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182Y1 - 인입식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침대 - Google Patents

인입식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182Y1
KR200484182Y1 KR2020130003378U KR20130003378U KR200484182Y1 KR 200484182 Y1 KR200484182 Y1 KR 200484182Y1 KR 2020130003378 U KR2020130003378 U KR 2020130003378U KR 20130003378 U KR20130003378 U KR 20130003378U KR 200484182 Y1 KR200484182 Y1 KR 2004841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bed
hinge member
fram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722U (ko
Inventor
윤성현
서현
신준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3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182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7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7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1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1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8Portable pocket clothes-holders attachable to trees, walls, t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4Furniture peculiar to vess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승조원 침실 내부에 배치된 모듈러 침대의 프레임에 인입방식의 고리형 옷걸이를 설치하고, 이를 사용시에 한정하여 외부로 돌출시키고 미사용시 침대 프레임의 내부공간으로 수납함으로써 유사시 승조원과 고리형 옷걸이 사이의 충돌에 따라 수반되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인입식 옷걸이를 개시한다.
전술한 인입식 옷걸이는 모듈러 침대(10)의 단부에 위치하고 내부로 오목한 형태의 수용 공간(16)을 형성한 프레임(14), 상기 수용 공간(16)에 대해 힌지부재(20)를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옷걸이(18), 및 상기 옷걸이(18)의 선회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수용 공간(16)과 상기 옷걸이(18)를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선(22)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인입식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침대{Retractable clothes hanger and bed with the same}
본 고안은 인입식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조원 침실용 모듈러 침대의 프레임에 대해 고리형 옷걸이를 인입방식으로 설치하여 사용시에 한정하여 외부로 돌출시킴으로써 긴급 상황에서 고리형 옷걸이와의 불필요한 충돌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을 해소할 수 있는 인입식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사용 목적으로 건조되는 함정은 특성상 기동성을 추구하기 때문에 경량화 정책을 적용받게 된다. 이에 따라 특정 계급, 예컨대 중사 이하의 승조원 침실은 면적이 좁게 설정되는 반면에 재실자는 격실당 대략 27명 정도로 과밀하기 때문에 좁은 격실 내에서 신속한 이동시 통로에 비치되는 각종 돌출물과의 충돌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게 된다.
즉, 군함의 격실은 신속한 승조원의 이동이 필요할 경우를 대비하여 통로상에 돌출물이 존재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접촉이나 충돌에 따른 찰과상 또는 자상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을 배제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군함에 있어 중사 이하의 승조원이 거주하는 침실은 3단의 모듈러 침대를 비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승조원의 옷을 보관하기 위해 침실 내 옷장을 비롯하여 고리형 옷걸이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고리형 옷걸이는 침실 통로의 격벽 혹은 가구 측면에 대해 각각 바닥으로부터 대략 1700mm 상부에 위치한 장소에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종래 군함에서 중사 이하의 승조원이 거주하는 침실은 3단 모듈러 침대의 설치로 인해 격실 내부의 통로가 매우 좁게 설정될 뿐만 아니라 침대 프레임의 측면이 통로의 역할을 담당할 수밖에 없다. 이 결과, 긴급 상황의 발생시 승조원들이 신속하게 이동할 때 통로를 향해 돌출된 구조물은 이동중인 승조원의 신체부위와의 접촉을 초래하여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종래 중사 이하의 승조원이 거주하는 침실의 제작은 모듈러 침대와 옷걸이를 각각 별도로 배치하는 설계를 통해 이루어지고, 이를 위해 각각의 설비들은 개별적으로 구매되어 납품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제작 방식은 구매와 설치 등에 소요되는 작업 시수를 필요 이상으로 소비하게 되므로 건조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관련 선행기술 없음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승조원 침실 내부에 배치된 모듈러 침대의 프레임에 인입방식의 고리형 옷걸이를 설치하고, 이를 사용시에 한정하여 외부로 돌출시키고 미사용시 침대 프레임의 내부공간으로 수납함으로써 유사시 승조원과 고리형 옷걸이 사이의 충돌에 따라 수반되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모듈러 침대를 비치한 승조원의 선실에 구비되는 인입식 옷걸이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침대의 단부에 위치하고 내부로 오목한 형태의 수용 공간을 형성한 프레임;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해 힌지부재를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옷걸이; 및
