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256Y1 - 가스버너 - Google Patents

가스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256Y1
KR200484256Y1 KR2020150007522U KR20150007522U KR200484256Y1 KR 200484256 Y1 KR200484256 Y1 KR 200484256Y1 KR 2020150007522 U KR2020150007522 U KR 2020150007522U KR 20150007522 U KR20150007522 U KR 20150007522U KR 200484256 Y1 KR200484256 Y1 KR 200484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gas
main body
cas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5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859U (ko
Inventor
이영길
Original Assignee
(주)신조로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조로스타 filed Critical (주)신조로스타
Priority to KR2020150007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256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8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8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2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2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solely by flame
    • F24C3/027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4Spillage trays or gro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 측에는 작동스위치가 장착되는 버너 케이스; 상기 버너 케이스의 수용공간 중앙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가스통로가 형성되는 버너 본체; 상기 버너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가스 배출공이 형성되는 가스분사노즐; 상기 버너 본체에 일 측이 고정결합되고 반대 측은 버너 케이스와 고정결합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일 측이 버너 본체와 연결되고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관; 상기 버너 케이스의 작동스위치와 연결되고 가스분사노즐의 가스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에 불꽃을 공급하는 가스 점화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버너 본체를 고정하는 고정브라켓을 측면에 장착하면서 버너 본체와 가스분사노즐의 중앙을 관통형성하여 가스버너나 버너 케이스에 부착되는 음식물이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면서도 공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너 본체와 주변기기가 음식물에 오염되지 않으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스버너{Gas Burner}
본 고안은 가스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너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 하부면에는 구조물이 부착되지 않도록 가스버너의 구조를 개선하여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위생상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가스버너에 관한 것이다.
음식점 등과 같은 업소에서는 단시간에 많은 양의 조리를 하여야 하므로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스버너와 달리 화력이 강한 업소용 가스버너가 사용된다.
종래의 업소용 가스버너는 내부에 가스통로가 형성된 버너본체와, 상기 버너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통로로 공급되는 가스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버너본체에 결합된 국물받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업소용 가스버너는 강한 화력을 제공하여야 하므로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가스가 상당히 빠른 속도로 분사된다.
한편, 종래의 가스버너를 이용해 조리를 하는 경우에 음식물이 조리용기에서 끓어 넘치면 상기 국물받이에 의해 국물이 분사노즐 위로 떨어져서 불꽃이 꺼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종래의 가스버너는 버너본체를 고정하는 지지대가 하부에 고정설치됨에 따라서 끓어 넘치는 음식물 중의 일부가 버너 내부로 낙하되어 버너와 버너가 거치되 조리대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음식물이 버너 내부로 낙하되면, 버너 및 조리대가 지저분해서 미관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세균이 쉽게 번식되므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의 가스버너는 음식물이나 기름이 하부에 위치한 지지대나 하부로 낙하되면, 하부에 고정된 지지대로 인하여 음식물이나 기름을 제거하기 어려우면서 음식물이나 기름때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 버너에는 가스공급관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버너를 이동시키기가 곤란하여 버너 및 버너조리대에 묻은 국물을 제거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143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95670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버너 본체를 고정하는 고정브라켓을 측면에 장착하면서 버너 본체와 가스분사노즐의 중앙을 관통형성하여 가스버너나 버너 케이스에 부착되는 음식물이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면서도 공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버너 케이스와 고정브라켓에 각각 형성되는 탄성부재와 지지링을 통해 기름받이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고안인 가스버너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 측에는 작동스위치가 장착되는 버너 케이스; 상기 버너 케이스의 수용공간 중앙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가스통로가 형성되는 버너 본체; 상기 버너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가스 배출공이 형성되는 가스분사노즐;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일 측이 버너 본체와 연결되고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관; 상기 버너 케이스의 작동스위치와 연결되고 가스분사노즐의 가스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에 불꽃을 공급하는 가스 점화기;를 포함하는 가스버너로서, 상기 버너 본체에 일 측이 고정결합되고 반대 측은 버너 케이스와 고정결합되는 고정브라켓을 구비하여, 버너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 하부면에는 구조물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가스 공급관을 고정 및 지지하는 관 고정홈이 형성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내측 전·후 동일선상에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면서 끝단에 형성되는 본체 연결부재가 버너 본체와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 상기 수평부의 외측 전·후 