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241Y1 - 일회용 앞치마 - Google Patents

일회용 앞치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241Y1
KR200484241Y1 KR2020170001324U KR20170001324U KR200484241Y1 KR 200484241 Y1 KR200484241 Y1 KR 200484241Y1 KR 2020170001324 U KR2020170001324 U KR 2020170001324U KR 20170001324 U KR20170001324 U KR 20170001324U KR 200484241 Y1 KR200484241 Y1 KR 2004842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cover
release
adhesive tape
disposable ap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이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filed Critical 이정호
Priority to KR2020170001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2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2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2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6Table-cloth or napkin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4Aprons; Fastening devices for apr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6Table-cloth or napkin holders
    • A47G2021/162Table-cloth or napkin holders employing adhe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힌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 용이하게 펼쳐서 부착할 수 있는 일회용 앞치마를 개시한다. 개시된 일회용 앞치마는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며, 접혀져 보관되는 커버부와, 커버부를 펼쳐서 사용자의 옷에 부착할 수 있도록 커버부에 구비되며, 커버부의 상측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접착부재가 동일한 이형지부재에 의해 커버되는 접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는 커버부의 접힌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 커버부를 파지하지 않고 이형부재를 파지하여 커버부를 전개할 수 있으므로, 전개시 커버부의 파손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일회용 앞치마{DISPOSABLE APRON}
본 고안은 일회용 앞치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힌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 용이하게 펼쳐서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앞치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앞치마는 음식을 조리하거나 시식할 때 또는 병원에서 환자를 다루거나 미술작업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자나 작업자의 옷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상 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앞치마는 직물이나 합성수지 등과 같은 소재로 제작되며, 사용자가 목에 걸어서 착용하고, 사용 후 오염되면 세탁하여 다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일반 식당 등과 같은 곳에서 음식을 먹는 과정에서 옷에 음식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앞치마를 착용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그런데, 식당에서 사용하는 앞치마는 주기적인 세탁이 어려워 매우 비위생적이어서 사용자가 사용을 꺼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일회용 앞치마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일회용 앞치마는, 사용자에게 부착을 위하여 구비되는 접착테이프를 쉽게 분리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접착테이프의 이형지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부위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4252호(등록일:2009년04월15일)에는 "일회용 앞치마"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커버부의 접힌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 커버부를 용이하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일회용 앞치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옷에 부착되는 접착부를 이형지를 파지하여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접착부에서 이형지를 분리할 때 접착부나 커버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앞치마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는,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며, 접혀져 보관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펼쳐 사용자의 옷에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의 상측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접착부재가 동일한 이형지부재에 의해 커버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부는, 상기 커버부를 펼칠 때 상기 이형부재를 파지하여 전개할 수 있도록 상기 이형부재가 상기 커버부 및 상기 접착부재의 외측으로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형부재는, 양면에 상기 접착부재가 각각 접촉되어 보호되도록 상기 접착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끝단부가 상기 커버부 및 상기 접착부재의 외측으로 노출하는 제1이형지와, 상기 제1이형지에 이웃하도록 상기 접착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양면에 상기 접착부재가 각각 접촉되며, 끝단부가 상기 커버부 및 상기 접착부재의 외측으로 노출하는 제2이형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형부재는, 상기 커버부 및 상기 접착부재의 외측으로 노출하는 제1파지부와, 상기 제1파지부와 분할된 상태로 상기 커버부 및 상기 접착부재의 외측으로 노출하는 제2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파지부는, 사용자가 상기 제2파지부와 구분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끝단으로 갈수록 넓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파지부는, 파지를 위하여 끝단으로 갈수록 넓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형부재는, 상기 접착부재와 접촉되는 부위에 분리라인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커버부의 접힌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 커버부를 파지하지 않고 접착부를 파지하여 커버부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펼쳐서 부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는, 사용자의 옷에 부착을 위하여 구비되는 접착부의 이형지를 쉽게 파지하여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접착부의 이형지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접착부나 커버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를 전개한 상태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의 접힘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를 전개고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의 이형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의 이형부재의 분리과정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를 전개한 상태를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의 접힘 과정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를 전개고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100)는, 음식물을 섭취할 때 용이하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접힌 상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100)는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는 커버부(110)와, 커버부(110)의 접힌 상태를 유지시키며 사용시 사용자의 옷에 접착되는 접착부(120)를 포함한다.
