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450Y1 - 풀림방지를 개선한 도어손잡이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풀림방지를 개선한 도어손잡이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450Y1
KR200484450Y1 KR2020160003404U KR20160003404U KR200484450Y1 KR 200484450 Y1 KR200484450 Y1 KR 200484450Y1 KR 2020160003404 U KR2020160003404 U KR 2020160003404U KR 20160003404 U KR20160003404 U KR 20160003404U KR 200484450 Y1 KR200484450 Y1 KR 200484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door
coupling
engaged
engag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4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영
Original Assignee
정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영 filed Critical 정창영
Priority to KR20201600034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4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4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풀림방지를 개선한 도어손잡이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D)를 중심으로 일측에 구성되는 제1결합부(10); 상기 도어(D)를 중심으로 제1결합부(10)의 타측에 구성되는 제2결합부(20); 상기 제1,2결합부(10, 20)의 사이에 구성되되 상기 제1결합뭉치(11)와 결합되는 체결부재(31)와, 상기 체결부재(31)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도어(D)를 관통하여 상기 제2결합부(20)와 결합되는 결합부재(35)로 구성되는 연결체(30); 상기 연결체(30)와 제2결합부(20) 사이에 구성되는 다수의 패킹(40); 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결합부재(15)와 제2결합부(20)의 관통공(16, 21)에는 나사산(17, 2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6, 21)에 볼트(b1, b2)가 각각 결합되되 상기 볼트(b1)는 왼쪽방향으로 회전 결합되고 상기 볼트(b2)는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 결합되게 구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10)를 도어(D)와 도어손잡이(M)에 결합 후 상기 제2결합부(20)를 결합 시 상기 제1결합부(10)가 조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10)를 도어(D)와 도어손잡이(M)에 결합 후 상기 제2결합부(20)를 결합 시 상기 제1결합부(10)가 조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에 한쪽방향을 도어손잡이(M)와 결합한 후 다른 방향을 도어손잡이(M)와 결합 시 조임면 조일수록 미리 결합한 부분이 더 조임되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풀림방지를 개선한 도어손잡이용 연결장치{Connection for improved locking the door handle}
본 고안은 풀림방지를 개선한 도어손잡이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분할된 형태로 이루어져 도어를 중심으로 상호 조립되게 구성되며, 상기 도어와 결합되지 않은 끝단에는 볼트를 이용하여 도어손잡이가 결합되되 상기 볼트 중 어느 하나를 왼쪽방향으로 조임 시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연결장치를 도어를 중심으로 한쪽방향을 결합 후 다른쪽 방향을 결합 시 풀림되지 않도록 하는 풀림방비를 개선한 도어손잡이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나무도어나 유리도어에 도어손잡이를 결착할 시에는 분할된 형태의 도어손잡이용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체결한 후 상기 각각의 연결장치에 도어손잡이를 결합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연결장치의 경우 조임 시에 오른쪽으로 회전 시 조여지는 원리로 인하여 한쪽을 조임 후 반댓쪽을 조임 시에 미리 조여놓은 연결장치와 도어 또는 연결장치와 도어손잡이의 풀림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었으며, 오랜 사용 시에 상기 연결장치와 도어손잡이 또는 연결장치와 도어가 서서히 풀려 이탈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20-0471125호(실) 본 출원인과 동일한 출원인이 출원한 고안인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결합뭉치와 내부에 관통된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 끼움 구성되는 제1결합부재로 구성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의 타측에 구성되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일측에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성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제1,2결합부의 사이에 구성되어 내부가 관통되며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이음부재와, 상기 이음부재와 제2결합부를 상호 결합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이음부재와 제2결합부 사이에 끼움 구성되는 다수개의 패킹으로 구성되는 문 손잡이용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뭉치는 외주연이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중공부에 끼움 되되, 내부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트가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뭉치의 내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가 끼움 구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외주가 육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로 관통되어 내측에 볼트가 고정 결합되어 구성되는 결합이 용이한 문 손잡이용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등록번호 20-0439154호(실) 도어에 설치되는 손잡이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일측으로는 외부손잡이에 고정되는 외부나사축을 결합하고, 타측으로는 나사의 삽입이 가능한 나사조임공이 형성된 외부조임부재와, 상기 나사조임공에 삽입 가능하고, 머릿부분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고정나사와, 파이프형태에 외측으로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부로는 상기 고정나사 머릿부분의 밀착·고정이 가능한 삽입부가 형성된 연결부재로 구비된 고정부와; 파이프형태에 내측으로 홈이 파이고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밀착하여 삽입·고정할 수 있고, 일측으로는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 회전캡과, 파이프형태에 상기 걸림턱에 걸림 가능한 