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743Y1 - 잔디관리작업기 - Google Patents

잔디관리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743Y1
KR200483743Y1 KR2020160007283U KR20160007283U KR200483743Y1 KR 200483743 Y1 KR200483743 Y1 KR 200483743Y1 KR 2020160007283 U KR2020160007283 U KR 2020160007283U KR 20160007283 U KR20160007283 U KR 20160007283U KR 200483743 Y1 KR200483743 Y1 KR 2004837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ding
coupled
bar
support
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곤
Original Assignee
(주) 토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토농 filed Critical (주) 토농
Priority to KR2020160007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7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7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0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01B39/04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drawn by animal or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5/00Machines for treating meadows or lawns, e.g. for sports grounds
    • A01B45/02Machines for treating meadows or lawns, e.g. for sports grounds for aer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잔디밭(1)의 통기성을 향상시켜 잔디의 생육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잔디관리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잔디관리작업기는 트랙터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회전축(20)과, 상기 회전축(20)의 중간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에어레이팅헤드(30)와, 상기 회전축(20)에 연결되며 상기 트랙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축(20)과 에어레이팅헤드(3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레이팅헤드(30)는 상기 회전축(20)의 중간부에 결합된 로터(31)와, 상기 로터(31)의 둘레면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연장바(32)로 구성되어, 트랙터에 연결한 후 트랙터를 전진시킴과 동시에 상기 구동수단(40)으로 상기 회전축(20)을 회전시키면, 상기 에어레이팅헤드(30)가 회전되면서 상기 연장바(32)가 잔디밭(1)의 표면을 파고 들어가서 잔디밭(1)의 흙에 통기공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골프장 등과 같이 넓은 잔디밭(1)에 일정한 간격으로 효과적으로 다량의 통기공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잔디관리작업기{lawn aerating machine}
본 고안은 잔디밭의 통기성을 향상시켜 잔디의 생육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잔디관리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잔디밭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흙이 단단하게 굳게 되고, 이러한 경우, 잔디의 뿌리로 공급되는 산소의 양이 줄어서, 잔디의 생육속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잔디밭에 다수개의 통기공을 형성하는 에어레이팅작업을 하면, 잔디의 뿌리로 산소가 원활히 늘게 되며, 이에 따라 잔디의 생육속도가 회복된다.
한편, 이와 같이, 잔디밭에 통기공을 형성하는 장치는 다양한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장치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작업을 진행하게 됨으로, 작업속도가 느릴 뿐 아니라, 골프장 등과 같은 넓은 잔디밭을 에어레이팅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0139015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잔디밭의 통기성을 향상시켜 잔디의 생육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잔디관리작업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트랙터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회전축(20)과, 상기 회전축(20)의 중간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에어레이팅헤드(30)와, 상기 회전축(20)에 연결되며 상기 트랙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축(20)과 에어레이팅헤드(3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레이팅헤드(30)는 상기 회전축(20)의 중간부에 결합된 로터(31)와, 상기 로터(31)의 둘레면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연장바(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관리작업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20)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판(11)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측판(11)의 인접면 상단에 고정된 제1 지지바(12)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지지바(12)의 후방 하측에 위치되도록 양단이 상기 측판(11)의 인접면에 고정된 제2 지지바(13)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12,13)의 중간부에 구비된 내부패널(14)과, 상기 내부패널(14)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12,13)에 결합된 보조패널(15)과, 상기 보조패널(15)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단부가 상기 트랙터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바(16)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연결바(16)와 내부패널(14)에 각각 고정되어 연결바(16)를 보강하는 보강바(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관리작업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제2 지지바(13)에 구비되며 후방으로 연장된 입력축(41a)과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판(11)의 외측으로 연장된 출력축(41b)이 구비된 기어박스(41)와, 상기 측판(11)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출력축(41b)과 회전축(20)에 결합된 구동 및 피동풀리(42,43)와, 상기 구동 및 피동풀리(42,43)를 연결하는 벨트(44)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축(41a)은 벨트와 풀리를 통해 상기 트랙터의 전방으로 연장된 구동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관리작업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바(12)의 전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키(12b)가 결합되는 지지판(12a)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키(12b)는 상기 측판(11)과 상기 지지판(12a)을 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지지바(12)의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무게추(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게추(50)는 하측에 상기 제1 지지바(12)의 상측 둘레부가 삽입되는 결합홈(5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51)의 전면에는 상기 고정키(12b)가 삽입되는 오목부(5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관리작업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단부가 