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338U - 침사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침사 인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338U
KR20140004338U KR2020140004105U KR20140004105U KR20140004338U KR 20140004338 U KR20140004338 U KR 20140004338U KR 2020140004105 U KR2020140004105 U KR 2020140004105U KR 20140004105 U KR20140004105 U KR 20140004105U KR 20140004338 U KR20140004338 U KR 201400043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
unit
sediments
lif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1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주)와이즈엔텍
이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즈엔텍, 이현우 filed Critical (주)와이즈엔텍
Priority to KR20201400041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4338U/ko
Publication of KR201400043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33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61Positive-displacement pumps; Screw feeders; Trough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개시된 침사 인양장치는 침사부의 바닥에 침전되는 퇴적물을 안전하게 인양하고, 퇴적물에서 편리하게 물을 분리하며, 물이 분리된 퇴적물을 신속하게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침사 인양장치는 유입수가 저장되어 유입수에서 퇴적물이 침전되는 침전하우징; 퇴적물이 포함된 유입수를 흡입 펌핑하는 인양펌핑유닛; 침사부의 바닥에 침전되는 퇴적물을 인양펌피유닛으로 전달하는 포집유닛; 및 인양펌핑유닛에 의해 펌핑된 유입수에서 퇴적물을 분리 배출하는 수거유닛;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침사 인양장치{SEDIMENT PUMPING DEVICE}
본 고안은 침사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수의 유입에 따라 침사부의 바닥에 침전되는 퇴적물을 안전하게 인양하고, 퇴적물에서 편리하게 물을 분리하며, 물이 분리된 퇴적물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침사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사 인양장치는 정수장이나 하수처리장 등으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전처리 시설이다. 정수장이나 하수처리장 등으로 유입되는 유입수에는 모래, 흙, 자갈, 각종 이물질 등과 같은 퇴적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유입수에 포함된 퇴적물은 침사부에서 바닥으로 침전시킨 다음, 침전된 퇴적물을 수집장치와 인양장치를 통해 배출하고, 퇴적물이 분리된 유입수는 침사부에서 배출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2031호( 2011. 01. 25. 등록, 고안의 명칭 : 과부하 방지 기능을 갖는 매몰 방지용 침사 인양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침사부의 바닥에 침전되는 퇴적물을 안전하게 인양하고, 퇴적물에서 편리하게 물을 분리하며, 물이 분리된 퇴적물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침사 인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침사 인양장치는 유입수가 저장되어 상기 유입수에서 퇴적물이 침전되는 침전하우징; 상기 퇴적물이 포함된 상기 유입수를 흡입 펌핑하는 인양펌핑유닛; 상기 침사부의 바닥에 침전되는 상기 퇴적물을 상기 인양펌핑유닛으로 전달하는 포집유닛; 및 상기 인양펌핑유닛에 의해 펌핑된 상기 유입수에서 상기 퇴적물을 분리 배출하는 수거유닛; 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포집유닛은, 상호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회전롤러부; 상기 회전롤러부에 연결 권취되는 순환체인부; 상기 순환체인부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체인부를 순환시키는 순환구동부; 및 상기 순환체인부에 설치되어 상기 퇴적물을 상기 인양펌핑유닛 쪽으로 이송시키는 밀판부;를 포함하되,
상기 침사부의 바닥에 접촉되어 상기 퇴적물을 긁어내도록 복수의 고리부가 상호 이격 배치되는 갈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거유닛은, 상기 인양펌핑유닛을 통해 펌핑되는 상기 유입수가 수용되는 수거바디부; 및 상기 수거바디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거바디부의 바닥에 침전되는 상기 퇴적물을 이송시키는 스크류컨베이어부; 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침사 인양장치는 침사부의 바닥에 침전되는 퇴적물을 안전하게 인양하고, 퇴적물에서 편리하게 물을 분리하며, 물이 분리된 퇴적물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사 인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통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집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판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컨베이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침사 인양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유입수는 퇴적물이 포함되어 정수장이나 하수처리장 등으로 유입되는 물이고, 퇴적물은 유입수에 혼합된 협잡물로, 모래, 흙, 자갈, 각종 이물질 등이 포함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사 인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집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판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컨베이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사 인양장치는 침전하우징(100)과, 인양펌핑유닛(300)과, 포집유닛(500)과, 수거유닛(700)을 포함한다.
침전하우징(100)은 유입수가 저장되어 유입수에서 퇴적물이 침전된다.