걸림부재가 형성된 내부조임부재와, 상기 내부조임부재 내부로 삽입·걸림하여 내부손잡이에 고정되는 내부나사축으로 구비된 회전부로 구성되는 손잡이 고정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도어에 고정되어 돌출된 고정부의 연결부재를 회전캡 내부로 삽입·고정하는 방법으로 고정부와 회전부를 결합해, 도어에 내·외부 손잡이를 용이하게 설치·해체 가능한 도어용 손잡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등록번호 20-0475752호(실) 도어 내ㆍ외측에서 손잡이를 체결하도록 구비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일측 손잡이에 고정되어 암나사부가 구비되는 고정측 연결구; 상기 타측 손잡이에 고정되어, 회전캡에 의해 회전되는 연결볼트가 설치되고, 연결볼트는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체결측 연결구; 상기 체결측 연결구는 연결볼트의 T형 헤드부가 수용되어 회전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T형 키홈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손잡이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들은 앞서 설명한 볼트의 조임 방향이 오른쪽방향으로 조임하여 결합되는 구조들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한쪽을 조임시킨 상태에서 다른 한쪽을 조임 시 미리 조임해 놓은 한쪽이 쉽게 풀려버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도어를 중심으로 양측에 도어손잡이를 체결하기 위하여 제1,2결합부로 구성되는 연결 장치를 각각 구성하되, 상기 제1,2결합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볼트를 왼쪽방향으로 회전 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1,2결합부를 체결 시, 조임 시 풀림을 방지하면서도 조임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풀림방지를 개선한 도어손잡이용 연결 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도어(D)를 중심으로 일측에 구성되되 내부가 수평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내주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외주연이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결합뭉치(11)와,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관통공(16)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뭉치(11)의 내부에 끼워지며 도어(D)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15)로 구성되는 제1결합부(10); 상기 도어(D)를 중심으로 제1결합부(10)의 타측에 구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10)와 마주하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관통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0)와 마주하는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돌출되는 돌출부(25)가 형성되며 외주연이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결합부(20); 상기 제1,2결합부(10, 20)의 사이에 구성되되 내부가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며 외주연에 나사산(32)이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뭉치(11)와 결합되는 체결부재(31)와, 상기 체결부재(31)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도어(D)를 관통하여 상기 제2결합부(20)와 결합되는 결합부재(35)로 구성되는 연결체(30); 상기 연결체(30)와 제2결합부(20) 사이에 구성되는 다수의 패킹(40); 으로 구성되는 도어손잡이용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15)와 제2결합부(20)의 관통공(16, 21)에는 나사산(17, 2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6, 21)에 볼트(b1, b2)가 각각 결합되되 상기 볼트(b1)는 왼쪽방향으로 회전 결합되고 상기 볼트(b2)는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 결합되게 구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10)를 도어(D)와 도어손잡이(M)에 결합 후 상기 제2결합부(20)를 결합 시 상기 제1결합부(10)가 조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결합부재(15)에는 상기 제1결합뭉치(11)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에는 홈부(18)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35)에는 상기 체결부재(31)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의 외형이 상기 홈부(18)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2결합부(10, 20)를 체결 시 상기 결합부재(35)가 홈부(18)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부(18)와 체결부재(31)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의 외형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풀림방지를 개선한 도어손잡이용 연결장치에 의하면, 도어손잡이용 연결장치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도어를 중심으로 한쪽방향을 결합 후 다른 한쪽방향을 조립할 때, 조임하면 할수록 미리 조임된 방향의 연결장치가 도어손잡이와 더욱 견고하게 조임되어 풀림을 방지토록 함으로써 견고한 고정력과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본 고안은 분할된 형태로 이루어져 도어를 중심으로 상호 조립되게 구성되며, 상기 도어와 결합되지 않은 끝단에는 볼트를 이용하여 도어손잡이가 결합되되 상기 볼트 중 어느 하나를 왼쪽방향으로 조임 시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연결장치를 도어를 중심으로 한쪽방향을 결합 후 다른쪽 방향을 결합 시 풀림되지 않도록 하는 풀림방비를 개선한 도어손잡이용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를 중심으로 일측에 구성되되 내부가 수평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내주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외주연이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결합뭉치(11)와,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관통공(16)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뭉치(11)의 내부에 끼워지며 도어(D)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15)로 구성되는 제1결합부(10); 상기 도어(D)를 중심으로 제1결합부(10)의 타측에 구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10)와 마주하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관통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0)와 