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904U - 역류방지와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휴대용 소변기 - Google Patents

역류방지와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휴대용 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904U
KR20160002904U KR2020150000996U KR20150000996U KR20160002904U KR 20160002904 U KR20160002904 U KR 20160002904U KR 2020150000996 U KR2020150000996 U KR 2020150000996U KR 20150000996 U KR20150000996 U KR 20150000996U KR 20160002904 U KR20160002904 U KR 201600029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groove
upper body
lower body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1718Y1 (ko
Inventor
강주영
Original Assignee
강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주영 filed Critical 강주영
Priority to KR2020150000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718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9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9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7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2Urinals without flush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6Chamber-pots; Throw-away urinals for non-bedridden persons; Chamber-po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역류방지와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휴대용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소변을 담아 저장하는 소변을 담아 저장하는 하부몸체(10); 상기 하부몸체(10)의 상부 내측과 결합 및 분리되되 중앙부에 유도홈(21)이 형성되는 소변유도부(20); 상기 하부몸체(10)의 상부 외측과 결합 및 분리되는 상부몸체(30); 로 구성되는 휴대용 소변기에 있어서, 상기 소변유도부(20)의 내부 일측에는 상하부로 관통되는 배출홈(23)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홈(21)에 선택적으로 끼움 구성되되, 외측 둘레에 구성되어 유도홈(21)의 내측과 맞닿아지는 패킹(45)과,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홈(23)에 끼워지는 돌출부(47)로 구성되는 밀폐부(40)가 더 포함 구성되어, 사용 시 상기 배출홈(23)에 의해 소변의 역류를 방지하며, 사용 후 밀폐부(40)와 상부몸체(10)의 순차적인 결합으로 상기 상부몸체(10)가 밀폐부(40)를 밀림시켜 완전한 이중 밀폐가 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중 밀폐를 통해 악취 및 소변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어 차량운행 중 갑작스런 생리현상, 야외 캠핑, 거동이 불편한 환자 등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 후 신속한 세척이 가능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역류방지와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휴대용 소변기{Portable urinal with a backflow prevention and double sealed structure}
본 고안은 역류방지와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휴대용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결합 및 분리되게 구성되되 사용 후 소변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이중 밀폐구조와 사용 시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소변의 역류를 방지해주는 구조로 구성되는 역류방지와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휴대용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 운행 중에 아이들의 갑작스런 생리현상으로 인해 갓길 주차 후 소변을 처리하거나 별도의 비닐봉투, 깡통, 페트병 등을 이용하여 소변을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의 방법은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사용 후 악취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자칫 부주의로 인하여 차량의 내부에 그대로 유출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10-1103351(특) 용변자의 소변을 담아 저장하는 용기부재와; 상기 용기부재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용변자의 소변을 용기부재 중앙으로 안내하고, 용기부재에 담긴 소변이 외부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역류방지부재와; 상기 용기부재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용기부재를 폐쇄시키고, 일측에 소변유도부재의 결합을 안내하면서 소변이 역류방지부재로 흘러내리도록 안내관이 돌출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용변자의 생식기를 수용하면서 커버부재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용변자의 소변을 모아 용기부재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소변유도부재와; 상기 소변유도부재를 폐쇄시켜 용기부재에 담긴 소변으로부터 악취의 발생을 차단하면서 용기부재에 담긴 소변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폐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등록번호 20-0289391(실) 여인의 상반신 같은 모양의 곡선으로 디자인된 소변기 몸통(1)에 타원형(楕圓形)의 손잡이(2)와 35°경사지게 튀어나온 목(3)에 원형의 입구(4)가 나 있고, 이를 막을 수 있는 마개의 바깥 주위에는 오목형(凹)의 미끄럼 방지 홈(5A)이 나있는 소변기 마개(4)로 구성되어 있는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기능과 특징을 가진 휴대용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등록번호 10-1426037(특) 내부에 배설물이 하측으로 유도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변기통과 상기 변기통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배설물이 