침전하우징(100)은 침사부(110)와, 유입부(130)와, 유출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침사부(110)는 유입수가 저장된다. 이때, 침사부(110)의 바닥에는 유입수에 포함된 퇴적물이 침전되도록 한다. 유입부(130)는 유입수가 침사부(110)로 유입되도록 침사부(110)의 입구를 개폐한다. 유출부(150)는 유입수가 침사부(110)에서 배출되도록 침사부(110)의 출구를 개폐한다.
침사부(11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침사부(110) 중 어느 하나는 유입부(130)와 유출부(150)가 모두 개방되어 유입수의 이송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유입수에서 퇴적물이 침전되도록 한다.
또한, 복수의 침사부(110) 중 다른 하나는 유입부(130)와 유출부(150)를 모두 폐쇄하였다가 복수의 침사부(110) 중 어느 하나를 청소하거나 복수의 침사부(11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인양펌핑유닛(300)과 포집유닛(500)을 유지 보수하는 경우, 복수의 침사부(110) 중 어느 하나의 유입부(130)와 유출부(150)를 폐쇄하고, 복수의 침사부(110) 중 다른 하나의 유입부(130)와 유출부(150)를 개방함으로써, 유입수의 이송 경로를 변경하여 유입수에서 퇴적물이 침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침전하우징(100)에는 저장부(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170)는 후술하는 포집유닛(500)을 통해 전달되는 퇴적물을 수용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침사부(110)의 바닥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인양펌핑유닛(300)은 퇴적물이 포함된 유입수를 흡입 펌핑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인양펌핑유닛(300)은 저장부(170)에 설치되어 퇴적물이 포함된 유입수를 흡입 펌핑하는 배수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포집유닛(500)은 침사부(110)의 바닥에 침전되는 퇴적물을 인양펌핑유닛(300)으로 전달한다.
포집유닛(500)은 회전롤러부(510)와, 순환체인부(530)와, 순환구동부(550)와, 밀판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롤러부(510)는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침사부(110)에 구비된다. 순환체인부(530)는 회전롤러부(510)에 연결 권취된다. 순환구동부(550)는 순환체인부(530)에 구비되어 순환체인부(530)를 순환시킨다. 밀판부(570)는 순환체인부(530)에 설치되어 순환체인부(530)의 순환 동작에 따라 침사부(110)의 바닥에 침전된 퇴적물을 인양펌핑유닛(300) 측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밀판부(57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탄성이 부여됨에 따라 침사부(110)의 바닥에 밀착될 수 있고, 퇴적물을 안정되게 이송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밀판부(570)는 평판부(571)와, 분쇄판부(573)와, 갈퀴부(57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평판부(571)와 분쇄판부(573)는 침사부(110)의 바닥에 접촉되는 판 형상으로 침사부(110)의 바닥에 접촉되어 침전된 퇴적물을 밀어낸다. 이때, 분쇄판부(573)에는 침사부(110)의 바닥과 접촉되는 가장자리에 요철부(574)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분쇄판부(573)는 퇴적물이 침사부(110)의 바닥에서 고착되거나 진흙과 같이 점도가 높아 응집된 상태를 이루는 경우, 스크레이핑(scraping) 작용으로 퇴적물을 침사부(110)의 바닥에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평판부(571)와 분쇄판부(57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순환체인부(530)로부터 침사부(110)의 바닥을 향해 퇴적물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됨에 따라 침사부(110) 바닥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침사부(110)의 바닥에 침전된 퇴적물의 이송 하중을 증가시키며, 퇴적물의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갈퀴부(575)는 퇴적물을 긁어내도록 복수의 고리부(576)가 상호 이격 배치된다.
갈퀴부(575)는 복수의 고리부(576)를 통해 침사부(110)의 바닥을 긁어내어 침사부(110)의 바닥에서 고착되거나 진흙과 같이 점도가 높아 응집된 상태를 이루는 퇴적물을 침사부(110)의 바닥에서 분리할 수 있고, 자갈과 같이 입자가 큰 퇴적물을 우선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포집유닛(500)은 승강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구동부(미도시)는 복수의 회전롤러부(510)를 승강시킨다. 승강구동부(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회전롤러부(510)가 승강됨으로써, 침사부(110)의 바닥에서 밀판부(570)를 이격시킬 수 있고, 침사부(110)의 바닥에 퇴적물이 안정적으로 침전될 수 있도록 한다.
수거유닛(700)은 인양펌핑유닛(300)에 의해 펌핑된 유입수에서 퇴적물을 분리 배출한다.
수거유닛(700)은 수거바디부(710)와, 스크류컨베이어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거바디부(710)는 인양펌핑유닛(300)을 통해 펌핑되는 유입수가 수용된다.
수거바디부(710)는 수용부(711)와, 정류부(713)와, 경사판부(715)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711)는 인양펌핑유닛(300)을 통해 펌핑되는 유입수가 수용된다.