동일선상에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면서 버너 케이스에 고정결합되는 케이스 결합부; 상기 수평부의 일 측에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면서 가스 점화기를 고정 및 지지하는 점화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 결합부의 내측에는 기름받이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지지링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너 케이스의 하부 중앙에는 기름받이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가 간격을 두고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너 본체의 상부와 가스분사노즐은 내측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버너 본체를 고정하는 고정브라켓을 측면에 장착하면서 버너 본체와 가스분사노즐의 중앙을 관통형성하여 가스버너나 버너 케이스에 부착되는 음식물이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면서도 공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너 본체와 주변기기가 음식물에 오염되지 않으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너 케이스와 고정브라켓에 각각 형성되는 탄성부재와 지지링을 통해 기름받이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가스버너의 상부에 배치되는 불판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버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버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버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버너를 구성하는 버너 본체와 가스분사노즐 및 고정브라켓을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버너를 구성하는 고정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버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버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버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버너를 구성하는 버너 본체와 가스분사노즐 및 고정브라켓을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버너를 구성하는 고정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원고안인 가스버너(100)는 버너 케이스(200), 버너 본체(300), 가스분사노즐(400), 고정브라켓(500), 가스 공급관(600), 가스 점화기(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버너 케이스(200)는 소정의 지름과 크기를 가지면서 상부는 개방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210)이 형성되며, 일 측에는 설치장착공(220)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설치장착공(220)의 동일선상에는 작동 스위치(230)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버너 케이스(200)는 도시된 도면과 같은 원형 형상 이외에도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사각형, 다각형, 타원형 등의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즉 상기 버너 케이스(200)는 상부가 개방되는 원형 바구니 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210)을 형성하고, 일 측에는 가스 공급관(600)과 가스 점화기(700)의 설치와 함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설치장착공(220)을 형성하며, 상기 가스 공급관(600)과 가스 점화기(700)가 설치되는 설치장착공(220)이 형성되는 방향에는 가스 점화와 불꽃 조절을 위하여 작동스위치(230)를 장착한 것이다.
상기 버너 본체(300)는 버너 케이스(200)의 수용공간(210) 중앙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가스통로(3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버너 본체(300)는 가스 공급관(600)과 연결되어 상기 가스 공급관(600)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본원고안에서 상기 버너 본체(300)는 링 형상으로 상부가 내측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공(320)이 형성된다.
상기 가스분사노즐(400)은 버너 본체(300)의 상부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가스가 배출되는 다수개의 가스 배출공(410)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원고안에서 상기 가스분사노즐(400)은 내측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공(420)이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가스분사노즐(400)은 버너 본체(3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버너 본체(300)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를 가스 배출공(41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면서도 음식물의 조리시 흘러내리는 음식물을 관통공(420)을 통해 하부에 위치하는 기름받이(800)로 낙하시켜 음식물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가스 배출공(41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브라켓(500)은 버너 본체(300)에 일 측이 고정결합되고 반대 측은 버너 케이스(200)와 고정결합된다. 고정브라켓(500)이 버너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 하부면에 부착되지 않고 버너 본체의 일 측에 결합됨으로 인하여 하부면에는 어떠한 구조물도 부착되지 않은 상태가 되어 하부면의 청소 및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브라켓(500)은 가스분사노즐(400)이 장착되는 버너 본체(300)를 버너 케이스(200)의 수용공간(210) 중앙에 배치시키면서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500)은 상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가스 공급관(600)을 고정 및 지지하는 관 고정홈(512)이 형성되는 수평부(510)와, 상기 수평부(510)의 내측 전·후 동일선상에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면서 끝단에 형성되는 본체 연결부재(522)가 버너 본체(300)와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520)와, 상기 수평부(510)의 외측 전·후 동일선상에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면서 버너 케이스(200)에 고정결합되는 케이스 결합부(530)와 상기 수평부(510)의 일 측에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면서 가스 점화기(900)를 고정 및 지지하는 점화고정부(540)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브라켓(500)은 길이방향으로 관 고정홈(512)이 형성되는 수평부(510)의 내측으로 버너 본체(300)와 고정결합되는 본체 결합부(520)를 수직방향으로 절곡형성하고, 외측에는 버너 케이스(200)와 고정결합되는 케이스 결합부(530)를 수직방향으로 절곡형성하며, 상기 수평부(510)의 일 측에는 가스 점화기(900)의 고정을 위하여 점화고정부(540)를 절곡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500)은 버너 본체(300) 및 버너 케이스(200)에 나사 등과 체결구 이외에도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음을 밝힌다.
