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705Y1 - 젖병 세척기구 - Google Patents

젖병 세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705Y1
KR200483705Y1 KR2020160001298U KR20160001298U KR200483705Y1 KR 200483705 Y1 KR200483705 Y1 KR 200483705Y1 KR 2020160001298 U KR2020160001298 U KR 2020160001298U KR 20160001298 U KR20160001298 U KR 20160001298U KR 200483705 Y1 KR200483705 Y1 KR 200483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spring
main body
cleaning brush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2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
Original Assignee
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 filed Critical 김철
Priority to KR20201600012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7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7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46B7/042Clip or snap connection for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46B7/1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as a rotating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06Brushes for cleaning bottles or hollow containers

Landscapes

  • Brush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젖병 세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젖병의 세척시 태엽스프링이 감겼다가 풀리는 힘에 의해 세척브러시가 젖병의 내부에서 외부 동력의 지원 없이도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젖병의 내부를 보다 쉽게 세척할 수 있으며, 세척브러시를 탈부착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세척브러시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젖병 세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젖병 세척기구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가운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세척브러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한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결합된 래칫부; 상기 본체의 내측에 탄성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래칫부의 톱니에 걸리도록 설치된 걸림구; 상기 회전축을 중심축으로 감겨 설치된 태엽스프링;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가운데에 상기 회전축의 타단이 결합된 조작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젖병 세척기구{A Washing brush for a baby bottle}
본 고안은 젖병 세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젖병의 세척시 태엽스프링이 감겼다가 풀리는 힘에 의해 세척브러시가 젖병의 내부에서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젖병의 내부를 보다 쉽게 세척할 수 있으며, 세척브러시를 탈부착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세척브러시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젖병 세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기들에게 수유할 경우 산모가 직접 자신의 모유를 먹이는 경우가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다수의 사람들이 가능한 모유 수유방식을 채택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산모의 모유가 생성되지 않거나 생성되더라도 아기에게 수유할 양이 충분하지 않는 경우 또는 산모가 회사에 다님으로써 모유를 직접 수유할 수 없는 경우에는 아기에게 분유를 수유해야만 하므로 다양한 우유 수유기구가 개발되어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우유 수유기구로는 젖꼭지가 달린 젖병이 있으며, 특히 4 내지 6개월 경의 유아들에게 수유할 경우에는 미립자 형태의 분유를 이용하게 되므로 젖병의 내부에는 분유 찌꺼기가 끼이기 쉽고, 세균의 번식도 빠르게 진행될 수 있으므로 유아 및 영아들이 분유를 마신 후에는 유아 및 영아들의 건강을 위하여 젖병의 청결한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깨끗한 세척이 항상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젖병은 내부가 협소하게 형성되어 손으로 직접 세척하기가 어려우므로 종래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일정한 길이의 철사나 플라스틱 재질로 된 샤프트의 상단에 스펀지가 부착된 세척기구로 내부를 청소하고 있으며, 이러한 세척기구의 사용시에는 스펀지 부분을 용기에 넣고 한 손으로 세척기구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용기를 잡은 상태에서 세척기구를 상하로 움직여가며 젖병 내부를 세척하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세척기구를 이용하여 젖병을 세척하는 경우 세척기구를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수회 반복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스펀지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용기 내부에 제대로 닿지 않아 구석구석 세척되지 않고 찌꺼기나 잔존물이 남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4243호 젖병솔과 같이 손잡이와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형 세척솔이 제작되어 손잡이의 상하이동에 의해 샤프트가 나사홈을 따라 자동으로 회전되면서 스펀지가 용기의 내면을 연속적으로 닿게 되어 용기 내면을 세척하도록 구성된 세척기구가 개발되었으나, 용기 내면을 세척하기 위해서 여전히 손잡이를 수회 상하이동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이 남아있고, 내부가 깊게 형성된 젖병에서는 샤프트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4243호
