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302Y1 - 거품넘침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뚜껑 - Google Patents
거품넘침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뚜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6302Y1 KR200476302Y1 KR2020140001971U KR20140001971U KR200476302Y1 KR 200476302 Y1 KR200476302 Y1 KR 200476302Y1 KR 2020140001971 U KR2020140001971 U KR 2020140001971U KR 20140001971 U KR20140001971 U KR 20140001971U KR 200476302 Y1 KR200476302 Y1 KR 20047630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am
- lid
- container
- hole
- moun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의 뚜껑에 거품의 넘침을 방지하는 망체를 탈부착이 가능하게 장착하고, 또한 용기로부터 발생되는 냄새와 습기를 뚜껑에 연결되는 관체에 의해 후드쪽으로 유도하여 배출하도록 한 거품넘침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뚜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거품넘침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뚜껑은, 용기뚜껑의 하부면에서 아랫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돌출되도록 설치된 탄성후크; 그릇 형태로 된 망체의 상단에 상기 탄성후크에 걸릴 수 있도록 상단고리부가 형성된 거품망; 상기 용기뚜껑에 관통되어 형성된 장착구멍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장착구멍과 연통되도록 증기배출공이 관통되어 형성된 장착부; 금속관체로 되고, 상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굴절되어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장착부의 증기배출공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된 증기유도관;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거품넘침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뚜껑은, 용기뚜껑의 하부면에서 아랫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돌출되도록 설치된 탄성후크; 그릇 형태로 된 망체의 상단에 상기 탄성후크에 걸릴 수 있도록 상단고리부가 형성된 거품망; 상기 용기뚜껑에 관통되어 형성된 장착구멍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장착구멍과 연통되도록 증기배출공이 관통되어 형성된 장착부; 금속관체로 되고, 상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굴절되어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장착부의 증기배출공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된 증기유도관;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을 가열할 때 발생하는 거품이 용기의 외측으로 넘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증기와 냄새를 후드쪽으로 유도하여 배출하도록 한 거품넘침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뚜껑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또는 빨래를 삶을 때 많은 거품이 발생하며, 이러한 거품은 냄비나 솥 등의 용기 내부에서 부풀어 오르게 되고, 그 압력에 의해 뚜껑이 들려 용기 외측으로 넘쳐 흐르게 된다.
이로인해 용기가 지저분해지고, 거품에 의해 가스 버너가 소화되어 가스누출사고의 위험성도 커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0284463호에서는 도1에서와 같이 원통형 본체용기(10)와 이의 내부에 순환수통로(1)가 형성되게 안착되어 다수의 세제수 회수공(2)(2')과 분출공(3)(3')을 측저부에 관통시킨 보조용기(20)와 이의 상부에 손잡이꼭지(4)가 부착된 투명의 뚜껑(30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본체용기(10)의 상부 내측으로 단설된 재치단(5)에 재치되는 보조용기 재치대(6)의 상방에 외기와 접촉되는 거품집수부(7)를 형성하여 그 저면에 순환수통로(1)와 연통되는 거품회수공(8)(8')을 다수개 관통시키고, 보조용기(20)의 상부 주면에는 상기 거품집수부(7)와 연통되는 거품분출공(9)(9')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관통시켜 구성된 빨래 삶는 용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본체용기(10) 외에 별도의 보조용기(20)를 구비하여야 하며, 빨래를 삶을 때에 발생하는 수증기나 음식을 조리할 때의 냄새가 실내에 남아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용기의 뚜껑에 거품의 넘침을 방지하는 망체를 탈부착이 가능하게 장착하고, 또한 용기로부터 발생되는 냄새와 습기를 뚜껑에 연결되는 관체에 의해 후드쪽으로 유도하여 배출하도록 한 거품넘침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뚜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거품넘침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뚜껑은,
용기뚜껑에 있어서,
용기뚜껑의 하부면에서 아랫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돌출되도록 설치된 탄성후크;
그릇 형태로 된 망체의 상단에 상기 탄성후크에 걸릴 수 있도록 상단고리부가 형성된 거품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음식물이나 빨래를 가열할 때 발생하는 거품이 용기의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변이 지저분해지거나 버너가 거품에 의해 소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가열시 발생하는 수증기와 냄새를 후드쪽으로 유도하여 배출함으로써 실내에 퍼지지 않아 쾌적한 실내환경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의 빨래 삶는 용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품넘침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뚜껑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3은 본 고안의 결합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품넘침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뚜껑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6은 도5의 결합 단면도.