마주하는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돌출되는 돌출부(25)가 형성되며 외주연이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결합부(20); 상기 제1,2결합부(10, 20)의 사이에 구성되되 내부가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며 외주연에 나사산(32)이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뭉치(11)와 결합되는 체결부재(31)와, 상기 체결부재(31)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도어(D)를 관통하여 상기 제2결합부(20)와 결합되는 결합부재(35)로 구성되는 연결체(30); 상기 연결체(30)와 제2결합부(20) 사이에 구성되는 다수의 패킹(40); 으로 구성되는 도어손잡이용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15)와 제2결합부(20)의 관통공(16, 21)에는 나사산(17, 2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6, 21)에 볼트(b1, b2)가 각각 결합되되 상기 볼트(b1)는 왼쪽방향으로 회전 결합되고 상기 볼트(b2)는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 결합되게 구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10)를 도어(D)와 도어손잡이(M)에 결합 후 상기 제2결합부(20)를 결합 시 상기 제1결합부(10)가 조임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은 선풍기 회전체 및 자동차의 왼쪽바퀴, 자전거의 왼쪽 페달 등에 사용하는 원리와 동일한 구조를 적용한 것으로, 선풍기를 일예로써, 모터의 작동에 의해 오른쪽 방향으로 축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끼워져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날개와,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날개를 고정하되, 왼쪽방향으로 결합하여 고정되는 고정캡이 구성되어, 회전축의 회전으로 날개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캡이 왼쪽방향으로 조임됨에 따라 회전축이 회전을 하면 할수록 상기 고정캡이 조여지는 구조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0)의 제1결합부재(15)에 형성되는 관통공(16)에는 왼쪽방향으로 회전 시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17)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15)와 결합되는 볼트(b1)도 왼쪽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임될 수 있도록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17)과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2결합부(20)의 관통공(21)에 형성되는 나사산(22)은 오른쪽방향으로 회전 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20)와 결합되는 볼트(b2)도 오른쪽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임될 수 있도록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22)과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될 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를 중심으로 제1결합부(10)를 설치하고, 상기 제1결합부(10)가 도어(D)와 인접한 타측에 도어손잡이(M)를 체결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도어손잡이(M)에는 왼쪽방향으로 회전 시 결합되는 볼트(b1)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고, 그 공간으로 상기 볼트(b1)를 삽입한 후 상기 제1결합부(10)의 제1결합부재(15)와 결합 구성한다.
그 후, 상기 도어(D)를 중심으로 제1결합부(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부(20)를 체결하되, 연결체(30)의 결합부재(35)와 제2결합부(20)가 실질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부재(20)와 오른쪽방향으로 회전되는 볼트(b2)가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볼트(b2)가 오른쪽으로 조임되게 될 시 반대방향의 제1결합부(10)는 왼쪽방향으로 조임되는 볼트(b2)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 볼트(b2)를 조임하면 조임 할수록 상기 제1결합부(10)가 더욱 조임되게 됨으로써, 도어(D)에 도어손잡이(M)를 연결할 시, 제1결합부(10)와 도어손잡이(M)의 풀림을 방지 하게 된다.
종래에는 제1결합부(10)의 제1결합부재(15)를 제1결합뭉치(11)에 삽입하여 고정함에 있어서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하였으나, 조립이 용이하지 못할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부재의 분실을 초래하였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도 2 또는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재(15)에는 상기 제1결합뭉치(11)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에는 홈부(18)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35)에는 상기 체결부재(31)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의 외형이 상기 홈부(18)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2결합부(10, 20)를 체결 시 상기 결합부재(35)가 홈부(18)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였다.
즉, 상기 결합부재(35)의 체결부재(31)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의 외형이 상기 홈부(18)에 삽입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15)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추후 상기 제1결합부재(15)와 볼트(b1)를 결합의 용이성을 가질 수가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결합부재(15)는 완전히 고정된 상태가 됨으로써 볼트(b1)를 회전 시 공회전을 방지토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홈부(18)와 체결부재(31)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의 외형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가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육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제1결합부(10)의 제1결합부재(15)와 볼트(b1)가 왼쪽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고 설명하였고, 제2결합부(20)와 볼트(b2)가 오른쪽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1결합부(10)의 제1결합부재(15)와 볼트(b1)를 오른쪽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제2결합부(20)와 볼트(b2)가 왼쪽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해도 무관하다.
