡지게 연결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챠지슈트(220)를 포함한다.
챠지슈트(200)의 단부에는 슬러지확산차단부(230)가 구비되어 슬러지의 확산시켜 응집을 방지하면서 측방으로 튀는 것을 차단한다.
슬러지확산차단부(230)는 챠지슈트(200)의 단부에서 슬러지가 다량으로 배출되는 경우, 응집된 슬러지를 확산시켜 덩어리지는 것을 방지하고, 토출되면서 사방으로 튀면서 측면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슬러지확산차단부(230)는 챠지슈트(200)의 단부 둘레에 구비되는 상면차단판(232)와, 상면차단판(232)의 전면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전면차단판(234)와, 상면차단판(234)의 후면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후면차단판(235)과, 상면차단판(232)의 측면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차단판(238)과, 전면, 후면, 측면차단판(234,236,238)의 하측 단부 저면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배출되는 슬러지를 확산시켜 응집을 방지하는 하부경사판(239)을 포함한다.
전면차단판(234)는 후면차단판(236)의 높이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전면차단판(234)을 통해 슬러지가 이송되고, 후면차단판(236)으로는 슬러지가 이동되지 않기 때문이다.
측면차단판(238)은 탈수기 벨트(10)의 이송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 이유는 하부경사판(239)이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이다.
하부경사판(239)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차단판(134)에서 후면차단판(236)까지 연결되면서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개방홈부를 통해 하측으로 슬러지를 배출한다. 즉, 챠지슈트(200)에서 토출된 슬러지는 하부경사판(239)에 부딪치면서 확산되어 골고루 퍼지면서 후방으로 이동하다가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개방홈부를 통해 하측으로 낙하하여 탈수기 벨트(10)에 안치되어 이송된다.
과유입방지부(300)는 챠지슈트(200)를 통해 탈수기 벨트(10)에 공급된 슬러지의 측면 유출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슬러지가 탈수기 벨트(10)의 측면으로 흐르는 경우, 설비가 오염되어 장시간 및 수시 청소작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로써, 탈수기 벨트(10)에서 슬러지가 측면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과유입방지부(300)는 챠지슈트(200)의 전측에 구비되고, 탈수기 벨트(10)의 상면에서 슬러지가 통과하는 진입홈부(310)를 구비하는 통과플레이트(310)와, 진입홈부(310)의 양측 단부에서 챠지슈트(200) 측으로 한 쌍 연결되어 슬러지의 측면유출을 차단하는 한 쌍의 유출방지플레이트(320)를 포함한다.
통과플레이트(310)는 탈수기 벨트(10)의 너비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고, 진입홈부(310)는 통과플레이트(310)의 하측 가장자리에 탈수기 벨트(100)에 안치된 슬러지가 통과하도록 함몰 형성된다.
통과플레이트(31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결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315)가 한 쌍 구비된다.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315)는 전구간에 걸쳐 등 간격으로 배치된다.
탈수기 벨트(10)는 응집(응고)된 슬러지에서 물이 분리되어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통과하여 낙하하도록 미세한 메쉬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출방지플레이트(320)는 진입홈부(310)의 양측 단부와 접촉하는 상태로 연결되어 탈수기 벨트(10)의 양측 가장자리 상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접촉 지지된다.
유출방지플레이트(320)는 챠지슈트(200)의 측면으로부터 진입홈부(310)로 갈수록 슬러지를 모아주도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유출방지플레이트(320)의 높이는 탈수기 벨트(210)의 측면으로 슬러지가 유출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챠지슈트(200)에서 배출되는 슬러지의 량을 감지하여 슬러지공급부(110)와 응집제공급부(120)를 정지하거나 기동하는 레벨감지부(330)가 구비될 수 있다.
레벨감지부(330)는 슬러지 량에 따라 작동하는 레벨스위치(332)와, 레벨스위치(332)의 감지 신호에 따라 슬러지공급부(110)와 응집제공급부(120)를 정지하거나 기동하는 제어부(334)를 포함한다.