정류부(713)는 수용부(711)에서 퇴적물이 포함된 유입수를 공동 분배시킨다. 정류부(713)는 수용부(711)에 수용되는 유입수의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예로, 정류부(713)는 판 형상으로 수용부(711)에 구비되고 유입수가 통과되도록 관통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정류부(713)는 그물망 형상으로 수용부(711)에 구비될 수 있다.
경사판부(715)는 수용부(711)에서 유입수에 포함된 퇴적물의 침전을 가속시켜 스크류컨베이어부(730)로 유도한다.
이에 따라 수거바디부(710)에서 퇴적물이 분리된 유입수가 배출될 때, 배출되는 유입수로 퇴적물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거바디부(710)에는 공기노즐(717)이 구비될 수 있다. 공기노즐(717)은 수용부(711)의 바닥을 향해 공기를 분사함에 따라 선회류를 일으켜 그 원심력으로 퇴적물 중 무거운 입자를 분리할 수 있다.
수용부(711)에서 퇴적물이 분리된 유입수는 수용부 출구(712)를 통해 배출된다.
스크류컨베이어부(730)는 수거바디부(710)에 하부에 결합되고, 수거바디부(710)의 바닥에 침전되는 퇴적물을 이송시킨다.
스크류컨베이어부(730)는 경로하우징부(731)와, 스크류부(733)와, 이송구동부(735)를 포함할 수 있다.
경로하우징부(731)는 수거바디부(710)의 하부에 결합되어 퇴적물의 이송 경로를 형성한다. 경로하우징부(731)는 수거바디부(710)의 하부에서 배출부(750)를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로하우징부(731)를 따라 이송되는 퇴적물에서 유입수가 수거바디부(710)로 배출될 수 있고, 배출부(750)로 이송되는 퇴적물에서 유입수를 더욱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경로하우징부(731)에는 수거바디부(710)의 하부와 연통되어 수용부(711)의 바닥으로 침전되는 퇴적물이 유입되는 이송입구와, 상기 배출부(750) 측에서 개구되어 이송되는 퇴적물을 배출하는 이송출구가 구비된다.
스크류부(733)는 경로하우징부(73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송구동부(735)는 경로하우징부(731)에 결합되어 스크류부(733)를 회전시킨다.
수거유닛(700)은 배출부(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750)는 스크류컨베이어부(730)를 통해 이송 배출되는 퇴적물을 수용한다.
지금부터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사 인양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유입부(130)를 통해 침사부(110)의 입구를 개방하여 유입수가 침사부(110)에 수용되도록 하고, 유출부(150)을 통해 침사부(110)의 출구를 개방하여 침사부(110)에 수용된 유입수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침사부(110)는 유입수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침사부(110)는 유입수가 지나감에 따라 유입수에 포함된 퇴적물이 침사부(110)의 바닥에 침전된다.
그러면, 포집유닛(500)의 동작에 따라 순환구동부(550)가 구동하여 순환체인부(530)를 순환시킨다. 순환체인부(530)가 순환하게 되면 밀판부(570)는 침사부(110)의 바닥에 접촉되어 침전된 퇴적물을 인양펌핑유닛(300) 측으로 이송시키고, 밀판부(570)를 통해 이송되는 퇴적물은 저장부(170)에 수용된다.
저장부(170)에 수용된 퇴적물은 인양펌핑유닛(300)을 통해 유입수와 함께 흡입 펌핑되어 수거유닛(700)으로 이송된다.
수거유닛(700)으로 이송된 유입수는 수용부(711)에 수용되고, 정류부(713)를 통해 수용부(711)에 수용되는 유입수에서 퇴적물이 공동 분배되며, 수용부(711)에서 침전되는 퇴적물은 경사판부(715)를 통해 스크류컨베이어부(730)로 용이하게 유도된다. 이때, 수용부(711)에서 퇴적물이 제거된 유입수는 침사부(110)로 배출된다.
스크류컨베이어부(730)로 이송된 퇴적물은 이송구동부(735)의 동작에 따른 스크류부(733)의 회전으로 경로하우징부(731)를 따라 이송되어 배출부(750)로 배출된다.
배출부(750)에 적재되는 퇴적물은 별도의 수집장소로 이송된다.
침사부(110)를 복수로 구비함에 따라 복수의 침사부(110) 중 어느 하나는 유입부(10)와 유출부(150)를 개방하여 유입수에서 퇴적물이 침전되도록 한다.