도7은 사용 상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품넘침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뚜껑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3은 본 고안의 결합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품넘침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뚜껑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6은 도5의 결합 단면도.
도7은 사용 상태도.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의 분해 구조를 보인 도로서, 뚜껑(100)은 아랫방향으로 둥그런 돔 형태의 돔부(110)를 가지며, 금속재, 강화유리, 법랑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며, 그 중심부위에는 관통된 장착구멍을 갖는다.
상기 장착구멍(111)에는 장착부(130)가 고정되어 장착되는데, 상기 장착부(130)는 장착구멍(111)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관통된 증기배출공(1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부(130)는 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지도록 연장된 손잡이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130)는 뚜껑(100)의 상측에 위치하고, 뚜껑(100)의 하측에는 하부결합부(140)가 위치하여 장착부(130)와 결합됨으로써 고정시키게 되는데, 하부결합부(140)는 가운데 부분에 증기배출공(141)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장착구멍(111)에 삽입되는 크기를 가짐과 아울러 하단은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장착구멍(111)으로부터 상측으로 이탈이 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3에서와 같이 결합볼트(142)가 하부결합부(140)의 하측으로부터 체결되어 뚜껑(100)을 사이에 두고 장착구멍(111)을 통해 장착부(130)와 결합된다.
상기 장착부(130)의 증기배출공(131)에는 증기유도관(150)의 하측이 삽입되어 장착되는데, 증기유도관(150)은 내열성이 강한 재질인 금속관체로 굴절되어 형성되며, 증기배출공(131)에 끼워지는 부위는 수직형태로 형성되고, 이후 상향경사진 형태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향경사진 부위의 상측은 다시 수직형태로 형성된다.
즉, 증기유도관(150)의 일부분은 상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위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증기유도관(150)의 하측은 도3에서와 같이 증기배출공(131)에 360°로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된다.
즉, 증기배출공(131)이 원형이고, 또한 증기유도관(150)의 단면이 원형이라면 증기유도관(150)은 증기배출공(131)의 내측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부결합부(140)의 증기배출공(141), 장착부(130)의 증기배출공(131), 그리고 증기유도관(150)이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증기배출공(131)의 내측 하단에는 걸림턱(132)이 형성되어 상기 증기유도관(150)의 하단이 이에 걸림으로써 결합볼트(142)가 체결되는 두께를 확보함과 아울러 증기유도관(150)이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증기유도관(150)에는 증기의 배출시에 뜨거운 열기에 의해 증기유도관(150)이 가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방향을 바꾸고자 증기유도관(150)을 만지게 되면 화상의 위험이 있으므로, 일부분에 실리콘으로 외측부위가 도포된 파지부(151)가 형성된다.
실리콘은 내열성이 뛰어나고 열전도도가 낮으므로 사용자는 맨손으로 잡고 증기유도관(150)을 장착부(130)로부터 제거하거나 방향을 바꿀수 있는 것이다.
또한 뚜껑(100)에는 가장자리 둘레 부위를 따라서 일정간격마다 관통된 고정구멍(1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구멍(112)의 하측으로는 탄성후크(170)가 위치하여 볼트(172)에 의해 고정되도록 체결된다.