레벨감지스위치(332)는 플롯트 방식(부유 방식)의 접촉스위치이다. 레벨스위치(332) 대신에 광센서 또는 다른 방식의 접촉스위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레벨감지부(330)는 챠지슈트(200)에서 공급되는 슬러지 량의 하이(High)와 로우(Low)를 감지하여 슬러지공급부(110)의 슬러지공급펌프(112)와 응집제공급부(120)의 응집제공급펌프(122)를 정지하거나 기동함으로써, 탈수기 벨트(10)에 슬러지가 과도하게 유입되는 것을 컨트롤할 수 있다.
탈수기 벨트(10)의 하부에는 분리된 물이 낙하하여 저장되는 세척수저장부(400)가 구비된다.
세척수저장부(400)는 상측이 개방된 저장 케이스이다. 세척수저장부(400)의 하부에는 하측으로 연결되는 연결관(410)이 구비된다.
연결관(410)의 단부에는 세척수를 걸러주기 위해 일부는 폐수로 배출하고, 일부는 세척수로 재활용할 수 있는 세척수처리부(500)가 구비된다.
세척수처리부(500)에서 걸러진 세척수는 세척수회수관(520)을 통해 탈수기 벨트(10)를 세척하는 용도로 재활용된다. 세척수회수관(520)에는 세척수공급펌프(530)가 설치되어 세척수처리부(500)에서 걸러진 세척수를 세척수회수관(520)을 통해 이송하여 탈수기 벨트(10)를 세척하도록 한다. 이때, 세척수처리부(500)에서 재활용되지 못하는 폐수는 폐수배출관(5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탈수기 벨트 100 : 혼합조
110 : 슬러지공급부 112 : 슬러지공급펌프
114 : 슬러지이송파이프 116 : 슬러지개폐밸브
120 : 응집제공급부 122 : 응집제공급펌프
124 : 응집제이송파이프 126 : 응집제개폐밸브
200 : 챠지슈트 210 : 수평챠지슈트
220 : 수직챠지슈트 230 : 슬러지확산차단부
232 : 상면차단판 234 : 전면차단판
236 : 후면차단판 238 : 측면차단판
239 : 하부경사판 300 : 과유입방지부
310 : 통과플레이트 312 : 진입홈부
320 : 유출방지플레이트 330 : 레벨감지부
400 : 세척수저장부 410 : 연결관
500 : 세척수처리부 510 : 폐수배출관
520 : 세척수회수관 530 : 세척수공급펌프

Claims (10)

  1. 슬러지공급부와 응집제공급부를 통해 슬러지와 응집제를 각각 공급받아 혼합하는 혼합조; 상기 혼합조에서 응집된 슬러지를 탈수기 벨트에 공급하는 챠지슈트; 및 상기 챠지슈트를 통해 상기 탈수기 벨트에 공급된 슬러지의 측면 유출을 방지하는 과유입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챠지슈트의 단부에는 슬러지확산차단부가 구비되어 상기 슬러지의 확산시켜 응집을 방지하면서 측방으로 튀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슬러지확산차단부는, 상기 챠지슈트의 단부 둘레에 구비되는 상면차단판; 상기 상면차단판의 전면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전면차단판; 상기 상면차단판의 후면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후면차단판; 상기 상면차단판의 측면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차단판; 및 상기 전면, 후면, 측면차단판의 하측 단부 저면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배출되는 상기 슬러지를 확산시켜 응집을 방지하는 하부경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경사판은 상기 전면차단판에서 상기 후면차단판까지 연결되면서 상기 후면차단판에 인접한 모서리 부분에 개방홈부를 형성하여 슬러지를 배출하며,
    상기 챠지슈트에서 토출된 슬러지는 상기 하부경사판에 부딪치면서 확산되어 골고루 퍼지면서 후방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개방홈부를 통해 하측으로 낙하하며,
    상기 탈수기 벨트에는 분리된 물이 저장되는 세척수저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세척수저장부의 하부에는 하측으로 연결되는 연결관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의 하측에는 분리된 물을 처리하여 일부는 폐수로 배출하고, 일부는 세척수로 재활용할 수 있는 세척수처리부가 구비되며,
    상기 세척수처리부에서 걸러진 세척수는 세척수회수관을 통해 탈수기 벨트를 세척하는 용도로 재활용되고,
    상기 세척수회수관에는 세척수공급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공급부는
    상기 슬러지를 공급하는 슬러지공급펌프;
    상기 슬러지공급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조로 슬러지를 이송하는 슬러지이송파이프; 및
    상기 슬러지이송파이프에 설치되어 슬러지의 이송을 개폐하는 슬러지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공급부는,
    상기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공급펌프;
    상기 응집제공급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조로 응집제를 이송하는 응집제이송파이프; 및
    상기 응집제이송파이프에 설치되어 응집제의 이송을 개폐하는 응집제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챠지슈트는,
    상기 혼합조와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챠지슈트; 및