상기 측판(1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단부는 상기 측판(11)에 상하방향으로 높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18)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회동부재(18)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면이 잔디밭(1)에 밀착되는 지지로울러(19)를 더 포함하여, 상기 회동부재(18)의 후단부가 결합되는 높이를 달리하여 회동부재(18)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지지로울러(19)의 높이가 상하방향으로 변경되어, 상기 에어레이팅헤드(30)에 구비된 연장바(32)가 잔디밭(1)을 파고 들어가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관리작업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잔디관리작업기는 트랙터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회전축(20)과, 상기 회전축(20)의 중간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에어레이팅헤드(30)와, 상기 회전축(20)에 연결되며 상기 트랙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축(20)과 에어레이팅헤드(3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레이팅헤드(30)는 상기 회전축(20)의 중간부에 결합된 로터(31)와, 상기 로터(31)의 둘레면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연장바(32)로 구성되어, 트랙터에 연결한 후 트랙터를 전진시킴과 동시에 상기 구동수단(40)으로 상기 회전축(20)을 회전시키면, 상기 에어레이팅헤드(30)가 회전되면서 상기 연장바(32)가 잔디밭(1)의 표면을 파고 들어가서 잔디밭(1)의 흙에 통기공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골프장 등과 같이 넓은 잔디밭(1)에 일정한 간격으로 효과적으로 다량의 통기공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잔디관리작업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잔디관리작업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잔디관리작업기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잔디관리작업기를 도시한 것으로, 트랙터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회전축(20)과, 상기 회전축(20)의 중간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에어레이팅헤드(30)와, 상기 회전축(20)에 연결되며 상기 트랙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축(20)과 에어레이팅헤드(3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무게추(50)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20)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판(11)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측판(11)의 인접면 상단에 고정된 제1 지지바(12)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지지바(12)의 후방 하측에 위치되도록 양단이 상기 측판(11)의 인접면에 고정된 제2 지지바(13)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12,13)의 중간부에 구비된 내부패널(14)과, 상기 내부패널(14)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12,13)에 결합된 보조패널(15)과, 상기 보조패널(15)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단부가 상기 트랙터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바(16)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연결바(16)와 내부패널(14)에 각각 고정되어 연결바(16)를 보강하는 보강바(17)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단부가 상기 측판(1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단부는 상기 측판(11)에 상하방향으로 높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18)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회동부재(18)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면이 잔디밭(1)에 밀착되는 지지로울러(19)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지지바(12)는 양단이 상기 측판(11)에 고정되어 측판(11)을 하는 것으로, 사각관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측에 상기 무게추(50)를 탈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지지바(12)의 전면에는 지지판(12a)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12a)에는 상기 무게추(5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키(12b)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키(12b)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봉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측판(11)과 지지판(12a)에는 상기 고정키(12b)가 결합되는 관통공(11a,12c)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부재(18)는 금속판을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절단하여 구성된 것으로, 후단부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편(18a)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연장편(18a)의 상단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나사(18b)가 양면을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측판(11)에는 상기 고정나사(18b)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공(11b)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나사(18b)를 상하측에 구비된 서로 다른 고정공(11b)에 결합하면, 상기 회동부재(18)의 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로울러(19)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조절된다.
상기 회전축(20)은 상기 제1 지지바(12)의 전방 하측에 위치되도록 양단이 상기 측판(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20)의 일단부는 상기 측판(11)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에어레이팅헤드(30)는 상기 회전축(20)의 중간부에 결합된 로터(31)와, 상기 로터(31)의 둘레면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연장바(32)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로터(31)는 상기 회전축(20)에 결합되어 회전축(20)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제2 지지바(13)에 구비되며 후방으로 연장된 입력축(41a)과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판(11)의 외측으로 연장된 출력축(41b)이 구비된 기어박스(41)와, 상기 측판(11)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출력축(41b)과 회전축(20)에 결합된 구동 및 피동풀리(42,43)와, 상기 구동 및 피동풀리(42,43)를 연결하는 벨트(4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트랙터의 전방에는 트랙터의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이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입력축(41a)은 벨트와 풀리를 통해 상기 트랙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트랙터의 구동축이 구동되면, 상기 기어박스(41)의 출력축(41b)이 구동되며,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0)과 에어레이팅헤드(30)가 회전된다.