아울러 상기 수평부(510)에 형성되는 관 고정홈(512)은 도시된 도면과 같은 형상으로 제작된다.
상기 가스 공급관(600)은 고정브라켓(5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공급받은 가스를 내부에 위치하는 버너 본체(300)에 공급하게 된다.
즉 상기 가스 공급관(600)은 고정브라켓(500)을 구성하는 수평부(510)의 관 고정홈(512)에 배치되면서 일 측이 버너 본체(300)에 연결되고 반대 측이 가스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공급관(600)은 상기 고정브라켓(500)의 고정과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납작하게 형성된다.
상기 가스 점화기(700)는 버너 케이스(200)의 작동스위치(230)와 연결되고 가스분사노즐(400)의 가스 배출공(410)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에 불꽃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본원고안에서 상기 가스 점화기(700)는 고정브라켓(500)의 점화고정부(540)에 고정장착되어 상기 가스분사노즐(400)의 가스 배출공(410)에 안정적으로 불꽃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본원고안에 의한 가스버너의 상부에는 불판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불판은 깔데기 형상으로 중앙부분이 낮아서 기름이 중앙으로 모이는 형태이며, 상기 중앙부분에는 기름배출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름배출공은 관통공(420)을 통과하여 하부로 기름을 배출시키게 되는데, 본원고안에 의한 가스버너는 이렇게 배출되는 기름을 모으는 기름받이(800)가 관통공(420)의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름받이(800)의 설치를 위하여 도 5와 같이 고정브라켓(500)의 일측에는 지지링(550)이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지지링(550)은 본체 결합부(520)와 일체로 형성되어 가스버너(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불판의 기름배출공(미도시)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수집하는 기름받이(800)가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에도 내부공간의 하부면에는 어떠한 구조물도 설치되지 않으므로, 청소 및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다시 한 번 설명하면, 상부는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210)이 형성되며, 일 측에는 설치장착공(220)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설치장착공(220)의 동일선상에 작동스위치(230)가 설치되는 버너 케이스(200)와, 링 형상으로 상부가 내측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공(320)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가스통로(310)가 형성되며 상기 버너 케이스(200)의 수용공간(210) 중앙에 배치되는 버너 본체(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버너 본체(30)의 상부에 장착되도록 상부가 내측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공(420)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210)의 하부면과 수직이 되도록 관통되면서 상기 버너 본체(300)의 상부보다 높게 돌출되고 상부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가스 배출공(410)을 포함하는 가스분사노즐(400)과 상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가스 공급관(600)이 끼워져 고정 및 지지하는 관 고정홈(512)이 형성되며, 외측의 폭이 내측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수평부(510)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부(510)의 내측 전·후 동일선상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형성되고 끝단은 다시 수평부(510)와 수평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는 본체 연결부재(522)가 버너 본체(300)와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520), 상기 수평부의 외측 전·후 동일선상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형성되면서 버너 케이스(200)에 고정결합되는 케이스 결합부(530), 내 외측과 수직을 이루는 상기 수평부(510)의 일 측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형성되고 끝단은 다시 수평부(510)와 수평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되 상기 본체 결합부(520) 및 상기 케이스 결합부(530) 보다 짧게 형성되어 점화기(700)를 고정 및 지지하는 점화고정부(540) 및 상기 본체 결합부(520)의 내측에는 기름받이(80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링(5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정브라켓(5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500)의 상기 관 고정 홈(512)에 맞닿아 고정되도록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납작하게 고정돌부(610)가 형성되며, 일 측이 버너 본체(300)와 연결되고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관(600) 및 상기 버너 케이스(200)의 작동스위치(230)와 연결되고 가스분사노즐(400)의 가스 배출공(410)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에 불꽃을 공급하는 가스 점화기(700)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 배출공(41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화력을 제공하며, 버너 케이스(200)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210) 하부면에는 구조물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또한 기름받이는 지지링으로 설치되지 