즉, 탄성후크(170)의 상단은 뚜껑(100)의 하부면에 밀착되면서 그 밀착되는 부위에 체결공(171)이 형성되어 있어서, 도3에서와 같이 뚜껑(100)의 고정구멍(112)과 체결공(171)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볼트(172)와 너트(173)에 의해 뚜껑(100)의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거품망(160)은 바구니 형태로 된 망체(162)를 구비하고, 상기 망체(162)의 상단에는 상기 탄성후크(170)에 걸릴 수 있도록 상단고리부(161)가 구비되는데, 이때 상단고리부(161)는 링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도3에서와 같이 상단고리부(161)를 각 탄성후크(170)에 걸어서 거품망(160)을 장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탄성후크(170)로부터 이탈시켜 제거할 수 있다.
도4에서와 같이 렌지(181)의 상부에 구비된 버너(182)에 용기(180)를 올려놓은 다음 음식물이나 빨래를 가열하게 되면 거품이 발생하고, 부풀어 오르는 거품이 거품망(160)으로 유입되면서 잘게 쪼개져 분해되어 소실되며, 가열시에 발생되는 증기와 냄새는 증기유도관(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증기유도관(150)의 상측부위를 후드(183)의 배기팬(184)의 하측에 근점하여 위치시키게 되면, 용기(180)로부터 발생된 냄새와 증기는 증기유도관(150)을 통해 배기팬(184)쪽을 배출되어 곧바로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실내로 퍼지지 않게 된다.
또한, 뚜껑(100)이 아랫방향으로 둥그런 돔 형태를 가짐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용기에 사용할 수 있으며, 용기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결국, 뚜껑(100)에 거품을 분해하는 거품망(160)을 탈부착이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뚜껑(100)을 열게 되면 거품망(160)까지 함께 들려져서 음식물이나 빨래를 손쉽게 용기로부터 꺼낼 수 있는 것이다.
도5 내지 도7까지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로서, 뚜껑(200)의 중심부위에는 관통된 장착구멍(210)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구멍(210)에는 장착부(230)가 고정되어 장착되는데, 상기 장착부(230)는 중심부에 증기배출공(236)이 상하관통되어 형성된 베이스(231)가 뚜껑(200)의 상측에 위치하고, 뚜껑(200)의 하측에는 하부결합부(240)가 위치하여 장착부(230)와 볼트(242)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고정시키게 된다.
하부결합부(240)는 가운데 부분에 증기배출공(241)이 관통되어 형성되면서, 상기 장착구멍(210)에 삽입되는 크기를 가짐과 아울러 하단은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장착구멍(210)으로부터 상측으로 이탈이 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6에서와 같이 결합볼트(242)가 하부결합부(240)의 하측으로부터 체결되어 뚜껑(200)을 사이에 두고 장착구멍(210)을 통해 장착부(230)와 결합된다.
이때, 베이스(231)는 장착구멍(210)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증기배출공(236)의 양측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부(232,2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32,234)에는 동일한 위치에 핀공(233,235)이 형성되어 있는데, 가급적 증기배출공(236)의 중심에 해당하는 부위의 상측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며, 증기유도관(260)의 하측이 지지부(232,234) 사이에 위치한 다음 핀(250)이 핀공(233,235)과 핀 관통공(261)을 관통하여 전후방향 즉, 지지부(232,234) 사이의 개방된 부위에서 전후방향으로 180°범위내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조유도관(270)은 절곡부(271)를 가져서 측방향으로 수증기의 배출경로를 유도하는 것으로, 증기유도관(260)의 상측으로 삽입되어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뚜껑(200)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고정구멍(21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멍(211)에는 탄성후크(290)가 하측방향으로 장착되어, 이에 거품망(280)이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된다.
그 기능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다.
도6은 이러한 도5의 결합 단면도로서, 하부결합부(240)의 증기배출공(241)과 장착부(230)의 증기배출공(236)이 서로 연통되며, 그 증기배출공(236)의 상측으로는 증기유도관(260)의 하단이 근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용기의 가열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는 증기배출공(241,236)을 통해 증기유도관(260)의 하측부로 유입되며, 이때 증기유도관(260)의 하측과 증기배출공(236)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공기가 증기유도관(260)으로 함께 유입된다.
