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285Y1 -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 - Google Patents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285Y1
KR200484285Y1 KR2020170002073U KR20170002073U KR200484285Y1 KR 200484285 Y1 KR200484285 Y1 KR 200484285Y1 KR 2020170002073 U KR2020170002073 U KR 2020170002073U KR 20170002073 U KR20170002073 U KR 20170002073U KR 200484285 Y1 KR200484285 Y1 KR 200484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whide
unit body
rotar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선
Original Assignee
김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선 filed Critical 김희선
Priority to KR2020170002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2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2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02Free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는, 통가죽으로 제작되는 통가죽 벨트; 및 상기 통가죽 벨트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통가죽 벨트의 길이 조절을 위해 상기 통가죽 벨트에 접촉 가압되어 상기 통가죽 벨트의 이동을 구속시키되 고무 재질로 제작되는 접촉 가압블록을 구비하는 버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A whole skin belt}
본 고안은,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가죽 벨트가 통가죽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종래 제품에 비해 내구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격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통가죽의 특성 상 오래 사용하더라도 가치가 향상될 수 있는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에 관한 것이다.
벨트(belt)는 남녀의 구별 없이 허리선에 묶는 스트랩(strap) 또는 밴드를 이르는 말이다. 대개 버클 등으로 허리둘레에 맞추어서 맨다.
이러한 벨트는 양복을 허리선에서 묶어주는 실용적인 구실뿐 아니라 한 벌의 드레스에 악센트가 되는 경우와 허리선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는 장식 효과도 크다. 따라서 벨트의 굵기와 형은 그 사람의 체격에 따르지만 대체로 허리이음선이 적당한 위치이다.
한편, 현존 벨트의 경우, 구멍 조절식과 길이 조절식으로 나뉜다. 후자의 길이 조절식은 임의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으며, 이로 인해 길이 조절식 벨트의 사용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현존하는 길이 조절식 벨트의 경우, 대다수가 천이나 인조가죽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내구성이 낮으며, 특히 제품의 품격을 높이는 데에 다소 제한적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 제품에서 탈피한 신개념의 허리 벨트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9-001300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4857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6-000073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6-0002904호
본 고안의 목적은, 통가죽 벨트가 통가죽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종래 제품에 비해 내구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격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통가죽의 특성 상 오래 사용하더라도 가치가 향상될 수 있는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통가죽으로 제작되는 통가죽 벨트; 및 상기 통가죽 벨트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통가죽 벨트의 길이 조절을 위해 상기 통가죽 벨트에 접촉 가압되어 상기 통가죽 벨트의 이동을 구속시키되 고무 재질로 제작되는 접촉 가압블록을 구비하는 버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버클 유닛은, 상기 통가죽 벨트가 통과되는 벨트 메인 통과구를 구비하는 메인 유닛 바디; 상기 메인 유닛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는 장식용 버클 메달; 상기 메인 유닛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고리부와, 상기 통가죽 벨트가 통과되는 벨트 서브 통과구를 구비하는 서브 유닛 바디; 상기 통가죽 벨트의 일측 단부를 척킹하는 척킹부를 구비하며, 상기 서브 유닛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식 벨트 척킹바아; 및 상기 메인 유닛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접촉 가압블록이 결합되며, 상기 통가죽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회전식 길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식 길이 조절부는, 원통 형상의 회전형 보스; 상기 회전형 보스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형 보스를 회전시키는 회전 손잡이; 상기 회전형 보스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회전 손잡이의 반대편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유닛 바디의 지지벽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에서 연장되게 마련되되 상기 접촉 가압블록이 결합되는 블록 결합부; 및 상기 회전형 보스에 결합되며, 상기 접촉 가압블록이 상기 통가죽 벨트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형 보스를 회전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 가압블록의 노출 단부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통가죽 벨트에 접촉되는 요철식 접촉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통가죽 벨트가 통가죽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종래 제품에 비해 내구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격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통가죽의 특성 상 오래 사용하더라도 가치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 따른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버클 유닛의 입체 이미지이다.
도 3은 버클 유닛의 평면 이미지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버클 유닛의 동작도들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 따른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에 적용되는 버클 유닛의 부분 확대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 따른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에 적용되는 버클 유닛의 부분 확대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 따른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에 적용되는 버클 유닛의 부분 확대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 따른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의 평면도, 도 2는 버클 유닛의 입체 이미지, 도 3은 버클 유닛의 평면 이미지, 도 4는 도 3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 도 5는 도 4의 측면도,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버클 유닛의 동작도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100)는 통가죽 벨트(110)가 통가죽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종래 제품에 비해 내구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격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통가죽의 특성 상 오래 사용하더라도 가치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100)는 통가죽 벨트(110)와, 통가죽 벨트(110)에 결합되는 버클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통가죽 벨트(110)는 바지의 고리에 끼워져서 허리를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바지가 흘러내리지 않게, 또한 바지의 품격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통가죽 벨트(110)는 용어 그대로 통가죽, 소가죽이나 양가죽 등 합성비닐이 들어가지 않게 통가죽으로 제작된다.