상기 무게추(50)는 비중이 높은 강철재질의 사각 블록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하측에는 상기 제1 지지바(12)의 상측 둘레부가 삽입되는 결합홈(5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51)의 전면에는 상기 고정키(12b)가 삽입되는 오목부(52)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키(12b)를 측방향으로 잡아당겨 분리하고, 상기 제1 지지바(12)의 상면에 상기 무게추(50)의 결합홈(51)을 결합한 후, 상기 고정키(12b)를 다시 결합하면, 상기 고정키(12b)가 상기 오목부(52)에 끼워져 상기 무게추(50)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잔디관리작업기는 트랙터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회전축(20)과, 상기 회전축(20)의 중간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에어레이팅헤드(30)와, 상기 회전축(20)에 연결되며 상기 트랙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축(20)과 에어레이팅헤드(3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레이팅헤드(30)는 상기 회전축(20)의 중간부에 결합된 로터(31)와, 상기 로터(31)의 둘레면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연장바(32)로 구성되어, 트랙터에 연결한 후 트랙터를 전진시킴과 동시에 상기 구동수단(40)으로 상기 회전축(20)을 회전시키면, 상기 에어레이팅헤드(30)가 회전되면서 상기 연장바(32)가 잔디밭(1)의 표면을 파고 들어가서 잔디밭(1)의 흙에 통기공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골프장 등과 같이 넓은 잔디밭(1)에 일정한 간격으로 효과적으로 다량의 통기공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20)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판(11)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측판(11)의 인접면 상단에 고정된 제1 지지바(12)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지지바(12)의 후방 하측에 위치되도록 양단이 상기 측판(11)의 인접면에 고정된 제2 지지바(13)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12,13)의 중간부에 구비된 내부패널(14)과, 상기 내부패널(14)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12,13)에 결합된 보조패널(15)과, 상기 보조패널(15)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단부가 상기 트랙터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바(16)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연결바(16)와 내부패널(14)에 각각 고정되어 연결바(16)를 보강하는 보강바(17)로 구성되어, 구조가 간단하면서 강도가 매우 높고, 상기 연결바(16)를 트랙터에 연결하면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에어레이팅헤드(30)에 구비된 연장바(32)가 잔디밭(1)을 파고들어서 통기공을 형성하도록 함으로, 통기공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제2 지지바(13)에 구비되며 후방으로 연장된 입력축(41a)과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판(11)의 외측으로 연장된 출력축(41b)이 구비된 기어박스(41)와, 상기 측판(11)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출력축(41b)과 회전축(20)에 결합된 구동 및 피동풀리(42,43)와, 상기 구동 및 피동풀리(42,43)를 연결하는 벨트(44)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축(41a)은 벨트와 풀리를 통해 상기 트랙터의 전방으로 연장된 구동축에 연결된다.
따라서, 트랙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축(20)과 에어레이팅헤드(30)를 효과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바(12)의 상측에는 무게추(5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됨으로,
따라서, 잔디밭(1)의 표면이 딱딱해서 상기 에어레이팅헤드(30)의 연장바(32)가 잔디밭(1)의 표면을 파고 들어가지 못할 경우, 상기 제1 지지바(12)에 무게추(50)를 결합하여 잔디관리작업기의 무게를 늘림으로써, 상기 연장바(32)가 잔디밭(1)을 효과적으로 파고들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제1 지지바(12)의 전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키(12b)가 결합되는 지지판(12a)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키(12b)는 상기 측판(11)과 상기 지지판(12a)을 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무게추(50)는 하측에 상기 제1 지지바(12)의 상측 둘레부가 삽입되는 결합홈(5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51)의 전면에는 상기 고정키(12b)가 삽입되는 오목부(52)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바(12)에 무게추(50)를 결합한 후, 상기 지지판(12a)에 측판(11)과 지지판(12a)에 고정키(12b)를 결합함으로써, 무게추(50)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단부가 상기 측판(1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단부는 상기 측판(11)에 상하방향으로 높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18)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회동부재(18)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면이 잔디밭(1)에 밀착되는 지지로울러(19)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재(18)의 후단부가 결합되는 높이를 달리하여 회동부재(18)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지지로울러(19)의 높이가 상하방향으로 변경되어, 상기 에어레이팅헤드(30)에 구비된 연장바(32)가 잔디밭(1)을 파고 들어가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지지프레임 20. 회전축
30. 에어레이팅헤드 40. 구동수단
50. 무게추

Claims (5)

  1. 트랙터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회전축(20)과,
    상기 회전축(20)의 중간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에어레이팅헤드(30)와,
    상기 회전축(20)에 연결되며 상기 트랙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축(20)과 에어레이팅헤드(3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0)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20)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판(11)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측판(11)의 인접면 상단에 고정된 제1 지지바(12)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지지바(12)의 후방 하측에 위치되도록 양단이 상기 측판(11)의 인접면에 고정된 제2 지지바(13)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12,13)의 중간부에 구비된 내부패널(14)과,