본 고안에 따른 젖병 세척기구는 젖병의 세척시 별도의 외부동력에 의존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세척브러시가 젖병 내부에서 자동으로 회전되어 사용자가 젖병의 내부를 보다 쉽게 세척할 수 있게 하되, 젖병의 내부가 깊게 형성되더라도 회전이 잘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세척브러시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한 과제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젖병 세척기구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가운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세척브러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한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결합된 래칫부; 상기 본체의 내측에 탄성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래칫부의 톱니에 걸리도록 설치된 걸림구; 상기 회전축을 중심축으로 감겨지도록 회전축에 결합설치된 태엽스프링;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가운데에 상기 회전축의 타단이 결합된 조작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구가 상기 래칫부의 톱니에 걸린상태에서 상기 조작구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상기 태엽스프링이 감겨져 태엽 스프링에 탄성 력이 축적되고, 상기 걸림구가 상기 래칫부의 톱니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태엽 스프링의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태엽스프링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축이 회전되면서 상기 세척브러시가 자동으로 회전하며 젖병 내부를 세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구의 상부 일측에는 돌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돌출구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의 일단에는 상기 돌출구가 끼워질 수 있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구가 래칫부의 톱니에 걸리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브러시와 상기 회전축은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탈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젖병 세척기구는 젖병의 세척시 태엽스프링이 감겼다가 풀리는 힘에 의해 세척브러시가 젖병 내부에서 자동으로 회전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젖병의 내부를 보다 쉽게 세척할 수 있고 내부가 깊게 형성된 젖병 내에서도 회전이 잘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척브러시를 탈부착할 수 있어 젖병 또는 젖꼭지를 세척하는 상황에 따라 세척브러시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세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세척기구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세척기구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세척기구의 래칫부와 걸림구의 구성을 발췌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세척기구에서 세척브러시를 교체한 상태의 예시도.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세척기구는 본체(100);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200); 회전축(200)의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세척브러시(300); 회전축(20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래칫부(400); 일단이 래칫부(400)에 걸리도록 설치된 걸림구(500); 회전축(200)을 중심축으로 설치된 태엽스프링(600); 및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된 조작구(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내부에 다른 구성들이 설치될 수 있고 외부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젖병의 세척시 물과 세제에 노출되므로 부식에 강한 재질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200)은 본체(100)의 가운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축(200)은 후술할 조작구(700)에 일측이 고정결합되어 조작구(700)의 조작에 따라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되, 태엽스프링(600)의 탄성력에 의해서도 자동회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세척브러시(300)는 회전축(200)의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세척브러시(300)는 젖병 또는 젖꼭지의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축(2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면서 젖병 또는 젖꼭지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세척브러시(300)는 젖병 또는 젖꼭지의 내부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세척시 젖병이나 젖꼭지 내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스펀지나 탄성이 있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세척브러시(300)는 회전축(200)과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세척브러시(300)의 일측에 회전축(200)의 일단에 형성된 