    상기 수평챠지슈트의 단부에서 굴곡지게 연결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챠지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유입방지부는,
    상기 챠지슈트의 전측에 구비되고, 상기 탈수기 벨트의 상면에서 슬러지가 통과하는 진입홈부를 구비하는 통과플레이트; 및
    상기 진입홈부의 양측 단부에서 상기 챠지슈트 측으로 한 쌍 연결되어 상기 슬러지의 측면 유출을 방지하는 한 쌍의 유출방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방지플레이트는 상기 챠지슈트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진입홈부로 갈수록 상기 슬러지를 모아주도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챠지슈트에서 배출되는 슬러지의 량을 감지하여 상기 슬러지공급와 상기 응집제공급부를 정지하거나 기동하는 레벨감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감지부는,
    상기 슬러지 량에 따라 작동하는 레벨스위치; 및
    상기 레벨스위치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슬러지공급부와 상기 응집제공급부를 정지하거나 기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
KR2020150006728U 2015-10-14 2015-10-14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 KR2004846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728U KR200484641Y1 (ko) 2015-10-14 2015-10-14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728U KR200484641Y1 (ko) 2015-10-14 2015-10-14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448U KR20170001448U (ko) 2017-04-24
KR200484641Y1 true KR200484641Y1 (ko) 2017-10-11

Family

ID=5866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728U KR200484641Y1 (ko) 2015-10-14 2015-10-14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641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382Y1 (ko) * 2001-02-27 2001-07-03 임창성 산업용 슬러지의 연속 흡입식 탈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1758Y2 (ja) * 1990-05-28 1996-06-19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汚泥脱水装置
KR970001495Y1 (ko) * 1994-05-17 1997-03-10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응결물 모음판을 장착한 슬러지 슈트(sludge shu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382Y1 (ko) * 2001-02-27 2001-07-03 임창성 산업용 슬러지의 연속 흡입식 탈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448U (ko) 201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64401A1 (ja) 油水分離装置
US4397424A (en) Battery reclaim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40195186A1 (en) Grease removal system
KR102182215B1 (ko) 파쇄된 폐플라스틱 세척장치
KR20090062359A (ko) 엔진 실린더 블록용 칩 제거장치
KR200484641Y1 (ko) 슬러지 과유입 방지장치
KR101127507B1 (ko) 준설토 처리시스템
JP4678627B2 (ja) 洗浄処理方法ならびに洗浄処理装置
KR102081851B1 (ko) 스컴제거부를 구비한 선회류식 협잡물처리기
US3595393A (en)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WO2018027514A1 (zh) 一种生活污水循环处理系统
US345679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dirty liquid
KR20160014489A (ko) 분뇨 및 축분뇨용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JP2006255678A (ja) 生ごみの粉砕処理装置
CN213159580U (zh) 危废物固液分离装置
KR101893020B1 (ko) 육류 조리 부산물의 처리장치
CN207862088U (zh) 一种废水处理设备
JP2020081917A (ja) し渣搬送装置
KR200411352Y1 (ko) 슬러리 분리기
KR101748431B1 (ko) 골재 생산 과정의 부유물 제거장치
KR20140004338U (ko) 침사 인양장치
CN220562133U (zh) 一种挤压造粒机筒体开车料输送装置
NL2020867B1 (en) A separation device, and a method of treating water comprising solids
JP2011001696A (ja) 生ゴミ処理装置
KR20180001210A (ko)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모래 연속 포설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