이때 증기배출공(236)의 구경은 증기유도관(260)의 구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증기배출공(236)을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는 증기유도관(260)으로 쉽게 유입되며, 이러한 수증기의 흐름에 의해 외부공기도 함께 증기유도관(260)으로 빨려서 유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외부공기에 의해 증기유도관(260)의 내부를 이동하는 수증기는 냉각되어 물방울 형태로 증기유도관(260) 내측에 맺혀 낙하함으로써 다시 증기배출공(236,241)을 통해 용기내부로 유입되어 수분의 증발이 다소 억제되며, 냄새와 수증기 일부가 증기유도관(260)을 통해 배출된다.
증기유도관(260)의 상측으로 후드의 배기팬의 하측에 근접하여 위치시키게 되면 증기와 냄새는 실내로 퍼지지 않고 배출되며, 아울러 음식물이나 빨래의 가열시 발생하는 거품도 거품망(280)에 의해 외부로 넘치지 않게 된다.
도7은 증기유도관(260)의 하부 외측부위에 반구형태의 라운드부(265,266)가 돌출되어 형성된 구조를 보인 도로서, 증기배출관(236)의 상단을 개폐할 수 있도록 증기유도관(260)의 전후방에 각각 라운드부(265,266)가 형성된다.
라운드부(265,266)는 증기유도관(260)이 눕혀질 때 증기배출관(236)의 상단에 밀착되어 밀폐시키며, 증기유도관(260)이 세워지는 경우 증기배출관(236)을 개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의 보관시에는 증기배출관(236)을 밀폐시켜 이물질이 유입과 수분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가열시에는 증기배출관(236)을 개방시켜 냄새와 증기를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증기유도관(260)을 눕히게 되면, 뚜껑(200)의 손잡이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100 : 뚜껑 112 : 고정구멍
150 : 증기유도관 160 : 거품망
161 : 상단고리부 162 : 망체
170 : 탄성후크 171 : 체결공
150 : 증기유도관 160 : 거품망
161 : 상단고리부 162 : 망체
170 : 탄성후크 171 : 체결공
Claims (1)
- 용기뚜껑에 있어서,
용기뚜껑의 하부면에서 아랫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돌출되도록 설치된 탄성후크;
그릇 형태로 된 망체의 상단에 상기 탄성후크에 걸릴 수 있도록 상단고리부가 형성된 거품망;
용기뚜껑에 관통되어 형성된 장착구멍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장착구멍과 연통되도록 증기배출공이 관통되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증기배출공의 양측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부를 갖는 장착부;
관체로 되고, 상기 장착부의 지지부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단이 증기배출공에 근접하도록 설치되는 증기유도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증기유도관의 하부외측으로는 라운드되어 돌출된 라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의 증기배출공을 개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넘침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뚜껑.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1971U KR200476302Y1 (ko) | 2014-03-12 | 2014-03-12 | 거품넘침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뚜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1971U KR200476302Y1 (ko) | 2014-03-12 | 2014-03-12 | 거품넘침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뚜껑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6302Y1 true KR200476302Y1 (ko) | 2015-02-13 |
Family
ID=52593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1971U KR200476302Y1 (ko) | 2014-03-12 | 2014-03-12 | 거품넘침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뚜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6302Y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757884A (zh) * | 2015-04-13 | 2015-07-08 | 无锡夕阳康科技有限公司 | 一种简单的防溢锅盖 |