커버부(110)는 사용자의 가슴부위를 커버하도록 사각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비닐 등과 같은 합성수지나, 펄프 등과 같은 섬유에 의해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부(110)는 접힌 상태로 제공되며, 접착부(120)에 의해 접힌 상태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110)는 양측 상단부에 접착부(120)가 구비되고, 중앙의 제1접힘라인(111)에 의해 접힘에 따라 접착부(120)가 상호 접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커버부(110)는 제2접힘라인(113)에 의해 한 번 더 세로 방향으로 접혀진 후 제3접힘라인(115)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접혀져 보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부(110)가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커버부(110)를 원형, 마름모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100)는 접힌 상태로 제공되는 커버부(110)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착부(120)를 파지하여 펼칠 수 있도록 커버부(110)가 접힌 상태에서 접착부(120)의 일부분이 커버부(1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구체적으로, 접착부(120)는 접힌 상태로 제공되는 커버부(110)를 펼쳐서 사용자의 옷에 부착할 때 커버부(110)를 펼치는 과정에서 커버부(1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부(110)에 접합된다.
이러한 접착부(120)는 커버부(110)에 부착되는 접착부재(121)와, 접착부재(121)를 보호하기 위한 이형부재(123)를 포함하며, 이형부재(123)의 일부분이 커버부(110)와 접착부재(121)의 외부로 노출하게 된다.
즉, 접착부(120)는 이형부재(123)가 커버부(110) 및 접착부재(121)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어 사용자가 접혀져 있는 커버부(110)를 펼칠 때 커버부(110)를 파지하지 않고 이형부재(123)를 파지하여 전개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커버부(110)를 전개하는 과정에서 커버부(1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접착부재(121)는 커버부(110)의 상단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일면이 커버부(110)에 접합되고, 타면이 이형부재(123)에 의해 보호된다. 이러한, 접착부재(121)는 커버부(110)의 일측에 접합되는 제1접착테이프(121a)와, 제1접착테이프(121a)에 대응되도록 커버부(110)의 타측에 접합되는 제2접착테이프(121b)를 포함한다.
또한, 접착부재(121)는 제1접착테이프(121a)와 제2접착테이프(121b)가 동일한 이형부재(123)에 의해 커버된다. 즉, 접착부재(121)는 제1접착테이프(121a)가 이형부재(123)의 일면에 접촉되어 보호되고, 제2접착테이프(121b)가 이형부재(123)의 타면에 접촉되어 보호된다.
이형부재(123)는 제1접착테이프(121a)와 제2접착테이프(121b) 사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파지를 위하여 일단부가 제1접착테이프(121a)와 제2접착테이프(121b)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형부재(123)는 사용자가 커버부(110)를 전개할 때 제1접착테이프(121a)와 제2접착테이프(121b)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격시면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제1이형지(123a)와 제2이형지(123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형부재(123)는 제1이형지(123a)와 제2이형지(123b)가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며, 제1이형지(123a)에 의해 제1접착테이프(121a)와 제2접착테이프(121b)의 상단부가 보호되고, 제2이형지(123b)에 의해 제1접착테이프(121a)와 제2접착테이프(121b)의 하단부가 보호된다.
구체적으로, 제1이형지(123a)의 양면에 제1접착테이프(121a)와 제2접착테이프(121b)의 상단부가 각각 접촉되어 보호되고, 제2이형지(123b)의 양면에 제1접착테이프(121a)와 제2접착테이프(121b)의 하단부가 각각 접촉되어 보호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이형부재(123)는 제1이형지(123a) 및 제2이형지(123b)에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제1파지부(125)와 제2파지부(127)가 각각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이형지(123a) 및 제2이형지(123b)는 그 끝단부가 접착부재(121) 및 커버부(1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제1파지부(125)와 제2파지부(127)를 형성하게 된다.