않더라도, 상기 버너 케이스(200)의 하부 중앙에는 도시된 도 3과 같이 가스버너(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불판의 기름배출공(미도시)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수집하는 기름받이(800)가 착·탈 가능하도록 탄성부재(240)가 장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버너 케이스(200)는 버너 본체(300)가 장착되는 하부에 간격을 두고 탄성부재(240)를 장착하여 기름받이(800)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버너 케이스(200)에 장착되는 탄성부재(240)와 기름받이(800)의 크기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스버너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지름과 크기를 가지면서 상부는 개방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210)이 형성되며, 일 측에는 설치장착공(220)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설치장착공(220)의 동일선상에는 작동 스위치(230)가 장착되는 버너 케이스(20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버너 케이스(200)를 구성하는 작동 스위치(230)가 장착되는 설치장착공(220)에 상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가스 공급관(600)을 고정 및 지지하는 관 고정홈(512)이 형성되는 수평부(510)와, 상기 수평부(510)의 내측 전·후 동일선상에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면서 끝단에 형성되는 본체 연결부재(522)가 버너 본체(300)와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520)와, 상기 수평부(510)의 외측 전·후 동일선상에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면서 버너 케이스(200)에 고정결합되는 케이스 결합부(530)와 상기 수평부(510)의 일 측에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면서 가스 점화기(900)를 고정 및 지지하는 점화고정부(540)와, 상기 본체 결합부(520)의 내측에 형성되는 지지링(550)이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브라켓(50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브라켓(500)의 본체 결합부(520)에 링 형상으로 내부에 가스통로(310)가 형성되고 상부는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중앙으로 관통공(320)이 형성되는 버너 본체(30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버너 본체(300)의 상부로 내부에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가스 배출공(410)이 형성되고 내측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중앙에는 관통공(420)이 형성되는 가스분사노즐(40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브라켓(500을 구성하는 수평부(510)의 상부로 일 측이 버너 본체(300)에 연결되고 반대 측은 가스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는 가스 공급관(60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500)의 상부로 일 측이 버너 케이스(200)의 작동스위치(230)와 연결되고 반대 측이 점화고정부(540)에 고정되는 가스 점화기(700)를 장착하면 가스버너(10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스버너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스버너(1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가스버너(100)의 상부로 기름배출공이 구비된 불판을 안착시킨 후, 상기 버너 케이스(200)의 일 측에 장착되는 작동 스위치(230)를 일 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가스 점화기(700)는 연동작동하여 불꽃을 가스분사노즐(400)의 가스 배출공(410)에 공급하고, 상기 가스 공급관(600)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버너 본체(300)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 공급관(600)과 버너 본체(300)의 사이에는 작동 스위치(230)의 작동시 연동작동하는 공지된 밸브가 장착됨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버너 본체(300)에 공급되는 가스는 가스통로(310)를 거쳐 상기 가스분사노즐(400)의 가스 배출공(410)을 통해 분사되면서 가스 점화기(700)에서 공급되는 불꽃에 의하여 화력을 불판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불판을 통해 음식물이 조리되면서 발생하는 기름배출공을 통해 고정브라켓(500)의 지지링(550)에 장착되는 기름받이(800)에 수집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버너(100)를 통한 음식물의 조리 후 상기 가스버너(100)를 정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버너 케이스(200)의 일 측에 장착되는 작동 스위치(23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면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가스버너(100)를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가스버너(100)에 안착되는 불판을 제거한 후. 상기 고정브라켓(500)의 지지링(550)에 장착된 기름받이(800)를 제거한 다음, 상기 버너 케이스(200), 버너 본체(300), 가스분사노즐(400)를 간단하게 세척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가스버너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가스버너, 200 : 버너 케이스,
210 : 수용공간, 220 : 설치장착공,
230 : 작동 스위치, 300 : 버너 본체,
310 : 가스통로, 320 : 관통공,
400 : 가스분사노즐, 410 : 가스 배출공,
420 : 관통공, 500 : 고정 브라켓,
510 : 수평부, 520 : 본체 결합부,
530 : 케이스 결합부, 540 : 점화고정부,
600 : 가스 공급관, 700 : 가스 점화기.