수나사가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가 형성되었으나, 다른 방법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며, 세척브러시(300)와 회전축(200)이 쉽게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세척 대상물의 형상 또는 브러시의 마모 상태에 따라 세척브러시만 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래칫부(400)는 회전축(200)의 회전방향을 한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 구성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래칫부(400)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톱니가 형성되며, 후술할 걸림구(500)가 래칫부(400)의 톱니의 일측에 걸리면 회전축(200)이 결합된 조작구(700)가 태엽스프링(600)이 감기는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여 회전축(200)의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걸림구(500)는 본체(100)의 내측에 탄성부재(550)를 매개로 결합되어, 일단이 래칫부(400)의 톱니에 걸릴 수 있게 설치된 구성으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걸림구(500)는 하부에 톱니결합부(510)를 구비한 막대로 형성되어 탄성부재(550)의 탄성에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걸림구(500)는 상부 일측에는 돌출구(520)가 형성되고, 본체(100)의 일측에는 돌출구(520)가 이동될 수 있는 이동홈(110)이 형성되어 돌출구(520)의 움직임에 따라 걸림구(500)가 상하 이동되면서 걸림구(500)가 래칫부(400)의 톱니에 걸리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되었다. 이때, 이동홈(110)의 일단에는 돌출구(520)가 끼워질 수 있는 고정홈(111)이 형성되어 돌출구(520)가 고정홈(111)에 삽입되면 걸림구(550)가 래칫부(400)의 톱니와 분리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다시 말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걸림구(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의 상태에서는 걸림구의 톱니결합부(510)가 래칫부(400)의 톱니에 걸린 상태가 되며, 돌출구(520)가 이동홈(110)을 따라 상승하면 걸림구(500)가 상승하면서 래칫부(400)와 분리되며 탄성부재(550)는 압축되고, 돌출구(520)가 고정홈(111)에 끼워지면 탄성부재(550)는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돌출구(520)가 고정홈(111)으로부터 분리되면 탄성부재(550)가 복원되면서 걸림구(500)가 하강하여 걸림구의 톱니결합부(510)가 래칫부(400)의 톱니에 걸리도록 하였으나 반대의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태엽스프링(6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00)을 중심축으로 하여 감겨지도록 회전축과 결합된 구성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태엽스프링(600)은 공지의 기계방식 시계에 사용되는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형성되었다.
이때, 태엽스프링(600)은 조작구(700)의 조작에 의해 회전축(200)이 회전하면 회전축(200)을 중심으로 감겨지면서 탄성력이 축적되며, 탄성력이 축적된 상태에서 걸림구(500)가 래칫부(400)와 분리되면 감겨졌던 스프링이 풀어지면서 회전축(200)이 자동 회전되도록 설치되었으나, 다른 방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조작구(700)는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가운데에는 회전축(200)이 결합된 구성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조작구(700)는 래칫부(400)에 걸림구(500)가 걸려 태엽스프링(600)이 감기는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어 조작구(700)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200)이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었다. 이때, 조작구(700)는 사용자가 잡고 회전시키거나, 세척기구의 보관시 세척기구를 걸이 등에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리(71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세척기구의 작동과정과 작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세척 대상에 맞게 세척브러시(300)와 회전축(200)을 결합한 후, 조작구(700)를 회전시켜 태엽스프링(600)이 감기도록 하여 태엽스프링(600)에 탄성력이 축적되게 한다. 이때, 걸림구(500)는 래칫부(400)의 톱니에 걸린 상태로서 조작구(700)는 태엽스프링(600)이 감기는 방향으로만 회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태엽스프링(600)이 감긴 후에는 세척브러시(300)를 젖병 또는 젖꼭지 내부에 삽입하고 돌출구(520)를 이동시켜 걸림구(500)가 래칫부(400)의 톱니에서 분리되게 한다.
걸림구(500)가 래칫부(400)의 톱니로부터 분리되면 태엽스프링(600)에 축적되었던 탄성력에 의해 태엽스프링(600)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축(200)이 회전되면서 회전축(200)에 결합된 세척브러시(300)가 자동으로 회전하며 젖병 또는 젖꼭지의 내부를 세척하게 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세척기구는 젖병의 세척시 습기에 취약한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태엽스프링(600)이 감겼다가 풀어지는 힘에 의해 세척브러시(300)가 젖병 내부에서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젖병의 내부를 보다 쉽게 세척할 수 있으면서 내부가 깊게 형성된 젖병 내에서도 회전이 잘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척브러시(300)를 탈부착할 수 있어 젖병 또는 젖꼭지를 세척하는 상황에 따라 세척브러시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본체 110 : 이동홈
111 : 고정홈 200 : 회전축
300 : 세척브러시 400 : 래칫부
500 : 걸림구 510 : 톱니결합부
520 : 돌출구 600 : 태엽스프링
700 : 조작구 710 : 고리