수집되는 집뇨통 및 집변통을 갖는 변기 본체와, 상기 변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부재와, 상기 변기통과 상기 집뇨통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집뇨통 내에 수집된 배설물이 상기 변기통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수단을 구비한 차량용 휴대 변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을 보면, 다수의 구성들이 상호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나, 사용 후 세척을 할 시 각각의 구성들을 분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고, 단순히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 후 내부의 소변이 외부로 유출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다른 형태의 기술을 보면, 소변과 대변을 볼 수 있는 통합적인 변기에 관한 기술이나, 부피가 비교적 크며 사용 후 배설물의 악취가 외부로 흘러나올 수밖에 없는 구조로 구성되어 차량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비교적 규모가 큼에 따라 소형 차량에서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소변이 모아지는 하부몸체를 구성하고 상기 하부몸체의 상측 내외측에 각각 결합 및 분리되는 소변유도부와 상부몸체를 구성하며, 상기 소변유도부의 내부에 상하부로 관통되는 배출홈을 형성하여 사용 시 하부몸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소변의 역류를 방지토록 하고, 상기 소변유도부의 내부와 배출홈을 동시에 막음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밀폐부를 구성하여 상기 상부몸체와 더불어 이중 밀폐구조를 가지되, 상기 상부몸체를 완전히 결합 시 밀폐부를 완전히 밀어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하부몸체 내부의 소변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운행 또는 야외활동, 거동이 불편한 환자 등이 갑작스런 생리현상에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역류방지와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휴대용 소변기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소변을 담아 저장하는 소변을 담아 저장하는 하부몸체(10); 상기 하부몸체(10)의 상부 내측과 결합 및 분리되되 중앙부에 유도홈(21)이 형성되는 소변유도부(20); 상기 하부몸체(10)의 상부 외측과 결합 및 분리되는 상부몸체(30); 로 구성되는 휴대용 소변기에 있어서, 상기 소변유도부(20)의 내부 일측에는 상하부로 관통되는 배출홈(23)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홈(21)에 선택적으로 끼움 구성되되, 외측 둘레에 구성되어 유도홈(21)의 내측과 맞닿아지는 패킹(45)과,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홈(23)에 끼워지는 돌출부(47)로 구성되는 밀폐부(40)가 더 포함 구성되어, 사용 시 상기 배출홈(23)에 의해 소변의 역류를 방지하며, 사용 후 밀폐부(40)와 상부몸체(10)의 순차적인 결합으로 상기 상부몸체(10)가 밀폐부(40)를 밀림시켜 완전한 이중 밀폐되도록 구성하여, 차량 운행 중, 거동이 불편한 환자, 야외 활동 등에서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사용 후에도 외부로 소변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며 위생적이면서도 사용상의 편리성이 부여되도록 하여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코자 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역류방지와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휴대용 소변기에 의하면, 휴대용 소변기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사용 시 배출홈에 의해 하부몸체에 소변이 채워질 시 그 안에 공기가 상기 배출홈을 통해 배출되어 소변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 후 밀폐부를 통해 배출홈과 유도홈을 완전히 막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부몸체를 결합 시 상기 밀폐부를 완전히 밀림시켜 이중 밀폐를 통해 악취 및 소변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어 차량운행 중 갑작스런 생리현상, 야외 캠핑, 거동이 불편한 환자 등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 후 신속한 세척이 가능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도 6의 a와 b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본 고안은 각각의 구성들이 결합 및 분리되는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되 사용 후 소변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이중 밀폐구조와 사용 시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소변의 역류를 방지해주는 구조로 구성되는 역류방지와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휴대용 소변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그 구성을 보면, 소변을 담아 저장하는 소변을 담아 저장하는 하부몸체(10); 상기 하부몸체(10)의 상부 내측과 결합 및 분리되되 중앙부에 유도홈(21)이 형성되는 소변유도부(20); 상기 하부몸체(10)의 상부 외측과 결합 및 분리되는 상부몸체(30); 로 구성되는 휴대용 소변기에 있어서, 상기 소변유도부(20)의 내부 일측에는 상하부로 관통되는 배출홈(23)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홈(21)에 선택적으로 끼움 구성되되, 외측 둘레에 구성되어 유도홈(21)의 내측과 맞닿아지는 패킹(45)과,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홈(23)에 끼워지는 돌출부(47)로 구성되는 밀폐부(40)가 더 포함 구성되어, 사용 시 상기 배출홈(23)에 의해 소변의 역류를 방지하며, 사용 후 밀폐부(40)와 상부몸체(10)의 순차적인 결합으로 상기 상부몸체(10)가 밀폐부(40)를 밀림시켜 완전한 이중 밀폐가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몸체(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소변이 저장되는 수용부(11)가 형성되고, 상부 내,외측에는 회전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진다. 상기 하부몸체(10)의 상측에는 각각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소변유도부(20)와 상부몸체(30)가 결합되는데 상기 소변유도부(20)는 하부몸체(10)의 상부 내측과 결합되고, 상기 상부몸체(30)는 하부몸체(10)의 상부 외측과 결합된다.