상기 옷걸이의 선회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옷걸이를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의 하면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옷걸이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선은 상기 수용 공간의 하면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힌지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모듈러 침대를 비치한 승조원의 선실에 구비되는 인입식 옷걸이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침대의 단부에 위치하고 내부로 오목한 형태의 수용 공간을 형성한 프레임;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해 힌지부재를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옷걸이; 및
상기 옷걸이의 선회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힌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옷걸이를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힌지부재의 축에 감겨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프레임의 상단 측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기재의 인입식 옷걸이를 구비한 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인입식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침대에 의하면, 승조원의 침실에 구비된 고리형 옷걸이에 대한 설치 구조를 침대 프레임의 상부에서 내부공간으로 인입 가능한 형태로 변경함으로써 긴급 상황시 이동하는 승조원과 고리형 옷걸이 사이에서 수반되는 충돌에 따른 각종 안전사고의 발생을 보다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승조원 침실의 제작에 있어, 침대와 옷걸이를 별도로 배치하도록 설계하고 각각의 설비들을 개별적으로 구매하여 설치하던 방식에서 인입식 고리형 옷걸이를 일체로 갖춘 모듈러 침대로 대체하여 일원화하여 구매 및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 시수의 절감과 함께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듈러 침대를 비치한 승조원의 선실에 구비되는 인입식 옷걸이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 구성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인입식 옷걸이의 수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주요 구성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인입식 옷걸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군함의 내부에서 특정 계급 이하의 승조원들의 거주를 목적으로 구비된 침실에 비치되는 침대는 3단 형태의 모듈러 침대(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듈러 침대(10)는 매트리스(12)와 이를 안착시켜 지지하기 위한 다층 구조물 형태의 프레임(14)을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14)은 상단 측부에 오목한 형태의 수용 공간(16)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공간(16)은 내부에 인입식 구조의 옷걸이(18)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인입식 구조의 옷걸이(18)는 상기 수용 공간(16) 내에서 힌지부재(20)를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상기 힌지부재(20)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옷걸이(18)의 선회 방향은 상기 수용 공간(16)의 하면부(16a)에서 상기 수용 공간(16)의 외부로 필요부위만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구간에 한정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힌지부재(20)는 상기 수용 공간(16)의 하면부(16a)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옷걸이(18)를 고정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옷걸이(18)의 선회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수용 공간(16)의 하면부(16a)와 상기 옷걸이(18)를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선(22)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지지선(22)은 양단부가 상기 수용 공간(16)의 하면부(16a)와 상기 힌지부재(20)의 배면부에 각각 고정되는 가늘고 긴 형태의 물품으로 상기 옷걸이(18)에 의해 지지되는 의복의 하중을 충분히 감안하여 적정의 장력을 가질 수 있는 소재로 선정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프레임(14)의 수용 공간(16) 내에서 상기 옷걸이(18)의 선회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즉 상기 수용 공간(16)의 외부로 상기 옷걸이(18)가 돌출되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힌지부재(20)는 탄성부재(미도시)를 매개로 상기 수용 공간(16)의 내부를 향해 힘을 받아 선회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힌지부재(20)의 축부위에 감겨지는 토션 스프링의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힌지부재(20)의 자유단부가 상기 수용 공간(16)의 하면부(16a)를 향해 힘을 받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인입식 구조의 옷걸이(18)를 비사용 상태에서 상기 모듈러 침대(10)의 프레임(14)에 형성된 수용 공간(16)의 내부에 수납시켜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하고, 사용 상태에서 상기 수용 공간(16)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선회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본 고안은 승조원의 침실에 구비된 고리형 옷걸이를 모듈러 침대(10)의 프레임(14)에 대해 인입 가능한 구조의 옷걸이(18)로 대체함으로써 긴급 상황의 발생시 격실 내부의 좁은 통로를 통해 이루어지는 승조원의 이동 과정에서 옷걸이(18)와의 불필요한 접촉 또는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을 보다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승조원 침실의 조립에 있어, 인입식 고리형 옷걸이(18)를 일체로 갖춘 모듈러 침대(10)를 일원화하여 제작 또는 구매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 시수의 절감과 함께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모듈러 침대 12-매트리스
14-프레임 16-수용 공간
18-옷걸이 20-힌지부재
22-지지선