Claims (3)

  1. 본체;
    상기 본체의 가운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세척브러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한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결합된 래칫부;
    상기 본체의 내측에 탄성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래칫부의 톱니에 걸리도록 설치된 걸림구;
    상기 회전축을 중심축으로 감겨지도록 회전축에 결합설치된 태엽스프링;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가운데에 상기 회전축의 타단이 결합된 조작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구가 상기 래칫부의 톱니에 걸린상태에서 상기 조작구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상기 태엽스프링이 감겨져 태엽 스프링에 탄성 력이 축적되고, 상기 걸림구가 상기 래칫부의 톱니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태엽 스프링의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태엽스프링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축이 회전되면서 상기 세척브러시가 자동으로 회전하며 젖병 내부를 세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세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의 상부 일측에는 돌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돌출구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의 일단에는 상기 돌출구가 끼워질 수 있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구가 래칫부의 톱니에 걸리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세척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브러시와 상기 회전축은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탈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세척기구.
KR2020160001298U 2016-03-11 2016-03-11 젖병 세척기구 KR200483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298U KR200483705Y1 (ko) 2016-03-11 2016-03-11 젖병 세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298U KR200483705Y1 (ko) 2016-03-11 2016-03-11 젖병 세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705Y1 true KR200483705Y1 (ko) 2017-06-14

Family

ID=59093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298U KR200483705Y1 (ko) 2016-03-11 2016-03-11 젖병 세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7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561A (ko) 2021-03-25 2022-10-05 (주)블루베리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696Y1 (ko) * 2000-11-23 2001-05-15 문환업 컵 세척구
KR20010096215A (ko) * 2000-04-18 2001-11-07 박병록 세척솔용 회전손잡이
KR200274243Y1 (ko) 2002-01-26 2002-05-06 장도훈 젖병솔
KR20090111365A (ko) * 2008-04-22 2009-10-27 윤임식 세척솔 유니트
KR20110000730U (ko) * 2010-11-29 2011-01-21 김수호 누름회전 설거지 브러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215A (ko) * 2000-04-18 2001-11-07 박병록 세척솔용 회전손잡이
KR200224696Y1 (ko) * 2000-11-23 2001-05-15 문환업 컵 세척구
KR200274243Y1 (ko) 2002-01-26 2002-05-06 장도훈 젖병솔
KR20090111365A (ko) * 2008-04-22 2009-10-27 윤임식 세척솔 유니트
KR20110000730U (ko) * 2010-11-29 2011-01-21 김수호 누름회전 설거지 브러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561A (ko) 2021-03-25 2022-10-05 (주)블루베리 식기 세척을 위한 자동 브러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115501A (ja) 表面処理器具用ツール
JP4696310B2 (ja) 突起状物の洗浄装置
KR200483705Y1 (ko) 젖병 세척기구
WO2015118981A1 (ja) 床面吸込具及びこの床面吸込具を備えた電気掃除機
CN108144933B (zh) 一种瓶体清洗装置
KR200444944Y1 (ko) 젖병 세척구
KR20090111365A (ko) 세척솔 유니트
KR101150175B1 (ko) 싱크대 거름통의 소제 장치
KR102431744B1 (ko) 개량형 무전력식 컵세척기
KR102431751B1 (ko) 회전형 무전력식 컵세척기
KR200469348Y1 (ko) 세척시 스폰지가 형성된 샤프트의 회전작동을 조작할 수 있는 세척솔
JP2010154886A (ja) 清掃用具の払拭体分離機構
KR100609488B1 (ko) 젖병 세척기 및 그 세척 방법
GB2451445A (en) Rotating and oscillating infant bottle cleaner
CN212816060U (zh) 一种马桶刷
KR200429736Y1 (ko) 용기세척도구
KR20130001103U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동 세정목욕장치의 손잡이
KR20130010416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동 세정목욕장치의 손잡이
KR20180119325A (ko) 칫솔
US20160089645A1 (en) Devices for Cleaning Automated Blenders
KR200401322Y1 (ko) 젖병 세척용 뚜껑
KR101383095B1 (ko) 가철식 치아교정장치 세척기
CN214107998U (zh) 一种用于医院感染管理用的洗手池清洁装置
KR200249063Y1 (ko) 젖병 청소용솔의 물방울 비산 방지용캡
KR20130010405A (ko) 자동 세정목욕장치의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