이처럼 통가죽 벨트(110)가 적용될 경우, 종래 제품에 비해 내구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격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통가죽의 특성 상 오래 사용하더라도 가치가 향상될 수 있다.
버클 유닛(120)은 통가죽 벨트(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부재이다. 버클 유닛(120)은 장신구의 역할을 담당하기도 하지만 통가죽 벨트(110)의 길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버클 유닛(120)은 메인 유닛 바디(130), 장식용 버클 메달(140), 서브 유닛 바디(150), 회전식 벨트 척킹바아(160), 그리고 회전식 길이 조절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유닛 바디(130)는 장식용 버클 메달(140)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일측에는 통가죽 벨트(110)가 통과되는 벨트 메인 통과구(131)가 형성된다. 그리고 벨트 메인 통과구(131)의 반대편 일측에는 회전식 길이 조절부(170)가 결합되는 돌출부(132)가 마련된다.
장식용 버클 메달(140)은 메인 유닛 바디(130)의 일측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장식용 버클 메달(140)은 일측이 개방된 타원형 프레임(140a)에 말 그림의 장식패턴(140b)이 형성되는 장식용 버클 메달(140)이 적용된다. 하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면의 형상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서브 유닛 바디(150)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위해 도 5처럼 메인 유닛 바디(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서브 유닛 바디(150)는 메인 유닛 바디(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고리부(151)와, 통가죽 벨트(110)가 통과되는 벨트 서브 통과구(152)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통가죽 벨트(110)를 사용할 때는 통가죽 벨트(110)의 단부를 벨트 서브 통과구(152)를 통해 삽입해서 벨트 메인 통과구(131)로 빼내면 되고, 이 상태에서 회전식 길이 조절부(170)로 길이를 조절한 후, 고정시키면 된다.
회전식 벨트 척킹바아(160)는 도 5처럼 서브 유닛 바디(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이다. 즉 회전식 벨트 척킹바아(160)는 버클 유닛(120)에 통가죽 벨트(110)를 연결시키기 위해 통가죽 벨트(110)의 일측 단부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회전식 벨트 척킹바아(160)에는 통가죽 벨트(110)의 일측 단부를 척킹하는 척킹부(161)가 마련된다. 회전식 벨트 척킹바아(160)를 회전시켜 척킹부(161)가 통가죽 벨트(110)의 일측 단부를 물어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버클 유닛(120)에 통가죽 벨트(110)를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회전식 길이 조절부(170)는 통가죽 벨트(110)의 길이를 조절한 후, 길이가 임의로 가변되지 않게 통가죽 벨트(1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회전식 길이 조절부(170)는 접촉 가압블록(175), 회전형 보스(171), 회전 손잡이(172), 스토퍼(173), 그리고 블록 결합부(174)를 포함한다.
접촉 가압블록(175)은 통가죽 벨트(110)의 길이 조절을 위해 통가죽 벨트(110)에 접촉 가압되어 통가죽 벨트(110)의 이동을 구속시키되 고무 재질로 제작되는 블록 형태의 부재이다.
이러한 접촉 가압블록(175)의 노출 단부에는 실질적으로 통가죽 벨트(110)에 접촉되는 요철식 접촉부(176)가 마련되며, 요철식 접촉부(176)가 통가죽 벨트(110)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통가죽 벨트(110)의 이동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한다.
회전형 보스(171)는 원통 형상의 구조물로서, 메인 유닛 바디(130)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부(1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형 보스(171)에는 스프링(177)이 마련된다. 스프링(177)은 회전형 보스(171)에 결합되며, 접촉 가압블록(175)의 요철식 접촉부(176)가 통가죽 벨트(110)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전형 보스(171)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전 손잡이(172)는 회전형 보스(171)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회전형 보스(171)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6처럼 회전 손잡이(172)를 A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접촉 가압블록(175)이 벌어지기 때문에 통가죽 벨트(110)를 구속 없이 이동시킬 수 있다.
스토퍼(173)는 회전형 보스(171)를 기준으로 해서 회전 손잡이(172)의 반대편에 배치되며, 메인 유닛 바디(130)의 지지벽체(133)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역할을 한다.