    상기 내부패널(14)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12,13)에 결합된 보조패널(15)과,
    상기 보조패널(15)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단부가 상기 트랙터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바(16)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연결바(16)와 내부패널(14)에 각각 고정되어 연결바(16)를 보강하는 보강바(17)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레이팅헤드(30)는 ,
    상기 회전축(20)의 중간부에 결합된 로터(31)와,
    상기 로터(31)의 둘레면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연장바(3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바(12)의 전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키(12b)가 결합되는 지지판(12a)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키(12b)는 상기 측판(11)과 상기 지지판(12a)을 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지지바(12)의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무게추(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게추(50)는 하측에 상기 제1 지지바(12)의 상측 둘레부가 삽입되는 결합홈(5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51)의 전면에는 고정키(12b)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오목부(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관리작업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제2 지지바(13)에 구비되며 후방으로 연장된 입력축(41a)과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판(11)의 외측으로 연장된 출력축(41b)이 구비된 기어박스(41)와,
    상기 측판(11)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출력축(41b)과 회전축(20)에 결합된 구동 및 피동풀리(42,43)와,
    상기 구동 및 피동풀리(42,43)를 연결하는 벨트(44)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축(41a)은 벨트와 풀리를 통해 상기 트랙터의 전방으로 연장된 구동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관리작업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단부가 상기 측판(1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단부는 상기 측판(11)에 상하방향으로 높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18)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회동부재(18)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면이 잔디밭(1)에 밀착되는 지지로울러(19)를 더 포함하여,
    상기 회동부재(18)의 후단부가 결합되는 높이를 달리하여 회동부재(18)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지지로울러(19)의 높이가 상하방향으로 변경되어, 상기 에어레이팅헤드(30)에 구비된 연장바(32)가 잔디밭(1)을 파고 들어가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관리작업기.
KR2020160007283U 2016-12-14 2016-12-14 잔디관리작업기 KR2004837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283U KR200483743Y1 (ko) 2016-12-14 2016-12-14 잔디관리작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283U KR200483743Y1 (ko) 2016-12-14 2016-12-14 잔디관리작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743Y1 true KR200483743Y1 (ko) 2017-06-21

Family

ID=5924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283U KR200483743Y1 (ko) 2016-12-14 2016-12-14 잔디관리작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743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0201A (ja) * 1991-04-30 1992-11-18 Ueda Noki Kk ドラム可動機構を備えるエアレータ
JP3020882U (ja) * 1995-07-24 1996-02-06 東興産業株式会社 地面穿孔装置
KR0139015B1 (ko) 1994-04-19 1998-04-25 우치야마 하루오 잔디용 에어레이터
US8640784B2 (en) * 2010-10-08 2014-02-04 Donald C. Jones Turf aerator with single journal bearing adapters
US9357687B2 (en) * 2013-03-15 2016-06-07 Textr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erating soi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0201A (ja) * 1991-04-30 1992-11-18 Ueda Noki Kk ドラム可動機構を備えるエアレータ
KR0139015B1 (ko) 1994-04-19 1998-04-25 우치야마 하루오 잔디용 에어레이터
JP3020882U (ja) * 1995-07-24 1996-02-06 東興産業株式会社 地面穿孔装置
US8640784B2 (en) * 2010-10-08 2014-02-04 Donald C. Jones Turf aerator with single journal bearing adapters
US9357687B2 (en) * 2013-03-15 2016-06-07 Textr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erating soi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82977A (en) Gardening machine
US20080196373A1 (en) Controlling Groomer Assembly Depth Penetration
CN206948918U (zh) 割草机
CN105393662B (zh) 一种多功能桑园管理机
KR200483743Y1 (ko) 잔디관리작업기
CN111886946B (zh) 一种种植地破土松土装置
JP6137871B2 (ja) 中央制御で調節されるレベリング・ボードを備えた作業機械
CN110352696A (zh) 一种园林除草装置
KR102351727B1 (ko) 벽체를 절단하기 위한 지능형 커팅기
JP6561346B2 (ja) 歩行型刈取機
CN205266171U (zh) 一种多功能桑园管理机
KR200432414Y1 (ko) 심경 로터리
CN208675687U (zh) 一种高度可调的电动松土机
KR102217750B1 (ko) 자주식 대파 수확기
KR101374886B1 (ko) 농산물 수확기
EP1307085B1 (en) Device for maintaining grass fields
CN213094873U (zh) 一种辣椒种植用打孔设备
KR101721375B1 (ko) 마늘 수확기
KR20140013281A (ko) 목조 건물용 목재 멀티 가공장치
KR20160026115A (ko) 굴삭기용 제초기
AU2001269619A1 (en) Device for maintaining grass fields
CN220422608U (zh) 一种覆膜装置
CN218920904U (zh) 一种松土装置
CN219719021U (zh) 一种园林松土装置
CN216127457U (zh) 一种预制混凝土叠合板拉毛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