다시 말해, 어느 한쪽이 통상적으로 오른쪽방향으로 회전되는 볼트-너트 구조와 달리, 왼쪽방향으로 회전시 조임될 수 있는 볼트-너트구조로 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10 : 제1결합부 11 : 제1결합뭉치 15 : 제1결합부재
16 : 관통공 17 : 나사산 18 : 홈부
20 : 제2결합부 21 : 관통공 22 : 나사산
30 : 연결체 31 : 체결부재 32 : 나사산
35 : 결합부재 40 : 패킹
b1 : 볼트 b2 : 볼트 D : 도어
M : 도어손잡이

Claims (3)

  1. 도어(D)를 중심으로 일측에 구성되되 내부가 수평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내주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외주연이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결합뭉치(11)와,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관통공(16)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뭉치(11)의 내부에 끼워지며 도어(D)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15)로 구성되는 제1결합부(10); 상기 도어(D)를 중심으로 제1결합부(10)의 타측에 구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10)와 마주하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관통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0)와 마주하는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돌출되는 돌출부(25)가 형성되며 외주연이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결합부(20); 상기 제1,2결합부(10, 20)의 사이에 구성되되 내부가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며 외주연에 나사산(32)이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뭉치(11)와 결합되는 체결부재(31)와, 상기 체결부재(31)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도어(D)를 관통하여 상기 제2결합부(20)와 결합되는 결합부재(35)로 구성되는 연결체(30); 상기 연결체(30)와 제2결합부(20) 사이에 구성되는 다수의 패킹(40); 으로 구성되는 도어손잡이용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15)와 제2결합부(20)의 관통공(16, 21)에는 나사산(17, 2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6, 21)에 볼트(b1, b2)가 각각 결합되되 상기 볼트(b1)는 왼쪽방향으로 회전 결합되고 상기 볼트(b2)는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 결합되게 구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10)를 도어(D)와 도어손잡이(M)에 결합 후 상기 제2결합부(20)를 결합 시 상기 제1결합부(10)가 조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를 개선한 도어손잡이용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15)에는 상기 제1결합뭉치(11)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에는 홈부(18)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35)에는 상기 체결부재(31)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의 외형이 상기 홈부(18)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2결합부(10, 20)를 체결 시 상기 결합부재(35)가 홈부(18)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를 개선한 도어손잡이용 연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18)와 체결부재(31)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의 외형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를 개선한 도어손잡이용 연결장치.

KR2020160003404U 2016-06-17 2016-06-17 풀림방지를 개선한 도어손잡이용 연결장치 KR200484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404U KR200484450Y1 (ko) 2016-06-17 2016-06-17 풀림방지를 개선한 도어손잡이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404U KR200484450Y1 (ko) 2016-06-17 2016-06-17 풀림방지를 개선한 도어손잡이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450Y1 true KR200484450Y1 (ko) 2017-09-07

Family

ID=60571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404U KR200484450Y1 (ko) 2016-06-17 2016-06-17 풀림방지를 개선한 도어손잡이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4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464U (ko) * 2019-08-19 2021-03-03 백형필 도어용 핸들 결합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722Y1 (ko) * 2005-05-18 2005-08-08 오문선 도어용 손잡이 고정장치
KR200471125Y1 (ko) * 2012-10-08 2014-02-07 정창영 결합이 용이한 문 손잡이용 연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722Y1 (ko) * 2005-05-18 2005-08-08 오문선 도어용 손잡이 고정장치
KR200471125Y1 (ko) * 2012-10-08 2014-02-07 정창영 결합이 용이한 문 손잡이용 연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464U (ko) * 2019-08-19 2021-03-03 백형필 도어용 핸들 결합구
KR200494562Y1 (ko) * 2019-08-19 2021-11-08 백형필 도어용 핸들 결합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2983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средство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замка, предусмотренное с подобным соединительным средством
RU2700954C2 (ru) Соединение, содержащее застопоренную крепежную шпильку
WO2020116666A1 (ja) 緩まないボルト
JP6452795B2 (ja) ロックナット
KR200484450Y1 (ko) 풀림방지를 개선한 도어손잡이용 연결장치
US8991847B2 (en) Quick release structure for a bicycle
TWM462196U (zh) 鎖固元件
WO2013035552A1 (ja) ナットの回転抑制構造
JP2019039555A (ja) 緩み止め締結構造
JP2015105755A (ja) 車輪用締結具
KR20110130192A (ko) 볼트 유니트 및 볼트 유니트의 체결 방법
TWI493117B (zh) 驅動銷總成
KR20090008433A (ko) 분할 스핀들
KR200475752Y1 (ko) 손잡이 연결구
BRPI0502806B1 (pt) Disposição em dispositivo de aperto para a conexão segura e pelo menos dois elementos entre si
KR200471125Y1 (ko) 결합이 용이한 문 손잡이용 연결 장치
JP2007132493A (ja) 転舵用ボールネジナットの固定構造
KR20160002425U (ko) 유니버셜 조인트의 결합 구조체
CN107425646B (zh) 一种带锁紧装置的伺服电机
CN204709800U (zh) 用于模型飞行器的螺旋桨连接器、模型飞行器
CN204801073U (zh) 一种用于轮胎胎面缠绕装置的小压轮组件
KR20150039336A (ko) 로크 너트 어셈블리
KR102406378B1 (ko) 개폐형 토크 렌치 장치
US20210301890A1 (en) Mechanical multi-rod disc brake
US20150226268A1 (en) Geared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