블록 결합부(174)는 스토퍼(173)에서 연장되게 마련되되 접촉 가압블록(175)이 결합되는 장소를 이룬다. 접촉 가압블록(175)은 블록 결합부(174)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전 손잡이(172)를 A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접촉 가압블록(175)이 벌어지기 때문에 통가죽 벨트(110)를 구속 없이 이동시킬 수 있는데, 이 상태에서 통가죽 벨트(110)의 길이를 조절한 후, A 방향으로 회전시킨 회전 손잡이(172)의 가압을 해제하면 스프링(177)에 의해 회전형 보스(171)가 회전됨으로써 접촉 가압블록(175)의 요철식 접촉부(176)가 통가죽 벨트(110)를 가압하여 통가죽 벨트(110)의 이동을 구속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통가죽 벨트(110)가 통가죽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종래 제품에 비해 내구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격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통가죽의 특성 상 오래 사용하더라도 가치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 따른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에 적용되는 버클 유닛의 부분 확대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버클 유닛(220) 역시, 메인 유닛 바디(130)에 결합되는 회전식 길이 조절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식 길이 조절부(270)는 요철식 접촉부(176)를 구비하는 접촉 가압블록(275), 회전형 보스(171), 회전 손잡이(172), 스토퍼(173), 그리고 블록 결합부(27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접촉 가압블록(275)이 블록 결합부(27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블록 결합부(274)에는 슬라이딩 레일 블록(274a)이 형성되고, 접촉 가압블록(275)에는 슬라이딩 레일(275a)이 형성된다. 이럴 경우, 접촉 가압블록(275)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데, 통가죽 벨트(110, 도 1 참조)를 가압하는 힘이 약해지는 경우에는 접촉 가압블록(275)을 좀 더 큰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벨트 전체를 교체할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통가죽 벨트(110)가 통가죽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종래 제품에 비해 내구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격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통가죽의 특성 상 오래 사용하더라도 가치가 향상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 따른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에 적용되는 버클 유닛의 부분 확대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버클 유닛(320) 역시, 메인 유닛 바디(130)에 결합되는 회전식 길이 조절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식 길이 조절부(370)는 나사식 접촉부(376)를 구비하는 접촉 가압블록(375), 회전형 보스(171), 회전 손잡이(172), 스토퍼(173), 그리고 블록 결합부(27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접촉 가압블록(375)이 블록 결합부(274)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접촉 가압블록(375)의 단부에는 나사 형태의 나사식 접촉부(376)가 마련되기 때문에 통가죽 벨트(110, 도 1 참조)를 가압하는 힘을 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나사식 접촉부(376)는 고무 재질이기 때문에 통가죽 벨트(110)에 손상이 가지 않는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통가죽 벨트(110)가 통가죽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종래 제품에 비해 내구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격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통가죽의 특성 상 오래 사용하더라도 가치가 향상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 따른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에 적용되는 버클 유닛의 부분 확대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버클 유닛(420) 역시, 메인 유닛 바디(130)에 결합되는 회전식 길이 조절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식 길이 조절부(470)는 요철식 접촉부(176)를 구비하는 접촉 가압블록(475), 회전형 보스(171), 회전 손잡이(172), 스토퍼(173), 그리고 블록 결합부(47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접촉 가압블록(475)이 블록 결합부(47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블록 결합부(474)에는 착탈식 홀(474a)이 형성되고, 접촉 가압블록(475)에는 착탈식 돌기(475a)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접촉 가압블록(475)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데, 통가죽 벨트(110, 도 1 참조)를 가압하는 힘이 약해지는 경우에는 접촉 가압블록(475)을 좀 더 큰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벨트 전체를 교체할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통가죽 벨트(110)가 통가죽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종래 제품에 비해 내구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격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통가죽의 특성 상 오래 사용하더라도 가치가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 110 : 통가죽 벨트
120 : 버클 유닛 130 : 메인 유닛 바디
131 : 벨트 메인 통과구 132 : 돌출부
133 : 지지벽체 140 : 장식용 버클 메달
150 : 서브 유닛 바디 151 : 회전 고리부
152 : 벨트 서브 통과구 160 : 회전식 벨트 척킹바아
161 : 척킹부 170 : 회전식 길이 조절부
171 : 회전형 보스 172 : 회전 손잡이
173 : 스토퍼 174 : 블록 결합부
175 : 접촉 가압블록 176 : 요철식 접촉부
177 : 스프링

Claims (3)