즉, 제1파지부(125)의 끝단부가 접착부재(121) 및 커버부(1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제1파지부(125)를 형성하게 되고, 제2파지부(127)의 끝단부가 접착부재(121) 및 커버부(1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제2파지부(127)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이형부재(123)는 사용자가 제1파지부(125)와 제2파지부(127)를 각각 파지한 상태에서 커버부(110)가 전개되도록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벌려주면 제1이형지(123a)가 제1접착테이프(121a)에 부착된 상태로 제2접착테이프(121b)에서 먼저 분리된 후, 제1접착테이프(121a)에서 분리된다. 이때, 제2이형지(123b)도 제2접착테이프(121b)에 부착된 상태로 제1접착테이프(121a)에서 먼저 분리된 후, 제2접착테이프(121b)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제1이형지(123a) 및 제2이형지(123b)가 제1접착테이프(121a) 및 제2접착테이프(121b)에서 완전하게 분리되면 제1접착테이프(121a)와 제2접착테이프(121b)를 사용자의 옷에 접착하여 일회용 앞치마(100)를 착용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100)는 이형부재(123)가 제1이형지(123a)와 제2이형지(123b)로 분할되어 있어 제1이형지(123a)와 제2이형지(123b)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만 잡아당길 수 있다면 어떠한 방향으로 잡아당겨 커버부(110)를 전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커버부(110)에 접착부(120)가 접합된 상태에서 커버부(110)를 접어주면 제1접착테이프(121a) 및 제2접착테이프(121b)가 이형부재(123)에 접촉되면서 커버부(11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커버부(110)의 양측에 접합된 제1접착테이프(121a)와 제2접착테이프(121b)가 이형부재(123)의 양면에 각각 접촉되어 보호되도록 커버부(110)를 접어주면 일회용 앞치마(10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공된다.
이때, 이형부재(123)의 제1파지부(125) 및 제2파지부(127)는 커버부(110)와 접착부재(121)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접힌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일회용 앞치마(100)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지부(125)와 제2파지부(127)를 각각 파지한 상태에서 커버부(110)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제1파지부(125)와 제2파지부(127)를 잡아당기게 된다.
그러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부재(123)의 제1이형지(123a)가 제1접착테이프(121a)에 접합된 상태, 제2이형지(123b)가 제2접착테이프(121b)에 접합된 상태로 전개된다. 이후, 제1이형지(123a)와 제2이형지(123b)를 제1접착테이프(121a)와 제2접착테이프(121b)에서 완전하게 제거한 상태에서 제1접착테이프(121a)와 제2접착테이프(121b)를 사용자의 옷에 부착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100)는, 커버부(110)의 접힌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 커버부(110)를 파지하지 않고 이형부재(123)를 파지하여 커버부(110)를 전개할 수 있으므로, 커버부(110)를 전개할 때 커버부(1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1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형부재(123)의 제1파지부(125)와 제2파지부(127)를 각각 파지할 때 정확하게 구분하여 파지함은 물론 제1이형지(123a) 및 제2이형지(123b)를 접착부재(121)에서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이형부재(123)가 변형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의 이형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의 이형부재의 분리과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앞치마(100)는 이형부재(123)의 제1파지부(128) 및 제2파지부(129)가 끝단으로 갈수록 그 넓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형부재(123)는 제1이형지(123a) 및 제2이형지(123b)가 접착부재(121) 사이에서는 서로 접촉되고, 제1이형지(123a) 및 제2이형지(123b)에서 각각 연장형성되는 제1파지부(128) 및 제2파지부(129)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제1파지부(128) 및 제2파지부(129)가 명확하게 구분되므로, 사용자가 정확하게 구분하여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형부재(123)는 제1이형지(123a) 및 제2이형지(123b)가 접착부재(121)에서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제1이형지(123a) 및 제2이형지(123b)에 분리라인(130)이 각각 형성된다. 분리라인(130)은 제1이형지(123a) 및 제2이형지(123b)에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일회용 앞치마 110 : 커버부