Claims (6)

  1. 모듈러 침대(10)를 비치한 승조원의 선실에 구비되는 인입식 옷걸이(18)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침대(10)의 단부에 위치하고 내부로 오목한 형태의 수용 공간(16)을 형성한 프레임(14);
    상기 수용 공간(16)에 대해 힌지부재(20)를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옷걸이(18); 및
    상기 옷걸이(18)의 선회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수용 공간(16)과 상기 옷걸이(18)를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선(22)을 구비하되,
    상기 힌지부재(20)는 상기 수용 공간(16)의 하면부(16a)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옷걸이(18)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힌지부재(20)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옷걸이(18)의 선회 방향은 상기 수용 공간(16)의 하면부(16a)에서 상기 수용 공간(16)의 외부로 필요부위만을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하고,
    상기 지지선(22)은 상기 수용 공간(16)의 하면부(16a)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힌지부재(20)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선(22)의 양단부는 상기 수용 공간(16)의 하면부(16a)와 상기 힌지부재(20)의 배면부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식 옷걸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상기 청구항 제1항 기재의 인입식 옷걸이를 포함하는 모듈러 침대의 단부에 위치하고 내부로 오목한 형태의 수용 공간(16)을 형성한 프레임(14), 상기 수용 공간(16)에 대해 힌지부재(20)를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16) 내에서 지지선(22)에 의해 지지되는 인입식 구조의 옷걸이(1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KR2020130003378U 2013-04-30 2013-04-30 인입식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침대 KR2004841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378U KR200484182Y1 (ko) 2013-04-30 2013-04-30 인입식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378U KR200484182Y1 (ko) 2013-04-30 2013-04-30 인입식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722U KR20140005722U (ko) 2014-11-07
KR200484182Y1 true KR200484182Y1 (ko) 2017-08-09

Family

ID=52455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378U KR200484182Y1 (ko) 2013-04-30 2013-04-30 인입식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182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4860A (ja) 2002-01-16 2003-07-22 Akoo:Kk 簡易ハンガー
JP2007175282A (ja) 2005-12-28 2007-07-12 Sugatsune Ind Co Ltd 可収納ハンガ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8957U (ko) * 1989-10-16 1991-06-10
JPH0682959U (ja) * 1993-05-19 1994-11-29 小糸工業株式会社 座席用ハンガ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4860A (ja) 2002-01-16 2003-07-22 Akoo:Kk 簡易ハンガー
JP2007175282A (ja) 2005-12-28 2007-07-12 Sugatsune Ind Co Ltd 可収納ハンガ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58957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722U (ko) 2014-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3842B2 (ja) 航空機の乗客用座席設備
US9457903B2 (en) Modifiable aircraft monument
US7988115B2 (en) Pivoting support hook assembly
JP2009219882A (ja) 安全なパーティション式座席の肘掛け設備、およびそのような設備を備えている二つの座席セット
US20140332629A1 (en) Wall mounted stowage compartment
BR102014024199B1 (pt) Montagens de compartimento para armazenagem superior para veículos de transporte, especialmente cabines de aeronave
JP2010514618A (ja) 公共輸送用乗り物のための荷物収納装置
BR102014024026A2 (pt) unidades modulares de serviço para passageiros e conjuntos das mesmas
JP6823070B2 (ja) 車両のコンポーネントにアシストグリップアセンブリを固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RU2519613C2 (ru) Стол для установки в пассажирском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м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US9120456B2 (en) Side airbag, curtain airbag and back window airbag
JP2018118586A (ja) アームレスト
US10829021B2 (en) Impact-resilient mounted table device
KR200484182Y1 (ko) 인입식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침대
CN103204108A (zh) 车辆的行李箱构造
JP5913391B2 (ja) 航空機の乗客用シートの収納ユニット
WO2017074271A1 (en) Device positioning table for passenger seats
CN106458074B (zh) 用于将运输工具特别是航空器的座椅托盘固定的弹性系统
WO2014176017A1 (en) Aircraft seating assembly with reduced spacing
JP2017081476A (ja) 車両用ドアトリム
CN108778834A (zh) 车辆用座椅及用于车辆用座椅的靠背调整机构用盖
JP2021084471A (ja) 収納装置
JP2007076616A (ja) 車両の荷室構造
KR101199699B1 (ko) 티켓 홀더가 마련된 자동차의 선바이저
JP2010167810A (ja) 車内の床下収納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