  1. 통가죽으로 제작되는 통가죽 벨트; 및 상기 통가죽 벨트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통가죽 벨트의 길이 조절을 위해 상기 통가죽 벨트에 접촉 가압되어 상기 통가죽 벨트의 이동을 구속시키되 고무 재질로 제작되는 접촉 가압블록을 구비하는 버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버클 유닛은, 상기 통가죽 벨트가 통과되는 벨트 메인 통과구를 구비하는 메인 유닛 바디; 상기 메인 유닛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는 장식용 버클 메달; 상기 메인 유닛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고리부와, 상기 통가죽 벨트가 통과되는 벨트 서브 통과구를 구비하는 서브 유닛 바디; 상기 통가죽 벨트의 일측 단부를 척킹하는 척킹부를 구비하며, 상기 서브 유닛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식 벨트 척킹바아; 및 상기 메인 유닛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접촉 가압블록이 결합되며, 상기 통가죽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회전식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길이 조절부는,
    원통 형상의 회전형 보스;
    상기 회전형 보스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형 보스를 회전시키는 회전 손잡이;
    상기 회전형 보스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회전 손잡이의 반대편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유닛 바디의 지지벽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에서 연장되게 마련되되 상기 접촉 가압블록이 결합되는 블록 결합부; 및
    상기 회전형 보스에 결합되며, 상기 접촉 가압블록이 상기 통가죽 벨트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형 보스를 회전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 가압블록의 노출 단부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통가죽 벨트에 접촉되는 요철식 접촉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
  2. 삭제
  3. 삭제
KR2020170002073U 2017-04-24 2017-04-24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 KR2004842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073U KR200484285Y1 (ko) 2017-04-24 2017-04-24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073U KR200484285Y1 (ko) 2017-04-24 2017-04-24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285Y1 true KR200484285Y1 (ko) 2017-08-21

Family

ID=6062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073U KR200484285Y1 (ko) 2017-04-24 2017-04-24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285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280Y1 (ko) * 2001-04-30 2001-10-12 김세원 벨트용 버클
KR200364594Y1 (ko) * 2004-01-31 2004-10-08 강희인 똑딱단추벨트
KR200413374Y1 (ko) 2006-01-10 2006-04-06 윤대원 장신용 허리벨트
KR20110048574A (ko) 2008-09-30 2011-05-11 가부시키가이샤 알박 토출 유닛 및 토출 장치
US9185942B2 (en) * 2010-08-16 2015-11-17 Edward R. Rowland Belt adjustment system
KR20160002904U (ko) 2015-02-12 2016-08-22 강주영 역류방지와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휴대용 소변기
JP2016165399A (ja) * 2015-03-10 2016-09-15 株式会社パワーズ バックル、及びそれを用いたベル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280Y1 (ko) * 2001-04-30 2001-10-12 김세원 벨트용 버클
KR200364594Y1 (ko) * 2004-01-31 2004-10-08 강희인 똑딱단추벨트
KR200413374Y1 (ko) 2006-01-10 2006-04-06 윤대원 장신용 허리벨트
KR20110048574A (ko) 2008-09-30 2011-05-11 가부시키가이샤 알박 토출 유닛 및 토출 장치
US9185942B2 (en) * 2010-08-16 2015-11-17 Edward R. Rowland Belt adjustment system
KR20160002904U (ko) 2015-02-12 2016-08-22 강주영 역류방지와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휴대용 소변기
JP2016165399A (ja) * 2015-03-10 2016-09-15 株式会社パワーズ バックル、及びそれを用いたベル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3054B2 (en) Ergonomic guitar strap
KR200396514Y1 (ko)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
KR200484285Y1 (ko)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
US6408444B1 (en) Race number belt with snap race identification number attachment system
AU2008211790A1 (en) Girdle for garments
KR200384092Y1 (ko) 바지
US20210321724A1 (en) Double-sided belt buckle
KR200384142Y1 (ko) 허리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하의
JP4624899B2 (ja) 衣服カバー
KR100443018B1 (ko) 하의용 허리둘레조절기구
JP2017225505A (ja) 装着具一体型下衣
KR200333654Y1 (ko) 멜빵바지 및 멜빵치마의 허리사이즈 조절구조
KR200342596Y1 (ko) 바지의 숨김형 허리사이즈 조절구조
NL2014948B1 (en) Sling type child carrier.
CN211298489U (zh) 一种便于更换纽扣的牛仔裤
AU2007100855B4 (en) Waistband extender
CN211794482U (zh) 一种便于病人穿着的哈伦裤
JP3215122U (ja) 湾曲した衣服用ベルト
KR200426166Y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바지
KR200427094Y1 (ko) 허리조절용 바지
JP2001286498A (ja) 仙腸関節矯正用衣服
JP2005013670A (ja) 座時姿勢補助ベルト並びに座時姿勢補助機能付衣服
KR20170051038A (ko) 유아용 캐리어
KR200316896Y1 (ko) 하의용 허리둘레조절기구
KR200458951Y1 (ko) 볼로타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