120 : 접착부 121 : 접착부재
121a : 제1접착테이프 121b : 제2접착테이프
123 : 이형부재 123a : 제1이형지
123b : 제2이형지 125 : 제1파지부
127 : 제2파지부 130 : 분리라인

Claims (6)

  1.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며, 접혀져 보관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를 펼쳐 사용자의 옷에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의 상측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접착부재가 동일한 이형지부재에 의해 커버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형부재는, 양면에 상기 접착부재가 각각 접촉되어 보호되도록 상기 접착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끝단부가 상기 커버부 및 상기 접착부재의 외측으로 노출하는 제1이형지; 및
    상기 제1이형지와 이웃하도록 상기 접착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양면에 상기 접착부재가 각각 접촉되며, 끝단부가 상기 커버부 및 상기 접착부재의 외측으로 노출하는 제2이형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앞치마.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부재는, 상기 커버부 및 상기 접착부재의 외측으로 노출하는 제1파지부; 및
    상기 제1파지부와 분할되며, 상기 커버부 및 상기 접착부재의 외측으로 노출하는 제2파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앞치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지부 및 상기 제2파지부는, 파지를 위하여 끝단으로 갈수록 넓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앞치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부재는, 상기 접착부재와 접촉되는 부위에 분리라인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앞치마.
KR2020170001324U 2017-03-21 2017-03-21 일회용 앞치마 KR2004842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324U KR200484241Y1 (ko) 2017-03-21 2017-03-21 일회용 앞치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324U KR200484241Y1 (ko) 2017-03-21 2017-03-21 일회용 앞치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241Y1 true KR200484241Y1 (ko) 2017-08-17

Family

ID=60628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324U KR200484241Y1 (ko) 2017-03-21 2017-03-21 일회용 앞치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24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259Y1 (ko) * 2001-09-07 2002-04-22 동보케미칼산업(주) 양면테이프 부착한 옷버림방지용 네프킨
KR20110131851A (ko) * 2010-06-01 2011-12-07 최보규 일회용 앞치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259Y1 (ko) * 2001-09-07 2002-04-22 동보케미칼산업(주) 양면테이프 부착한 옷버림방지용 네프킨
KR20110131851A (ko) * 2010-06-01 2011-12-07 최보규 일회용 앞치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4623A (en) Disposable lint remover
US20070094766A1 (en) Disposable glove cartridge
US20030196290A1 (en) Fitted dusting-cleaning glove
KR200484241Y1 (ko) 일회용 앞치마
US20220110390A1 (en) Disposable sanitary mitts and dispensing device
JP2013133578A (ja) 手袋
JP3205493U (ja) 介護用把持具
KR101096315B1 (ko) 손가락 집게
WO2007117067A1 (en) A disposable napkin
KR200479545Y1 (ko) 일회용 앞치마
KR101847304B1 (ko) 한 손으로 착용하는 생리대
JP3186866U (ja) 洗髪用フェイスマスク
KR101758109B1 (ko) 일회용 앞치마
JP3232429U (ja) マスク
JP3160106U (ja) 指カバー
JP3139303U (ja) 首掛けエプロン
JP2022123799A (ja) ハンドカバー
KR200462382Y1 (ko) 장갑
KR20100049749A (ko) 일회용 장갑 및 이의 제조방법
JP3217251U (ja) 石鹸把持帯装着具並びに把持機能付き石鹸セット
KR200482555Y1 (ko) 일회용 앞치마
JP6917131B2 (ja) 包装袋
JP2006320699A (ja) 汚れ防止使い捨て指サック
TWM643099U (zh) 可夾扣擦手布的圍兜
JP3022584U (ja) 携帯用使い捨て把手帯付掃除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