또한, 복수의 침사부(110) 중 다른 하나는 유입부(130)와 유출부(150)를 폐쇄하였다가 복수의 침사부(110) 중 어느 하나를 청소하거나 복수의 침사부(11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인양펌핑유닛(300)과 포집유닛(500)을 유지 보수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예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침사부(110) 중 어느 하나의 유입부(130)와 유출부(150)를 폐쇄하고, 복수의 침사부(110) 중 다른 하나의 유입부(130)와 유출부(150)를 개방함으로써, 유입수의 이송 경로를 변경하여 유입수에서 퇴적물이 침전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침전하우징 110: 침사부
130: 유입부 150: 유출부
170: 저장부 300: 인양펌핑유닛
500: 포집유닛 510: 회전롤러부
530: 순환체인부 550: 순환구동부
570: 밀판부 571: 평판부
573: 분쇄판부 574: 요철부
575: 갈퀴부 576: 고리부
700: 수거유닛 710: 수거바디부
711: 수용부 713: 정류부
715: 경사판부 730: 스크류컨베이어부
731: 경로하우징부 733: 스크류부
735: 이송구동부 750: 배출부

Claims (1)

  1. 유입수가 저장되어 이 유입수에서 퇴적물이 침전되는 침전하우징;
    퇴적물이 포함된 상기 유입수를 흡입 펌핑하는 인양펌핑유닛;
    침사부의 바닥에 침전되는 퇴적물을 상기 인양펌핑유닛으로 전달하도록 상호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회전롤러부, 상기 회전롤러부에 연결 권취되는 순환체인부, 이 순환체인부에 구비되어 순환체인부를 순환시키는 순환구동부, 상기 순환체인부에 설치되어 상기 퇴적물을 상기 인양펌핑유닛 쪽으로 이송시키는 밀판부로 이루어진 포집유닛; 및
    상기 인양펌핑유닛을 통해 펌핑되는 유입수가 수용되는 수거바디부와, 이 수거바디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거바디부의 바닥에 침전되는 퇴적물을 이송시키는 스크류컨베이어부로 이루어진 수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밀판부가,
    상기 침사부의 바닥에 접촉되어 상기 퇴적물을 밀어내도록 복수의 고리부가 상호 이격 배치되는 갈퀴부로 이루어져 상기 인양펌핑유닛에 의해 펌핑된 상기 유입수에서 퇴적물을 효과적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 인양장치.
KR2020140004105U 2014-05-29 2014-05-29 침사 인양장치 KR201400043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105U KR20140004338U (ko) 2014-05-29 2014-05-29 침사 인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105U KR20140004338U (ko) 2014-05-29 2014-05-29 침사 인양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610A Division KR20140039849A (ko) 2012-09-25 2012-09-25 침사 인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338U true KR20140004338U (ko) 2014-07-17

Family

ID=52445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105U KR20140004338U (ko) 2014-05-29 2014-05-29 침사 인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433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813Y1 (ko) * 2017-01-04 2017-06-28 이현우 침사 인양 및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813Y1 (ko) * 2017-01-04 2017-06-28 이현우 침사 인양 및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8685B1 (ko) 고압용 오배수 펌프시스템
JP6698238B2 (ja) 固液分離システムおよび固液分離方法
JP7033011B2 (ja) スクリュー型分離装置及び排水処理システム
JP6045877B2 (ja) 除塵設備
JP4213644B2 (ja) 液処理装置
KR20140004338U (ko) 침사 인양장치
CN206843166U (zh) 一种污水处理用沉淀澄清设备
KR100922231B1 (ko) 협잡물 처리기의 유분 제거장치
JP6853918B2 (ja) 固液分離システムおよび固液分離方法
KR20140039849A (ko) 침사 인양장치
KR101517285B1 (ko) 침전지용 슬러지 일괄처리시스템
CN105431384B (zh) 污水处理设备
KR101301717B1 (ko) 초기 우수의 연속 세척 기능을 갖는 여과시스템
CN205516691U (zh) 沙水分离装置及沙水分离系统
JP4141229B2 (ja) 沈砂池からの固形物の流体移送装置
US20220234933A1 (en) Screw-type separation device, casing,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cleaning method of screw-type separation device
JP2003094069A (ja) 汚水処理方法及び汚水処理装置
CN208927672U (zh) 立式沉淀池
KR101660448B1 (ko) 수처리용 스키머와 고액분리장치
JP7123763B2 (ja) し渣搬送装置
KR101352690B1 (ko) 협잡물종합처리기
KR102238448B1 (ko) 제진장치, 수처리설비, 제진장치의 설치방법
JP6004529B2 (ja) 泥土処理システム
KR100986634B1 (ko) 오폐수 전처리장치
JP2011240451A (ja) 処理液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