Claims (5)

  1. 상부는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210)이 형성되며, 일 측에는 설치장착공(220)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설치장착공(220)의 동일선상에 작동스위치(230)가 설치되는 버너 케이스(200);
    링 형상으로 상부가 내측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공(320)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가스통로(310)가 형성되며 상기 버너 케이스(200)의 수용공간(210) 중앙에 배치되는 버너 본체(300);
    상기 버너 본체(300)의 상부에 장착되도록 상부가 내측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공(420)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210)의 하부면과 수직이 되도록 관통되면서 상기 버너 본체(300)의 상부보다 높게 돌출되고 상부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가스 배출공(410)을 포함하는 가스분사노즐(400);
    상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가스 공급관(600)이 끼워져 고정 및 지지하는 관 고정홈(512)이 형성되며, 외측의 폭이 내측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수평부(510)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부(510)의 내측 전·후 동일선상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형성되고 끝단은 다시 수평부(510)와 수평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는 본체 연결부재(522)가 버너 본체(300)와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520), 상기 수평부의 외측 전·후 동일선상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형성되면서 버너 케이스(200)에 고정결합되는 케이스 결합부(530), 내 외측과 수직을 이루는 상기 수평부(510)의 일 측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형성되고 끝단은 다시 수평부(510)와 수평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되 상기 본체 결합부(520) 및 상기 케이스 결합부(530) 보다 짧게 형성되어 점화기(700)를 고정 및 지지하는 점화고정부(540) 및 상기 본체 결합부(520)의 내측에는 기름받이(80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링(5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정브라켓(500);
    상기 고정브라켓(500)의 상기 관 고정 홈(512)에 맞닿아 고정되도록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납작하게 고정돌부(610)가 형성되며, 일 측이 버너 본체(300)와 연결되고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관(600); 및
    상기 버너 케이스(200)의 작동스위치(230)와 연결되고 가스분사노즐(400)의 가스 배출공(410)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에 불꽃을 공급하는 가스 점화기(700);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 배출공(41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화력을 제공하며, 버너 케이스(200)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210) 하부면에는 구조물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50007522U 2015-11-19 2015-11-19 가스버너 KR2004842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522U KR200484256Y1 (ko) 2015-11-19 2015-11-19 가스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522U KR200484256Y1 (ko) 2015-11-19 2015-11-19 가스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859U KR20170001859U (ko) 2017-05-29
KR200484256Y1 true KR200484256Y1 (ko) 2017-08-30

Family

ID=59021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522U KR200484256Y1 (ko) 2015-11-19 2015-11-19 가스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25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033B1 (ko) 2005-04-07 2007-03-27 옥재섭 가열솥이 내장된 구이기
JP2007330511A (ja) * 2006-06-15 2007-12-27 Joy Tec Kk ガスコンロ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0216U (ko) * 1986-11-10 1988-10-03
KR100495670B1 (ko) 2002-09-19 2005-06-1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상업용 가스밥솥의 버너
KR100841430B1 (ko) 2007-05-22 2008-06-26 박명선 고화력 이중 버너헤드를 갖는 가스버너
KR20090006759U (ko) * 2007-12-31 2009-07-03 동양매직 주식회사 조립 구조가 개선된 가스 레인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033B1 (ko) 2005-04-07 2007-03-27 옥재섭 가열솥이 내장된 구이기
JP2007330511A (ja) * 2006-06-15 2007-12-27 Joy Tec Kk ガスコン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859U (ko) 201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2391B2 (en) Range exhaust cleaning system
RU2380614C2 (ru) Газовая горелк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бытовых устройств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WO2013064328A1 (en) Gas burner assembly, gas cooking hob and gas burner appliance
KR200476302Y1 (ko) 거품넘침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뚜껑
KR200484256Y1 (ko) 가스버너
KR101035696B1 (ko) 고효율 가스 버너
US7363923B2 (en) cooking range assembly and monolithic drip pan
KR20160070458A (ko) 업소용 식기 세척기의 측판 커버 구조
CN209877016U (zh) 一种燃烧器清洗系统及燃气灶
KR20170000153U (ko) 가스버너 설치대의 열전달 차단 구조물
US20120186610A1 (en) Cleaning Device for a Portioning Utensil
KR101403633B1 (ko) 후드용 금속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후드
KR102178221B1 (ko) 로스터 일회용 석쇠 고정장치
KR101304973B1 (ko) 연도를 통한 응축수 유입 방지기능을 갖는 온수기 내장형 식기세척기
JP2017086187A (ja) 食器、調理器具又は食材の洗浄乾燥方法と同法に用いる洗浄乾燥具
CN101881468B (zh) 一种燃气灶
KR200421603Y1 (ko) 주방기구용 가스버너
KR100730576B1 (ko) 휴대용 가스렌지
CN217329886U (zh) 一种分隔保洁的嵌入沉潜式家用燃气灶
CN216534897U (zh) 一种具有发热盘的内胆结构及蒸制烹饪装置
US20190008356A1 (en) Dish washer
JP2012098025A (ja) コンロ装置及びコンロ装置を利用する暖房機
CN210014413U (zh) 吸油烟机的接油嘴及吸油烟机
CN210153884U (zh) 一种具有凸型架座的灶具
KR20180051780A (ko) 기름튀김방지용 다용도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