상기 소변유도부(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지고 중앙부를 관통하는 유도홈(21)이 형성되어 진다. 상기 유도홈(21)의 경우 상부에서 하부로 좁아지게 형성되어 사용 시 소변이 하부몸체(10)의 수용부(11) 이외의 위치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즉, 사용 시에 유도홈(21)의 최초 유도공간은 크게 형성되어 지며 소변이 흘러 유도되는 공간이 서서히 좁혀져 최종적으로 하부몸체(10)의 수용부(11)로 인입될 수 있게 되는 구성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고안의 휴대용 소변기는 남녀공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종래에 있어서 소변유도부의 경우 대체적으로 남성만 사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지만, 본 고안에서는 상기 소변유도부(20)의 상부에 크게 형성되어지며 유도홈(21) 또한 상부하부로 좁아지게 통상의 변기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편리하게 남녀 어린이가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변유도부(20)의 내측에는 유도홈(21)에서 일정간격이격되는 위치에 상,하부로 관통되는 배출홈(23)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홈(23)의 경우 하부몸체(10)의 수용부(11)에는 공기가 포함 구성되는데, 사용 시 사용자의 소변이 수용부(11)로 인입될 경우 자연스레 수용부(11)에 포함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진다.
이때, 그 유압에 의해 사용자의 소변이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용부(11)의 공기가 배출홈(23)을 통해 배출되어진다. 도 5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즉, 유도홈(21)을 통해 사용자의 소변이 수용부(11)로 인입되되 수용부(11)의 공기가 배출홈(23)을 통해 배출됨에따라 재차 유도홈(21)으로 소변이 역류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휴대용 소변기를 보면 대체적으로 역류방지를 위해 소변기를 전체적으로 크게 형성하거나 측면에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등 구조가변을 통해 구성되어 있었고, 실질적으로 별도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아닌 소변이 인입되는 공간으로 소변과 공기가 동시에 이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실질적으로 제대로 된 역류방지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소변이 인입되는 유도홈(21)으로 소변과 공기가 동시에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별도의 배출홈(23)을 구성하여 소변을 볼 시 완전한 역류방지를 할 수 있게 되어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유도부(20)의 유도홈(21)에는 선택적으로 끼움 구성되는 밀폐부(40)가 구성되는데 상기 밀폐부(40)는 본 고안의 핵심 구성요로서, 상기 유도홈(21)에 선택적으로 끼움 구성되되, 일측에 손잡이홈(42)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몸체(10)의 내측과 맞닿아지는 손잡이부(41)와, 외측 둘레에 구성되어 유도홈(21)의 내측과 맞닿아지는 패킹(45)과,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홈(23)에 끼워지는 돌출부(47)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41)는 상부로 길게 형성되어져 일측에 관통되는 손잡이홈(42)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유도홈(21)에 끼워진 상태의 밀폐부(40)를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사용자가 손가락의 일부분을 삽입시켜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후, 갑작스런 밀폐부(40)의 분리로 인해 하부몸체(10)가 흔들려 내부의 소변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원활한 분리를 도모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밀폐부(40)의 외측 둘레에는 유도홈(21)의 내측과 맞닿아지는 패킹(45)이 구성되어, 미세한 틈까지 막아줌으로써 사용 후 하부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소변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패킹(45)은 다수개로 구성될 수가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하나로 구성되도록 도시하였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4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홈(23)에 끼워지는 배출홈(23)을 막음하는 돌출부(47)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47)는 소변유도부(20)의 배출홈(23)을 막아 배출홈(23)으로 새어나올 수 있는 악취 및 소변을 막아주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핵심인 밀폐부(40)는 종래에 완전한 밀폐가 되지 않는 하나의 밀폐구조를 통해 흔들림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뒤집힐 경우 소변의 외부로 유출되었던 것을 1차적인 구조와 더불어 소변유도부(20)의 유도홈(21)과 배출홈(23)을 