CN105942850A (zh) * | 2016-03-04 | 2016-09-21 | 上海新概念电器有限公司 | 一种改进的新型防溢锅 |
CN106963235A (zh) * | 2017-06-07 | 2017-07-21 | 朱贝康 | 一种防溢出的锅 |
CN107019424A (zh) * | 2017-06-07 | 2017-08-08 | 朱贝康 | 一种能够防止沸液浸出的锅 |
CN111493674A (zh) * | 2020-04-29 | 2020-08-07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烹饪器具的控制方法及烹饪器具 |
CN112244624A (zh) * | 2020-08-28 | 2021-01-22 | 江苏食品药品职业技术学院 | 一种蒸汽烹饪设备及其控制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20895A (ko) * | 2008-08-13 | 2010-02-23 | 이지행 | 폐카톤팩을 이용한 조리용기용 냄새확산방지 덮개부 |
KR200467703Y1 (ko) | 2012-07-30 | 2013-07-05 | (주) 랭코 | 조리기구 덮개 |
KR20140002186A (ko) * | 2012-06-28 | 2014-01-08 | 주식회사 엠엘씨 | 다기능을 가지는 프라이팬 커버 |
-
2014
- 2014-03-12 KR KR2020140001971U patent/KR20047630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20895A (ko) * | 2008-08-13 | 2010-02-23 | 이지행 | 폐카톤팩을 이용한 조리용기용 냄새확산방지 덮개부 |
KR20140002186A (ko) * | 2012-06-28 | 2014-01-08 | 주식회사 엠엘씨 | 다기능을 가지는 프라이팬 커버 |
KR200467703Y1 (ko) | 2012-07-30 | 2013-07-05 | (주) 랭코 | 조리기구 덮개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757884A (zh) * | 2015-04-13 | 2015-07-08 | 无锡夕阳康科技有限公司 | 一种简单的防溢锅盖 |
CN105942850A (zh) * | 2016-03-04 | 2016-09-21 | 上海新概念电器有限公司 | 一种改进的新型防溢锅 |
CN106963235A (zh) * | 2017-06-07 | 2017-07-21 | 朱贝康 | 一种防溢出的锅 |
CN107019424A (zh) * | 2017-06-07 | 2017-08-08 | 朱贝康 | 一种能够防止沸液浸出的锅 |
CN111493674A (zh) * | 2020-04-29 | 2020-08-07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烹饪器具的控制方法及烹饪器具 |
CN112244624A (zh) * | 2020-08-28 | 2021-01-22 | 江苏食品药品职业技术学院 | 一种蒸汽烹饪设备及其控制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6302Y1 (ko) | 거품넘침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뚜껑 | |
US20200029736A1 (en) | Method of Cooking Utilizing a Splatter Shield | |
JP2020501744A (ja) | 容器内に入れられた食物を蒸気加熱および/または蒸気調理するためのモジュラースチーマ付属品 | |
KR102402756B1 (ko) |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 |
KR20140001699U (ko) | 거품넘침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뚜껑 | |
KR200467826Y1 (ko) | 프라이팬 커버 | |
JP2019138618A (ja) | 調理庫の洗浄機能付き加熱調理器 | |
WO2017100983A1 (zh) | 双层蒸笼及蒸笼机 | |
US20080203095A1 (en) | Vapor-guiding lid for cookware | |
KR200475796Y1 (ko) | 직열구이냄비 | |
KR100893326B1 (ko) | 조리용기용 뚜껑 | |
KR200388274Y1 (ko) | 수막 제거수단을 구비한 조리용기 | |
JP2011147708A (ja) | 炊飯器 | |
JP5630762B2 (ja) | 調理容器およびその蓋 | |
JP2010246629A (ja) | 調理器具用蓋 | |
KR100973193B1 (ko) | 직화 오븐 | |
KR20110038987A (ko) | 오리지널 직화 오븐 | |
KR20130118128A (ko) | 조리용기의 증기회수식 덮개장치 | |
KR101206369B1 (ko) | 주방용 바람분사장치 | |
CN213075400U (zh) | 煮蛋器的蒸托组件及煮蛋器 | |
KR101012038B1 (ko) | 기름받이 어셈블리 및 오리지널 직화 오븐 | |
KR101017134B1 (ko) | 오리지널 직화 오븐 | |
KR20110000403U (ko) | 끓어넘침방지기능의 조리기구 | |
KR200261143Y1 (ko) | 빨래 삶는 가열통 | |
KR101131541B1 (ko) | 직화 조리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