동시에 막아 추가적으로 이중으로 밀폐시킴으로써, 휴대용 소변기의 흔들림 및 뒤집히는 현상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소변의 외부 유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밀폐부(40)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30)를 하부몸체(10)에 결합 시 상부몸체(30)의 내부 상측과 밀폐부(40)의 손잡이부(41)의 상측면이 상호 맞닿아지며 회전을 통해 밀폐부(40)가 유도홈(21)에 완전히 밀착되어 밀폐토록 하여 패킹(45)과 돌출부(47)가 유도홈(21)과 배출홈(23)에 완전히 밀착되어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41)의 상측 중앙부에는 홈부(43)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부몸체(30)의 내부 상측 중앙부에는 돌기(33)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30)를 결합 시 돌기(33)가 홈부(43)에 삽입되며 밀폐부(40)를 하부로 밀림시켜 상기 패킹(47)이 유도홈(21)의 내측에 완전히 밀착되게 함과 더불어 손잡이부(41)와 상부몸체(30)와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밀착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사용 시 상기 배출홈(23)을 통해 유도홈(21)과 더불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소변이 유도홈(21)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 후 밀폐부(40)와 상부몸체(10)의 순차적인 결합으로 상기 상부몸체(10)가 밀폐부(40)를 밀림시켜 완전한 이중 밀폐구조가 되어 소변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 후 신속한 세척이 이루어져 편리하게 세척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역류방지와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휴대용 소변기에 의하면, 휴대용 소변기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사용 시 배출홈(23)에 의해 하부몸체(10)에 소변이 채워질 시 그 안에 공기가 상기 배출홈(23)을 통해 배출되어 소변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 후 밀폐부(40)를 통해 배출홈(23)과 유도홈(21)을 완전히 막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부몸체(30)를 결합 시 상기 밀폐부(40)를 완전히 밀려짐으로써, 이중 밀폐를 통해 악취 및 소변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어 차량운행 중 갑작스런 생리현상, 야외 캠핑, 거동이 불편한 환자 등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 후 신속한 세척이 가능한 고안인 것이다.
10 : 하부몸체
20 : 소변유도부 21 : 유도홈 23 : 배출홈
30 : 상부몸체 33 : 돌기
40 : 밀폐부 41 : 손잡이부 42 : 손잡이홈 43 : 홈부
45 : 패킹 47 : 돌출부

Claims (3)

  1. 소변을 담아 저장하는 소변을 담아 저장하는 하부몸체(10); 상기 하부몸체(10)의 상부 내측과 결합 및 분리되되 중앙부에 유도홈(21)이 형성되는 소변유도부(20); 상기 하부몸체(10)의 상부 외측과 결합 및 분리되는 상부몸체(30); 로 구성되는 휴대용 소변기에 있어서,
    상기 소변유도부(20)의 내부 일측에는 상하부로 관통되는 배출홈(23)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홈(21)에 선택적으로 끼움 구성되되, 외측 둘레에 구성되어 유도홈(21)의 내측과 맞닿아지는 패킹(45)과,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홈(23)에 끼워지는 돌출부(47)로 구성되는 밀폐부(40)가 더 포함 구성되어,
    사용 시 상기 배출홈(23)에 의해 소변의 역류를 방지하며, 사용 후 밀폐부(40)와 상부몸체(10)의 순차적인 결합으로 상기 상부몸체(10)가 밀폐부(40)를 밀림시켜 완전한 이중 밀폐구조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와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휴대용 소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41)의 상측 중앙부에는 홈부(43)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30)의 내부 상측 중앙부에는 돌기(33)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30)를 결합 시 돌기(33)가 홈부(43)에 삽입되며 밀폐부(40)를 하부로 밀림시켜 상기 패킹(47)이 유도홈(21)의 내측에 완전히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와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휴대용 소변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40)는 상부로 연장되며 일측에 손잡이홈(42)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10)의 내부 상측과 맞닿아지는 손잡이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소변유도부(20)는 상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유도홈(21)은 상부에서 하부로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와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휴대용 소변기.








KR2020150000996U 2015-02-12 2015-02-12 역류방지와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휴대용 소변기 KR2004817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996U KR200481718Y1 (ko) 2015-02-12 2015-02-12 역류방지와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휴대용 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996U KR200481718Y1 (ko) 2015-02-12 2015-02-12 역류방지와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휴대용 소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904U true KR20160002904U (ko) 2016-08-22
KR200481718Y1 KR200481718Y1 (ko) 2016-11-16

Family

ID=5685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996U KR200481718Y1 (ko) 2015-02-12 2015-02-12 역류방지와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휴대용 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7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285Y1 (ko) 2017-04-24 2017-08-21 김희선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
CN107928526A (zh) * 2017-12-05 2018-04-20 宁波市创佳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便携式儿童尿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0003A (ja) * 2004-11-26 2006-06-15 Yoshio Mizumoto 携帯用小便器
KR101406324B1 (ko) * 2013-09-11 2014-06-12 주식회사 코코키즈 휴대용 소변기의 소변 역류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0003A (ja) * 2004-11-26 2006-06-15 Yoshio Mizumoto 携帯用小便器
KR101406324B1 (ko) * 2013-09-11 2014-06-12 주식회사 코코키즈 휴대용 소변기의 소변 역류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285Y1 (ko) 2017-04-24 2017-08-21 김희선 길이 조절식 통가죽 허리 벨트
CN107928526A (zh) * 2017-12-05 2018-04-20 宁波市创佳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便携式儿童尿壶
CN107928526B (zh) * 2017-12-05 2023-06-06 宁波市创佳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便携式儿童尿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718Y1 (ko)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2918A (zh) 用于尿道造口术器具的出口
US10568473B2 (en) Portable easyP urinal
JP2014521475A (ja) オストミー器具
WO2014152626A4 (en) Urine sample collection device
US20170156554A9 (en) Portable easyp urinal
KR101996872B1 (ko) 역류 방지 장치
KR200481718Y1 (ko) 역류방지와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휴대용 소변기
US20140338608A1 (en) Portable pet waste disposal device
US20140371699A1 (en) Closed ostomy bag system
JP2018519447A (ja) 悪臭及び逆流防止用排水案内装置
CN102026571A (zh) 便壶
JP6149185B2 (ja) 排泄物容器
US20200154960A1 (en) Portable easyp urinal
JPH07504340A (ja) 尿失禁症の人間及び尿路開口手術を受けた人間からの尿を収集するための収集バッグ並びに収集バッグ用の出口弁装置
KR101722098B1 (ko) 위생 변기 시트
KR101162288B1 (ko) 개폐볼을 이용한 역류 방지 소변기
KR101103351B1 (ko) 휴대용 소변기
KR102201281B1 (ko) 음식물 쓰레기 봉투
CN209636916U (zh) 下水器水封结构以及下水器
KR20090046409A (ko) 여성용 간이 소변기
KR200446370Y1 (ko) 야광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배변장치
KR200376525Y1 (ko) 간이 소변기용 깔대기
KR20190060088A (ko) 위생용 뚜껑
RU187151U1 (ru) Переносной мочесборник
KR200263489Y1 (ko) 휴대용 세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